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750A -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750A
KR20080087750A KR1020080028078A KR20080028078A KR20080087750A KR 20080087750 A KR20080087750 A KR 20080087750A KR 1020080028078 A KR1020080028078 A KR 1020080028078A KR 20080028078 A KR20080028078 A KR 20080028078A KR 20080087750 A KR20080087750 A KR 2008008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
signal
vehicl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2937B1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사)한국전자산업진흥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사)한국전자산업진흥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8008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얻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운전 상태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벤트를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유무선을 통해 받은 영상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사고, 영상, 저장, 가중치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Image data storing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고 발생시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 사고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1999년에는 경찰에 집계된 교통사고가 275,938건이며, 이는 전년 대비 15%나 증가한 것이다.
또한, 1999년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9,353명이며, 이는 전년 대비 3.3%가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교통사고 발생율은 OECD 가입국가 29개국중 최고이며, 1만명당 사망자는 OECD 평균치의 3배에 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과도하게 빈발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통 사고에 대한 분석은 주로 사고 당사자의 사고 경위 진술과 많은 사건을 처리하는 담당 경관의 견해가 가미되어 결론 지어진다.
그러므로 사고를 당하여 경황이 없는 사고 당사자와 현장에 있지 않은 경관의 견해에 의하여 객관적이지 못한 결론을 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민원이 대단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현장에 있던 사고 당사자가 사고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하였을 경우에는 진실의 규정이란 사실상 불가능하고 어느 일방이나 경관의 자판에 의하여 사고 분석이 완료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더구나 명확한 물증이나 사고 목격자가 없거나 사고 목격자가 사실을 오인하거나 매수된 경우등에는 사고 분석의 오판으로 인하여 사고 당사자 어느 일방이 회복하지 못한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에 관련하여 참고할수 있는 자료로 근래의 택시미터기에는 시간대별 차량속도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 것이 있으며, 이는 사고 발생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반면에 이러한 택시미터기의 자료는 해당 차량의 속도 변화만을 파악할수 있는 것이어서 단편적인 것이어서, 교통사고 전반의 경위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자료는 근래의 택시미터기를 장착한 택시의 경우에만 제공되는 것이므로 화물차, 자가용, 승합차등 여러 차종에서는 전혀 기대할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교통사고는 사고의 처리에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고 불공정한 사고배상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운전자와 보험회사는 경우에 따라 불필요한 사고배상을 책임지게 되어 불공정한 경제적인 손실을 입게 되는 경우가 흔한 것이다.
더 나아가 사고 판단이 애매한 경우 피해 당사자 뿐만 아니라 담당 보험회사 및 분쟁 해결에 동원된 변호사, 손해사정인등이 동원되어 사고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뿐만 아니라 막대한 2차적 경제적 손실과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는 억울한 형사상의 처벌 문제까지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 1995년에는 뺑소니 사고가 11,585건이었으나, 1998년에는 23,410건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뺑소니 사고는 명백한 물증이나 목격자가 없는 경우에는 보상의 의무가 있는 가해자를 전혀 찾을수 없게 되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일체의 부담을 안게 되어 물질적, 정신적으로 더욱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내 블랙박스라고 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통상적으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충돌과 같은 이벤트를 감지하여 영상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이벤트에는 차량 충돌과 같은 중요한 사건만을 이벤트로 정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들은 차선 위반, 속도 위반과 같은 충돌보다는 중요하지 않은 사건도 이벤트로 정하고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때 휘발성 메모리의 번지에 순서대로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모든 번지가 데이터로 가득 차게 되면 가장 먼저 저장된 번지에서부터 영상 데이터를 오버라이트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중요하지 않은 이벤트의 영상 신호에 의해 중요한 이벤트의 영상 정보가 삭제될 수 있어, 정작 영상 캡쳐가 종료되어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때에는 중요하지 않은 영상만이 남아 있을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영상 신호만을 저장하게 되면 사건의 발생 상황을 정확히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종래의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룸미러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충돌 사고시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자체가 파손되어 영상 데이터가 소멸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시점 전후에 차량 전후방에서의 영상 정보를 확보하되, 휘발성 메모리에 중요도가 높은 정보만이 저장되어 남아 있도록 하여 사고 전후로 연속적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중요하지 않은 이벤트에 의해 중요한 정보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요한 정보만이 비휘발성 메모리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하우징 외부의 차량 곳곳에 위치시켜 보다 다양한 각도로 사고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의 배치가 자유로운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신호는 물론 음성 신호도 함께 저장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벤트 발생시 영상 신호를 캡쳐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얻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운전 상태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벤트를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유무선을 통해 받은 영상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 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할당된 주소에 순서대로 상기 영상 신호를 저장하되 상기 주소에 그 이벤트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가 가득차면,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 중 가장 가중치가 낮으면서 가장 먼저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부터 오버라이트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외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받은 신호를 통해 이벤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쳐가 종료되면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와 동기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오버라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사고 발생시점 전후에 차량 전후방에서의 영상 정보를 확보하되, 휘발성 메모리에 중요도가 높은 정보만이 저장되어 남아 있도록 하여 사고 전후로 연속적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중요하지 않은 이벤트에 의해 중요한 정보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 으며, 이에 따라 중요한 정보만이 비휘발성 메모리로 저장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카메라를 하우징 외부의 차량 곳곳에 위치시켜 보다 다양한 각도로 사고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의 배치가 자유롭고 영상 데이터 저장이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영상 신호는 물론 음성 신호도 함께 저장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는 하우징(100)과 그 외부에 위치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10, 220, 230), 제어부(150), 카메라로부터 유무선으로 신호를 받아 제어부(150)으로 전달하는 통신부(140),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하우징(100) 내부에 전방 가속도 센서, 측면 가속도 센서, 마이크, GPS 수신기 등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50)와 저장부(120)는 하나의 회로 기판에 형성되며, 캡쳐 회로(110)를 이룬다. 캡쳐 회로(110)는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 및 이벤트 발생시 영상 캡쳐 동작을 하게 된다.
카메라(210, 220, 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전방 카메라(210), 후방 카메라(230) 또는 측면 카메라(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의 곳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카메라(210)는 전방으로부터 영상을 받아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키고, 후방 카메라(230)는 후방으로부터 영상을 받아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키며, 측면 카메라(220)는 측면으로부터 영상을 받아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카메라(210, 220, 230)에서 발생된 영상 신호는 유무선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제어부(150)로 보내지며, 하우징에는 이러한 영상 신호를 받기 위한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유선 통신의 경우 단순한 외부 단자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의 경우 무선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카메라가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센서,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하우징은 카메라의 위치에 관계없이 차량 내이면 어디든지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충돌시 영상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센서 중 마이크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운전자나 승객의 소리를 감지하여 수집한다. GPS 수신기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결정한다. 가속도 센서는 차량의 충돌 등을 감지하며, 전방 가속도 센서와 측면 가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의 각 센서들은 모두 하우징 내부에 구비나 외부의 센서 즉, 엑셀 감지기, 속도계, 브레이크 감지기, 휠 감지기 등의 외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130)에서 수신되는 신호 또는 외부 신호를 감시하며, 제어부(150)에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신호 디지털화하고, 디지털 제어 논리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버스 상의 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고속A/V 컨버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등의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받은 영상 신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캡쳐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카메라(210, 220, 230)는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150)에서 송신하는 동작 신호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거나 이벤트 발생여부와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동작하면서 영상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10, 220, 230)가 동작 신호를 수신한 때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이벤트 발생시에 카메라(210, 220, 230)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동작신호 및 이벤트 종료시 카메라(210, 220, 23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종료신호를 발생시켜 통신부(140)를 통해 카메라(210, 220, 230)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영상 캡쳐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210, 220, 230) 의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 신호는 저장과 신호처리에 적합하도록 영상 처리부에서 신호처리가 되어 저장부(120)의 영상버퍼에 저장되는데, 영상버퍼는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때, 영상버퍼는 DRAM의 휘발성 특성으로 인하여 전원이 공급될 때에 영상정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영상정보를 손실하게 된다. 휘발성 메모리에는 일련의 주소가 지정되어 있고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한다.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영상 캡쳐가 종료된다. 그러나 이벤트가 발생된 후 그 종료 전에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는 등 이벤트가 연속으로 발생되면 영상 캡쳐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영상 캡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각각의 저장부 주소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미지 신호를 저장한다. 휘발성 메모리가 가득 차면 가장 먼저 저장된 먼저 소거하는 것이 아니라 가중치가 가장 낮은 주소부터 소거하여 오버라이트하는 방식으로 저장한다(First-in, select-overwritten). 또한, 가중치가 가장 낮은 주소가 복수인 경우 가장 먼저 저장된 주소에서부터 오버라이트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저장한다. 아울러 각 주소의 가중치에 대한 정보는 휘발성 메모리의 일부 영역을 사용하게 된다.
전방 가속도 센서, 측면 가속도 센서, 마이크, GPS 수신기 등의 센서를 통해 속도위반, 차선이탈 또는 차량사고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 신호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제어 부(150)는 먼저 이벤트 발생 및 그 이벤트의 중요도를 판단하고,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의 각 주소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 센서 회로에서 캡쳐 회로(120)에 보내는 이벤트 중요도는 속도위반시 2, 차선위반시 1, 접촉충돌시 3, 옆면충돌시 4, 정면충돌시 5 등과 같은 방법으로 미리 설정된다.
이벤트 발생 후 일정 시간 다른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거나 외부 센서 또는 별도로 하우징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해 상황 종료에 해당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등 일정 조건이 성립되면 이러한 캡쳐 동작이 종료되며, 캡쳐 동작이 종료되면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를 확인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부터 받은 음성 신호는 제어부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으나 영상 신호와 함께 저장부에 저장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음성 신호가 저장부에 저장되는 경우 음성 신호만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영상 신호가 저장되는 휘발성 메모리의 다른 번지에 저장되며, 제어부에 의해 영상 신호와 동기화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음성 신호는 이벤트의 발생과 동시에 저장부에 저장되기 시작하며, 영상 신호와 동기화되므로 동기화된 영상 신호 데이터가 가중치에 따라 다른 영상 신호 데이터에 의해 오버라이트되면, 음성 신호 데이터도 다른 음성 신호 데이터에 의해 오버라이트된다.
영상 캡쳐가 종료되면 음성 신호의 저장도 종료되며, 휘발성 메모리의 음성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된다.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의 하우징 내부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의 차량 내부 설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캡쳐 회로
120: 저장부 130: 센서부
140: 통신부 210: 전방 카메라
220: 측면 카메라 230: 후방 카메라

Claims (5)

  1. 이벤트 발생시 영상 신호를 캡쳐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 신호를 얻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운전 상태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벤트를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유무선을 통해 영상 신호를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할당된 주소에 순서대로 상기 영상 신호를 저장하되 상기 주소에 그 이벤트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가 가득차면,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 중 가장 가중치가 낮으면서 가장 먼저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부터 오버라이트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외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받은 신호를 통해 이벤트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쳐가 종료되면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와 동기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오버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KR1020080028078A 2007-03-26 2008-03-26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952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34 2007-03-26
KR20070029034 2007-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750A true KR20080087750A (ko) 2008-10-01
KR100952937B1 KR100952937B1 (ko) 2010-04-16

Family

ID=4015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078A KR100952937B1 (ko) 2007-03-26 2008-03-26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38B1 (ko) * 2009-07-13 2011-07-07 엠텍비젼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영상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80089740A (ko) * 2017-02-01 2018-08-09 (주)피타소프트 데이터 레코딩 장치에서의 적응형 데이터 레코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098A (ko) * 1997-01-31 1998-10-15 김광호 사고 순간 기록용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JPH10257165A (ja) 1997-03-11 1998-09-25 Sharp Corp 留守番電話機能付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端末
KR19990004078A (ko) * 1997-06-27 1999-01-15 김영귀 차량의 주행환경 화상정보 저장장치
KR20050006732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기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38B1 (ko) * 2009-07-13 2011-07-07 엠텍비젼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영상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80089740A (ko) * 2017-02-01 2018-08-09 (주)피타소프트 데이터 레코딩 장치에서의 적응형 데이터 레코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937B1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034B2 (en) Automobile drive recorder
US6392564B1 (en) Aggressive driver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US8830046B2 (en) In-vehicle device for recording moving image data
US6449540B1 (en) Vehicle operator performance recorder triggered by detection of external waves
KR20080087751A (ko)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JP2005500931A (ja) 車両に設置された警報信号の発信に追従して映像シーケンスを蓄積する装置
US1023281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during an emergency call
EP3324378A1 (en) Electronic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driver&#39;s attention
CN109410363B (zh) 用于检测车辆的意外、事故和/或欺诈的方法和系统
WO20161322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vehicle, particularly for the management of loss events
KR100952937B1 (ko) 차량용 영상 데이터 저장 장치
GB2554559A (en)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KR101532087B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US11208039B2 (en) Vehicular surveillance system
JP5174594B2 (ja) 運転情報記録装置
US20190071043A1 (en) Advanced collision detection and enhanced automotive crash notification
KR20210012104A (ko) 차량 사고 알림 장치
JP2017010341A (ja) 事故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制御装置
KR102155771B1 (ko)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KR100794625B1 (ko) 룸미러 일체형 교통사고 자동녹화 시스템
KR101443746B1 (ko) 블랙박스 촬영 이벤트 통지 장치
KR102101965B1 (ko)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KR101022544B1 (ko) 자동차용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KR20180013126A (ko) 차량용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