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291B1 -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291B1
KR102198291B1 KR1020200046175A KR20200046175A KR102198291B1 KR 102198291 B1 KR102198291 B1 KR 102198291B1 KR 1020200046175 A KR1020200046175 A KR 1020200046175A KR 20200046175 A KR20200046175 A KR 20200046175A KR 102198291 B1 KR102198291 B1 KR 10219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handling
data
leg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준
김자영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안전성평가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전성평가솔루션(주) filed Critical 안전성평가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0004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단계, 법규 데이터에 포함된 법적규제사항 및 의무사항을 취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ODUCT CONTROL PROTOCOL SERVICE FOR COMPLYING WITH LAWS AND REGULATIONS}
본 발명은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품의 키워드 검색만으로 제품의 제조, 수입, 및 판매하는 법적규제사항과 제품을 취급하는데 필요한 의무표시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정부는 화평법에 따른 생활화학제품 리스크 평가 및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화학제품안전법은, 현행 화평법에 따른 생활화학제품 관리제도를 발전적으로 수용하고, 살생물물질과 이를 함유한 제품에 대한 사전승인제도를 도입하는 등 살생물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화학제품안전법은 종래 화평법상의 위해우려제품을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으로 수용하여 그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살생물물질과 살생물제품에 대한 사전승인제를 도입함으로써 사전에 그 리스크를 평가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제품에 한하여 시장유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항균필터 등과 같은 살생물처리제품의 경우에도 승인받은 살생물제품만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는바, 사전예방적 관리체계로 전환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후관리수단으로는 불법제품의 제조, 수입, 판매 금지, 회수 조치, 과징금 부과 등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살생물제품 전성분과 리스크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리스크커뮤니케이션도 강화하고 있다
이때, 제품의 성분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80348호(2019년07월0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8-0007026호(2018년01월22일 공개)에는, 생활화학제품에 포함된 화학물질별 사용량이 권장 사용량을 초과하는 문제 화학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며, 문제 화학물질의 전체 사용량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문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해당 문제 제품의 사용을 줄이도록 도와줄 수 있는 구성과, 화학제품이나 의약품, 식품 등의 상품에 기재된 성분표를 문자로 인식하여 성분정보를 획득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을 갖는 상품의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하는 취급자가 제품에 대한 표시를 의무화함에 따른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고객인 구매자가 사후조치격으로 어느 제품에 어떠한 성분이 있는지를 일일이 따져서 확인해야 하는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방법만이 개시되어 있다. 또, 화학제품안전법이 시행된지 1 년이 채 지나지 않아 해당 법에 맞는 취급자의 의무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법을 의무화할 수 있는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취급자가 자신이 취급하는 제품에 대한 표시를 제대로 할 수 있되 방대한 법을 파악하거나 찾아보지 않아도 규제사항을 간편히 표시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경법의 법적 기초가 되는 사전배려원칙(precautionary principle) 및 원인자책임원칙(polluter pays principle)에 기반하고, EU의 REACH 규칙과 같은 글로벌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취급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불법을 저지르는 행위를 막을 수 있도록, 취급자가 제품 키워드만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법규사항과 주의사항, 그리고 표시제한사항을 포함한 주의사항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하고, 제품 라벨에 표시되지 말아야 하는 문구와 필수표시사항을 제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제품의 라벨생성, 라벨검토, 및 문구의 검토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환경법상 원인자책임원칙에도 부합하도록 제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사업자에게 정보제출책임을 부과하되, 책임을 이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또는 환경에 미치는 리스크를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단계, 법규 데이터에 포함된 법적규제사항 및 의무사항을 취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환경법의 법적 기초가 되는 사전배려원칙(precautionary principle) 및 원인자책임원칙(polluter pays principle)에 기반하고, EU의 REACH 규칙과 같은 글로벌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취급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불법을 저지르는 행위를 막을 수 있도록, 취급자가 제품 키워드만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법규사항과 주의사항, 그리고 표시제한사항을 포함한 주의사항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하고, 제품 라벨에 표시되지 말아야 하는 문구와 필수표시사항을 제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제품의 라벨생성, 라벨검토, 및 문구의 검토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환경법상 원인자책임원칙에도 부합하도록 제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사업자에게 정보제출책임을 부과하되, 책임을 이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또는 환경에 미치는 리스크를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취급자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 수입, 유통, 및 판매하고자 하는 취급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제품을 키워드 검색으로 제품에 관련된 법적규제사항과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받고, 의무표시사항과 표시금지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의무표시사항이 포함되고 표시금지사항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품 라벨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라벨을 검토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품과 관련된 규제가 법정된 적어도 하나의 법적규제사항을 수집하여 분류 및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의무표시사항 및 표시금지사항을 추출하고, 각 제품의 분류별로 제품 카테고리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취급자 단말(100)에서 제품의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제품의 카테고리와 법적규제사항을 추출하여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의무표시사항이 표기되고 표시금지사항이 표시되지 않도록 라벨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라벨을 검토하거나, 기 업로드된 페이지의 문구를 검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토 결과를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의무표시사항은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금지사항은 삭제되도록 안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법적규제사항이나 제품 분류군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정보를 요청하여 피드백을 주는 구조이거나, 웹크롤링으로 수집하는 형태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의 구성이 필요조건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취급자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카테고리카테고리 제공부(320), 규제제공부(330), 주의사항 제공부(340), 저장부(350), 라벨생성부(360), 문구검색부(370), 표시사항 검토부(380), 및 사용금지 검색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로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는,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취급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a를 참조하여 각 구성을 살펴보기 이전에,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에는 이 단락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에 대하여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2b 내지 도 2f에 전반에 걸쳐 설명되고 있는, 화학제품안전법의 주요 관리대상은,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과 살생물제(살생물물질, 살생물제품 및 살생물처리제품)이다. 먼저, 생활화학제품을 가정, 사무실, 다중이용시설 등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사용되는 화학제품으로서 사람이나 환경에 화학물질의 노출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생활화학제품 중에서 위해성평가 결과 위해성이 있다고 인정되어 환경부장관이 지정 및 고시한 생활화학제품을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으로 규정짓고 있다. 생활화학제품의 포괄적인 개념정의만으로는 그 법적 관리의 대상을 특정하기가 곤란할 수 있으므로, 피규제자의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의 지정 및 고시를 통하여 그 관리 대상을 특정하도록 한다. 또한, 동 법은 살생물제를 살생물물질, 살생물제품 및 살생물처리제품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하는 한편, 살생물물질을 유해생물을 제거, 무해화 또는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화학물질, 천연물질 또는 미생물로, 살생물제품을 유해생물의 제거, 무해화 또는 억제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제품으로서, 한 가지 이상의 살생물물질로 구성되거나 살생물물질과 살생물물질이 아닌 화학물질이 혼합된 제품 또는,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로부터 살생물물질을 생성하는 제품으로, 살생물처리제품을 제품의 주된 목적 외에 유해생물 제거, 무해화 또는 억제라는 부수적인 목적을 위하여 살생물제품을 의도적으로 사용한 제품으로 각각 정의하고 있다.
동 법의 적용범위는, 화학제품안전법 제3조에 따르면, 생활화학제품 또는 살생물제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군수품관리법 제2조 및 방위사업법 제3조제2호에 따른 군수품, 농약관리법 제2조제1호, 제1호의2, 제3호 및 제3호의2에 따른 농약, 천연식물보호제, 원제 및 농약활용기자재, 먹는물관리법 제3조제5호에 따른 수처리제, 사료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단미사료 및 같은 조 제4호에 따른 보조사료, 선박평형수 관리법 제2조제10호에 따른 처리물질, 식품위생법 제2조제1호, 제2호, 제4호 및 제5호에 따른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ㆍ포장, 약사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의약품, 동 조 제7호에 따른 의약외품 및 같은 법 제85조제1항에 따른 동물용 의약품ㆍ의약외품, 위생용품 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위생용품, 의료기기법 제2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의료기기, 화장품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화장품 중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법을 적용하지 않지만, 이들 법률에서 정하는 목적과 용도로 제조, 수입, 판매 또는 사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 법을 적용한다.
살생물제품의 리스크 평가 및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생물제품을 국내에 판매하거나 유통시키기 위하여 제조 또는 수입하려는 자는 해당 살생물제품에 대하여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품 승인을 받으려는 자는 해당 살생물제품의 안전성 등에 관한 자료를 갖추어 환경부장관에게 신청하여야 하며, 환경부장관은 제품승인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고 살생물제품의 위해성의 최대 정도, 살생물제품의 사용 및 폐기로 인한 부정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살생물제품 또는 그 잔류물이 사람 또는 동물의 건강 또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살생물제품에 포함된 모든 살생물물질이 물질승인을 받은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인지 등의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심사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생물제품의 제조 및 수입자는 살생물제품의 제품명 및 살생물 제품유형, 살생물제품에 함유된 살생물물질을 포함한 모든 물질의 성분 및 배합비율, 살생물제품에 나노물질이 의도적으로 함유된 경우에는 나노물질의 명칭 사용 목적 및 용도, 살생물제품에 함유된 살생물물질의 공급자명 및 주소, 살생물제품의 물리ㆍ화학적ㆍ생물학적 특성 및 물리적 위험성, 살생물제품에 함유된 살생물물질의 식별에 사용하는 시험 등의 방법, 유해생물 제거등의 효과ㆍ효능, 사용 목적 및 노출 정보, 노출 경로에 따라 인체 및 동물에 대한 독성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들 영향을 고려하여 사람 및 동물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 살생물제품이 살생물처리제품에 사용되는 경우 사용이 가능한 살생물처리제품의 종류 및 사용방법, 그리고 이들 자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한 살생물제품의 분류, 표시, 포장 및 안전성에 관한 자료 등을 제출하여야 하고, 제품승인을 받은 살생물제품의 제조 및 수입자는 제품에 포함된 살생물물질의 성분 및 배합비율, 살생물제품의 사용에 따른 위험성 및 응급처치 방법, 폐기방법 등을 제품의 겉면에 구매자가 알아보기 쉽게 표시하여야 한다. 또, 외부의 먼지를 걸러내는 제품의 주된 용도 외에 부수적인 용도로 옥틸이소티아졸론(OIT) 보존제와 같은 살생물제품을 사용하여 항균기능을 첨가한 항균필터와 같이, 살생물처리제품을 제조 및 수입하는 자는 제품승인을 받은 살생물제품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등 일정한 안전기준을 준수하여야 하고, 살생물처리제품의 제조 및 수입자가 해당 제품이 해당 제품의 유해생물 제거등의 효과 및 효능을 구매자에게 알리려는 경우에는 살생물제품이 사용되었다는 사실, 그에 사용된 살생물제품에 함유된 모든 살생물물질의 명칭과 기능, 그에 사용된 살생물제품의 위험성등을 제품 겉면에 구매자가 알아보기 쉽게 표시하여야 한다.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사후관리로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또는 살생물제품을 제조, 수입, 판매 또는 유통하는 자는 해당 제품을 포장하거나 광고하는 경우에는 사람ㆍ동물의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오해를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무독성”, “환경친화적” 등의 문구를 사용해서는 아니 되며,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문구를 제품의 광고에 포함시켜야 한다. 한편 제품승인을 받은 살생물제품 또는 살생물처리제품이 아닌 제품을 제조, 수입, 판매 또는 유통하는 자는 해당 제품이 살생물제품 또는 살생물처리제품임을 표시, 광고하거나 그로 오인될 우려가있는 표시, 광고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이 법에 따라 확인 또는 승인을 받지 않은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제품승인을 받지 않았거나 제품승인이 취소되었거나 제조, 수입중지명령을 받았거나 제품 표시를 하지 않은 살생물제품, 안전기준 또는 표시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살생물처리제품은 판매, 증여 및 그를 목적으로 하는 진열, 보관, 저장이 금지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회수, 폐기 등의 조치명령의 대상이 된다. 또한, 그 판매금액에 상당하는 금액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고, 이들 위반사실에 관한 정보는 공표의 대상이 된다.
상술한 법령에서 포괄하는 분야 이외에도,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어린이 제품안전 관리법, 식품위생법, 화장품법, 의료기기법, 군수품관리법, 마약류 관리법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법령을 포함할 수 있고, 의무사항 및 금지사항을 포함한다. 이때, 나열된 법령 이외에도 기타 법령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법령과 법규, 기타의 하위법률에 대한 제정이 존재하는 경우 현행법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상술한 개념을 기반으로 이하에서 도 2a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때, 법규 데이터는 상술한 법령의 종류를 포함함은 물론이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법규 데이터는, 법률, 명령, 자치 법규(조례, 규칙)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시행령, 시행규칙, 및 행정규칙을 포함한 상하위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각종 법령별로 제품군을 구분하고, 카테고리를 부여하여 분류된 제품군에 카테고리를 부여하여 계층을 생성할 수 있고, 법령-제품군-카테고리-제품명에 관련 법규 데이터가 매핑될 수 있도록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유사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키워드와 동일한 제품군이나 카테고리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사 카테고리에 편입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 카테고리는, 법령 해석의 자의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지침이나 판례를 기준으로 유사 제품군의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제품이라도 할지라도 사람마다 검색하는 키워드가 모두 다를 수 있고, 외래어 표기가 정립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동일한 제품에 대하여 서로 다른 외래어 표기나 줄임말을 사용하는 등으로, 해당 제품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찾지 못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다. 이때, 유사 키워드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유사 카테고리에서 자의성을 배제하기 위한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즉, A,B,C만이 법에 기재된 제품인데, C'가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C'를 유사 제품군으로 포함시키는 것과, C를 지칭하는 다른 키워드인 C'를 유사 키워드 말뭉치로 삽입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전자는, 법령의 자의석 해석으로 엄격히 배제되어야 할 대상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동일한 제품을 단순히 다른 키워드로 찾는 것에 따른 편의성 측면의 고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지도 학습 기반의 Word2Vec를 이용하여 유사 키워드(검색어)의 말뭉치를 구축하기로 한다. 이때, 첫 번째 프로파일 과정에서는 웹페이지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불용어 제거 및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전처리 과정을 마친 후, 문서에 있는 단어의 출현 빈도수 기반으로 문서의 대표 키워드를 추출한다. 두 번째로, 특정 차원의 벡터공간에서 단어 간 의미적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는 비지도 학습 기반의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는 불용어 제거 및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전처리 과정을 마친 후 명사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라미터인, 학습 횟수, 입력데이터와 함께 등장하는 단어의 개수, 임베딩하기 위한 차원의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세 번째 키워드 선택 과정에서는, 워드 임베딩 모델을 통하여 웹사이트 프로파일과 후보키워드와의 의미적 유사도 계산을 통해 후보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파일 과정에서 추출된 키워드는 주제성을 내포하고 있지 않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후보 키워드를 선택함으로써 주제성을 내포하고 있지 않는 키워드를 제거할 수 있다. 후보 키워드는 사전에 동일한 제품을 찾기 위한 검색어를 위주로 구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필터링 과정에서는 키워드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키워드 중 후보 키워드와의 유사도는 높지만 문서와는 일관성이 없는 키워드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된 후보 키워드 중 일관성 없는 키워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모든 후보 키워드 쌍의 대해 의미적 유사도를 계산하고 일관성 없는 키워드를 제거하고 최종 키워드를 추출하여 유사 키워드로 포함시킬 수 있다. 물론, 유사 카테고리를 생성하거나 유사 키워드의 말뭉치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테고리 제공부(320)는, 취급자 단말(100)로부터 제품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법규 데이터를 단순히 나열식으로 제공하는 경우, 각 법령의 체계도나 조문관계를 전혀 모르는 일반인들은 어떠한 내용인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각 법령과의 관계도와, 각 조문 간의 관계도를 포인터로 연관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관계부처나 전문가로부터 정형화된 질의응답 데이터 셋(Set)을 생성하고, 법령질의에 대한 유권해석 자료를 분석하여 복합적인 질문을 단편적인 질문으로 나누고, 그에 대한 응답도 분리시킨다. 그리고, 카테고리 제공부(320)는, 복수의 질문을 단일 질문으로 세분화하고 질문별로 답변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생성하고, 유권해석 등이 시간 경과에 따라 여러 담당자가 작성하면 결과 값은 같지만 답변 방식이 다양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권해석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정형화할 수 있다. 법령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지속적인 문장정비 및 알기 쉬운 법령 정비기준 등을 거쳐 통일성이 있지만 현장 사용되는 용어, 유권해석 용어 및 검색 용어는 사용자 및 담당자에 따라 다르게 사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유사 키워드 말뭉치와 같이, 카테고리 제공부(320)는 다수의 질문 유형 및 민원 질의 사례를 분석하여 용어에 대한 동의어 및 유사어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동의어 유의어 분류작업은 질문 시 오타나 맞춤법이 틀린 경우 등을 모두 보정하고, 당업자가 사용하는 용어, 현장에서 사용하는 지칭용어 등을 모두 반영할 수 있다.
카테고리 제공부(3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품 키워드를 분석하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답변의 종류와 방법을 순차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취급자가 플랫폼에서 질문을 하는 방식을 분석하여 자연어로 질문하는 자연어 검색과 형식에 맞춰 질문하는 지능형 검색으로 구분하여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질의응답 플랫폼은 기계적 학습을 통한 자연어 분석이 가능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으며, 형태소분석기, 의미분석엔진, 및 심층질의엔진이 순차적으로 질문에 대한 자연어를 분석하도록 시스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커스팅마이징 된 형태소분석기와 의미분석엔진은, 취급자의 질문을 분석하고 개발된 심층질의응답엔진은 분석된 질문을 토대로 적절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형태소분석기는 입력되는 질의를 최소 단위인 형태소 단위로 분리하는 엔진으로써 모든 문장을 최소단위로 나누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는 의미분석엔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의미분석엔진은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분석된 문장 단위를 키워드 중심으로 분석하여 분석된 질문을 패턴화하고 심층질의응답엔진에 그 결과를 보내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패턴이란 키워드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하나의 규칙을 말하며 키워드를 중심으로 띄어쓰기 조사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문장을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심층질의응답엔진은 기계학습 기반인 패턴별 응답 데이터베이스를 매칭하여, 취급자의 질문을 분석하고 적절한 패턴을 매칭시켜 답변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인공지능 질의응답 플랫폼은 키워드 중심의 패턴매칭을 통하여 질의에 대한 정확도 높은 답변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렇게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때, 규제 제공부(330)는, 법규 데이터에 포함된 법적규제사항 및 의무사항을 취급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취급자는, 수입업자, 제조업자, 유통업자, 및 판매업자 등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취급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취급자가 어느 단계에 위치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이에 대응하는 법적규제사항 및 의무사항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조문과 법령체계를 모두 파악하지 않아도, 자신이 원하는 답변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주의사항 제공부(340)는,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련 법규, 제품 카테고리, 규제사항, 의무사항, 주의사항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어느 사항을 하지 말아야 하고, 어느 사항은 필수적으로 해야 하고, 어느 것을 주의해야 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부지불식간에 범법행위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에서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법규 데이터와, 제품 키워드, 제품 카테고리, 및 라벨 데이터를 레이블화된 테이블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법규 데이터는, 법규 데이터를 생활화학제품, 전기용품, 식품, 어린이 제품,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 군수품, 마약류, 및 식품접촉으로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품과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관련 법령은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경시되지 않는다.
라벨생성부(360)는, 주의사항 제공부(340)에서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취급자 단말(100)로부터 제품의 증명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라벨생성부(360)는, 증명서 데이터 내에 포함된 증명 내역 리스트가, 법규 데이터 및 주의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규제사항을 충족했는지 확인하고, 규제사항을 충족한 증명 내역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증명 내역 리스트에 대한 규제사항에 대응하는 표시제한문구를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규제사항은 키워드로 태깅되어 취급자가 제출한 증명서 데이터로부터 분리되도록 분석, 태깅, 및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라벨생성부(360)는, 증명서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필수확인사항 리스트를 추출하고, 허용된 표시제한문구를 포함하여 제품 라벨을 생성할 수 있다.
문구검색부(370)는, 주의사항 제공부(340)에서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취급자 단말(100)로부터 제품의 증명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문구검색부(370)는, 증명서 데이터 내에 포함된 증명 내역 리스트가, 법규 데이터 및 주의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규제사항을 충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문구검색부(370)는, 규제사항을 충족한 증명 내역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증명 내역 리스트에 대한 규제사항에 대응하는 표시제한문구를 허용할 수 있고, 취급자 단말(100)에서 페이지에 업로드한 제품표시사항이 허용된 표시제한문구가 아닌 경우, 페이지 및 제품라벨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문구검색부(370)는, 취급자 단말(100)로 제품표시사항에 대한 게재중단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라벨생성부(360)가 초기에 제품에 대한 표시를 할 때, 필수포함사항 및 제한사항을 검토하였다면, 문구검색부(370)는, 이미 만들어진 표시나 라벨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문구검색부(370)는, 웹페이지나 앱페이지 등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각 텍스트를 추출하거나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분리하여 각 문구를 추출 및 검사할 수 있고, 이미 인쇄된 라벨지를 검사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촬영 화면에서 이미지 내 텍스트 인식으로 문구를 추출하여 AR로 삭제가 되어야 하는 문구나 필수로 부가되어야 하는 문구를 표시해줄 수 있다.
표시사항 검토부(380)는, 주의사항 제공부(340)에서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된 제품 표시사항을 검토할 수 있다. 이때, 제품 표시사항의 검토 리스트는, 안전기준 적합확인 신고 증명서 확인, 표시사항 준수에 대한 필수 항목에 대한 확인, 제품별 표시 의무사항 관리, 및 필수확인사항 반영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금지 검색부(390)는, 주의사항 제공부(340)에서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표시광고의 제한 문구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금지 검색부(390)는, 추출된 제한 문구가 취급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설명 문구와 동일한지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설명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 취급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금지 검색부(390)는, 추출된 제한 문구가 취급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설명 문구와 동일한지 검색할 때, 취급자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설명 문구 상에 제한 문구와 동일한 설명 문구를 표시하여 오버레이할 수 있다.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술한 구성 및 기능들을 프로그램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취급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및 SaaS(Software as a servic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취급자 단말(10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취급자 단말(100)에서 제품을 검색하는 경우, 매칭된 제품이 존재하면, 해당 법령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매칭에 실패하면 유사 카테고리를 제공한다. 이때, 규제 의무사항을 제시하고 주의사항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공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라벨 작성을 위한 제품 카테고리 선택 및 필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라벨 내에 각 프레임의 좌표와, 각 좌표에 태깅된 메타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라벨 포맷을 제공하고, 취급자가 이미 제출한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포맷을 자동으로 완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포함되어야 할 사항, 제외되어야 할 사항, 표시하지 말아야 할 사항, 변경되어야 할 사항 등을 자동으로 필터링시키고 추출함으로써 취급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취급자가 제출한 문서가 내포하고 있는 지식정보를 지식구조 혹은 인지스키마로 불리는 형태로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라벨에 표기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취급자가 제출한 문서로부터 검색하여 라벨지 포맷 내에 표시해야 한다. 이때, 정보검색을 위하여, TF(Term Frequency), TF-IDF(Inverse Document Frequency)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대응하지는 않으며, 키워드 자동 추출 분야의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고, 기계 학습이나 문서 내의 단어 위치 등을 이용하여 포함되어야 할 단어나 문구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개념 간 관계, 즉 취급자가 제출한 문서 내 추출된 문구와, 라벨지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문구 간의 관계를 추출해야 한다. 단어 간 관계 정보 추출의 종류는 크게 의미관계(Semantic Relation) 추출과 연관관계(Association Relation)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의미관계란 명사구와 명사구를 연결하는 동사구의 의미적 정보를 말하고, 연관관계란 개념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동의어나 유사 동의어인 등가관계에 포함되지 않는 두 단어 간 의미적, 심리적 연관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지 자동 생성을 위해서는, 제출된 문서 내 단어와, 라벨지에 포함되어야 할 단어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단어의 연관관계 정보 자동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연관관계 추출 기술로, 단어의 공기정보(Cooccurrence)를 이용할 수 있다. 공기정보란 두 단어가 동일한 문서, 문장, 구 등에 같이 발생하는현상을 말하며, 더 자주 발생할수록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물론, 더 단순한 방법으로, 각 문서의 구조와 위치좌표 및 위치좌표에 표기되어야 할 태그를 설정해두고, 각 문서의 구조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취급자가 제출한 문서와 법령에 근거하여, 의무표기사항은 삭제되었더라도 표기해야 하고, 금지사항은 표기되었더라도 삭제하는 과정은 물론 거쳐야 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라벨 작성 가이드를 제공하면서 사용제한 문구가 기재되는 경우 적합용어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사용제한 문구는 어떠한 문구로 대체되어야 하는지, 다른 취급자들은 어떠한 용어를 선택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생성된 라벨을 자동으로 검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술한 라벨의 구조가 이미 저장된 경우에는, 어느 좌표에 어느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데이터가 관련 법령 및 취급자가 제출한 문서에 기반하여 삭제되어야 하는지, 또는 없더라도 추가되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각각 AR로 화면 상에 바로 출력하여 취급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등에 게재된 데이터라고 할지라도, 의무표기사항, 표기금지사항에 대하여 추출이 가능하므로, 텍스트 로딩 및 해석이나,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분리한 후 분석 및 리뷰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어느 부분이 삭제되어야 하고, 어떠한 문구가 더 포함이 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도 3b 내지 도 3e는 법령별 분류체계의 실시예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어떠한 제한으로 어떠한 문구가 삭제되어야 하는지 등을 알려주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이때, 도 3b 내지 도 4e의 분류 및 알람 표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법령의 개정이나 표시 방법의 다양화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100).
그리고,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고(S5200), 법규 데이터에 포함된 법적규제사항 및 의무사항을 취급자 단말로 제공한다(S5300).
또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및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취급자 단말로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법규 데이터에 포함된 법적규제사항 및 의무사항을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표시광고의 제한 문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한 문구가 상기 취급자 단말에서 업로드한 설명 문구와 동일한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한 문구와 동일한 것으로 검색된 설명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설명 문구를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제한 문구가 상기 취급자 단말에서 업로드한 설명 문구와 동일한지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취급자 단말에서 업로드한 설명 문구 상에 설명 문구와 동일한 제한 문구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수입, 제조, 유통, 및 판매를 포함한 취급자에게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법적규제사항을 포함한 법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법규 데이터와, 제품 키워드, 제품 카테고리, 및 라벨 데이터를 레이블화된 테이블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법규 데이터는, 법규 데이터를 생활화학제품, 전기용품, 식품, 어린이 제품,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 군수품, 마약류, 및 식품접촉으로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품과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법규 데이터 및 제품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품 카테고리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유사 제품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의 증명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증명서 데이터 내에 포함된 증명 내역 리스트가, 상기 법규 데이터 및 주의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규제사항을 충족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규제사항을 충족한 증명 내역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증명 내역 리스트에 대한 규제사항에 대응하는 표시제한문구를 허용하는 단계;
    상기 증명서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필수확인사항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허용된 표시제한문구를 포함하여 제품 라벨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취급자 단말로부터 제품의 증명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증명서 데이터 내에 포함된 증명 내역 리스트가, 상기 법규 데이터 및 주의사항 데이터에 포함된 규제사항을 충족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규제사항을 충족한 증명 내역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증명 내역 리스트에 대한 규제사항에 대응하는 표시제한문구를 허용하는 단계;
    상기 취급자 단말에서 페이지에 업로드한 제품표시사항이 상기 허용된 표시제한문구가 아닌 경우, 상기 페이지 및 제품라벨로부터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취급자 단말로 상기 제품표시사항에 대한 게재중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인 주의사항인 주의사항 데이터를 상기 취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품 키워드에 기 매핑된 제품 표시사항을 검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 표시사항의 검토 리스트는, 안전기준 적합확인 신고 증명서 확인, 표시사항 준수에 대한 필수 항목에 대한 확인, 제품별 표시 의무사항 관리, 및 필수확인사항 반영 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서버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및 SaaS(Software as a servic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상기 취급자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200046175A 2020-04-16 2020-04-16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75A KR102198291B1 (ko) 2020-04-16 2020-04-16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75A KR102198291B1 (ko) 2020-04-16 2020-04-16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291B1 true KR102198291B1 (ko) 2021-01-05

Family

ID=7414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175A KR102198291B1 (ko) 2020-04-16 2020-04-16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2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9B1 (ko) * 2022-07-19 2023-04-11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 안전성 검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522262B1 (ko) * 2022-09-30 2023-04-17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기업의 환경 및 안전분야 규제 진단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436B1 (ko) * 2023-05-26 2023-12-07 주식회사 팜킷 식품에 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8764B1 (ko) * 2022-09-21 2024-02-20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191A (ja) * 1998-04-22 1999-11-05 Hitachi Ltd 法律検索方法および法律検索システム
KR20080088026A (ko) * 2007-03-28 2008-10-02 전대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201293A (ja) * 2010-03-02 2011-10-13 Toshiba Tec Corp 情報出力装置、ラベルプリンタ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4473B1 (ko) * 2017-03-31 2018-04-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업장 안전 화학물질 전주기 관리 시스템
KR101875163B1 (ko) * 2017-07-18 2018-07-05 주식회사 시큐어넷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191A (ja) * 1998-04-22 1999-11-05 Hitachi Ltd 法律検索方法および法律検索システム
KR20080088026A (ko) * 2007-03-28 2008-10-02 전대휘 지능형 상표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201293A (ja) * 2010-03-02 2011-10-13 Toshiba Tec Corp 情報出力装置、ラベルプリンタ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4473B1 (ko) * 2017-03-31 2018-04-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업장 안전 화학물질 전주기 관리 시스템
KR101875163B1 (ko) * 2017-07-18 2018-07-05 주식회사 시큐어넷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9B1 (ko) * 2022-07-19 2023-04-11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 안전성 검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638764B1 (ko) * 2022-09-21 2024-02-20 주식회사 아이씨티컴플라이언스 제품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22262B1 (ko) * 2022-09-30 2023-04-17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기업의 환경 및 안전분야 규제 진단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436B1 (ko) * 2023-05-26 2023-12-07 주식회사 팜킷 식품에 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291B1 (ko) 법적규제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제품 취급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 방법
Badullovich et al. Framing climate chang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 systematic map
US20230126681A1 (en) Artificially intelligent system employing modularized and taxonomy-based classifications to generate and predict compliance-related content
Wang et al. Automatic detecting indicators for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Web
US8037018B2 (en) Document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US7769712B2 (en) Document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Krasnow Waterman et al. Big Data analytics: risks and responsibilities
Melendez‐Torres et al.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appraisal of qualitative metasynthetic practice in public health to develop a taxonomy of operations of reciprocal translation
Potoniec et al. Dataset of ontology competency questions to SPARQL-OWL queries translations
US103951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ed compliance implementation
Pandit et al. Queryable provenance metadata for GDPR compliance
KR102121901B1 (ko) 정책자금 온라인 심사평가 시스템
WO201313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ed compliance implementation
Luhnen et al. Systematic reviews of health economic evaluations: a structure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methods applied
Kim et al. Toward harmonising WH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s: a nursing perspective
US20200117859A1 (en) Leg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Srinath et al. PrivaSeer: A Privacy Policy Search Engine
Kuznetsov et al. Privacy policies of IoT devices: collection and analysis
Cai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websites: An automatic 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TFN-AHP methodology
Gordon et al. Development of a data utility framework to support effective health data curation
Zuo et al. A food safety prescreening method with domain-specific information using online reviews
Goldstein et al. Addressing the ‘Tower of Babel’of pesticide regulations: an ontology for supporting pest-control decisions
Konys An ontology-based approach for knowledge acquisition: an example of sustainable supplier selection domain corpus
Masa et al. A Semantic Framework for Decision Making in Forest Fire Emergencies
Fenton et al. Mitigation of chemical reporting liabilities through systematic modernization of chemical hazard and safety data manage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