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692A -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692A
KR20040076692A KR1020030012021A KR20030012021A KR20040076692A KR 20040076692 A KR20040076692 A KR 20040076692A KR 1020030012021 A KR1020030012021 A KR 1020030012021A KR 20030012021 A KR20030012021 A KR 20030012021A KR 20040076692 A KR20040076692 A KR 2004007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demark
information
product
unit
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0300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6692A/ko
Publication of KR2004007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6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카탈로그 정보 등 전자적으로 작성된 실제로 사용되는 상표 정보를 활용한 상표 감시 장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사용 상표의 상표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의 주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상표 검색부; 상기 사용 상표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 또는 업종과 상기 다른 상표의 지정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정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카탈로그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 내의 브랜드 정보와 특허청의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와의 충돌 여부를 알 수 있게 되어, 상표권자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TRADEMARK WATCHING SERVICES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 카탈로그 정보 등 전자적으로 작성된 실제로 사용되는 상표 정보를 활용한 상표 감시 장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e-marketplace.를 필두로 한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 카탈로그가 발달되어야 한다. 전자 카탈로그는 전자 상거래시 공급자와 구매자, 중계자가 주고 받는 거래 데이터의 표현 요소로서 전자 상거래의 기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전자 카탈로그는 전자 카탈로그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통상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관계자가 그 상품 또는 서비스의 수요자 또는 2차 관계자에 대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전자 카탈로그에는 표준 또는 당사자 간의 약속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유통의 편의와 표준화를 위해 단위 업종, 국가 내 또는 국가간의 법률상 사실상의 표준의 제정이 요구되고 있으며, 각 표준 간의 통합 표준의 제정도 추진되고 있다.
대한민국 상표법 제 2조에는 상표를 상품을 생산?가공?증명 또는 판매하는 것을 업으로 영위하는 자가 자기의 업무에 관련된 상품을 타인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문자?도형?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 또는 이들 각각에 색채를 결합한 것으로 정의하고, 서비스표로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자가 자기의 서비스업을 타인의 서비스업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상표의 사용 행위로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표시하는 행위,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표시한 것을 양도 또는 인도하거나 그 목적으로 전시?수출 또는 수입하는 행위 또는 상품에 관한 광고?정가표?거래서류?간판 또는 표찰에 상표를 표시하고 전시 또는 반포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종이 등의 매체로 된 카탈로그 및 전자 카탈로그의 제작, 배포하는 행위는 상표의 사용 행위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입법례를 따르더라도 통상의카탈로그 또는 전자 카탈로그를 제작, 배포하는 행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불문하고 상표의 사용행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카탈로그 또는 전자 카탈로그 그 자체는 상표 분쟁에서 상표의 사용을 입증하는 유력한 증거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온라인 상에서 전자 카탈로그에 기반한 정보 처리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01160(전자 카탈로그를 통한 상품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장치)이 있는데, 이는 전자 카탈로그를 통한 상품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제 10-2001-0044770(전자 카탈로그 시스템과 그 관리 운용 장치 및 관리 운용 방법)은 전자 카탈로그의 확장된 표준 사전을 활용하여 그 사용 대가를 받는 방법을 제시히고 있다. 지금까지 제시된 전자 카탈로그에 기반한 정보 처리 방법은 전자 카탈로그가 결합된 상품 그 자체의 유통 또는 전자 카탈로그의 배포, 유통, 전달, 갱신 또는 제작에 대한 것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전자 카탈로그 그 자체나 전자 카탈로그의 제작과 배포는 국내 또는 국외의 상표법 상의 상표 및 상표 사용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온라인 상에 유통되는 전자 카탈로그 그 자체 또는 전자 카탈로그의 제작 또는 배포와 관련하여 이들과 상표 정보와의 통합된 정보 처리는 아직 제공된 바가 없다.
전자적으로 작성된 상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상표와 상표 등록 상표 또는 기타 다른 식별 표지(미등록 상표) 간의 권리 침해 여부, 상표의등록 가능성 등을 감시하는 장치, 그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표 검색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품 검색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503 단계의 세부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504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의 505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는 소정의 상표인 사용 상표의 호칭을 포함하는 상표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에 관한 주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상표 검색부;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 또는 업종과 상기 다른 상표의 지정상품 또는 업종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다른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정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표 검색부는 미리 저장된 상표로써의 식별력이 없는 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 및 상기 다른 상표 정보 중 어느 한 비교 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 상표로써의 식별력을 갖지 못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추출하는 요부 추출부; 미리 저장된 형태소 정보 또는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의 어휘 사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부 추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2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어휘를 추출하는 결합 상표 분해부; 및 상기 추출된 어휘들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의 어휘와 비교 대상 상표의 어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부는 미리 저장된 상품 분류기준 또는 각종 상품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상품유사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품 매칭부; 및 미리 저장된 상품과 업종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업종 유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업종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업종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표 감시 장치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과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 상표에 대한 이해 관계를 갖는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의 단말 장치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수집하는 사용 상표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제공 받아 이를 외부에 표시하고, 상기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할 정보에 포함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정보 가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가 상표 등록이 안된 미등록 상태인 경우에는 상표 출원 가능성에 대한 판단정보를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표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의 이미지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종류에 관한 분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표 검색부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등록이 되지 않았으나, 현재 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에 관한 정보인 미등록 사용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중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상품 검색부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 중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품 검색부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다른 경우일지라도 상기 사용 상표의 사용이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를 희석화 시킬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저장된 희석화가 우려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고,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희석화 우려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제공 받아,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 경쟁 관계에 있는 이해 관계인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외부로부터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는 소정의 상표인 사용 상표의 호칭을 포함하는 상표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 (d)상기 사용 상표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의 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다른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에 관한 주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c) 단계는 (c1) 미리 저장된 상표로써의 식별력이 없는 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 및 상기 등록 상표 정보 중 어느 한 비교 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 상표로써의 식별력을 갖지 못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추출하는 단계; (c2) 미리 저장된 형태소 정보 또는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의 어휘 사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부 추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2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추출된 어휘들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의 어휘와 비교 대상 상표의 어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미리 저장된 상품 분류기준 또는 각종 상품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상품유사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 상표에 대하여 이해 관계를 갖는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의 단말 장치로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를 제공 받아 이를 외부에 표시하고, 상기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할 정보에 포함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가 상표 등록이 안된 미등록 상태인 경우에는 상표 출원 가능성에 대한 판단 정보를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표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의 이미지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종류에 관한 분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등록이 되지 않았으나, 현재 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에 관한 정보인 미등록 사용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중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 중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다른 경우일지라도 상기 사용 상표의 사용이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를 희석화 시킬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저장된 희석화가 우려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는 상기 희석화 우려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제공 받아,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 경쟁 관계에 있는 이해 관계인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각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표 감시란 실제 사용되고 있는 어떤 상표와 상표 등록된 등록 상표 또는 미등록된 다른 식별표지(이하 미등록 상표라 함)들간에 그 사용주체가 다름에 따라 권리의 침해 또는 충돌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표란 상표법상의 상표는 물론 상표법상 서비스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해 관계인이란 상표법상의 이해 관계인을 말하는 것으로 즉,어떤 상표로 인하여 사실상 또는 법률상 경제적 이익을 보거나 또는 손해를 볼 수 있는 자를 의미한다. 미등록 상표란 상표법상 등록을 받지 못하였으나 실제로는 상표로 사용되고 있는 상표 또는 그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식별 표지(상호 등)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사용 상표라 함은 현실적으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사회 또는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표 감시의 대상이 되는 상표를 말한다.
또한 상표 전자 정보란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된,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고 있는 상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전자 카탈로그, 전자 태그 등에 전자적 정보의 형태로 들어 있는 상표 관련 정보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전자 카탈로그를 그 예로로써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사용되는 전자 카탈로그에는 위 전자 태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자 카탈로그는 전자 상거래 또는 상거래를 전제로하여 유무형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사운드 또는 이들의 2 이상이 결합된 것을 디지털 콘텐츠의 형태로 담고 있는 전자 문서의 일종으로서 그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와 구매자, 중계자 또는 소비자 등 상품 또는 서비스의 거래 주체 또는 소비 주체 사이에 주고 받거나, 검색 또는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 정보 집합 또는 그 정보 또는 정보 집합의 표현된 형태를 말한다. 상기에서 상거래를 전제로 한다는 말은 그 전자 카탈로그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가 궁극적으로 상거래, 소비(서비스의 소비 또는 구매를 포함한다) 대상이 된다는 말이다.상기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란 통상의 상품과 통상의 서비스를 포함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제공되는 유료 또는 무료의 각종 정보, 정보 상품(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비스 상품(디지털 형태 또는 통상의 정보 처리 기술에 기반한 일체의 서비스를 포함한다.)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거래 주체 또는 소비 주체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전자 상거래 또는 상거래에 관련된 일체의 행위 주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문서란 여러 정의가 있을 수 있으나 전자거래기본법에 정의되어 있는 컴퓨터 등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수신 또는 저장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위 전자 카탈로그는 전자 카탈로그의 생산, 사용, 유통의 주체에 따라 다양한 내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카탈로그는 1) 상품 또는 주체의 식별에 관한 정보, 2) 상품 분류에 관한 정보, 3) 상품 속성에 관한 정보 또는 4) 기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상품 또는 주체의 식별에 관한 정보는 상품의 식별과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말한다. 상품 식별의 국제 표준의 하나로 GTIN(Global Trade Item Number)이, 주체의 식별의 국제 표준의 하나로 GLN(Global Location Number)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전자 카탈로그는 이 표준을 따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포함한다.
상품의 분류에 관한 정보는 상품의 분류에 관한 일체의 정보를 말한다. 이 분야의 국제 표준의 하나로 UNSPSC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전자 카탈로그는 이 표준을 따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포함한다.
상품의 속성에 관한 정보는 상품의 성질이나 속성에 관한 일체의 정보를 말한다. 이 분야의 국제 표준의 하나로 GDAS(Global Data Alignment System)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전자 카탈로그는 이 표준을 따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포함한다.
기타 정보는 상기 3 유형의 정보를 제외한 상품에 관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사운드 또는 이들이 결합된 디지털 콘텐츠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에는 상품 이미지,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 로고 송 기타 상품과 대응성을 가지는 일체의 표준 또는 비표준 디지털 콘텐츠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이다.
이해 관계인 단말(101)은 위에서 설명한 이해 관계인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로써위 이해 관계인 단말(101)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장치(102)와 접속되어 있으며, 이해 관계인으로부터 상표 감시의 대상이 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상표의 호칭, 문자, 이미지,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등)를 입력받아 위 상표 감시 장치(102)로 전송하거나 혹은 위 상표 감시 장치(102)로부터 어떤 상표에 관한 상표 감시 결과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위 이해 관계인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표 감시 장치(102)는 위 이해 관계인 단말 또는 외부로부터 상표 감시할 대상이 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혹은 인터넷 사이트 등을 검색하여 스스로 시장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상표인 사용 상표를 수집하여 위 사용 상표와상표 등록된 상표 또는 미등록 상태에 있는 기타 식별표지(미등록 상표, 상호 등) 등과의 권리 침해 또는 충돌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생성시키고, 필요에 따라 위 이해 관계인 또는 그 외 공중인 제3자에게 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자 단말(103)은 상표 감시 대상이 되는 상표와 실질적으로 이해 관계가 없는 자(제3자, 예를 들면 소비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로써, 원하는 경우 요청에 의해 또는 자발적으로 위 상품 감시 결과 정보를 제공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표 감시기능의 수행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2 이상의 컴퓨터가 연동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었다는 말에는 2 이상의 컴퓨터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이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며, 2 이상의 컴퓨터가 함께 참여하여 특정 목적의 상표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개념적으로 독립되었다는 말은 하나의 컴퓨터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단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표 검색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품 검색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장치(102)는 송수신부(201),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202), 상표 검색부(203), 상품 검색부(204), 정보 가공부(205), 입출력부(206), 사용 상표 수집부(207)을 포함할수 있는데, 여기서 위 송수신부(201) 및 사용 상표 수집부(207)는 오프라인으로 위 상표 감시 장치가 동작되는 경우에는 제외될 수 있으므로 필수구성 요소는 아니다.
송수신부(201)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과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 상표에 대한 이해 관계를 갖는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의 단말 장치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206)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는 소정의 상표인 사용 상표의 호칭을 포함하는 상표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에 관한 주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 상표 수집부(207)는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수집하여 사용 상표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 상표 수집부(207)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자동으로 전자 카탈로그와 같은 상표 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 상표 수집부(203)는 전자 카탈로그,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 또는 임의의 네트워크 상의 가상 공간에 접속하여 전자 카탈로그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사용 상표 수집부(203)는 네트워크 상의 쇼핑몰, 기업 또는 경제 관련 디렉토리 정보 제공자, 전화 번호부 등에서 전자 카탈로그 자체 또는 전자 카탈로그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해 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 사용 상표 수집부(203)를 통하는 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필요한 소정의 전자 카탈로그를 입수할 수 있다.
즉, 첫째로 위 송수신부(201)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의 단말 장치(즉 이해 관계인 단말(101))로부터 전자 카탈로그를 전달받는 방법이다. 이는 통상의 파일 전송 또는 DB 상의 정보 전송 방법에 의한다. 위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란 하나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를 DB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그 컴퓨터를 관리하는 주체와 전자 카탈로그 수집 프로그램 또는 이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주체 간의 계약, 동의 또는 허락 하에서 전자 카탈로그 자체 또는 전자 카탈로그 관련 정보의 일방적 또는 쌍방적 전송을 행하는 컴퓨터 또는 주체를 말한다.
상기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의 단말 장치는 관세청 관련 단말 장치, 전자 카탈로그 유통자의 단말 장치, 상품 정보 제공자의 단말 장치, (국경 통과)온라인 무역 업체, 무역 중개업하는 업체, 무역 중개 사이트, 무역 정보사이트 등의 단말 장치, 국내 상품/서비스 중개업자(유통, 물류업자), 온라인/오프라인 정보 제공자/서비스 제공자, 상점(유통업자, 백화점, 마트 등 실물 중개자) 자체나 이들의 온라인 대행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입출력부(206)을 통하여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 또는 전자 카탈로그 자체를 담고 있는 CD-ROM, DVD 또는 기타 유형의 매체로부터 전자 카탈로그 자체 또는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이다.
셋째, 개별 상표 감시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를 상표 감시 장치에 입력 또는 전송하는 방식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202)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또는 사용 상표 수집부(207)로부터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202)가 위 상표 전자 정보인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하는 정보는 추출의 목적과 전자 카탈로그에 담긴 내용에 따라 그 내용과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표에 관한 정보, 상품에 관한 정보 및 이 상품의 생산, 유통 또는 거래의 주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게 된다. 통상 상표 감시(brand watching, 특정한 나라 또는 나라들에서 특정한 상표와 유사한 상표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그 상표가 쓰이는 상품과의 관계에서 또는 쓰이는 상품과는 독립적으로 알아 보는 것)를 위해서는 주체에 관한 정보와는 무관하게 상표에 관한 정보만 있으면 되는 경우가 있고, 주체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며, 상품에 관한 정보가 아울러 요청되는 경우도 있으며, 각 국가 또는 지역 단위(특정한 상표권에 지역 단위의 실시권이 설정된 경우 더욱 그러하다.)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전자 카탈로그에 있는 정보 중 더 많은 정보를 추출해 낼 수도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전자 카탈로그의 내용과 추출 목적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위 사용 상표 정보추출부(202)는 수집된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상품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품 관련 정보(전자 카탈로그 상의 정보)란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해 낼 수 있는 상품에 관한 총체적인 정보를 말한다. 이 정보는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할 상품 관련 정보는 전자 카탈로그의 유형, 전자 카탈로그가 따르고 있는 국제 또는 호환성의 필요에 의한 일정 수준의 표준 또는 자체 규약 또는 전자 카탈로그가 담고 있는 상품 관련 정보의 종류, 질과 양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품 관련 정보의 일 기준으로서는 상품의 식별에 관한 정보, 상품의 분류에 관한 정보,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 및 상품의 속성에 관한 정보로 나뉘는 체계를 제시한다. 광의적으로 상기 상품 속성에 관한 정보에는 상품의 식별에 관한 정보, 상품의 분류에 관한 정보,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광의적 의미에서 상품 속성에 관한 정보 분류 체계의 전형적인 예 중의 하나가 GDAS 국제 표준이다. GDAS 국제 표준에는 총 12개 그룹의 114개 필드(2003.1.2 현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규격은 시간의 추이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다. 이 속성 표준에서 상품 식별(Product Identification)은 GTIN을 사용하며, 상품 분류(Product Classification)은 UN/SPSC를 사용하며, 거래 당사자( parties) 정보에는 정보 제공자 GLN, 제조업체 GLN, 제조업체명, 공개여부지시자 등 ISO 3166 코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품의 날짜(dates), 상품 설명(description), 상품 규격(measure), 포장(package), 상업적 데이터(commercial data), 취급주의정보(handling & hazardous information), 속성(attributes), 계층(product hierarchies), 포장 구성(packaging configuration)등에 관한 정보를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들 중 설명 정보에는 상품명, 브랜드명 등이 있어 이는 상표 검색에서 중요 키워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 관련 정보 중, 추출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주요 상품 관련 정보의 범주는 상품 분류에 관한 정보,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 상품의 속성에 관한 정보 등이다. 상품 분류에 관한 정보는 그 상품이 상품 분류 체계 상에서 어떤 위치에 해당하는 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 정보를 상품 메칭 엔진으로 처리하여 지정 상품 분류 체계 상의 특정한 상품, 그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유사군 코드 등) 또는 그 카테고리의 상위 카테고리와 매칭할 수 있다.
상품 주체에 관한 정보는 그 상품을 매개로 한 각종 생산, 유통, 판매, 대행, 홍보, 전시, 광고 또는/및 관리를 포함한 각국의 상표법 상의 상표의 사용과 관련된 행위를 수행하는 주체에 관한 정보이다. 이 주체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의 행위를 수행하는 법적 주체에 관한 정보, 즉 사업자 등록 번호나 상호 또는 법인 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속성에 관한 정보에는 각 전자 카탈로그가 따르는 규약이 있을 수 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상품의 브랜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상품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의의 상품의 속성에 관한 정보 또는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에는 그 상품에 대한 생산, 유통, 판매, 대행, 홍보, 전시, 광고 또는/및 관리를 포함한 각국의 상표법 상의 상표의 사용과 관련된 행위가 수행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이하, 상품의 주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라 한다.)가 더 포함되기도 한다. 이 정보가 중요한 이유는 상표권 독립의 원칙상 특정한 상표권의 행사는 원칙상 특정한 국가 내에서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GDAS 체계 상에서 이 정보는 주로 *언어 표현, 위치 정보(location related information) 또는 다른 체계 상에서의 GLN 등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표 검색부(203)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 등록된 상표인 등록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위 상표 검색부(203)는 요부 추출부(301), 결합 상표 분해부(302), 비교 판단부(303)를 포함한다.
요부 추출부(301)는 미리 저장된 상표로써의 식별력이 없는 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 및 상기 등록 상표 정보 중 어느 한 비교 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 상표로써의 식별력을 갖지 못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요부 추출부(301)는 제공받은 검색어 또는 검색식에서 식별력 없는 상표 구성 요소를 찾아 내어 제거, 보류 또는 무시 등의 처리를 하여 식별력 있는 상표 요부를 찾아내는 출력해 주는 요부 추출 모듈 또는 결합 상표 분해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즉, 각국의 상표법 또는 상표 심사 기준 상에서는 상표의 구성 요소 중에서 현저한 지리적 명칭, 국가 명칭 등 식별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요소는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지 못한다는 관행을 정립하고 있으며, 다시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는 국가명, 현저한 지리적 명칭처럼 절대적으로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 및 각 지정 상품과 관련하여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각국별로 식별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표분해기준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위 상표 검색부(203)는 위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상표 DB를 검색하여 판단하는데, 위 상표 DB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표 DB는 협의로는 하나 이상의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 또는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에 현재 또는 과거에 출원되거나 등록받은 상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DB를 말하며, 광의로는 상기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 또는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과 무관한 민간 또는 공공 단체에 근원한 상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체의 상표 관련 DB를 말한다. 상기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은 대한 민국의 경우에는 특허청이 될 수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특허상표청이 된다. 상기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에는 WIPO, EPO 및 이들의 산하 또는 협력 단체 중 상표에 관한 공식적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표 DB에는 통상 서지사항, 상표 이미지 및 기타 상표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서지사항에는 각국 또는 상기의 각 단체마다 그 내용이 다를 수도 있으나 통상 상표의 명칭에 관한 정보, 지정 상품에 관한 정보, 특정 상표에 대한 권리를 가진 자에 대한 정보 및 그 상표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 또는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의 행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행위에 대한 정보에는 방식 심사, 실질 심사 등을 포함하는 각종 행정적 행위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결합 상표 분해부(302)는 미리 저장된 형태소 정보 또는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의 어휘 사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부 추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2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어휘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결합 상표 분해부(302)는 제공 받는 검색어 또는 검색식이 결합 상표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통상 특정한 상표가 2 이상의 분리 관찰 가능한 상표 구성 요소로 결합된 결합 상표로 인정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별로 분리하여 판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각 국가의 특허청이 다수이다. 그러므로, 입력 받는 검색어 또는 검색식이 결합 상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 결합 상표인 경우 그 구성 요소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결합 상표 분해 방법은 통상의 복합 명사 분해 방법 또는 형태소 분해 방법을 그대로 차용할 수 있으며, 이때 복합 명사 분해 또는 형태소 분해의 기준이 되는 사전은 통상의 각 국가별 국어 사전(영어 사전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각 산업 영역별 용어 사전 또는 기존에 각 국가별 또는 국가를 불문하고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명 등이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상표분해기준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표의 결합 상표 분해를 먼저 수행한 이후 상표의 요부를 추출할 수도 있다.
비교 판단부(303)는 상기 추출된 어휘들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의 어휘와 비교 대상 상표의 어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품 검색부(204)는 상기 사용 상표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등록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 또는 업종과 상기 다른 등록 상표의 지정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위 상품 검색부(204)는 상품 매칭부(401), 업종 매칭부(402)를 포함한다.
상품 매칭부(401)는 미리 저장된 상품 분류기준 또는 각종 상품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상품유사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등록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 상품 매칭부(401)는 상품간 또는 상품과 업종간에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데 위 상품유사정보를 사용하며, 이러한 상품유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품 매칭 D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품 매칭 DB란 광의적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모아 놓은 일체의 DB를 말하나, 협의로는 하나 이상의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 또는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에 법정해 놓거나, 행정의 편의를 위하여 만들어 놓은 상품 분류 체계에 관한 일체의 DB 및 이를 가공한 DB를 말한다. 이 상품 DB는 상기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 또는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며, 하나의 국가의 상표 담당 관청이나 기관, 또는 국가간 조약에 의해 설립된 상표 담당 기관 내에서도 여러 종류의 협의의 상품 DB 및 이를 가공한 DB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든다면 대한민국 특허청의 상품 분류표, 유사 상품 코드집 등은 협의의 상품 DB의 한 예가 되며, 이 상품 분류표, 유사 상품 코드집 등을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가공하여 DB화 할 수도 있다. 광의의 상품 DB의 한 예로는 대한민국 관세청과 관련한 HS 코드집에 기반한 정보를 DB화 한 것, 전자 상거래를 위한 각종 단체 또는 기관의 상품 분류 코드집에 기반한 정보를 DB화 한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상품 매칭 DB란 말 그대로 매칭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B를 말한다. 즉, 국내 또는 국외를 기준으로 2 이상의 상품 분류 체계가 존재할 때, 하나의 체계상의 특정한 상품 그 자체, 그 상품이 속할 수 있는 카테고리 또는 그 카테고리가 속하는 상위 카테고리가 다른 체계상의 특정한 상품 그 자체, 그 상품이 속할 수 있는 카테고리 또는 그 카테고리가 속하는 상위 카테고리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 가에 대한 관계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DB이다.
상품 매칭 DB의 특별한 한 형태로 상품과 업종간의 관계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품 업종 매칭 DB가 있을 수 있다. 국내 또는 국외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상품 분류 체계가 존재하고, 국내 또는 국외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업종의 분류 체계가 존재할 때, 하나의 상품 분류 체계상의 특정한 상품 그 자체, 그 상품이 속할 수 있는 카테고리 또는 그 카테고리가 속하는 상위 카테고리와 하나의 업종 분류 체계상의 특정한 업 그 자체, 그 업이 속하는 업종, 그 업이나 업종이 속할 수 있는 카테고리 또는 그 카테고리가 속하는 상위 카테고리와 어떤 관계를가지는 가에 대한 관계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DB이다. 통상 특정한 상품과 특정한 지정 서비스업 간에 사실상의 견련성이 인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도 상품 업종 매칭 DB가 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업종으로 분류되는 기업 또는 기업 집단이 생산, 유통, 수출입, 중개, 판매하는 각종 상품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때 이도 또한 상품 업종 매칭 DB가 될 수 있다.
즉, 위 상품 매칭부(401)는 상품 분류 체계의 대상과 범위 및 목적에 부합하여 입력받은 상품들을 매칭시켜 그 유사여부를 판단한다. 상품의 매칭이 필요한 이유는 상품의 충돌 때문이다. 상품의 충돌이란 2 이상의 상품 간에 일반 소비자를 기준으로 주체나 출처의 혼동을 야기할 수 있을 소지가 있거나 그 상품 간에 법적, 사실적, 관행적, 행정적, 관념적 또는 분류 체계적으로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 2 이상의 상품은 특정한 분류 체계 내에 존재하는 상품일 수도 있으며, 분류 체계를 달리하는 상품일 수도 있다. 전자를 분류 체계 내의 상품 충돌이라고 하며, 후자를 분류 체계 간의 충돌이라 한다. 분류 체계 내의 충돌의 가장 쉬운 예의 하나는 대한민국 상표 심사 기준상의 상품 분류표 또는 유사 상품 분류표를 들 수 있다.
대한민국 상표 심사 실무상 사용되는 유사 상품 분류표는 일정한 상품 집단에 대해 하나의 유사군 코드를 부여하고, 유사군 코드가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상표법상의 유사한 상품으로 판단하는 실무 관행이 있다. 즉, 하나의 유사군 코드가 공유되는 상품간에는 일정한 연관이 있다고 관행적으로 판단하므로 그상품들 사이에는 상품의 충돌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돌은 상품 분류 내의 상품 충돌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유사군 코드가 법적으로 절대적인 것이 아니듯이 특정한 분류 체계에서 상품의 충돌은 얼마든지 그 범위 및 기준을 달리 정할수도 있다.
상품 분류 간의 상품 충돌의 경우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첫째는 각국의 상표 심사 실무상의 상품 분류 기준과 특정한 상품 분류 기준 간의 상품 충돌이며, 둘째는 각국의 상표 심사 실무와는 관계없는 별개 목적의 상품 분류 기준 간의 충돌이며, 셋째는 국가를 달리는 상품 분류 기준간의 상품의 충돌이다.
즉, 상품 매칭부(401)는 2 이상의 문제시 되는 상품 간에 충돌이 발생하는 가의 여부 또는 그 충돌의 강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문제시 되는 상품이 속하는 상품 분류 체계를 확정하는 단계, 그 상품의 분류 체계 상의 위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 상품들이 속하는 상품 분류 체계가 반영되어 있는 상품 매칭 DB를 참조하는 단계, 충돌 여부 또는 충돌의 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문제시 되는 상품간의 충돌을 판단한다.
위 상품 매칭부(401)의 가장 간단한 동작 예로, 특정한 2 이상의 상품이 NICE분류를 따르고 있고, 이들이 모두에 유사군 코드가 대응될 수 있을 때 상품 매칭부는 문제시 되는 상품이 속하는 상품 분류로 NICE 분류로 확정하는 단계, 그 상품이 속하는 NICE 분류 상의 위치를 확정하며, 그 분류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유사군 코드를 확정하여 그 상품의 분류 체계 상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그 상품이 동일한 NICE 분류이고, 유사군 분류 체계이므로 상품 매칭 DB로 NICE 분류 또는 유사군 분류 체계를 반영한 상품 매칭 DB를 참조하는 단계, 동일한 유사군 코드를 공유하면 충돌로, 그렇지 않으면 충돌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며, 유사군이 동일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NICE분류 상의 류에 속하여 충돌의 강도가 0이 아닌 수치값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쳐서 상품 매칭 결과를 출력해 낸다.
이 때 상품 매칭부(401)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품 매칭 DB가 관계형 DB이고, 각 상품 분류 체계 상의 각 상품에 대하여 다른 상품 분류 체계 상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충돌의 강도가 일정 정도 이상이 되는 상품들을 각 상품 분류 체계별로 대응시켜 놓은 DB가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이미 2 이상의 상품 각각에 대해 그 매칭된 결과를 각 상품 분류 체계마다의 각 상품별 기준 또는 그 상품이 속할 수 있는 카테고리 기준 또는 그 카테고리가 속하는 상위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여 DB 형태로 저장시켜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매칭부(204)는 문제 시 되는 2 이상의 상품이 동일한 매칭 결과 내에 존재하는 가만을 판단하면 된다.
업종 매칭부(402)는 미리 저장된 상품과 업종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업종 유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등록 상표가 사용되는 업종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품의 충돌 개념을 확장하면 상품과 서비스의 충돌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 경우는 특정한 상품과 특정한 서비스 간에 일반 소비자를 기준으로 주체나 출처의 혼동을 야기할 수 있을 소지가 있거나 그 상품과 서비스 간에 법적, 사실적, 관행적, 행정적, 관념적 또는 분류 체계적으로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업종 매칭부(402)는 위 상품 매칭부(4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품과 서비스 업종간의 유사정도를 판단한다.
한편 위 상품 검색부(204)는 제공받은 특정한 하나의 상품에 대해서 그 상품을 유사 상품 그룹에 할당하고, 코드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품의 유사성이 문제가 될 때 양 상품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 그룹핑 엔진이 할당했거나, 할당하는 코드가 동일할 경우 유사한 상품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 그룹핑 엔진은 상표 DB상의 각 상표에 대한 지정 상품들을 입력받아, 그 상품 각각이 어느 유사 상품 그룹에 속하는 지에 대한 판단을 하고, 그 속하는 그룹을 코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에 2 이상의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 유사 상품 그룹 코드는 2 이상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위 상품 검색부(204)에서 검색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포지티브 방식으로 검색하여 제공받은 상품과 유사하지 않은 상품종류 또는 서비스 업종의 종류를 검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포지티브 방식이란 통상의 검색 방식은 검색 키워드와 매칭 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보여 주는 반면, 포지티브 디스플레이 방식에서는 전체 대상 범주에서 검색한 키워드로 매칭되는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말한다. 상표 검색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
통상의 검색 결과는 입력된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 및 그 상표들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 검색 결과는 타인의 선출원 또는 선등록된 상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서 그치고, 자신이 어느 지정상품, 어느 지정 상품군, 또는 어느 류에서 권리를 획득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 주지 못하게 된다. 즉, 기존의 검색 방식은 타인의 출원 또는 등록 정보만을 알 수 있을 뿐, 위 검색대상이 되는 상표에 대하여 권리를 획득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정보가 빠져 있다. 포지티브 디스플레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행된다.
이와 같은 포지티브 검색을 위해서는 특정한 상품간에 유사하다고 인정되는 상품들을 그룹 단위 묶은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는 위 상품 검색부(204)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시킬 수 있다.
먼저 검색어 또는 검색식을 입력받아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상표가 있는지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다.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상표를 추출하고, 그 상표들의 지정 상품들 각각에 할당된 유사 상품 그룹 코드를 추출한다. 전체 유사 상품 그룹 코드 중에서 검색된 상표들의 지정 상품들 각각에 할당된 유사 상품 그룹 코드를 제거하면 유사하지 않다고 처리되는 유사 상품 그룹 코드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출한 유사 상품 그룹 코드에 해당하는 그 유사 상품 그룹 명칭 또는/및 그 유사 상품 그룹 코드나 명칭에 대응되는 개별적인 지정 상품 자체를 상품 DB 또는 매칭 엔진으로부터 추출해 내고,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특정한 분류 또는 입력 키에 부합하는 것들만을 검색할 수 있다.
정보 가공부(205)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등록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위 송수신부(201)을 통하여 위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위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 단말로 위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는 말은 1) 사용자가 직접 검색을 수행할 때 실시간으로 전송 해 주는 것, 2) 사용자의 검색 수행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전자 우편 및 기타 정보 전달 수단을 통하여 전송 해 주는 것, 3) 사용자의 검색 수행과 관계없이 상표 감시 장치 또는 상표 감시 장치와 협력 관계가 있는 자가 검색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자 우편 및 기타 정보 전달 수단을 통하여 전송해 주는 것을 포함한다.
정보 가공부(205)는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한 정보 또는 위 상표 검색부(203) 및 상품 검색부(204)를 통하여 검색되어 판단된 결과에 관한 정보를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가공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전자 카탈로그 정보 가공의 한 예로는 1) 전자 카탈로그 정보를 특정한 국가 단위의 특정한 상표와 관계하여 인덱싱하는 것, 2) 전자 카탈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경쟁사 DB를 구축해 가는 것, 3) 전자 카탈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예로써 각 경쟁사별 다수 상표 중 충돌 빈도, 확률, 경쟁사의 회사 규모, 속하는 분류 기준별로 평균등) 또는 4) 특정한 국가, 특정한 지역 단위로 충돌하는 상표를 찾아 내어 저장, 관리하는 것, 또는 5) 특정한 국가의 특정한 출원 또는 권리를 획득하고 있거나, 그 권리가 확정적으로 소멸 되지 않은 상표 또는 상표권과 충돌하거나 충돌할 우려가 있는 전자 카탈로그를 추출, 저장 , 관리 및 상기 권리와 관계한 자에게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표 감시 장치를 활용한 상표 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표 감시는 다음과 같은 (a) 외부로부터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는 소정의 상표인 사용 상표의 호칭을 포함하는 상표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
(d)상기 사용 상표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의 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다른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 받는 방법은 상기 상표 감시 장치의 설명 중 사용 상표 수집 장치를 활용하는 방법, 송수신부(201)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의 단말 장치(즉 이해 관계인 단말(101))로부터 전자 카탈로그를 전달받는 방법, 입출력부(206)을 통하여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 또는 전자 카탈로그 자체를 담고 있는 CD-ROM, DVD 또는 기타 유형의 매체로부터 전자 카탈로그 자체 또는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방법, 개별 상표 감시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를 상표 감시 장치에 입력 또는 전송하는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의 단말 장치는 관세청 관련 단말 장치, 전자 카탈로그 유통자의 단말 장치, 상품 정보 제공자의 단말 장치, (국경 통과)온라인 무역 업체, 무역 중개업하는 업체, 무역 중개 사이트, 무역 정보사이트 등의 단말 장치, 국내 상품/서비스 중개업자(유통, 물류업자), 온라인/오프라인 정보 제공자/서비스 제공자, 상점(유통업자, 백화점, 마트 등 실물 중개자) 자체나 이들의 온라인 대행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입력 받은 사용 상표 정보는 사용 상표 DB에 저장된다.
상기 (b) 단계의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표 감시 장치의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를 통하여 수행된다.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를 통하면 상표 정보 및/또는 상품 정보가 추출된다.
상기 (c) 단계는 하기와 같은 (c1) 미리 저장된 상표로써의 식별력이 없는 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 및 상기 등록 상표 정보 중 어느 한 비교 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 상표로써의 식별력을 갖지 못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추출하는 단계;
(c2) 미리 저장된 형태소 정보 또는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의 어휘 사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부 추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2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추출된 어휘들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의 어휘와 비교 대상 상표의 어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1) 단계는 요부 추출부(301)가 작동하는 단계를, 상기 (c2) 단계는 결합 상표 분해부(302)가 작동하는 단계를 각각 나타낸다.
결합 상표 분해부(302)가 입력 받은 상표를 분해하고, 요부 추출부(301)가 그 분해된 결합 상표의 구성 요소가 식별력 없는 상표 DB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있는 경우 그 부분은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가 되며, 요부 추출부는 그 부분을 버리고 식별력이 있는 요부만 추출한다. 이때, 요부 추출부가 먼저 작동한 다음 결합 상표 분해부가 작동할 수도 있다.
비교 대상 상표는 등록 상표 DB(출원 중인 상표 DB를 포함한다.) 및/또는 미등록 상표 DB를 대상으로 한다. 비교의 결과는 검색 결과 DB에 저장된다.
상기 (d) 단계는 하기와 같은 (d1) 미리 저장된 상품 분류기준 또는 각종 상품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상품유사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상품 매칭 과정이라 하고, 이는 상품 매칭부(401)이 상품 매칭 DB를 활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d1)과정에 추가적으로 (d2) 미리 저장된 상품과 업종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업종 유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등록 상표가 사용되는 업종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소위 상품과 업종간의 동종성에 기인한 상표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c) 단계와 (d) 단계는 상표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표의 충돌이란 다음의 3가지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전자 카탈로그에서 추출한 상품의 브랜드 명과 특정한 국가 내에서 특정한 상표에 관한 일정한 권리를 가진 상표와의 충돌이다. 즉, 특정한 국가의 특정한 출원 또는 권리를 획득하고 있거나, 그 권리가 확정적으로 소멸 되지 않은 상표 또는 상표권의 권리 범위 내에 들어오거나 들어올 가능성이 높은 것은 충돌의 범주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특정한 국가에 현재 출원 중인 상표 또는 등록된 상표와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전자 카탈로그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표의 충돌이 있다고 한다. 이 충돌은 다시 상품의 충돌이 고려되는 경우와 상품의 충돌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품의 충돌이란 전자 카탈로그의 목적이 되는 상품이 특정한 국가에 현재 출원 중인 상표 또는 등록된 상표의 지정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일 경우를 포함한다. 이들 상표의 충돌과 상품의 충돌 각각에 주체의 충돌이 고려될 수 있다. 즉, 특정한 국가에 현재 출원 중인 상표 또는 등록된 상표에 일정한 권리를 가진 자와 그 전자 카탈로그에서 파악되는 그 전자 카탈로그의 목적이 되는 상품의 생산, 가공, 유통, 판매, 증명, 광고 등 그 특정한 국가의 상표법 또는 관례상의 상표의 사용 행위에 해당하는 일련의 행위를 하는 자가 다를 경우 주체의 충돌이 있게 된다. 상기 충돌에는 도메인 또는 상호와 특정한 상표에 관한 일정한 권리를 가진 상표 또는 서비스표와의 충돌을 포함한다.
둘째, 상기 첫번째 경우의 국가 간의 충돌이다. 상표권 독립의 원칙상 제1국에 상표에 대한 일정한 권리는 특별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제 2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이 원칙이다. 국가간의 충돌이란 제 1국에 특정한 국가에 현재 출원 중인 상표 또는 등록된 상표와 제 2국에 기반한 전자 카탈로그에 대하여 상기 첫번째의 각각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제 2국에 기반한다는 말은 그 전자 카탈로그가 제 2국에서 생산, 가공, 유통, 판매, 증명, 광고 등 제1국 또는 그 제2국의 상표법 또는 관례상의 상표의 사용 행위에 해당하는 일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의 충돌이 특정한 국가에 현재 출원 중인 상표 또는 등록된 상표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충돌이다. 즉, 복수개의 전자 카탈로그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브랜드들 자체에서 상기 첫번째 또는 두번째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전자 카탈로그에 사용된 브랜드가 특정한 국가 내에서 상기 첫번째의 각각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제1국과 제2국 간에 상기 두번째의 국가간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셋째 경우는 전자 카탈로그 그 자체만을 비교 대상으로 하거나, 적어도 각국의 특허청의 상표 정보와는 관계없이 수집된 상표 관련 정보(예를 들면, 기업 정보, 상호 정보, 도메인 정보, 상품 유통정보 등)와의 충돌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위 충돌유형에 대한 판단 방법을 설명한다.
첫번째 유형의 충돌 여부의 판단은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브랜드명을 검색어로 하여 그 전자 카탈로그와 1차적 관련이 있는 특정한 국가의 특허청에 기반한 상표 DB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 경우,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상품 관련 정보 중 상품명에 대해 상품 매칭 엔진이 상품의 충돌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표만이 충돌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상표와 상품이 동시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충돌의 강도(이 강도에는 상품명의 일치, 동일 유사군에 포함되는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상표권의 침해 또는 출원 중인 상표의 권리 범위에 들어가는 상표의 사용 행위일 수 있다. 이는 전자 카탈로그의 사용 자체가 상표법적인 상표의 사용 행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전자 카탈로그와 국가간의 1차적 관계가 존재하는 경우는 1)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가 특정한 국가에서 유통되고 있는 경우, 2)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의 상품 관련 정보 중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가 특정한 국가와 관련한 경우 3)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를 특정한 국가에 존재하는 전자 카탈로그 제공자로부터 입수한 경우, 또는 4)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가 특정한 국가의 국어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전자 카탈로그와 국가간에 견련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 첫번째 유형의 충돌을 판단할 경우 상품의 주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개입될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품 관련 정보에서 상품의 주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위치를 국가 단위로 처리하여 그 국가에 해당하는 특허청 DB만을 대상으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두번째 유형의 충돌은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브랜드명을 검색어로 하여 그 전자 카탈로그와 1차적 관련이 없는 국가의 특허청을 포함한 다른 국가의 기반한 상표 DB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 경우도, 각 국가별로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상품 관련 정보 중 상품명에 대해 상품 매칭 엔진이 상품의 충돌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표만이 충돌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상표와 상품이 동시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충돌의 강도(이 강도에는 상품명의 일치, 동일 유사군에 포함되는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및 각국의 상표법 상의 규정에 따라 상표권의 침해 또는 출원 중인 상표의 권리 범위에 들어가는 상표의 사용 행위일 수 있다. 이는 전자 카탈로그의 사용 자체가 상표법적인 상표의 사용 행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두번째 유형의 충돌을 판단할 경우 상품의 주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개입될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품 관련 정보에서 상품의 주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있고, 그 위치를 국가 단위로 처리하더라도, 그 특정한 국가 이외의 국가의 특허청 DB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브랜드의 국제화, 세계화 및 글로벌 마켓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특정한 하나의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라도 그 상표로 현재 또는 미래에 제2, 제3의 나라에 그 상표가 부착된 상표가 사용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들 제2, 제3의 나라에 대해서도 상표의 검색은 필요할 수 있다.
세번째 유형의 충돌은 특정한 국가에 현재 출원 중인 상표 또는 등록된 상표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충돌로, 이는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브랜드명을 검색어로 하여 특정한 국가 또는 그 특정한 국가를 제외한 국가의 상표 DB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한 결과 상표의 충돌이 없거나, 상표의 충돌이 있더라도 상품의 충돌이 없거나 일정한 강도 이하의 충돌만이 있음을 판단하는 방법에 의한다. 즉, 이 경우는 1) 2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들 사이에서의 상표의 충돌 또는 상표의 충돌과 상품의 충돌이 있는 경우와 2)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와 특허청 등에 기반하지 않는 광의의 상표 DB(각국의 특허청의 상표 정보와는 관계없이 수집된 광의의 상표 관련 정보(예를 들면, 기업 정보, 상호 정보, 상품 유통정보, 도메인 네임 또는 상호 등)) 상의 상표와 충돌 또는 상표와 상품의 충돌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1)의 경우는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브랜드명을 검색어로 하여 가공 또는 비가공의 전자 카탈로그 DB를 대상으로 하여 그 전자 카탈로그 DB 내의 전자 카탈로그들이 포함하고 있는 브랜드명들 또는 브랜드 명들과 상품명들을 함께 검색의 대상으로 하여 상표의 충돌 또는 상표의 충돌과 상품의 충돌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방법에 의한다. 상기에서 가공의 전자 카탈로그 DB란 전자 카탈로그들로부터 브랜드명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상품에 관한 정보 또는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 만을 추출하여 모아 높은 DB를 말한다.
상기 1)의 경우에 상품 관련 정보에서 상품의 주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위치를 국가 단위로 처리하여 국가 단위에서 충돌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검색 또는 분석의 대상이 되는 전자 카탈로그가 특정한 하나의 국가만을 가정하지 않을 경우(여러나라에서 수집한 전자 카탈로그거나,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들이 여러 나라에 사용되는 것을 전제한 경우 또는 상기 양자가 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국가 단위로 전자 카탈로그 정보를 처리하여 국가 내에서의 상표의 충돌을 찾아 낼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국가 간에서의 상표의 충돌을 찾아 낼 수도 있다.
상기 2)의 경우는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에서 수집한 브랜드명을 검색어로 하여 가공 또는 비가공의 특허청 등에 기반하지 않는 상표 DB를 대상으로 하여 상표의 충돌 또는 상표의 충돌과 상품의 충돌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방법에 의한다. 특히, 이 방법은 미국 등의 사용주의 국가의 경우 연방 특허청 이외에 주(state)에 등록된 상표이거나, 어떠한 등록없이 사용 사실이 있는 상표의 경우에 더욱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경우에는 상표와 충돌의 가능성이 있는 도메인 네임, 상호DB도 광의의 상표 DB의 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즉, 도메인 네임 및 상호와 서비스표는 상품이 전제 되지 않는 충돌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도메인 네임 및 상호와 상표 또는 서비스표는 상표의 희석화, 상품과 업종등간의 견련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넓게 볼 때 충돌의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다른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상표 정보의 가공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상기 정보 가공부(205)에서 수행된다.
상기 정보 가공부(205)에서 수행하는 정보의 가공은 다음 4가지를 일부 또는 전부 포함될 수 있다.
첫째,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 단위로 검색 결과가 처리될 수 있다.
전자 카탈로그 단위의 검색 결과 처리란 하나의 전자 카탈로그를 중심으로 그 전자 카탈로그의 상품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처리하는 것을 말하다. 즉, 1) 하나의 전자 카탈로그가 담고 있는 상품의 브랜드 명과 충돌되는 특정한 국가 또는 제 2국에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 및 그 상표와 관련된 상표 DB상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2) 그 전자 카탈로그가 담고 있는 상품의 브랜드명과 충돌되는 특정한 국가내 또는 제 2국의 다른 전자 카탈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3) 그 전자 카탈로그가 담고 있는 상품의 브랜드명과 충돌되는 특정한 2차 또는 3차 도메인 또는 특정한 국가 또는 제 2국의 상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3가지 각각을 저장, 전송할 수 있다.
둘째, 특정한 상표 단위로 검색 결과가 처리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하나의 상표를 중심으로 그 상표와 관련된 전자 카탈로그, 도메인 또는 상호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 전송하는 것이다. 즉, 1) 하나의 상표에 대해 그 상표와 충돌되는 특정한 국가 또는 제 2국에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 및 그 상표와 관련된 상표 DB상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2) 그 상표와 충돌되는 브랜드 명을 포함하고 있는 특정한 국가내 또는 제 2국의 다른 전자 카탈로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3) 그 상표와 충돌되는 특정한 2차 또는 3차 도메인 또는 특정한 국가 또는 제 2국의 상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3가지 각각을 저장,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처리 결과는 그 특정한 상표가 검색의 대상이 되거나, 검색의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 아울러 제공될 수도 있다.
셋째, 특정한 상품의 주체 단위로 검색 결과가 처리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정한 하나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에서 추출한 상품의 주체를 중심으로 그 주체와 관련된 전자 카탈로그, 상표, 도메인, 또는 상호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 전송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해 특정한 상품의 주체를 추출하고, 1) 그 주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해 상기 첫째 검색 결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2) 그 특정한 상품의 주체와 동일하거나 동일성이 인정되는 자가 특정한 하나 이상의 국가의 특허청에 출원인 또는 등록된 권리자(상표권자, 실시권자를 포함한다.)로 있는 상표를 추출하여 상기둘째의 검색 결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에서 그 주체와 관련되었다는 말은 그 주체를 표상하는 정보(주체의 명칭, 사업자 등록 번호, 사업자 식별 번호, 법인 번호, 상호, GLN, 주소 또는 이들 각각의 특정한 언어로의 번역된 것 또는 기타 그 주체와 1:1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는 일체의 정보)가 그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에서 동일하거나 동일성이 인정된다는 말은 그 상기 주체를 표상하는 정보(주체의 명칭, 사업자 등록 번호, 사업자 식별 번호, 법인 번호, 상호, GLN, 주소, 또는 이들 각각의 특정한 언어로의 번역된 것 또는 기타 그 주체와 1:1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는 일체의 정보)가 특정한 상표와 대응 관계에 있는 서지 사항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전자 카탈로그에서 상품의 주체는 2 이상이 있을 수 있으며, 그 경우 그 2 이상의 주체에 대해 상기의 전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의 주체를 중심으로 한다는 말은 그 상품의 주체가 검색키가 되거나, 정렬,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의 대상이 되거나, 그 상품의 주체가 상표 감시 장치에 접속했다는 것을 상표 감시 장치가 인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넷째, 특정한 하나 이상의 상표에 대한 권리자 단위로 검색 결과가 처리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특정한 상표에 대한 권리자를 중심으로 그 권리자와 관련된 전자 카탈로그, 상표, 도메인, 또는 상호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상표 감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표의 권리자를 중심으로 1) 그 권리자와 관련된 상표와 충돌하는 브랜드명 정보를 갖고 있는 하나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해 상기 첫째 검색 결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2) 그 권리자와 상표와 충돌되는 타인의 상표에 대해 상기 둘째의 검색 결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권리자를 중심으로 한다는 말은 그 권리자가 검색키가 되거나, 정렬,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의 대상이 되거나, 권리자가 상표 감시 장치에 접속했다는 것을 상표 감시 장치가 인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에서 그 주체와 관련되었다는 말은 그 주체를 표상하는 정보(주체의 명칭, 사업자 등록 번호, 사업자 식별 번호, 법인 번호, 상호, GLN, 주소 또는 이들 각각의 특정한 언어로의 번역된 것 또는 기타 그 주체와 1:1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는 일체의 정보)가 그 특정한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에서 동일하거나 동일성이 인정된다는 말은 그 상기 주체를 표상하는 정보(주체의 명칭, 사업자 등록 번호, 사업자 식별 번호, 법인 번호, 상호, GLN, 주소, 또는 이들 각각의 특정한 언어로의 번역된 것 또는 기타 그 주체와 1:1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는 일체의 정보)가 특정한 상표와 대응 관계에 있는 서지 사항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정보 가공부(205)에서 가공한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하는 역할은 상기 송수신부(201)이 담당한다. 상기 송수신부가 작동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표 감시 장치 사용자의 정보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상기 상표 감시 장치 사용자는 관세청 관련 단말 장치, 전자 카탈로그 유통자의 단말 장치, 상품 정보 제공자의 단말 장치,(국경 통과)온라인 무역 업체, 무역 중개업하는 업체, 무역 중개 사이트, 무역 정보사이트 등의 단말 장치, 국내 상품/서비스 중개업자(유통, 물류업자), 온라인/오프라인 정보 제공자/서비스 제공자, 상점(유통업자, 백화점, 마트 등 실물 중개자) 자체나 이들의 온라인 대행자의 단말 장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표 감시 장치의 사용자의 정보 요청은 상표 감시 장치에 회원 가입 또는 비가입의 방식으로 검색어 입력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 등 상표 감시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요청하고, 상표 감시 장치는 그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송해 주거나, 전자 우편, 파일 전송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전달 방식으로 검색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표 감시 장치 사용자의 정보 요청은 상기와 달리 간접적일 수 있는데, 상기에서 간접적이란 말은 사용자가 상표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상표 감시 장치와 연결되어 있거나 협력 관계가 있는 다른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의 가상 공간에 접속하여, 검색어 입력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 등의 정보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다른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의 가상 공간에서 그 정보 요청을 수용하여 상표 감시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표 감시 장치에 정보를 요청하고, 다시 상표 감시 장치는 그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는 간접적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송해 주거나, 상기 다른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의 가상 공간으로 전송 또는 전달해 주거나, 전자 우편, 파일 전송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전달 방식으로 간접적 사용자들에게 검색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인 사용자의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표감시 장치는 상표 감시 장치는 위에서 기술한 상기 상표 검색의 결과 및 그 검색 결과의 가공에 대한 4가지 검색 결과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상표 감시 장치가 사용자의 정보 요청과는 독립적으로 전자 카탈로그 또는 특정한 상표에 대한 권리를 가진 자에게 검색의 결과를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해 줄 수 있다. 이는 일종의 푸시(push)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상표 감시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 요청과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기술한 상기 상표 검색의 결과 및 그 검색 결과의 가공에 대한 4가지 검색 결과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단계가 있다.
2) 상표 감시 장치는 상기의 1)의 단계에서 상기 3가지 유형의 상표의 충돌 중 어느 하나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충돌의 대상이 되는 2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 또는 상표에 대하여 각각 전자 카탈로그의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 또는 상표에 관한 법적인 권리를 가진 자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자 카탈로그 자체 또는 그 특정한 상표의 서지 사항으로부터 추출해 낸다. 이때 추출해 낸 것을 충돌의 주체에 관한 정보라 한다.
3) 상기 2) 단계에서 추출해 낸 충돌의 주체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접촉 수단을 입수해 내는 단계가 있다. 상기 접촉 수단이란 상표 감시 장치의 정보 처리 결과를 전달 받을 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말하며, 이 수단에는 전자 우편 주소, 전화 번호, 팩스 번호, 주소, 메신저 주소, 가상 공간 상의 계정 웹사이트 주소 및 전달 받을 자와 1:1, 1:다의 대응 관계에 있는 수단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말한다. 상기 접촉 수단의 입수의 대상은 상표 감시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의 회사 정보 제공자의 DB, 전화번호부 정보 제공자의 DB, 특허청의 출원인 정보 DB, 특허청의 서지 사항 정보 DB, 전자 카탈로그 정보 제공자의 DB, 기업 정보 제공자 DB, 상표 감시 장치의 정보 D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표 감시 장치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충돌의 주체에로의 접촉 수단을 입수해 낼 수 있는 임의의 DB가 대상이 될 수 있다.
4) 정보 가공부(205)는 3) 단계의 접촉 수단이 있는 2) 단계의 충돌의 주체에게 1) 단계의 수행 결과를 접촉 수단의 성질에 따라 전달(전송) 또는 전달의 준비를 한다. 상기에서 전달이란 상기 접촉 수단이 전자 우편 주소 또는 기타 네트워크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을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인 경우를 말함다. 상기 전달의 준비는 주소 등과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을 수용할 수 없는 오프라인이 매개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 때에는 상기 1) 단계의 수행 결과를 저장 또는 종이 등의 오프라인 매체에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전화나 팩스의 경우에는 통상의 전화 모뎀 또는 기타 전화/팩스 수단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 될 수 있으므로, 즉 사람의 전화 걸기나 팩스 발송 등 오프라인적 요소가 결합 되지 않고서도 전화 걸기 또는 팩스 발송이 가능하므로, 상기 전달과 전달의 준비 중 전달의 유형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정보(상표 감시 결과 정보)는 수집된 전자 카탈로그에 존재하는 상품의 명칭이나 매칭된 지정 상품 DB내의 상품 또는 상품 분류 체계의 명칭이나 코드를 가지고 있는 상기 상표 DB상의 상표 정보, 상기 전자 카탈로그 내의 브랜드명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된 상표 DB 상의 상표 정보, 수집된 전자 카탈로그에 존재하는 상품의 주체와 동일한 상기 상표 DB상의 상표 정보, 상기 이들 각각에 대한 법률적 판단에 대한 정보, 상표 출원 가능성의 판단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해 관계인 중 검색의 대상이 되는 상표 DB상의 출원 또는 등록 상표에 대한 권리자에게 전달되는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는 상기 검색의 기초가 되었던 전자 카탈로그 자체, 상기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하는 상품 관련 정보는 상품의 명칭과 관련된 정보, 상품의 주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출원 또는 등록 상표와의 법률적 판단에 대한 정보 또는 상표 출원 가능성의 판단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달 받는자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상기 전달 되는 정보에 관한 상담 신청에 관한 콘텐츠, 상표 검색창, 상표 등록 출원에 대한 의사 표시를 수용하는 콘텐츠에 대한 것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의 대상이 되는 상표 DB상의 출원 또는 등록 상표에 대한 권리자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상기 전달 되는 정보에 관한 상담 신청에 관한 콘텐츠, 상표 검색창, 또는 법률적 구제 조치에 대한 위임의 의사 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가공부(205)의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추출된 브랜드에 관한 정보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개의 전자 카탈로그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수집된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된 상품 관련 정보 중의 상품의 주체에 관한 정보가 서로 다를 경우, 그 복수개의 전자 카탈로그 각각의 상품의 주체에게 복수개의 전자 카탈로그를 대상으로 한 상표 검색의 결과와 함께, 타방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달되는 타방의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법률적 판단에 대한 정보, 상표 출원 가능성의 판단에 관한 정보, 상담 신청에 관한 콘텐츠, 상표 검색창, 상표 등록 출원에 대한 의사 표시, 분쟁의 진행에 대한 위임의 의사 표시를 수용하는 콘텐츠에 대한 것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가공부(205)에서 생성시키는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는 소정의 상표 주체에 대응되는 경쟁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위 경재사 정보를 포함하는 경쟁사 DB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경쟁사란 상품의 충돌이 발생하는 상품의 주체로서 정의한다. 상품의 충돌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품을 매개로 하여 시장에서 경쟁, 협력, 하청, 계열사 관계, 납품 관계 등의 일정한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 관계를 통칭하여 경쟁 관계가 하고, 그 경쟁 관계가 있는 주체를 경쟁사라 하며, 이 경쟁 관계 또는 경쟁사 관계가 표현되어 있는 DB를 경쟁사 DB라 한다.
경쟁사 DB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2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된 상품 관련 정보에서 상품의 명칭과 관련된 정보 또는/및 상품의 분류에 관한 정보를 위 사용 상표 정보추출부(202)로부터 제공받는다. 그리고, 전자 카탈로그로부터 추출된 상품의 명칭과 관련된 정보 또는/및 상품의 분류에 관한 정보를 상품 분류 체계에 배속시켜진 정보를 위 상품 검색부(204)로부터 제공받는다. 상기 상품 분류 체계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가준수하고 있는 국제 또는 1국가 단위의 표준 상품 분류 체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가간의 조약이나 국가 내외의 민간간의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 상품의 분류 체계 또는 특허청 또는 관세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가 내의 관청에서 제정한 상품의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각 분류 체계를 통합한 분류 체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허청 분류 체계가 좋다.
그 후 2 이상의 전자 카탈로그의 상품의 명칭과 관련된 정보 또는/및 상품의 분류에 관한 정보가 상품 분류 체계 상에서의 거리의 정도에 기반한 경쟁 관계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하나 이상의 공식을 가질 수 있다. 즉, 특정한 상품 분류 체계 상에서 상품명이 일치하면 경쟁 관계의 강도의 가중치가 높고, 그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만 일치하면 가중치가 중간이며, 그 카테고리의 상위 카테고리만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가중치를 낮게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2 이상의 상품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의 가중치 부여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표 감시 장치는 상기 2 이상의 상품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한 통합 가중치에 기반한 경쟁 관계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공식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경쟁 관계의 강도를 상품의 충돌과 연결지을 수 있다. 즉, 상품의 충돌이 일어나는 2 이상의 상품 관계를 특정한 경쟁 관계의 강도와 연관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쟁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쟁사들에 있어서, 상표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상표 감시 장치는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검색을 포함한 일체의 정보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본 발명의 전달 또는 전달의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명세서에서 상표 감시 장치의 모든 정보 처리는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정보 처리의 결과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전달 또는 전달의 준비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5의 503 단계의 세부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의 504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5의 505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 상표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501)받는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상표 전자 정보에는 사용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상표의 명칭, 이미지, 위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명칭, 위 상품의 분류 정보, 위 상표를 사용하는 자에 관한 정보 등)를 포함되며, 이에는 전자태그 또는 전자 카탈로그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그 후 상표 전자 정보에서 사용 상표의 정보를 추출(502)한다. 추출되는 정보는 위 사용 상표 정보추출부(202)를 설명하면서 기재한 바와 같다.
그 후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503)한다. 여기서 다른 상표에는 상표 등록을 받은 상표, 미등록이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상표, 기타 상호 또는 서비스표 등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방법은 우선 위 사용 상표와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상표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DB에서 읽고 위 사용 상표와 위 다른 상표의 요부를 추출(601)한 후에, 위 사용 상표와 다른 상표의 요부가 2이상의 어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를 분해(602)한 후에, 분해된 사용 상표와 다른 상표의 어휘들을 비교하여 사용 상표와 다른 상표간의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를 판단(603)한다. 여기서 상표의 요부 추출 및 결합 상표를 분해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 후 사용 상표의 상품과 위에서 검색된 다른 상표의 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504)한다. 이때 상품과 상품간의 유사 여부는 물론 상품과 서비스 업종간의 유사여부도 판단한다. 여기서 상품과 상품간 또는 상품과 서비스 업종간의 유사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품분규기준 또는 상품간/상품과 서비스 업종간의 유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품DB를 참조하여 사용 상표의 상품과 비교 대상 상표의 상품간의 동일 또는 유사정도를 판단(701)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품과 서비스 업종간의 동일 또는 유사정도를 판단(702)한다.
그 후 사이 판단 결과 및 위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생성(505)시킨다. 또한 위 사용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와 충돌하는 다른 상표의 주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경쟁사 정보를 생성시켜 위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 판단 결과 및 위 추출된 정보에 따라 우선 상표 감시 결과 정보(상표 또는 상표와 서비스표 또는 다른 식별표지와의 충돌 여부, 출원시 등록가능성 여부, 경쟁사 정보, 기타 부가 컨텐츠 등)를 생성(801)시킨다. 그 후 자동으로 생성시킬 수 없는 전문가의 견해 또는 법률적 판단 등을 포함하는 추가사상을 입력받아 위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포함(802)시키고, 그 후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이해 관계인 및 제3자에게 제공(803)한다. 여기서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에의 전달은 당사자로부터 제공받은 연락처(당사자가 직접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직접, 그 이 이메일 주소, 팩스번호 등)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표 전자 정보 인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된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에 관한 정보 중에서 추출하여 얻거나 혹은 전화번호부 또는 기타 특허청의 출원인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들은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위 프로그램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각종 기록매체(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CD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카탈로그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 내의 브랜드 정보와 특허청의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와의 충돌 여부를 알 수 있게 되어, 상표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표 감시 장치의 접속자, 전자 카탈로그의 상품의 주체, 상표의 권리자에게 브랜드나 상표의 법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줌과 아울러, 해외 또는 상표의 충돌이 없거나 적은 국가에의 상표 출원을 통한 상표권 확보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전자 카탈로그 내의 상표 사용을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카탈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경쟁사 DB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4)

  1. 외부로부터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는 소정의 상표인 사용 상표의 호칭을 포함하는 상표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에 관한 주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사용 상표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상표 검색부;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 또는 업종과 상기 다른 상표의 지정상품 또는 업종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다른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정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검색부는
    미리 저장된 상표로써의 식별력이 없는 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 및 상기 다른 상표 정보 중 어느 한 비교 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 상표로써의 식별력을 갖지 못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추출하는 요부 추출부;
    미리 저장된 형태소 정보 또는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의 어휘 사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부 추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2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어휘를 추출하는 결합 상표 분해부; 및
    상기 추출된 어휘들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의 어휘와 비교 대상 상표의 어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검색부는
    미리 저장된 상품 분류기준 또는 각종 상품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상품유사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품 매칭부; 및
    미리 저장된 상품과 업종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업종 유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업종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업종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상표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과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 상표에 대한 이해 관계를 갖는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의 단말 장치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수집하는 사용 상표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제공 받아 이를 외부에 표시하고, 상기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할 정보에 포함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정보 가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가 상표 등록이 안된 미등록 상태인 경우에는 상표 출원 가능성에 대한 판단정보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의 이미지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종류에 관한 분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검색부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등록이 되지 않았으나, 현재 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에 관한 정보인 미등록 사용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중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상품 검색부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 중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검색부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다른 경우일지라도 상기 사용 상표의 사용이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를 희석화 시킬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저장된 희석화가 우려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고,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희석화 우려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제공 받아,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공부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 경쟁 관계에 있는 이해 관계인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12. (a) 외부로부터 소정의 상품에 사용되는 소정의 상표인 사용 상표의 호칭을포함하는 상표 정보 및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표 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상표 전자 정보로부터 상기 상표에 관한 정보인 상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
    (d)상기 사용 상표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에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의 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다른 상표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사용 상표의 관리 방법에 관한 정보인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표 관리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를 사용하는 주체에 관한 주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미리 저장된 상표로써의 식별력이 없는 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 및 상기 등록 상표 정보 중 어느 한 비교 대상 상표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 상표로써의 식별력을 갖지 못하는 구성 요소를 제거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추출하는 단계;
    (c2) 미리 저장된 형태소 정보 또는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의 어휘 사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부 추출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2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상표 및 비교 대상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는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추출된 어휘들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상표의 어휘와 비교 대상 상표의 어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미리 저장된 상품 분류기준 또는 각종 상품간의 유사한 정도에 관한 기준인 상품유사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다른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 상표에 대하여 이해 관계를 갖는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의 단말 장치로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상표 전자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를 제공 받아 이를 외부에 표시하고, 상기 이해 관계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할 정보에 포함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가 상표 등록이 안된 미등록 상태인 경우에는 상표 출원 가능성에 대한 판단정보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정보에는 상기 사용 상표의 이미지 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의 종류에 관한 분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표 등록이 되지 않았으나, 현재 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에 관한 정보인 미등록 사용 상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중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 중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와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 간의 상표권 침해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미등록 사용 상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과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가 사용되는 상품이 상호 다른 경우일지라도 상기 사용 상표의 사용이 상기 미등록 사용 상표를 희석화 시킬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저장된 희석화가 우려되는 상표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는 상기 희석화 우려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제공 받아,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방법.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표 검색부 및 상기 상품 검색부의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 경쟁 관계에 있는 이해 관계인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상표 감시 결과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감시 장치.
  24.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30012021A 2003-02-26 2003-02-26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76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21A KR20040076692A (ko) 2003-02-26 2003-02-26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21A KR20040076692A (ko) 2003-02-26 2003-02-26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692A true KR20040076692A (ko) 2004-09-03

Family

ID=3736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021A KR20040076692A (ko) 2003-02-26 2003-02-26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66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33B1 (ko) * 2007-03-28 2010-02-19 전대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9800340A (zh) * 2019-01-24 2019-05-24 北京梦知网科技有限公司 商标注册推荐方法及系统
KR20200024498A (ko)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케이원 상표권 경매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표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606326B1 (ko) * 2023-08-29 2023-11-23 황채영 인공지능 기반의 지식재산 분쟁을 방지하는 오픈마켓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33B1 (ko) * 2007-03-28 2010-02-19 전대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4498A (ko)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케이원 상표권 경매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표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CN109800340A (zh) * 2019-01-24 2019-05-24 北京梦知网科技有限公司 商标注册推荐方法及系统
KR102606326B1 (ko) * 2023-08-29 2023-11-23 황채영 인공지능 기반의 지식재산 분쟁을 방지하는 오픈마켓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Identify online store review spammers via social review graph
US8762191B2 (en)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schema for storing, manag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US8996481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program code and means for identifying and extracting information
US6470318B1 (en) Computer-implemented trademark brokerage network
US9697282B2 (en) Search apparatus, search method, search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500440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olitical risk management
JP2000348041A (ja) 文書検索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519587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program code, and means for determining a relevancy of information
CN101233513A (zh) 对结果集进行重排序的系统和方法
US20070136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ntralized publisher tagged data sales listings
Zhao et al. Anatomy of a web-scale resale market: a data mining approach
KR100987058B1 (ko) 인터넷 컨텐츠의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080071553A1 (en) Generation of Commercial Presentations
KR20040076692A (ko) 상표 감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97881A1 (ja) カテゴリ名抽出装置、カテゴリ名抽出方法及びカテゴリ名抽出プログラム
JP201619733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258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content of a database
JP7133508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20100046723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US74721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roduct information
Lee Automatically learning user needs from online reviews for new product design
US72160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roduct information
Tolksdorf et al. Business to consumer markets on the Semantic Web
TW202405734A (zh) 依據不同身分別的展示裝置
AU7854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content of a data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