KR20080088026A -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026A
KR20080088026A KR1020070030340A KR20070030340A KR20080088026A KR 20080088026 A KR20080088026 A KR 20080088026A KR 1020070030340 A KR1020070030340 A KR 1020070030340A KR 20070030340 A KR20070030340 A KR 20070030340A KR 20080088026 A KR20080088026 A KR 2008008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trademark
group
code
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333B1 (ko
Inventor
전대휘
Original Assignee
전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휘 filed Critical 전대휘
Priority to KR102007003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3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상표명 및 지정 상품명을 입력하여 상표 검색을 명령하고,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로부터 해당 지정 상품이 포함된 상품군 및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각 상품별 분류 코드 및 각 상품을 상품군에 따라 분류한 상품군 코드가 저장되며,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가 함께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설정된 유사군 코드의 정보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출원 또는 등록되어 공개된 상표가 저장되는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정 상품이 포함된 상품군 및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표, 상품, 상품류, 상품군, 유사군 코드

Description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intellectual trade mark search service}
도 1은 종래의 상표 검색 시스템에서의 항목별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상표 검색 시스템에서의 상표 검색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의 메뉴 항목 분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사업자 310 : 인터넷
320 : 사용자 단말 330 :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
340 : 데이터베이스 서버 350 :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360 :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370 :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 380 :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
410 : 상품 코드 추출부 420, 620 : 유사군 코드 검색부
430, 630 : 상품 결과 식별부 440, 640 : 상품 결과 조정부
450, 650 : 상표 검색부 610 : 상품군 추출부
본 발명은 상표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군의 분류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표법상에서의 상표는 상품을 생산·가공·증명 또는 판매하는 것을 업으로 영위하는 자가 자기의 업무에 관련된 상품을 타인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문자·도형·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 또는 이들 각각에 색채를 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표는 자타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품에 부착하는 표장으로서 상품의 동일성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자타상품식별기능이기 때문에 상표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우선 식별력을 가져야 한다. 이때, 상표법상 식별력이라 함은 거래자나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상표를 표시한 상품이 누구의 상품인가를 알 수 있도록 인식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식별력 유무의 판단은 지정상품과 관련하여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품에 대한 분류는 1998년 2월까지는 자국에 대한 분류를 따랐으나, 1989년 3월부터 2001년까지는 니스(NICE) 분류 제7판이 적용되었으며, 2002년 이후부터는 니스 분류 제8판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니스 분류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표준명칭 및 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1957.6.15 표장등록을 실행하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분류에 관한 니스협정(NICE Agreement)에 의해 채택된 것이다.
상기 니스분류는 1963년 제1판이 발간되었으며, 그 후 약 5년 간격으로 상품 및 서비스업종의 신개발에 따라 개정되어왔다. 우리나라는 1998.3.1 부터 국내에 상표출원시 자국 상품분류(상품류 53개류, 서비업류 12개류)에 의하지 않고 NICE분류(상품류 34개류, 서비스업류 8개류)에 따라 상표를 출원하였고 1998.7.1 부터 니스분류를 우리나라에서 주분류로서 채택하였다.
이는 국가간 상품 분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출원 및 등록절차의 번잡성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유럽,일본 등 세계 대다수 국가는 니스분류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단 이 분류에 상품의 이름이 등록되면 각 회원국은 해당 상품에 대한 상표를 출원할 때 등록된 상표의 이름을 표기해야 한다.
한편, 상기 니스 협정 제1조에서 규정하는 국제분류의 일반주석(General remarks)은 다음과 같다.
가. 완제품은 그 기능 또는 용도에 따라 이 표에 명시된 상품 중 비교 가능한 다른 완제품으로부터, 원재료상품은 이 표에 명시된 비교 가능한 다른 원재료로부터 유추하여 분류함을 원칙으로 한다.
나. `가목의 기준으로 분류할 수 없는 상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특정 상품의 일부가 되는 것 외에 다른 용도로 쓰이지 아니하는 상품은 그 특정상품과 동일한 유에 분류한다.
(2) 여러 가지 원재료로 구성된 완제품 또는 반제품은 이를 구성하고 있는 주된 원재료와 동일한 유에 분류한다.
(3) 어떤 상품을 담기 위하여 그 상품에 맞게 만들어진 용기는 그 상품과 동일한 유에 분류한다.
2. 각 상품분류의 동일상품군에 속하는 상품 세목 상호 간은 유사한 상품으로 본다.
3. 상품군 또는 상품류를 달리하는 상품 세목 상호 간의 유사 여부 판단은 특허청장이 정하는 [유사상품/서비스업 심사기준] 에 의한다
이와 같이 각 상표를 등록할 때, 해당 지정 상품에 대한 등록 여부는 상기 해당 지정 상품과의 유사 상품에 대한 여부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사 상품의 판단을 위하여 '유사군 코드'를 지정하여 해당 군과 유사군로 지정된 군에 대해서는 유사 상품으로 적용하게 된다.
상기 '유사군 코드'라 함은 신,구 상품 분류 간 상품심사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98년 3월 1일 이후 국제분류에 따라 출원 및 등록되는 상품이 98년 3월 1일 이전까지 시행된 구 분류상 제 몇 류 몇 군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품 및 서비스업의 유사범위를 기호화한 것을 말한다. 다만, 98. 3. 1 이후 신설, 변경된 상품은 구분류 체계와 관계없이 유사군코드를 신설,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유사군 코드는 영문자(상품은 G, 서비스업은 S)와 4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구성되며(예: G1201, S1203), 필요한 경우 가지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예: S1203-1) 또한, 비고 유사를 표시하기 위해 유사군 코드 끝에 영문자를 병기할 수 있으며(예: G1201B), 이는 당해 유사군 코드가 부여된 상품과 상호 유사한 것으로 보는 것 외에, 당해 유사군 코드 외에 비고 유사 상품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국제 분류에 따른 상품류 구분이 다르더라도 상기 유사군 코드가 동일한 상품 및 서비스업 세목 상호 간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품류 구분이 동일하더라도 유사군 코드가 상이한 상품은 상호 비유사한 것으로 본다. 또한, 유사군 코드가 동일한 상품이라 하더라도 비유사로 판단한 판례가 축적되어 '판례반영목록'에 명시된 경우에는 비유사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표 검색은 특허청과 연계된 특허 정보 검색 사이트(예컨대, 키프리스, 윕스 등)에서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표 검색 시스템에서의 항목별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상표 검색 시스템에서의 상표 검색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상표 검색 사이트에서는 항목별 검색 메뉴를 통해 상표 명칭, 상품 분류, 지정 상품, 출원 번호 등의 다양한 항목을 입력하도록 하여, 각 항목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상표 검색 사이트에서 상표 명칭을 '사랑', 지정 상품을 '자동차'라고 입력하게 되면, 그 검색 결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과를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상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상품을 지정상품으로 하여 출원하느냐에 따라 식별력 판단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표 등록을 위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출원하고자 하는 상표 명칭과 함께 해당 상표를 사용하게 될 상품인 지정 상품을 함께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표 검색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분류 체계가 여러 차례 바뀌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분류 기준에 의해 구분되어 검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품 분류에 의한 검색을 하고자 할 경우, 구 분류와 니스 분류에 따른 검색을 각각 수행하여야 하며, 니스 분류에도 각 출원 시기에 따라 다른 분류 체계의 적용을 받게 되므로, 검색자는 분류표를 별도로 확인하여야 하며 여러 번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상표 검색을 위해서는 해당 지정 상품과 연관된 유사군 상품까지 검색하여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유사군 상품에 대한 관계가 기록된 책자를 일일이 살펴본 후, 해당 유사군 별로 상품 검색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일반적인 상표 검색 시스템은 상품류에 따른 검색만 가능할 뿐, 상품군에 한정하여 검색할 수 없어, 유사군 판단의 기준인 군에 따른 검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상표 검색 사이트에서 군을 선택하여 검색하는 메뉴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유사군에 의한 검색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분류표에 의해 유사군을 확인한 후 재차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의 상표 검색 시스템에서 상품명을 그대로 하여 검색했을 때는 유사 상품의 판단 기준인 동일군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검색을 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한적인 방법으로 류로 검색하였을 경우에는 동일류 내에 등록된 상표 존속 기간 10년 내의 모든 상표가 검색되므로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품 검색을 함에 있어서 상품군에 의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지정 상품만을 입력하더라도 해당 상품군 및 연관된 유사 상품까지 검색하여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표 검색에 있어서 판례에 의한 유사 또는 비유사 상품을 적용하여 필터링된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과 서비스업간의 유사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을 검색할 수 있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록가능한 특정 표장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등록가능한 상품류 및/또는 상품군 및/또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시스템은;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상표 검색을 하고,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로부터 해당 지정 상품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각 상품별 분류 코드가 저장되며,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가 함께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설정된 유사군 코드의 정보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출원 또는 등록되어 공개된 상표가 저장되는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정 상품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표의 유사 상품 또는 비유사 상품에 대해 결정된 누적 정 보가 저장되는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품명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명을 검색어로 하여 상기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명에 대한 상품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로부터 상품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 코드에 의해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대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유사군 코드 검색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 코드 및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에서 검색된 유사군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는 상품 결과 식별부; 상기 결정된 상품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검색된 상품에 대해 판례에 따라 포함 또는 제거되어야 할 상품이 있는지 검색하여 적용하는 상품 결과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방법은;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품 및 상표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해당 상품에 대한 코드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코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연관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서 유사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상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 인식 단계 이후에, 상기 인식된 상품에 대해 판례 정보에 의해 비유사 상품을 제거하거나 유사 상품을 포함시킴으로써 상품 결과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시스템은;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상표명 및 상품군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상표 검색을 명령하고,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로부터 해당 지정 상품군 및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각 상품별 분류 코드 및 각 상품을 상품군에 따라 분류한 상품군 코드가 저장되며,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가 함께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설정된 유사군 코드의 정보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출원 또는 등록되어 공개된 상표가 저장되는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정 상품군 및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품군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군에 해당하는 상품군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로부터 상품군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군 코드에 의해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해당 상품군과 유사한 상품군에 대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유사군 코드 검색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 및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에서 검색된 유사군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는 상품 결과 식별부; 상기 결정된 상품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방법은;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고자하는 상표명 및 지정 상품군을 검색어로 입력 또는 선택하여 상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해당 상품군에 대한 상품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상품군과 링크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상품군 및 유사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고, 확정된 모든 상품에 대해 상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 인식 단계 이후에, 상기 인식된 상품에 대해 판례 정보에 의해 비유사 상품을 제거하거나 유사 상품을 포함시킴으로써 상품 결과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표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 상품에 대한 상품군을 기준으로 검색하게 되며,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상품군까지 검색하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상표 검색 결과 를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 상품을 상품군별로 분류하고,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상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링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검색할 경우, 상기 입력된 지정 상품에 대한 상품군으로 검색을 하고, 상기 상품군과 링크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유사군 상품에 대한 검색까지 동시에 수행하여 결과를 출력시켜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원 시기별로 각기 다르게 분류되어 있는 상품 분류 체계에서도 효과적으로 해당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판례에 의해 유사 또는 비유사 상품으로 분류된 상품에 대해서도 이를 검색 과정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 중 데이터베이스라 함은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일시스템, 텍스트 등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용어들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또한 서버라 함은 집약적인 처리기능을 서비스하는 서브시스템을 통칭하는 것으로 호스팅시스템 등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용어들도 모두 포 함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300)가 구비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340), 인터넷(310), 사용자 단말(3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320)은 인터넷(310)을 통해 사업자(300)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에 접속하여 상표 검색을 하게 되면,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지정 상품에 대한 상품군 분류에 의한 검색과 아울러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모든 상품에 대한 결과까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320)로 제공해주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지정상품이나 지정 서비스업, 상품군, 상품류, 유사군코드로서 입력할 수도 있다. 지정서비스업을 입력하는 경우는 지정상품과 입력하는 경우와 동일한 과정이 이루어진다. 다만 상품군, 상품류 또는 유사군코드로서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상품군 등에 포함되는 모든 상품이나 서비스업이 입력된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 즉 지정상품입력시 1이상의 상품이나 서비스업이 입력되는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지정상품입력이란 의미는 지정서비스업, 상품군, 상품류, 유사군코드의 입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40)는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50),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60),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370) 및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38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320)의 상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40)의 각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지능형 상표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는 각 상품별 분류 코드가 저장되며,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가 함께 연관되어 저장된다. 예컨대, 특정 지정 상품에 대한 코드는 구분류에 의한 분류 코드, 니스 분류 제7판에 의한 분류 코드 및 니스 분류 제8판에 의한 분류 코드가 함께 링크되어 저장된다.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는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설정된 유사군 코드의 정보가 링크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에서는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를 참조하여 상품 검색시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상품과의 연관된 유사군 상품까지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370)에는 출원 또는 등록되어 공개된 상표가 저장된다.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370)는 상기 사업자(300)의 서버 내에 구축하여 계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상표 검색 사이트 또는 특허청의 상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참조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380)는 현재까지 누적된 상표의 유사 상품 또는 비유사 상품에 대해 결정된 정보가 저장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의 세부 구조 및 지능형 상표 검색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품명에 의해 지능형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품군에 의해 지능형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3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는 상품 코드 추출부(410), 유사군 코드 검색부(420), 상품 결과 식별부(430), 상품 결과 조정부(440) 및 상표 검색부(4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사용자 단말(330)을 통해 사업자의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에 접속하고, 검색할 상표명과 지정 상품명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로 입력된다. 이때, 상품명 입력 데이터는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410)로 입력되고, 상표 입력 데이터는 상기 상표 검색부(450)로 입력된다.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410)에서는 상기 입력된 상품명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상기 해당 상품명에 해당하는 상품 코드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상품명에 대한 검색 결과는 복수 개가 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입력 상품명으로 검색하더라도 복수의 상품 코드가 검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사군 코드 검색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해당 상품명이 포함되는 상품군에 대한 코드도 함께 추출하게 된다.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410)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는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420)로 전송된다.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420)에서는 상기 수신된 상품군 코드로부터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상품 코드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각 상품 코드에 대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410)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 및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420)에서 검색된 유사군 코드는 상기 상품 결과 식별부(430)로 제공된다. 상기 상품 결과 식별부(430)에서는 상기에서 추출 및 검색된 해당 상품군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품 결과 조정부(440)에서는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상기 각 검색된 상품에 대해 판례에 따라 포함 또는 제거되어야 할 상품이 있는지 검색하여 적용하게 된다. 즉, 판례에 의해 비유사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해서는 상기 확정된 상품 목록에서 제거를 하게 되며, 판례에 의해 유사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해서는 상기 확정된 상품 목록에 추가하여 포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표 검색부(450)에서는 상기 결정된 상품들에 대해 상기 입력된 상표 검색으로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370)를 검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해당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군 및 유사군 상품까지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품 및 상표에 대한 검색어를 입 력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S501)하게 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코드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해당 상품이 포함되는 상품군을 검색(S502)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검색된 해당 상품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S503)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상품군 코드가 존재(S504)할 경우에는 상기 해당 상품군에 링크되어 있는 유사군 코드를 검색(S505)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검색된 유사군을 해당 검색 대상 상품군 내에 포함(S506)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사군을 포함하여 검색 대상의 모든 상품군이 확정되면, 상기 각 군별 상품을 추출(S507)함으로써 검색 대상이 되는 모든 상품을 확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 기능으로써 상기 해당 상품군 또는 상품명에 대한 연관 판례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판례 정보에 의해 상품 결과를 조정(S508)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해당 상품명에 대한 판례에 유사하지 않는 것으로 제외된 상품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상품을 검색 대상 상품에서 제외하게 되며, 반면 해당 상품명에 대한 판례에 유사한 것으로 추가된 상품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상품을 검색 대상 상품에 추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검색 대상 상품을 최종적으로 확정(S509)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색 대상 상품이 최종 확정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상표명에 대해 해당 상품의 범위 내에서 검색(S510)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S511)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품명에 의해 상표 검색을 수행하 는 지능형 상표 검색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품군에 의해 상표 검색을 수행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3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는 상품군 추출부(610), 유사군 코드 검색부(620), 상품 결과 식별부(630), 상품 결과 조정부(640) 및 상표 검색부(6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상품명을 입력하여 해당 상품이 포함된 군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였으나, 후술하는 제2 실시 예에서는 상품군을 선택 또는 입력함으로써 해당 상품군에 대한 상품을 확정하게 된다.
상기 도 3에서 사용자 단말(330)을 통해 사업자의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에 접속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상표명과 해당 상표에 대한 검색 대상 지정 상품류 및 군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330)로 입력된다. 이때, 상품류 및 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상품군 추출부(610)로 입력되고, 상표 입력 데이터는 상기 상표 검색부(650)로 입력된다.
상기 상품군 추출부(610)에서는 상기 입력된 상품류 및 군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상기 해당 상품군에 해당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상품군 코드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상품군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는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620)로 전송된다.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620)에서는 상기 수신된 상품군 코 드로부터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상품군 코드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각 상품군 코드에 대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상품군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 및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620)에서 검색된 유사군 코드는 상기 상품 결과 식별부(630)로 제공된다. 상기 상품 결과 식별부(630)에서는 상기에서 추출 및 검색된 해당 상품군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품 결과 조정부(640)에서는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상기 각 검색된 상품에 대해 판례에 따라 포함 또는 제거되어야 할 상품이 있는지 검색하여 적용하게 된다. 즉, 판례에 의해 비유사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해서는 상기 확정된 상품 목록에서 제거를 하게 되며, 판례에 의해 유사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해서는 상기 확정된 상품 목록에 추가하여 포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표 검색부(650)에서는 상기 결정된 상품들에 대해 상기 입력된 상표 검색으로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370)를 검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해당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군 및 유사군 상품까지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품 분류로서 상품류 및/또는 상품군을 선택하거나 입력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상표명을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검색을 수행(S701)하게 된다.
이때,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품군을 지정하였는지 여부를 검사(S702)하고, 상품군 지정이 되지 않고 상품류만이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해당류에 포함된 모든 상품군을 선택(S703)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검색된 해당 상품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S704)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해당 상품군에 대한 유사군 코드가 존재(S705)할 경우에는 상기 해당 상품군에 링크되어 있는 유사군 코드를 검색(S706)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검색된 유사군을 해당 검색 대상 상품군 내에 포함(S707)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사군을 포함하여 검색 대상의 모든 상품군이 확정되면, 상기 각 군별 상품을 추출(S708)함으로써 검색 대상이 되는 모든 상품을 확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 기능으로써 상기 해당 상품군 또는 상품명에 대한 연관 판례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판례 정보에 의해 상품 결과를 조정(S709)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해당 상품명에 대한 판례에 유사하지 않는 것으로 제외된 상품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상품을 검색 대상 상품에서 제외하게 되며, 반면 해당 상품명에 대한 판례에 유사한 것으로 추가된 상품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상품을 검색 대상 상품에 추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검색 대상 상품을 최종적으로 확정(S710)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색 대상 상품이 최종 확정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상표명에 대해 해당 상품의 범위 내에서 검색(S711)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S712)시키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의 메뉴 항목 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 코드, 상품 분류, 상품 이력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메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8의 기능을 확장하여 상표 관계자 이력, 비엔나 분류, 우선권, 지정 상품 이력, 상표 이력, 상표 이미지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검색 결과 또는 메뉴로서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품 및 서비스업간의 유사판단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웨터'를 검색하는 경우 '스웨터'를 포함하는 상품류, 상품군, 유사군코드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식하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품코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서비스업 중 스웨터를 포함하는 서비스업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스웨터'를 입력하면 예를 들어 '스웨터상품판매대행업', '스웨터상품판매알선업', '스웨터수선업' 등과 같은 서비스업이 검색되어 이들과의 유사판단도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업을 검색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품검색과 마찬가지로 관련 상품이 검색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어일치, 단어부분일치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한편 서비스업의 유사군코드에서 상기와 같이 상품과 유사판단이 필요한 서비스업에는 관련상품의 유사군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웨터상품판매대행업'이라면 유사군코드가 'S1211-1'인데, 여기 에 '스웨터'의 유사군코드인 'G4503'을 함께 또는 부가적으로 데이터화함으로서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방법과 반대로 모든 상품에 서비스업의 유사군코드를 함께 데이터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출원가능한 상품 및/또는 상품군 및/또는 상품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정하여 '사랑'이란 상표를 전류에 대하여 출원코자하는 경우 종래의 검색방법에 의해서는 모든 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검색을 하여 선출원 또는 선등록상표의 존재여부를 파악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검색방법에 의할 경우 등록받고자 하는 표장 및 상품류를 입력하면 상기 실시예들에 의한 방법에 검색이 이루어지고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이 없는 상품류 및/또는 상품군 및/또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사 상품 판단의 기준이 되는 상품군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정 상품만을 입력하더라도 해당 상품군 및 연관된 유사 상품까지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효과적인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표 검색에 있어서 판례에 의한 유사 또는 비유사 상품을 적용하여 필터링된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 는 효과적인 상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과 서비스업간의 유사상품 및/또는 유사서비스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정밀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표장에 대한 등록가능 상품의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상표 맵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상표명 및 지정 상품명을 입력하여 상표 검색을 명령하고,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로부터 해당 지정 상품이 포함된 상품군 및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각 상품별 분류 코드 및 각 상품을 상품군에 따라 분류한 상품군 코드가 저장되며,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가 함께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설정된 유사군 코드의 정보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출원 또는 등록되어 공개된 상표가 저장되는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정 상품이 포함된 상품군 및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표의 유사 상품 또는 비유사 상품에 대해 결정된 누적 정보가 저장되는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품명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명을 검색어로 하여 상기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명에 대한 상품 코드 및 상기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군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로부터 상품군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군 코드에 의해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해당 상품군과 유사한 상품군에 대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유사군 코드 검색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 및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에서 검색된 유사군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는 상품 결과 식별부;
    상기 결정된 상품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검색된 상품에 대해 판례에 따라 포함 또는 제거되어야 할 상품이 있는지 검색하여 적용하는 상품 결과 조 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고유의 유사군 코드 정보와 함께 관련 서비스업의 유사군 코드 정보도 함께 링크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지정서비스업의 서비스군마다 고유의 유사군 코드 정보와 함께 관련 상품의 유사군코드 정보도 함께 링크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검색하려는 상표명 및 상기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을 입력하여 상표를 검색하는 상표 검색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고자하는 상표명 및 지정 상품명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상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해당 상품에 대한 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상품 코드가 해당하는 상품군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해당 상품군과 링크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상품군 및 유사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하는 단 계; 및
    상기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고, 확정된 모든 상품에 대해 상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인식 단계 이후에,
    상기 인식된 상품에 대해 판례 정보에 의해 비유사 상품을 제거하거나 유사 상품을 포함시킴으로써 상품 결과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9. 상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사업자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상표명 및 상품류(상품군 포함)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상표 검색을 명령하고,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로부터 해당 지정 상품류(상품군 포함) 및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각 상품별 분류 코드 및 각 상품을 상품류(상품군 포함)에 따라 분류한 상품군 코드가 저장되며, 다양한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가 함께 연관되어 저장되는 상품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설정된 유사군 코드의 정보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출원 또는 등록되어 공개된 상표가 저장되는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정 상품군 및 상기 해당 상품군과 연관된 유사군 코드 내의 상품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지정 상품의 상품군마다 고유의 유사군 코드 정보와 함께 관련 서비스업의 유사군 코드 정보도 함께 링크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지정서비스업의 서비스군마다 고유의 유사군 코드 정보와 함께 관련 상품의 유사군코드 정보도 함께 링크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표의 유사 상품 또는 비유사 상품에 대해 결정된 누적 정보가 저장되는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품류(상품군 포함)를 확인하고, 상기 상품류(상품군 포함)에 해당하는 상품군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로부터 상품군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군 코드에 의해 상기 유사군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해당 상품군과 유사한 상품군에 대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유사군 코드 검색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품군 코드 및 상기 유사군 코드 검색부에서 검색된 유사군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는 상품 결과 식별부;
    상기 결정된 상품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기 상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표 검색을 수행하는 상표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상표 검색 서버는,
    상기 판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 검색된 상품에 대해 판례에 따라 포함 또는 제거되어야 할 상품이 있는지 검색하여 적용하는 상품 결과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상표 검색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고자하는 상표명 및 지정 상품류(상품군 포함)를 검색어로 입력 또는 선택하여 상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해당 상품류(상품군 포함)에 대한 상품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상품군과 링크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상품군 및 유사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고, 확정된 모든 상품에 대해 상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6. 상표 검색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고자하는 상표명 및 지정 상품류(상품군 포함)를 검색어로 입력 또는 선택하여 상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해당 상품군과 링크된 유사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해당 상품류(상품군 포함)에 대한 상품군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서 상기 상품군 및 유사군 내의 모든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인식된 상품을 확정하고, 확정된 모든 상품에 대해 상기 입력된 상표명으로 상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인식 단계 이후에,
    상기 인식된 상품에 대해 판례 정보에 의해 비유사 상품을 제거하거나 유사 상품을 포함시킴으로써 상품 결과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를 검색하는 단계 이후 검색된 상품 또는 상품군 또는 상품류를 제외하고 검색되지 아니한 상품 또는 상품군 또는 상품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030340A 2007-03-28 2007-03-28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4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340A KR100943333B1 (ko) 2007-03-28 2007-03-28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340A KR100943333B1 (ko) 2007-03-28 2007-03-28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026A true KR20080088026A (ko) 2008-10-02
KR100943333B1 KR100943333B1 (ko) 2010-02-19

Family

ID=4015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340A KR100943333B1 (ko) 2007-03-28 2007-03-28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3002A (ja) * 2017-01-15 2018-07-19 cotobox株式会社 商標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086424A (zh) * 2018-08-08 2018-12-25 北京知果科技有限公司 一种近似商标查询方法和装置
KR102198291B1 (ko) * 2020-04-16 2021-01-05 안전성평가솔루션(주)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230469A1 (ko) * 2020-05-13 2021-11-18 주식회사 세진마인드 아이템 추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969A (ko) 2020-08-26 2022-03-07 (주)한림아이피에스 기업 상표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63A (ko) * 2000-04-28 2001-11-26 백건수 인터넷상에서의 판례 검색 방법
KR20040076692A (ko) * 2003-02-26 2004-09-03 강민수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3002A (ja) * 2017-01-15 2018-07-19 cotobox株式会社 商標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086424A (zh) * 2018-08-08 2018-12-25 北京知果科技有限公司 一种近似商标查询方法和装置
KR102198291B1 (ko) * 2020-04-16 2021-01-05 안전성평가솔루션(주)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230469A1 (ko) * 2020-05-13 2021-11-18 주식회사 세진마인드 아이템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333B1 (ko) 201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794B1 (ko) 문서 분류 시스템, 문서 분류 방법 및 문서 분류 프로그램
US8015198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ndexing documents
EP4040310A1 (en) Image and text data hierarchical classifiers
CN111144723A (zh) 人岗匹配推荐方法及系统、存储介质
TW201415264A (zh) 取證系統、取證方法及取證程式
KR100943333B1 (ko)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105209A (zh) 适用于人岗匹配推荐系统的职位简历匹配方法及装置
AU2002331728A1 (en)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dexing documents
WO2016057000A1 (en) Customs tariff code classification
JP2002175330A (ja) 情報検索装置,スコア決定装置,情報検索方法,スコア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149414A (ja) プロジェクトリスクの検索方法、評価システム及び共通データベース活用方法
CN111914154B (zh) 一种智能搜索导向系统及方法
KR20080009432A (ko) 특허분류 체계를 활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에 따른검색 방법
CN112035440A (zh) 知识库的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620355B1 (en) Dynamic content optimiz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2370044B1 (ko) 선행 기술 정보 자동 검색 및 유사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01226A (ja) 文書群分類装置および文書群分類方法
AU2012258320B2 (en)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dexing documents
CN110609959A (zh) 基于项目生命周期的检索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5898371B2 (ja) 文書分別システム、文書分別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文書分別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WO2023208574A1 (e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patent families and personalised analysis of competitors&#39; patent portfolio
JP5746403B2 (ja) 文書分別システム、文書分別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文書分別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793185B1 (ko) 환자 개인정보 식별 방법
JP2020144674A (ja) 文書出力システム、文書出力方法及び文書出力プログラム
JP5324018B1 (ja) コーパス生成装置、コーパス生成方法及びコーパス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