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723A -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723A
KR20100046723A KR1020080105702A KR20080105702A KR20100046723A KR 20100046723 A KR20100046723 A KR 20100046723A KR 1020080105702 A KR1020080105702 A KR 1020080105702A KR 20080105702 A KR20080105702 A KR 20080105702A KR 20100046723 A KR20100046723 A KR 20100046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product
information
shopping mall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대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723A/ko
Publication of KR2010004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증된 셀러에 대해 부여된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온라인 쇼핑몰, 오픈마켓, 셀러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Open Market in Online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를 유치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 간의 경쟁 또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각 온라인 쇼핑몰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더욱 많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한 노력과 함께, 운영하는 오픈마켓(Open Market)에서 더욱 많은 개인 셀러(Seller)들이 다양한 상품을 값싸고 신뢰성 있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신뢰가 가는 개인 셀러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그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들도 함께 많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의 오픈마켓에서는 셀러 ID로 식별되는 한 명의 셀러가 여러 개의 상점을 개설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여러 상품을 전시하고자 한다면 개별적으로 반복하여 여러 상품을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한 명의 셀러가 여러 개의 상점을 개설하고, 여러 개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쇼핑몰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에 대한 판매 실적을 관리하여 셀러에게 리포트해주어, 상품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쇼핑몰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증된 셀러(Seller)에 대해 셀러 ID를 부여하고, 상기 셀러 ID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셀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셀러 관리부; 상기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상점 관리부; 상기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상기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관리부; 및 상기 등록 상품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상품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된 셀러(Seller)에 대해 셀러 ID를 부여하고, 상기 셀러 ID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셀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셀러 관리 단계; 상기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상점 관리 단계; 상기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상기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관리 단계; 및 상기 등록 상품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상품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한 명의 셀러가 여러 개의 상점을 개설하고, 여러 개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에 대한 판매 실적을 관리하여 셀러에게 리포트해주어, 상품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셀러별로 판매정보를 검색해볼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Online Shopping Mall)에서 오픈마켓(Open Market)을 관리하는 쇼핑몰 시스템(100)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시스템(100)은,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한 명의 셀러(Seller)에게 복수 개의 상점을 개설하여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쇼핑몰 서버(110)와, 셀러의 셀러 단말기(130)와 쇼핑몰 서버(110) 간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망(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셀러(Seller)는 '판매자'라고도 한다.
전술한 쇼핑몰 서버(110)는 인증된 셀러에 대해 부여된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130)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한다.
이러한 쇼핑몰 서버(110)는, 상품 검색 서버라고도 하는데,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쇼핑몰 서버(110)는 웹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쇼핑몰 서버(11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110)는 상품 구매 결제를 위한 인증 시스템 및 결제 시스 템과 연동할 수도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110)는 회원 가입 정보와, 상품 카테고리별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쇼핑몰 서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수집된 쇼핑 정보, 이로부터 통계하여 생성된 각종 쇼핑몰 현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쇼핑몰 서버(110)에 의해 인증된 셀러에 대해 부여된 셀러 ID, 이와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 복수 개의 상점 ID, 이와 연계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 및 등록 상품 리스트 상의 상품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다.
셀러 단말기(130)는 온라인 쇼핑몰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셀러의 단말기로서, 개인 PC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유무선 통신망(120)에 연결되어 쇼핑몰 서버(11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서버,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사용자 단말기(140)는 온라인 쇼핑몰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개인 PC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유무선 통신망(120)에 연결되어 쇼핑몰 서버(11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유무선 통신망(120)은 쇼핑몰 서버(110), 셀러 단말기(130)들 및 사용자 단말기(140)들을 서로 연결하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3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유무선 통신망(120)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11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110)는 셀러 관리부(210), 상점 관리부(220), 상품 등록 관리부(230), 상품정보 저장부(240) 등을 포함한다.
셀러 관리부(210)는 인증된 셀러(Seller)에 대해 셀러 ID를 부여하고, 부여된 셀러 ID 및 셀러에 대한 셀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점 관리부(220)는,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품 등록 관리부(230)는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130)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되고 셀러 ID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셀러가 등록하고자 하는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한다.
상품정보 저장부(240)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등록된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상품정보는 상품에 대한 상세정보, 가격정보, 사용 후기 정보 등의 다양한 상품 관련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110)는, 해당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또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셀러에 대한 판매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셀러의 셀러 ID와 연계된 복수 개의 상점 ID와, 복수 개의 상점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40)로 제공하는 셀러 판매정보 검색부(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110)는, 셀러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별로 판매실적 정보를 수집하는 판매실적 관리부(2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실적 관리부(260)는 구매자 평가 및 판매실적에 따른 셀러 신용등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셀러 신용등급은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어 셀러에 대한 신뢰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또한, 이는 해당 셀러에게도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자신의 신용이나 신뢰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가늠해보고 그에 따라 판매 서비스 및 태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110)는, 수집된 판매실적 정보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통계하여 리포트(Report)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포트 정보를 해당 셀러의 셀러 단말기(130)로 제공하는 판매실적 리포트 관리부(2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판매실적 리포트 관리부(270)에서 생성되어 셀러 단말기(130)로 제공되는 리포트 정보는, 연령, 성별, 지역 및 직업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에 따라, 수집된 판매실적 정보를 통계하여 생성된 상품별 판매량 순위 정보 및 상품 카테고리별 판 매량 순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은, 인증된 셀러(Seller)에 대해 셀러 ID를 부여하고, 셀러 ID 및 셀러에 대한 셀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셀러 관리 단계(S300);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상점 관리 단계(S302);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관리 단계(S304); 및 등록 상품 리스트에 등록된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상품정보 저장 단계(S306)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은, 전술한 상품정보 저장 단계(S306) 이후, 해당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또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상기 셀러에 대한 판매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셀러의 셀러 ID와 연계된 복수 개의 상점 ID와, 복수 개의 상점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40)로 제공하는 셀러 판매정보 검색 단계(S3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은, 셀러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별로 판매실적 정보를 수집하는 판매실적 관리 단계(S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은, 수집된 판매실적 정보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통계하여 리포트(Report)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포트 정보를 해당 셀러의 셀러 단말기(130)로 제공하는 판매실적 리포트 관리 단계(S3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서버(110)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은, S300, S302, S304, S306, S308, S310 및 S312의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이러한 순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한 명의 셀러가 여러 개의 상점을 개설하고, 여러 개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에 대한 판매 실적을 관리하여 셀러에게 리포트해주어, 상품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셀러별로 판매정보를 검색해볼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야에 적용되어,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 셀러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개인 셀러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한 명의 셀러가 여러 개의 상점을 개설하고, 여러 개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쇼핑몰 시스템
110: 쇼핑몰 서버
120: 유무선 통신망
130: 셀러 단말기
140: 사용자 단말기
210: 셀러 관리부
220: 상점 관리부
230: 상품 등록 관리부
240: 상품정보 저장부
250: 셀러 판매정보 검색부
260: 판매실적 관리부
270: 판매실적 리포트 관리부

Claims (10)

  1.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에 있어서,
    인증된 셀러(Seller)에 대해 셀러 ID를 부여하고, 상기 셀러 ID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셀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셀러 관리부;
    상기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상점 관리부;
    상기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상기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관리부; 및
    상기 등록 상품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상품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셀러에 대한 판매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셀러의 상기 셀러 ID와 연계된 상기 복수 개의 상점 ID와, 상기 복수 개의 상점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셀러 판매정보 검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셀러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별로 판매실적 정보를 수집하는 판매실적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실적 관리부는,
    구매자 평가 및 판매실적에 따른 셀러 신용등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수집된 판매실적 정보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통계하여 리포트(Report)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리포트 정보를 해당 셀러의 셀러 단말기 로 제공하는 판매실적 리포트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정보는,
    연령, 성별, 지역 및 직업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에 따라, 상기 수집된 판매실적 정보를 통계하여 생성된 상기 상품별 판매량 순위 정보 및 상품 카테고리별 판매량 순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
  7. 쇼핑몰 서버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증된 셀러(Seller)에 대해 셀러 ID를 부여하고, 상기 셀러 ID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셀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셀러 관리 단계;
    상기 셀러 ID와 연계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카테고리별로 복수 개의 상점 ID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상점 관리 단계;
    상기 셀러 ID로 접속한 셀러 단말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상품별로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연계된 상점 ID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점 ID와 연계되어 관리되는 등록 상품 리스트에 상기 복수 개의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관리 단계; 및
    상기 등록 상품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복수 개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데 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상품정보 저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저장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셀러에 대한 판매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셀러의 상기 셀러 ID와 연계된 상기 복수 개의 상점 ID와, 상기 복수 개의 상점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셀러 판매정보 검색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 ID와 연계된 등록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별로 판매실적 정보를 수집하는 판매실적 관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판매실적 정보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통계하여 리포 트(Report)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리포트 정보를 해당 셀러의 셀러 단말기로 제공하는 판매실적 리포트 관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KR1020080105702A 2008-10-28 2008-10-28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KR20100046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702A KR20100046723A (ko) 2008-10-28 2008-10-28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702A KR20100046723A (ko) 2008-10-28 2008-10-28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723A true KR20100046723A (ko) 2010-05-07

Family

ID=4227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702A KR20100046723A (ko) 2008-10-28 2008-10-28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7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8924A1 (ko) * 2014-12-17 2016-06-23 전경령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KR20210084840A (ko) 2019-12-30 2021-07-08 조윤호 온라인 매크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479122B1 (ko) * 2021-08-08 2022-12-19 커머스타 주식회사 통합 상점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8924A1 (ko) * 2014-12-17 2016-06-23 전경령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KR20210084840A (ko) 2019-12-30 2021-07-08 조윤호 온라인 매크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479122B1 (ko) * 2021-08-08 2022-12-19 커머스타 주식회사 통합 상점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gaswamy et al. A strategic perspective on search engines: Thought candie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JP5355733B2 (ja) 広告または電子商取引のためにプロセッサが実行する方法
KR1011687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아이피 기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 지능형 심볼, 아이콘 인터넷 정보 검색시스템
US20140040370A1 (en) Content feed for facilitating topic discovery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s
US20190026752A1 (en) System for providing real property information online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 transaction service using bigdata-based grade classification and market value prediction
US20040068477A1 (en) Method and system to publish the results of a search of descriptive profiles based on respective publication policies specified by owners of the descriptive profiles, and a profile service provider
Liu et al. Enterprise-oriented IoT name service for agricultural product supply chain management
Xu et al. Integrate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in social cyber-physical systems
US10037582B2 (en) Personal merchandise cataloguing system with item tracking and social network functionality
US20200051127A1 (en) Enhanced permissions management
Cherqi et al. Analysis of hacking related trade in the darkweb
KR20100050121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쇼핑몰 서버 및 쇼핑몰 시스템
CN113077317A (zh) 基于用户数据的物品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Zhao et al. Anatomy of a web-scale resale market: a data mining approach
JP7106086B1 (ja) マッチング装置、マッチング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im et al. Consumer preference structure of online privacy concerns in an IoT environment
CN109829593B (zh) 目标对象的信用度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20180305905A1 (en) Personal merchandise cataloguing system with item tracking and social network functionality
KR20100045116A (ko) 온라인 쇼핑몰에 쇼핑몰 현황 정보를 게시하는 방법, 쇼핑몰 서버 및 쇼핑몰 시스템
KR20100046723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KR20100046421A (ko) 상품 선호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Brinck et al. The “yelp-ification” of the Dark Web: An exploration of the use of consumer feedback in Dark Web markets
KR102214611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4610B1 (ko) 마케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KR20100046724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육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