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830A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830A
KR20080081830A KR1020080019929A KR20080019929A KR20080081830A KR 20080081830 A KR20080081830 A KR 20080081830A KR 1020080019929 A KR1020080019929 A KR 1020080019929A KR 20080019929 A KR20080019929 A KR 20080019929A KR 20080081830 A KR20080081830 A KR 20080081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ner cylinder
hole
pla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호 filed Critical 오정호
Priority to US12/529,80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107706A1/en
Priority to JP2009552587A priority patent/JP2010520391A/ja
Priority to PCT/KR2008/001247 priority patent/WO2008108579A2/en
Publication of KR2008008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2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operated by the edge of the key
    • E05B27/08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operated by the edge of the key arranged axi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88Rotary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667Operating elements, parts and adjuncts
    • Y10T70/7689Tumblers
    • Y10T70/7695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쇠의 선단부 또는 경사면과 일치되는 내장 열쇠를 가압하여야만 잠금 해제가 되는 구조와 동시에 다른 전원 없이도 강제 회전 방지되는 빗장 잠금 구조와, 또한 내장된 열쇠를 2개 이상으로 하고 이를 동시에 가압 정렬하여야만 잠금 해제되어 열쇠 크기(Size)는 동일하면서도 동일 Key 확률을 더욱 적게 하는 특징이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에서는 정전기 전압, 자계, 전기 충격 전압(Surge) 등의 취약으로 외부인의 침입 우려와 화재시 대피 등의 문제 등에 비상 Key로 본 발명의 아날로그 도어 잠금장치 구조가 활용되고 자동차 도어록에서는 No Key의 비상 Key로 본 발명의 아날로그 도어 잠금장치 구조가 활용되고 그 외 일반 데드락, 원통형 레버 손잡이형 도어록 등 구조까지 치차 등 강제 회전 방지 구조, 전단(Torque Share) 구조 등을 선택적으로 추가한 3∼5중 안전 잠금 도어록으로 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Key and Cylinder, Dead Locks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s}
본 발명은 통상의 도어 잠금장치에 무전원 강제 회전 방지 기능과 동일 키 확률을 적게 하여 쉽게 열지 못하게 한 기능을 추가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는 통상의 도어 잠금장치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내장 키를 추가로 내장하므로써 열쇠의 선단부와 경사면으로 내장 키 상면을 지정된 위치로 동시에 가압하여야만 해정되고 열쇠 크기(Size)는 동일하면서 동일 키 확률을 줄이며 치차, 비틀림 또는 빗장 잠금 레버로 된 강제 회전 방지 등 3∼5중 안전 기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단순 구조인 원통형 도어록, 레버형 도어록과 데드락(보조키)과 디지털 도어록에서 정전기 전압, 자계, 충격 전압(Surge) 등의 취약으로 외부인의 침입과 화재시 대피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아날로그 비상 키(Key)와 자동차 도어록 No Key의 비상 Key로 활용되는 도어 잠금장치이다.
종래 도어 잠금장치는 실린더와 실린더 속에 장착되는 내통체와 실린더와 내통체에 꼽힌 다수의 핀과 핀을 정렬하는 열쇠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핀은 외부에서 열쇠 외의 도구로도 쉽게 핀 정렬이 되지 않아야 되고 동시에 강제 회전에도 파손되지 않아야 되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간단한 도구 또는 만능키로 파손하지 않고도 잠금이 해제되거나 강제 회전에는 더욱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는 원통형 손잡이, 레버형 손잡이의 도어록과 데드락(보조키)과 디지털 도어록의 아날로그 비상키와 자동차 도어록 등 모든 아날로그(기계식) 도어 잠금장치에 전부 해당되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열쇠의 선단부 또는 경사면과 일치되는 내장 열쇠를 가압하여야만 잠금 해제가 되는 구조의 개발과 다른 전원 없이도 강제 회전 방지되는 빗장 잠금 구조 개발과, 다른 전원 없이 맞물려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맞물림 회전 방지 구조 개발과 열쇠 크기(Size)는 동일하면서 동일 키 확률을 크게 줄이는 열쇠 개발 및 실린더와 내통체와 핀 구조 개발과 이들을 가격이 저렴한 단순 구조인 원통형 레버형 도어록과 고가의 다기능 디지털 도어록 및 자동차 도어록의 고난도 해정 방지의 No Key 구조에 걸맞는 아날로그 도어 잠금장치 개발과 강제로 파손시 맞물림 회전 방지 구조에 분리되는 전단(Torque Share) 부위가 있어 3∼5중 안전 잠금을 갖는 도어록 개발 등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실린더, 내통체, 상기 실린더와 내통체에 삽입되는 핀(상·하부핀), 판체핀과 열쇠로 구성된 종래 도어 잠금장치에 강제 회전 방지 수단과 동일 키 확률 최소 수단 등을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1구성은 실린더(3)와 이 실린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통체(4)에 열쇠 구멍(42)과 하면에 회동축(46)을 형성하여 실린더(3)와 내통체(4)에 동시에 관통 결합된 다수개의 핀(91, 9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으면 열쇠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03)에 의해 상기 상·하부핀(92, 91) 경계면이 실린더(3)와 내통체(4)의 경계면을 따라 정렬되어 내통체(4) 및 회동축을 좌·우로 회전시켜 잠금과 해제가 되게 한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하부 측면에 잠금판 구멍(410) 1개 또는 2개 이상을 형성하고 열쇠 구멍(42)이 연장되어 각 잠금판 구멍과 하나의 공간이 되는 내통체(4)로 하고, 실린더(3)는 측면에 상기 내통체 잠금판 구멍 위치에 통상의 하부핀(91)이 꼽힐 핀 구멍(32)과 잠금판 하부(720)가 꼽힐 구멍(320)이 잠금판 수만큼 형성된 실린더이고, 잠금판(700 ; 도 10A 참고)은 상·하부에 걸림턱(780, 790)과 중앙에 탄환형 경사면 또는 평면 열쇠의 경사면(108)이 꼽힐 중앙 구멍(740)이 형성되고, 열쇠(100)는 선단부(109)와 경사면(108)을 갖는 평면 열쇠이거나 탄환형 열쇠 또는 경사면(108) 사이에 수평면(106)을 형성한 열쇠로 하고 내통체 잠금판 구멍(410)에 잠금판을 꼽고 실린더(3)에 내통체(4)를 결합, 실린더 핀 구멍(32)에 하부핀(91)을 스프링(9)과 함께 꼽아 잠금판 선단부(710)를 가압하여 하단부(720)가 구멍(320)에 걸림턱까지 꼽히게 한 후, 열쇠를 꼽으면 경사면(108)과 각 잠금판 중앙 구멍(740)에 의해 각 잠금판 선단부가 하부핀(91)을 밀고 수평면(106) 위치에서 각 하단부(720)가 구멍(320)에서 뽑아지며 내통체 외면과 동일면이 되어 열쇠를 회전 또는 수직 가압하여 회전, 잠금 해제케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판을 강제 회전 방지 수단으로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잠금판(700 ; 도 6)과 열쇠(100 ; 도 9A) 참고)한다. 이때, 잠금판(700)을 상부핀(92)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제2구성(도 4 참고)은 잠금판(700)은 선단부 하측에 돌부(735)를 형성한 잠금판(도 10G 참고)으로 하고 상기 잠금판 하측에 계단면(440)을 갖는 돌출부(45)를 일체로 형성하고 실린더 내면 하부에 상기 돌출부의 계단면(440)이 걸릴 단턱부(31)를 형성한 유격(39)을 갖는 요홈(38)을 형성하고 내통체(4)를 유격만큼 회전하고 수직으로 당겨 요홈(38)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걸림부(6)를 고정하고, 열쇠를 꼽으면 잠금판 선단부가 위로 솟아오르며 동시에 상기 유격(39)에 꼽힌 잠금판 선단부 하측 돌부(735)가 벗어져 계단면 돌출부를 요홈에 꼽고 유격만큼 수평 회전, 계단면이 단턱부(31)에 걸리게 하고 열쇠를 수직으로 당겨 뽑으면 잠금판의 하측 돌부(735)가 유격에 꼽혀 내통체를 좌·우 회전치 못하게 하여 강제 회전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단면(440) 돌부를 제1구성에 추가하므로써 더욱 강력한 회전 방지 수단이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이때, 계단면 돌출부를 비틀어진 돌출부로 하는 것과 나선형 숫나사(442 ; 도 5A 참고)로 하는 것과 실린더 내면에 암나사가 상기 나선형 숫나사를 전진 회전시 잠금 또는 해제되고 원위치에서 후진 회전 시 해제 또는 잠금되는 구조(도 5B 참고) 등도 강제 회전 방지 수단이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이때, 내통체에서 회동축이 전진과 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C처럼 흡수 회동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단면형 돌출부, 비틀어진 Twist형 돌출부, 나선형 돌출부와 내통체 하부 경제면에 전단(Torque Share ; 490) 부위를 형성하여 강제 회전시 분리되며 파손되더라도 스프링(7)에 의해 돌출부는 분리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돌출부에 고강도핀 등을 삽입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3구성은 내통체 열쇠 구멍 하면에 내장 키 1개 또는 2개 이상이 각각 분리되게 삽입될 연장된 열쇠 구멍(422)을 형성하고 내통체 측면에 핀 구멍(418, 428, …)과 상부핀 홀(47)과 스프링 삽입 구멍(417, 427, …)을 형성한 내통체(4)이며, 도 7D처럼 기하학적 형상인 상면(214, 224, …)과 선단부(211, 221, …)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방향 요홈(218, 228, …)과 그 하측에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과 그 하측에 하단부(212, 222, …)를 형성한 내장 키(210, 220, …)과, 실린더(3)에 상기 내통체 상부핀 홀(47) 위치에 하부핀 홀(32)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여, 상기 내통체 열쇠 구멍을 통해 상기 각 내장 키 하단부(212, 222, …)로부터 꼽아 연장된 열쇠 구멍(422)에 각각 분리되게 꼽고(도 8D 참고) 스프링 삽입 구멍(417, 427, …)을 통해 스프링(707)을 각 하단부(212, 222, …)에 삽입하고 핀(1)으로 핀 구멍(417, 427, …)을 관통, 각 내장 키 길이방향 요홈(418, 428, …)에 꼽아 고정하여 하나의 내통체로 한 후(도 12A 참고), 실린더(3)에 내통체(4)를 꼽고 각 핀 홀(32, 47)에 상·하부핀(92, 91)과 소스프링(9)으로 가압하며 결합하고, 열쇠(100 ; 도 9B, 도 9C 참고)를 꼽고 상기 내장 키의 기하학적 형상과 맞물릴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한 열쇠 선단부와 경사면(108) 또는 열쇠 경사면(108)과 경사면(108) 사이 기하학적 요홈(104)으로 가압하면 각 내장 키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에 의해 상·하부핀이 정렬되어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구성한다. 그리고, 도 12B처럼 내통체(4)와 일체인 회동축(46)을 분리하여 내통체와 회동축(20 ; 46)으로 구분하고 내통체 하면(44)에 회동축(20 ; 46)이 꼽히는 회동축 구멍(48)과 각 내장 키 연장된 열쇠 구멍(422)과 하나의 공간이 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장 키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걸림 요홈을 없애고(도 7F 참고) 필요에 따라 하단부(212, 222, …)는 돌설 하단부(도 7H 참고)로 한 내장 키로 하여 상기 내장 키 선단부(211, 221, …)로부터 내통체 하면에서 각 내장 키 삽입 구멍에 꼽고 각 하단부(돌설 하단부)에 스프링(707)을 꼽은 후 스프링 걸림판(775 ; 도 7J 참고)으로 내통체 하면에서 고정한 후 회동축을 회동축 구멍(48)에 꼽고 고정하여서 된 내통체와 내통체 열쇠 구멍 하면의 선단부 삽입 구멍(40 ; 422)을 열쇠의 경사면(108)과 경사면 사이의 기하학적 요홈(104 ; 도 9B, 도 9C 참고) 위치에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40)을 분리되게 형성하고 내장 키의 선단부(211, 221, …)가
Figure 112008501153399-PAT00024
형으로 되어(도 7H 참고) 내통체 상부핀 홀(47)과 각을 가지며 꺾여 상기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에 삽입되게 형성한 내장 키이며, 내장 키 삽입판(775)의 내장 키 삽입 구멍(776)에 상기 내장 키 선단부로부터 꼽아 각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 상측에 꼽고 상기 선단부 삽입 구멍(40)에 선단부(211, 221, …)를 관통되게 결합한 내통체이며 열쇠(100)는 경사면(108)과 경사면 사이에 기하학적 요홈(104)을 형성한 열쇠(도 9B, 도 9C 참고) 구조와, 도 8A, 도 8B, 도 8C, 도 8E, 도 8F로 된 내장 키 구조 등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그리고, 제3구성과 제2구성을 결합한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상기 구조에서 내장 키는 동일키 확률 최소화 수단이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성은 본 발명의 단순 구조이며 제3구성은 고기능 구조이며 제2구성은 중간 구성으로 되어 데드락(보조키), 디지털 도어록의 비상 아날로그 키에 활용된다.
제4구성은 실린더(3)와 실린더에 꼽히는 내통체(4)와 실린더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조임되는 걸림부(6)와 내통체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아 내통체 측면 구멍(49)에 꼽힌 다수의 판체핀(8A)을 실린더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서 정렬되어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되는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선단부(41) 또는 하부에 치차형 돌출부(45)를 형성(도 2 참고)하며 이에 회동축(46)을 일체로 한 내통체로 하고, 실린더(3) 내면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치차형 돌출부와 맞물릴 음각 요홈(333)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며, 치차(441)가 음각 요홈(333)에 맞물리고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음각 요홈에서 치차형 돌출부가 벗어지는 위치에 고정용 걸림부(6)를 형성한 구조이다. 그리고, 치차(441)형 돌출부(45)를 직사각, 정사각, 오각, 타원 등의 기하학적 돌출부가 비틀어진(Twist) 돌출부(45)이며 이와 맞물리게 실린더의 음각 요홈이 형성된 구조로도 할 수 있다. 치차와 내통체 하부 사이에 전단부(Torque Share ; 490)를 형성할 수 있고, 치차, 트위스트(Twist) 돌출부는 강제 회 전 방지 수단으로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이같은 구조는 원통형 도어록, 레버형 도어록에 적합하다.
제5구성은 제1구성에서 잠금판과 열쇠가 다른 것이 특징이며 특히 자동차 열쇠의 구조에 맞는 판체핀을 활용하되 열쇠가 평면 열쇠(도 9A 참고)인 경우에는 잠금판이 판체핀(도 10D 참고)이고 열쇠가 음각 열쇠(도 9H, 도 14A 참고)인 경우에는 잠금판(700)은 판체핀(10E 참고)이며 열쇠가 양각 열쇠(도 9I, 도 13 참고)인 경우에는 잠금판은 판체핀(10F 참고)이며 열쇠가 양·음각 열쇠(도 9J, 도 14 참고)인 경우도 잠금판은 양·음각 판체핀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판체핀은 분할 판체핀(도 13E, 도 13F 참고)과 분할 판체핀(도 14B 참고), 분할 판체핀(도 15A, 도 15B, 도 15C 참고)으로 할 수 있고 이들 판체핀은 동일 키 확률을 줄이기도 하는 것이다. 그 외 다양한 열쇠의 선단부와 경사면을 활용하는 것과 이들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판체핀 또는 분할 판체핀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것도 동일 기술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6구성은 제2구성에서와 같이 치차 또는 트위스트(Twist)형 돌출부를 추가 형성하여 강제 회전 방지 수단으로 한 구조로 제5구성보다 더 강력한 강제 회전 구조가 된다.
제7구성은 제3구성에서 통상의 데드락 도어 잠금장치에 내장 키를 추가하므로써 동일 키 확률 축소 수단으로 활용한 제3구성과 달리 본 구성은 통상의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적합한 내장 키를 추가로 구성하므로써 동일 키 확률 축소 수단이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보다 상세히는 실린더(3)와 실린더에 꼽 히는 내통체(4)와 실린더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조임되는 걸림부(6)와 내통체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아 내통체 측면 구멍(49)에 꼽힌 다수의 판체핀(8A) 또는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을 실린더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서 정렬되어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되는 도어 잠금장치에서, 도 12A처럼 열쇠 구멍을 통해 내장 키 1개 또는 2개 이상(도 7A, 도 7D 참고) 열쇠 구멍 하면에 솟아오르게 하고 이를 열쇠 선단부와 경사면(제9구성 참고)으로 가압하여 동일키 확률 축소 수단으로 하고, 도 12B처럼 내통체 하면에서 내장 키 1개 또는 2개 이상(도 7F, 도 7G 참고)을 열쇠 구멍을 향해 솟아오르게 하고 이를 열쇠 선단부와 경사면(제9구성 참고)으로 가압하여 동일키 확률 축소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내장 키(210, 220, …, 290, … 등)가 다수(도 7K, 도 7L, 도 7M, 도 7N, 도 7O, 도 7P 참고)로 되고 내통체 선단부 삽입 구멍은 상기 내장 키 선단부 동일 위치, 동일 수, 동일 단면인 선단부 삽입 구멍(40)이 분리되게 형성된 내통체이고, 내통체 측면에 각 내장 키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이 가압하는 판체핀 또는 분할 판체핀 삽입 구멍(49)이 형성된 내통체이며 상기 분할 판체핀을 단층으로 스프링 걸림판(775 ; 도 7J 참고)으로 고정하고 그 외 내장 키는 상기 스프링 걸림판에 형성한 내장 키 삽입 구멍을 경유, 상기 내통체 선단부 삽입 구멍에 꼽고 복층으로 스프링 걸림판으로 가압 고정하고 회동축(46)을 회동축 구멍(48)에 꼽고 고정한 내통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본 발명의 동일 키 확률을 최소화하는 수단으로 다수의 내장 키를 사용하므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8구성(도 6, 도 11A 참고)은 내통체의 선단부(41) 또는 돌출부(45) 또는 회동축(46)에 걸림 요홈(414)을 형성하고 실린더(3)에 내통체 걸림 요홈(414)과 동일 위치의 구멍(314)과 판체핀 하측 돌부(87)이 꼽힌 요홈(340)에 핀(10)의 하단부(12)가 꼽힐 핀 구멍(32)을 형성하며 회동편 방향으로 상부에 핀 구멍(315)을 갖는 돌부(316)를 내통체의 선단부(41)에 걸림 요홈이 있을 시 형성하며 돌출부 또는 회동축에 걸림 요홈이 있을 시(도 11C 참고)는 핀 구멍(32)과 내통체 선단부 사이에 돌부(316)를 형성한 실린더(3)로 하고, ㄱ형 선단부(810), 핀 구멍(850)을 형성한 하단부(820), 중앙부(830)로 된 레버(800)와 선단부(11), 걸림링(13), 하단부(12)로 된 핀(10)과 스프링(787)을 구비하여 실린더에 핀(10)의 하단부(12)를 핀 홀(32)에 판체핀 하측 돌부(87)에 맞닿게 꼽고 레버 선단부(810)가 구멍(314)과 내통체 걸림 요홈(414)에 꼽고 핀 선단부(11)를 레버 중앙부(830)로 가압하면서 돌부의 핀 구멍(315)과 레버 하단부(820)의 핀 구멍(850)과 스프링(787)을 결합한 후, 열쇠를 꼽으면 경사면(117, 127 또는 108)에 의해 판체핀 상측 돌부(86)를 요홈(330)에서 뽑아지며 내통체 외면과 동일면이 되며 동시에 판체핀 하측 돌부(87)이 핀 하단부(12)를 실린더 내면과 동일면이 되게 밀어 핀 선단부(11)가 레버 중앙부(830)를 들어 올려 레버 선단부(810)를 걸림 요홈(414)에서 뽑아지게 하여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구조로 되어 레버(800)는 다른 전원 없이도 강제 회전 방지 수단이 되는 빗장 잠금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9구성은 제1구성, 제2구성과 제5구성, 제6구성, 제8구성의 강제 회전 방지 수단으로는 동일 키 확률 축소에 크게 활용되지 못하며 제3구성과 제7구성의 내장 키 수를 많게 하므로써 동일 키 확률 축소가 되므로 내장 키 상면을 가압할 열쇠의 선단부(109, 119, 129, 139)와 수직 선단부(139) 또는 열쇠의 경사면(108)과 경사면(108) 사이에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04, 1104)을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한 열쇠(도 9B, 도 9C, 도 9E, 도 9G, 도 9I, 도 9J 참고)와 열쇠의 경사면(107, 108, 117, 118, 127, 128)과 M형 음각 열쇠(도 9H 참고)의 경사면(1107)에 수평면(106, 116, 126, 1106) 또는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03, 113, 123, 1103)을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한 열쇠(도 9G, 도 9I, 도 9J 참고)로 하여 내통체 측면의 판체핀 또는 분할 판체핀 수를 증가시켜 전체적으로 선단부(119, 129, 139)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04, 1104)과 선단부(109, 119, 129)로 내장 키 상면을 가압하는 것과 동시에 열쇠 경사면의 수평면(106, 116, 126) 또는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03, 113, 123, 1103)을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므로써 핀 수를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어 동일 키 확률을 더더욱 줄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따라서, 제1구성∼제3구성과 제4구성∼제8구성에 본 발명의 열쇠를 각각 추가하므로써 강제 회전 방지를 극대화하고 동일 키 확률 축소를 극대화하는 도어 잠금장치가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이같은 구조는 제1구성∼제3구성은 데드락, 디지털 도어록에 적합하고, 제4구성은 원통형 도어록, 레버형 도어록에 적합하며, 제5구성∼제9구성은 자동차 도어록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통상의 도어 잠금장치에 1∼2개 이상의 내장 키를 추가한 구조와 계단면, 나선형, 치차, Twist, 빗장 레버, 잠금판 등인 강제 회전 방지 구조로 되 고 동시에 열쇠 크기(Size)는 동일하면서 동일 키 확률을 줄이는 효과로 3∼5중 안전 기능이 있어 외부인이 쉽게 도구 및 만능 키로 열기 힘들고, 열쇠 구멍에 도구를 강제 회전하더라도 무전원 맞물림 및 빗장 레버가 있어 열기 힘들고, 파손시키더라도 맞물린 치차, Twist가 전단(Torque Share)에서 분리만 되고 고강도 핀이 내장되어 있어 드릴로 파손이 힘든 구조로 되어, 원통형 도어록, Dead Lock, 디지털 도어록의 아날로그 비상 키, 자동차 도어록 분야 등에 활용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실린더(3)와 이 실린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의 열쇠 구멍(42)이 형성된 내통체(4)와 상부핀(92)과 하부핀(91)으로 분할 형성되며 실린더(3)와 내통체(4)에 동시에 관통, 결합된 다수개의 핀(91, 9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쇠(100)를 꼽으면 굴곡면(103)에 의해 상기 상·하부핀의 경계면이 실린더와 내통체의 경계면을 따라 정렬되므로 내통체를 회전하여 잠금 해제가 되는 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로써, 실린더(3)와 실린더에 꼽히는 내통체(4)와 실린더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조임되는 걸림부(6)와 내통체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아 상기 내통체 측면 판체핀 구멍(49)에 꼽힌 다수의 판체핀(8A)을 실린더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서 정렬되어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내통체 선단부(41) 또는 하부에 치차 또는 비틀어진(Twist) 돌출부(45)를 형성하며 이에 회동축(46)을 일체로 한 내통체로 하고, 실린더(3) 내면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치차형 돌출부와 맞물릴 음각 요홈(333)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며, 치차(441)가 음각 요홈(333)에 맞물리고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음각 요홈에서 치차형 돌출부가 벗어지는 위치에 고정용 걸림부(6)가 고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때, 열쇠를 꼽으면 다수의 상·하부핀(92, 91) 정렬이 되어 열쇠를 회전하면서 동시에 당겨 치차를 음각 요홈에서 벗어나게 한 후,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됨을 알 수 있다. 강제 회전시 치차와 내통체 하면 사이에 전단부(Torque Share ; 490)에서 내통체는 분리되고 치차는 스프링으로 당겨져 뽑아지지 않으며 치차에 고강도 핀이 내장될 시 드릴로도 파손키 힘든 구조가 되며 이같은 구조는 자동차 도어록에 적합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결합 일부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결합 평면도이며, 도 4D는 도 4C의 회전 단면도로써, 제2구성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본 도면에는 잠금판(도 10A, 도 10G 참고)이 표기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써, 돌출부(45)가 숫나사이며 실린더(3) 내면 하부에 숫나사(442)가 맞물릴 암나사(33)가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결합 단면도로써, 숫나사(442)가 암나사(33)에 맞물려 있고 특히 숫나사가 암나사의 중앙에 있을시 실린더 하면에 내통체 돌출부가 맞닿을 때 잠금 또는 해제되고 열쇠를 반대로 회전, 원위치에서 계속 회전하면 열쇠가 해제 또는 잠금되고 원위치로 회전하고 열쇠를 수직으로 당기면 열쇠가 뽑아지고 내통체를 회전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도 5C는 흡수 회동축 단면도로써, 도 3, 도 4, 도 5에서 내통체가 수직으로 이동할 때 회동축(46)을 각진 회동축으로 하고 프렌지(51)와 각진 구멍(52)을 갖는 흡수 회동축(50)을 실린더 내통체 삽입 구멍 하면에 꼽고 회동편(8)과 함께 걸림부(6)로 고정하고 각진 회동축(46)을 각진 구멍(52)에 꼽고 결합하면 내통체 수직 이동을 각진 구멍에서 이동하여 회동편(8)은 좌·우 회전만 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도 4, 도 5 구조는 데드락, 디지털 도어록에 적합한 구조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써, 내통체(4)에 선단부(710), 하단부(720), 중앙구멍(740)인 잠금판(700 ; 도 10A 참고)이 내통체 측면 구멍(410)을 관통, 상부핀 홀(47)과 관통되고 열쇠 선단부(41) 측에 걸림 요홈(414)이 형성된 내통체(4)와 실린더(3)에 내통체의 걸림 요홈(414)과 동일 위치에 구멍(314)과 내통체 잠금판 선단부 삽입 구멍인 상부핀 홀(47)과 동일 위치에 구멍(310)이 형성되고 실린더 하측에 돌부(316)가 형성된 실린더이며, 도 11A처럼 선단부(810), 중앙부(830), 핀 구멍(850)을 갖는 하단부(820)로 된 레버(800)와 선단부(11), 하단부(12), 걸림링(13)으로 된 핀(10)과 스프링(787)으로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결합 단면도로써, 내통체(4)에 잠금판(700)이 구멍(410)을 관통, 내통체 상부핀 구멍(47)에 선단부(710)가 꼽혀 있고 레버의 선단부(810)가 실린더 구멍(314)을 관통, 내통체 걸림 요홈(414)에 꼽히고 구멍(310) 에 핀 하단부(12)가 내통체 잠금판 선단부에 맞닿으며 내통체에 꼽혀 있고 선단부(11)를 레버 중앙부(830)가 가압되는 상태에서 돌부(316)의 핀 구멍(315)에 스프링(787)과 함께 레버 하단부 핀 구멍(850)에 핀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열쇠를 꼽아 열쇠 선단부(109)와 경사면(108)이 잠금판 중앙 구멍(740)에 꼽히면서 잠금판을 상측으로 밀어 잠금판 하단부(720)가 실린더 구멍(320)에서 뽑아지며 내통체 외면과 동일면이 되며 동시에 레버 선단부(810)를 요홈(414)에서 뽑아지게 하고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내장 키 설명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다수의 내장 키 설명도이며, 도 7E는 도 7D의 연장된 열쇠 구멍에 삽입된 내장 키 설명도이고, 도 7F는 본 발명의 내통체 하면에서 삽입하는 다수의 내장 키 설명도이며, 도 7G는 도 7F의 다른 실시예의 내장 키 설명도이고, 도 7H는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내장 키 설명도이며, 도 7I는 도 7F의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 설명도이고, 도 7J는 도 7F의 내장 키 삽입판 평면도로써, 제7구성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 7K는 도 7F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L은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7M은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N은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7O는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P는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써, 도 7I처럼 자동차 열쇠(도 9 참고)의 선단부(109, 119, 129, 139)와 경사면(107, 108, 117, 118, 127, 128)의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과 일치되도록 내장 키 선단부 (211, 221, …)의 위치와 수가 판체핀(8A) 중앙 열쇠 구멍(도 10D, 도 10E, 도 10F 참고)과 분할 판체핀(도 13E 참고)의 중앙 열쇠 구멍 범위 내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는 본 발명의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데드락 내장 키 설명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도 12A에서 열쇠 구멍으로 1개의 내장 키를 삽입하는 데드락용 내장 키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내통체 하면에서 삽입되는 다수의 내장 키 사시도로써, 도 12B처럼 내통체 하면에서 각 내장 키가 분리되게 선단부 삽입 구멍(40)을 형성하며 내장 키 하단부가 돌설 하단부(212, 222, …)로 되어 선단부(211, 221, …)보다 크게 형성하여 충분한 스프링(707) 공간을 확보하며 상면에 돌부 구멍(200)에 돌부(2)를 다양한 높이 또는 기하학적 돌부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장점이 있고 데드락 구조에 적합하다. 도 8D는 본 발명의 데드락 다수 내장 키 평면도이고, 도 8E는 도 8D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8F는 도 8D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써, 도 7D와 도 7F와 도 7H의 내장 키를 열쇠(도 9B, 도 9C 참고)의 경사면(108) 또는 경사면과 경사면 사이의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04) 위치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분포된 내장 키를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평면 열쇠 정면도로써, 경사면에 수평면(106)이 형성되어 도 10A의 잠금판 또는 도 10D의 판체핀을 중앙 구멍(84)과 수평면(106) 위치에서 동일면이 되며 제1구성과 제5구성 설명과 동일하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열쇠 정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측면도로써, 도 8D, 도 8E, 도 8F 설명과 동일하다. 도 9D는 본 발명의 또다른 열쇠 정면도로써, 통상의 수직 선단부(109)를 갖는 평면 열쇠의 선단부에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04)을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하여 도 12A, 도 12B의 내장 키 상면을 가압하는 데드락용 열쇠이다. 도 9E는 본 발명의 음각 열쇠 정면도로써, 도 9D처럼 선단부(139)에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을 형성한 음각 열쇠이다. 도 9F는 본 발명의 다른 열쇠 정면도로써, 도 9A 설명과 동일하다. 도 9G는 도 9E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로써, 경사면(117)에 수평면(116)을 형성하여 수평면의 요홈(1104)과 달리 도 10C의 잠금판 형태를 판체핀으로 하여 제5구성에서 음각 열쇠로 활용된다. 도 9H는 도 9E의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로써, 제5구성에서 본 발명의 음각 열쇠와 도 10E의 판체핀이 함께 활용된다. 이때, 도 10G와 다르게 중앙판(130)에는 경사면(1107)과 수평면(1106) 또는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03)을 상호 대칭되게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하고 판체핀(8A)을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하므로써 동일 키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9I는 본 발명의 양각 열쇠 정면도로써, 도 13A에서 선단부(139)에 기하학적 돌부(1104) 또는 요홈 및 경사면(118, 128)에 수평면(116, 126)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 123)이 형성되어 있고 판체핀(도 10F 참고)이 꼽히며 제5구성에도 활용되는 양각 열쇠이다. 도 9J는 본 발명의 양·음각 열쇠 정면도로써, 도 9G와 도 9I가 상·하, 전·후에 형성된 양·음각 열쇠로 도 9G, 도 9I 설명과 동일하다.
도 10A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한 실시예의 잠금판 평면도로써, 선단부(710), 하단부(720), 중앙 구멍(740)과 선단부 양측에 걸림턱(780), 하단부 양측에 걸림턱(790)을 형성하며 선단부와 하단부 길이가 내통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740)에는 내장 키 경사면(216)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게 되며 선단 부가 하단부(720)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고, 이때 핀(10) 크기로도 할 수 있어 내통체 선단부(710) 삽입 구멍도 핀이 맞닿으며 내통체에 걸리게 한다. 도 10B는 도 10A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써, 열쇠 선단부와 탄환형 경사면이 꼽히게 중앙 구멍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C는 도 10A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써, 열쇠가 음각 열쇠(도 9G 참고)에 활용되게 음각 열쇠의 경사면(107)에 의해 돌부(745)가 밀리거나 당겨져 잠금판이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도 10D는 판체핀 정면도이며, 도 10E는 도 10D의 다른 실시예의 판체핀 정면도이고, 도 10F는 도 10D의 또다른 실시예의 판체핀 정면도로써, 열쇠(도 9A, 도 9F 참고)의 평면 열쇠와 음각 열쇠(도 9H 참고)와 양각 열쇠(도 9I 참고)에 활용되어 각 열쇠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 10G는 도 10A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10H는 도 10A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로써, 하측 돌부(735)는 제2구성 설명과 동일하고 축봉(730)은 스프링(717)으로 가압되어 하단부(720)가 실린더 요홈(320)에 잠금판이 꼽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선단부 하측에 형성하면 선단부(710)가 실린더 선단부 삽입 구멍에 꼽히게 한다.
도 11A는 본 발명에 활용되는 레버 설명도로써, 선단부(810), 하단부(820), 중앙부(830)로 된 레버(800)에서 선단부(810)는 ㄱ형으로 되고 하단부(820)에 핀 구멍(8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고, 도 11C는 도 11A의 또다른 실시예의 설명도로써, 제8구성 설명과 동일하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내장 키를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한 설명도로써, 내장 키 1개(210 ; 도 7A 참고)로 되어 있으나 제7구성 설명에서처럼 내장 키는 2개 이 상(도 7D 참고)을 활용하며 자동차 도어록 경우에는 도 7I, 도 7K, 도 7L, 도 7M, 도 7N, 도 7O, 도 7P의 설명처럼 연장된 열쇠 구멍(422)이 형성되고 데드락에서는 내장 키 1개 경우에는 도 8A, 도 8B가 활용되고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도 7D의 내장 키를 도 8D, 도 8E로 열쇠 구멍에 연장된 열쇠 구멍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내장 키를 내통체 하면에서 삽입하는 설명도로써, 자동차 도어록에서는 도 7F의 내장 키, 도 7G의 내장 키 등을 2개 이상 도 7I, 도 7K, 도 7L, 도 7M, 도 7N, 도 7O, 도 7P처럼 내통체 하면에서 내장 키 선단부 열쇠 구멍에 분리되게 형성하며 데드락에서는 도 8C 외에 내장 키(도 7F, 도 7H 참고)를 도 8D, 도 8E, 도 8F처럼 내통체 하면에서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을 분리되게 형성하며, 그 외 제7구성 설명과 동일하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양각 열쇠 사시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측단면도로써, 열쇠(100)는 중앙판(130)에 전면(110)과 이면(120) 상·하부에 선단부(119), 경사면(118),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과 선단부(129), 경사면(128),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23)이 길이방향 요홈(105)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돌출된 양각 열쇠가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13C는 도 13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도 13A에서 열쇠 중앙판(130)을 없게 한 양각 열쇠로 도 13A, 도 13B 설명과 동일하다. 도 13D는 상·하로 분할하기 전 판체핀 정면도로써, 판체핀(8A)에서 열쇠 구멍 하측에 돌부(85)를 갖는 걸림부(82)가 형성된 판체핀(8D)으로 하고 판체핀(8E)은 열쇠 구멍 하측에 판체핀(8D)과 대칭되는 위치에 돌부(85)를 갖는 걸림부(83)가 형성된 판체핀을 나타낸다. 도 13E는 양각 열쇠에 활용되는 분할 판체핀 평면도 및 삽입 구멍 설명도로써, 도 13D의 판체핀(8D, 8E)을 상·하로 절단하여 스프링 걸림부(81)와 걸림부(82, 83)를 각각 갖는 분할 판체핀(8B, 8C)으로 한 분할 판체핀을 나타낸다. 다만, 내통체 판체핀 구멍(49)은 각각 상·하로 분리된 구멍(49)으로 하며 스프링(9)이 삽입될 스프링 구멍(499)을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며 이들을 1쌍의 분할 판체핀(8B, 8C)으로 하고 다른 1쌍의 분할 판체핀(8C, 8B)을 내통체 판체핀 구멍(49) 상·하 양측에서 삽입할 수 있다. 도 13F는 도 13E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로써, 도 13E와 달리 분할 판체핀(8B, 8C)을 상·하 양측에서 삽입하는 분할 판체핀이며 이같은 분할 판체핀을 2쌍으로 삽입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도 13E와 동일하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음각 열쇠 사시도로써, 열쇠(100)는 열쇠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 123)을 중앙판에 음각으로 들어가게 형성하며 중앙판 선단부(139) 상·하에서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 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17, 127)을 지속되게 형성한 열쇠 전면(110) 상·하부와 이면(120) 상·하부가 음각으로 된 공지의 열쇠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음각 열쇠에서 선단부(139)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을 형성하거나 선단부(139) 상·하부에서 속으로 들어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107)과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03) 또는 수평면(1106)이 1개 또는 2개 이상 중앙판(130)에 상호 대칭되게 절삭한 M자형 선단부로 할 수 있다(도 9H 참고). 또한, 도 9G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음각 열쇠는 선단부(139)에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과 경사면(117)에 수평면(116),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을 형성한 음각 열쇠로 할 수 있다. 도 14B는 음각 열쇠에 활용 되는 분할 판체핀 평면도로써, 내통체 분할 판체핀 구멍은 도 13E와 동일하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양·음각 분할 판체핀 평면도로써, 양·음각 열쇠는 도 9J 설명과 동일하며 이같은 양·음각 열쇠에 활용되는 분할 판체핀을 나타낸다. 도 15B는 도 15A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15C는 도 15A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써, 도 15B는 분할 판체핀(8B)은 열쇠 구멍 중앙의 돌부(85) 하측으로 동일면이 되는 상·하 수직 절단면(28)을 갖는 음각 분할 판체핀이며 분할 판체핀(8C)은 걸림부(83)를 갖는 돌부(85)가 하면이 연장되게 하고 돌부에 좌·우 수평 절단면(27)을 갖는 걸림부(83)와 상기 분할 판체핀(8B)의 수직 절단면(28)과 나란하게 수직 절단면(28)을 형성한 양각 분할 판체핀으로 되어 내통체 판체핀 구멍 하측에서 분할 판체핀(8C) 상측 돌부로부터 판체핀 구멍 상측으로 나오게 꼽고 스프링(9)을 걸림부(81)로 가압되게 꼽은 후 분할 판체핀(8B)을 상측에서 꼽아 분할 판체핀(8C)의 수직 절단면(28)과 분할 판체핀(8B)의 상·하 수직 절단면(28)이 나란하게 삽입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분할 판체핀(8B) 수직 절단면과 분할 판체핀(8C)의 수직 절단면 사이에 실린더의 각 요홈에 꼽히게 공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분할 판체핀(8B, 8C)의 열쇠 구멍(84)에 양·음각 열쇠를 꼽으면 열쇠 전면(110)의 음각 열쇠와 전면 하부의 양각 열쇠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에 의해 음각 열쇠의 돌부(85) 높이에 따라 걸림부(82)가 가압되고 양각 열쇠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에 의해 돌부(85) 높이에 따라 걸림부(83)가 가압되어 각 상측 돌부(86)가 실린더 요홈(330)에서 뽑이지며 내통체와 동일면이 되어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된다. 또한, 이같은 분할 판체핀을 2쌍으로 한 분할 판체핀(8B, 8C, 8C, 8B)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5C는 양각 분할 판체핀(8C)을 내통체 판체핀 구멍 상·하 양측에서 각각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2쌍으로 하여 4개의 분할 판체핀(8B, 8C, 8C, 8B)을 각각 독립된 구멍에 삽입하거나 판체핀 구멍에 상호 대칭되는 횡돌부(497)를 각각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여 분리되게 삽입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결합 일부 단면도
도 4C는 도 4B의 결합 평면도
도 4D는 도 4C의 회전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결합 단면도
도 5C는 흡수 회동축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결합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내장 키 설명도
도 7B는 도 7A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7C는 도 7B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7D는 본 발명의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다수의 내장 키 설명도
도 7E는 도 7D의 연장된 열쇠 구멍에 삽입된 내장 키 설명도
도 7F는 본 발명의 내통체 하면에서 삽입하는 다수의 내장 키 설명도
도 7G는 도 7F의 다른 실시예의 내장 키 설명도
도 7H는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내장 키 설명도
도 7I는 도 7F의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 설명도
도 7J는 도 7F의 내장 키 삽입판 평면도
도 7K는 도 7F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L은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M은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N은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O는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P는 도 7F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데드락 내장 키 설명도
도 8B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내통체 하면에서 삽입되는 다수의 내장 키 사시도
도 8D는 본 발명의 데드락 다수 내장 키 평면도
도 8E는 도 8D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8F는 도 8D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평면 열쇠 정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열쇠 정면도
도 9C는 도 9B의 측면도
도 9D는 본 발명의 또다른 열쇠 정면도
도 9E는 본 발명의 음각 열쇠 정면도
도 9F는 본 발명의 다른 열쇠 정면도
도 9G는 도 9E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9H는 도 9E의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9I는 본 발명의 양각 열쇠 정면도
도 9J는 본 발명의 양·음각 열쇠 정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한 실시예의 잠금판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C는 도 10A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D는 판체핀 정면도
도 10E는 도 10D의 다른 실시예의 판체핀 정면도
도 10F는 도 10D의 또다른 실시예의 판체핀 정면도
도 10G는 도 10A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0H는 도 10A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활용되는 레버 설명도
도 11B는 도 11A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1C는 도 11A의 또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내장 키를 열쇠 구멍을 통해 삽입한 설명도
도 12B는 본 발명의 내장 키를 내통체 하면에서 삽입하는 설명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양각 열쇠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측단면도
도 13C는 도 13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D는 상·하로 분할하기 전 판체핀 정면도
도 13E는 양각 열쇠에 활용되는 분할 판체핀 평면도 및 삽입 구멍 설명도
도 13F는 도 13E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음각 열쇠 사시도
도 14B는 음각 열쇠에 활용되는 분할 판체핀 평면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양·음각 분할 판체핀 평면도
도 15B는 도 15A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5C는 도 15A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핀 11, 12 : 선단부, 하단부
13 : 걸림링 100 : 열쇠
103, 113, 123, 1103 :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
104, 1104 :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 106, 116, 126, 1106 : 수평면
107, 108, 117, 118, 127, 128, 1107 : 경사면
109, 119, 129, 139 : 선단부 110, 120 : 열쇠 전면, 이면
130 : 열쇠 중앙판 20 : 회동축(46)
201 : 측면 요홈 210, 220, … : 내장 키
211, 221, … : 선단부 212, 222, … : 하단부(돌설 하단부)
214, 224, … : 상면
218, 228, … : 길이방향 요홈 또는 구멍 219, 229, … :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
3 : 실린더 31 : 단턱부
32 : 하부핀 홀 33 : 암나사
38 : 실린더 하면 요홈 39 : 요홈 유격
310, 320 : 선단부, 하단부 삽입 구멍 314 : 레버 삽입 구멍
316 : 돌부
330, 340 : 상·하측 길이방향 요홈 또는 구멍
333 : 음각 요홈 4 : 내통체
40 :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 41 : 내통체 선단부
42 : 열쇠 구멍 43 : 돌부
44 : 내통체 하면 45 : 돌출부
46 : 회동축 47 : 상부핀 홀
48 : 회동축(20) 삽입 구멍 49 : 판체핀 구멍
410 : 잠금판 삽입 구멍 411 : 판체핀 구멍
414 : 걸림 요홈 417, 427, … : 스프링 삽입 구멍
418, 428, … : 핀 구멍 422 : 연장된 열쇠 구멍
440 : 계단면 또는 경사면 441 : 치차(Gear) 또는 트위스트(Twist)
442 : 숫나사(나선부) 490 : 전단부(Torque Share)
499 : 소스프링 구멍 50 : 흡수 회동축
52 : 각진 구멍 6 : 걸림부
7, 77, 707, 717, 737, 787 : 스프링 700 : 잠금판
710, 720 : 선단부, 하단부 735 : 하측 돌부
740 : 잠금판 중앙 구멍 771, 776 : 내장 키 삽입 구멍
775 : 내장 키 삽입판 또는 스프링 걸림판
780, 790 : 걸림턱 8A, 8D, 8E : 판체핀
8B, 8C : 분할 판체핀 81 : 스프링 걸림부
82, 83 : 걸림부 84 : 열쇠 구멍
85 : 돌부 86, 87 : 상측·하측 돌부
800 : 레버 810, 820 : 선단부, 하단부
830 : 중앙부 9 : 스프링
92, 91 : 상·하부핀

Claims (29)

  1. 실린더(3)와 이 실린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통체(4)에 열쇠 구멍(42)과 하면에 회동축(46)을 형성하여 실린더(3)와 내통체(4)에 동시에 관통 결합된 다수개의 핀(91, 9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열쇠(100)를 꼽으면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03)에 의해 상기 상·하부핀(92, 91)이 내통체(4)의 경계면을 따라 정렬되어 내통체(4) 및 회동축을 좌·우로 회전시켜 잠금과 해제가 되게 한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하부 측면에 잠금판 구멍(410) 1개 또는 2개 이상을 형성하고 열쇠 구멍(42)이 연장되어 각 잠금판 구멍과 하나의 공간이 되는 내통체(4)로 하고, 실린더(3)는 측면에 상기 내통체 잠금판 구멍 위치에 통상의 하부핀(91)이 꼽힐 핀 구멍(32)과 잠금판 하부(720)가 꼽힐 구멍(320)이 잠금판 수만큼 형성된 실린더이고, 잠금판(700)은 상·하부에 걸림턱(780, 790)과 중앙에 탄환형 경사면 또는 평면 열쇠의 경사면(108)이 꼽힐 중앙 구멍(740)이 형성되고, 열쇠(100)는 선단부(109)와 경사면(108)을 갖는 평면 열쇠이거나 탄환형 열쇠 또는 경사면(108) 사이에 수평면(106)을 형성한 열쇠로 하고 내통체 잠금판 구멍(410)에 잠금판을 꼽고 실린더(3)에 내통체(4)를 결합, 실린더 핀 구멍(32)에 하부핀(91)을 스프링(9)과 함께 꼽아 잠금판 선단부(710)를 가압하여 하단부(720)가 구멍(320)에 걸림턱까지 꼽히게 한 후 열쇠를 꼽고 열쇠를 회전 또는 수직 가압하여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판(700)과 잠금판 삽입 구멍(410)을 없애고 내통체에 상부 핀 구멍(47)을 형성하고 실린더의 하부핀 구멍(32)과 내통체 상부핀 구멍(47)이 일치되는 위치에 상·하부핀(92, 91)과 스프링(9)으로 가압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잠금판(700)은 선단부 하측에 돌부(735)를 형성한 잠금판으로 하고 상기 잠금판 하측에 계단면(440)을 갖는 돌출부(45)를 일체로 형성하고 실린더 내면 하부에 상기 돌출부의 계단면(440)이 걸릴 단턱부(31)를 형성한 유격(39)을 갖는 요홈(38)을 형성하고 내통체(4)를 유격만큼 회전하고 수직으로 당겨 요홈(38)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걸림부(6)를 고정하고, 열쇠를 꼽으면 잠금판 선단부가 위로 솟아오르며 동시에 상기 유격(39)에 꼽힌 잠금판 선단부 하측 돌부(735)가 벗어져 계단면 돌출부를 요홈에 꼽고 유격만큼 수평 회전, 계단면이 단턱부(31)에 걸리게 하고 열쇠를 수직으로 당겨 뽑으면 잠금판의 하측 돌부(735)가 유격에 꼽혀 내통체를 좌·우 회전치 못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잠금판은 선단부 하측에 하측 돌부(735)가 없는 잠금판이고 계단면인 돌출부를 직사각, 정사각, 오각, 타원 등의 기하학적 돌출부가 비틀어진 돌출부이고, 단턱부를 갖는 요홈(38)을 상기 비틀어진 돌출부와 맞물릴 비틀어진 음각 요홈(3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비틀린(Twist) 돌출부(45)를 나선형 숫나사(442)로 하고 필요에 따라 내통체 상부에 숫나사를 형성하며 실린더의 비틀어진 요홈을 상기 나선형 숫나사와 조임될 암나사(33)로 하고 필요에 따라 실린더 내면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잠금판을 없애고 열쇠(100)는 경사면(108)이 있는 열쇠 또는 경사면이 없는 평면 열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실린더 내면 하부 암나사(33)를 상기 숫나사(442)와 맞물리는 암나사(33)로 하되 전·후 지속되게 형성하여 전진 회전시 잠금 또는 해제되고 원위치에서 후진 회전시 해제 또는 잠금되며 원위치에서 열쇠를 수직으로 당기면 열쇠가 뽑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잠금판(700)을 없애고 열쇠(100)는 경사면(108)이 있는 열쇠 또는 경사면이 없는 평면 열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9. 실린더(3)와 이 실린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통체(4)에 열쇠 구멍(42)과 하면에 회동축(46)을 형성하여 실린더(3)와 내통체(4)에 동시에 관통 결합된 다수개의 핀(91, 9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열쇠(100)를 꼽으면 굴곡면 상 면 또는 요홈(103)에 의해 상기 상·하부핀(92, 91)이 내통체(4)의 경계면을 따라 정렬되어 내통체(4) 및 회동축을 좌·우로 회전시켜 잠금과 해제가 되게 한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열쇠 구멍 하면에 내장 키 1개 또는 2개 이상이 각각 분리되게 삽입될 연장된 열쇠 구멍(422)을 형성하고 내통체 측면에 핀 구멍(418, 428, …)과 상부핀 홀(47)과 스프링 삽입 구멍(417, 427, …)을 형성한 내통체(4)이며, 기하학적 형상인 상면(214, 224, …)과 선단부(211, 221, …)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방향 요홈(218, 228, …)과 그 하측에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과 그 하측에 하단부(212, 222, …)를 형성한 내장 키(210, 220, …)과, 실린더(3)에 상기 내통체 상부핀 홀(47) 위치에 하부핀 홀(32)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여, 상기 내통체 열쇠 구멍을 통해 상기 각 내장 키 하단부(212, 222, …)로부터 꼽아 연장된 열쇠 구멍(422)에 각각 분리되게 꼽고 스프링 삽입 구멍(417, 427, …)을 통해 스프링(707)을 각 하단부(212, 222, …)에 삽입하고 핀(1)으로 핀 구멍(417, 427, …)을 관통, 각 내장 키 길이방향 요홈(418, 428, …)에 꼽아 고정하여 하나의 내통체로 한 후, 실린더(3)에 내통체(4)를 꼽고 각 핀 홀(32, 47)에 상·하부핀(92, 91)과 소스프링(9)으로 가압하며 결합하고, 열쇠를 꼽아 상기 내장 키의 상면(214, 224, …)을 열쇠의 선단부와 경사면(108) 또는 경사면과 경사면 사이의 기하학적 요홈(104)으로 가압하면 각 내장 키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에 의해 상·하부핀이 정렬되어 열쇠를 회전 또는 수직 가압하여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내통체(4)와 일체인 회동축(46)을 분리하여 내통체와 회동축(20 ; 46)으로 구분하고 내통체 하면(44)에 회동축(20 ; 46)이 꼽히는 회동축 구멍(48)과 각 내장 키 연장된 열쇠 구멍(422)과 하나의 공간이 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장 키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걸림 요홈을 없애고 필요에 따라 하단부(212, 222, …)는 돌설 하단부로 한 내장 키(210 또는 220, 230, 240)로 하여 상기 내장 키 선단부(211, 221, …)로부터 내통체 하면에서 각 내장 키 삽입 구멍에 꼽고 각 하단부(돌설 하단부)에 스프링(707)을 꼽은 후 스프링 걸림판(775)으로 내통체 하면에서 고정한 후 회동축을 회동축 구멍(48)에 꼽고 고정하여서 된 내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내통체 열쇠 구멍 하면의 선단부 삽입 구멍(40 ; 422)을 열쇠의 경사면(108)과 경사면 사이의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04) 위치에 형성한 내통체로 하고, 내장 키(210, 220, 230, 240)는 내장 키의 선단부(211, 221, …)가
    Figure 112008501153399-PAT00025
    형으로 되어 내통체 상부핀 홀(47)과 각을 가지며 꺾여 상기 내장 키 선단부 삽입 구멍에 삽입되게 형성한 내장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내통체 열쇠 구멍 하면 선단부 삽입 구멍은 선단부(211, 221, 231, 241)와 상기 선단부 사이의 선단부(251, 261, 271, 281)가 꼽힐 선단부 삽입 구멍을 각각 분리되게 형성하고 내통체 측면에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239, 249)과 동일 위치, 동일 수의 상부핀 홀(47)과 그 하측에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59, 269, 279, 289)과 동일 위치, 동일 수의 상부핀 홀(47)을 형성한 내통체이며 실린더(3)에는 상기 내통체 상부핀 홀과 동일 위치, 동일 수의 하부핀 홀(32)이 형성되고 스프링 걸림판(775)은 추가로 형성한 선단부 삽입 구멍(40)과 동일 위치, 동일 수의 내장 키 삽입 구멍이 형성된 스프링 걸림판으로 구성되어 내장 키 선단부(251, 261, 271, 281)를
    Figure 112008501153399-PAT00026
    자로 형성한 내장 키로 하여 스프링 걸림판(775) 하측에 복층으로 된 하나의 내통체로 하여 실린더(3)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3. 실린더(3)와 실린더에 꼽히는 내통체(4)와 실린더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조임되는 걸림부(6)와 내통체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아 내통체 측면 구멍(49)에 꼽힌 다수의 판체핀(8A)을 실린더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서 정렬되어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되는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선단부(41) 또는 하부에 치차 또는 비틀어진(Twist) 돌출부(45)를 형성하며 이에 회동축(46)을 일체로한 내통체로 하고, 실린더(3) 내면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치차형 돌출부와 맞물릴 음각 요홈(333)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며, 치차(441)가 음각 요홈(333)에 맞물리고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음각 요홈에서 치차형 돌출부가 벗어지는 위치에 고정용 걸림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4. 실린더(3)와 실린더에 꼽히는 내통체(4)와 실린더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조임되는 걸림부(6)와 내통체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아 내통체 측면 구멍(49)에 꼽힌 다수의 판체핀(8A) 또는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을 실린더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서 정렬되어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되는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하부 측면에 판체핀을 1개 또는 2개 이상 구멍(49)을 관통되게 뚫고 소스프링 구멍(499)을 형성하며 상기 판체핀 구멍과 열쇠 구멍이 하나의 공간이 되는 내통체(4)로 하고, 실린더(3)는 상기 내통체 판체핀 상측 돌부(86)와 하측 돌부(87)가 삽입될 요홈이 통상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 연장된 실린더이고, 열쇠(100)는 중앙판(130) 두께를 두껍게 하고 열쇠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 123)을 중앙판에 음각으로 들어가게 전면과 이면에 형성하며 중앙판 선단부(139) 상·하에서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 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17, 127)을 지속되게 형성한 열쇠 전면(110) 상·하부와 이면(120) 상·하부가 음각으로 된 열쇠에서 중앙판(130)에 수직 선단부(139) 상·하에 속으로 들어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107)과 수평면(1106)과 경사면(1107)이 1개 또는 2개 이상 대칭되게 절삭된 M형의 음각 열쇠이고 판체핀(8A)은 통상의 판체핀 스프링 가압부를 1개 또는 대칭되게 필요에 따라 형성하며 상기 선단부가 M자형으로 된 열쇠가 꼽히는 중앙 구멍(84)은 상·하로 2개소가 분리되게 형성되고 각 열쇠 구멍(84)는 열쇠를 삽입하였을 때 경사면(1107)과 수평면(1106)과 경사면(1107)으로 가압될 때 열쇠가 관통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부 열쇠 구멍(84) 하측을 돌부(85)로 하고 상·하측 돌부 (86, 87)와 양측에 스프링 걸림부(81)가 형성된 판체핀과 소스프링(9)과 열쇠(100)로 구성되어 내통체 판체핀 삽입구멍(49)에 판체핀(8A)을 소스프링과 함께 스프링 걸림부(81)로 가압하며 꼽고 실린더에 내통체를 결합한 후, 열쇠를 꼽아 상기 판체핀 상부 열쇠 중앙 구멍(84)에 삽입될 때 경사면(1107)에 의해 상부 중앙 열쇠 구멍 돌부(85)를 가압하여 판체핀 상측 돌부(86)가 요홈(330)에서 뽑아지며 열쇠의 수평면(1106) 위치에서 내통체 면과 판체핀 면이 동일면이 되어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열쇠(100)는 선단부(109)에서 속으로 들어가면서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108)과 수평면(106)과 경사면(108)을 상·하 대칭되게 형성하며 통상의 다수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을 상·하에 형성한 양각 열쇠이며 판체핀(8A)은 열쇠 구멍이 중앙에 하나로 형성되대 열쇠 선단부로부터 경사면(108)과 수평면(106) 및 경사면(108)이 충분히 꼽힐 수 있는 열쇠 구멍(84)이며 열쇠 구멍 하측을 돌부(85)로 하여 열쇠를 꼽았을 때 경사면(108)에 의해 돌부(85)를 가압, 상측 돌부(86)가 하측으로 뽑아지면서 수평면(106) 위치에서 내통체 면과 동일면이 되어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내통체의 선단부(41) 또는 돌출부(45) 또는 회동축(46)에 걸림 요홈(414)을 형성하고 실린더(3)에 내통체 걸림 요홈(414)과 동일 위치의 구멍(314)과 판체핀 하측 돌부(87)이 꼽힌 요홈(340)에 핀(10)의 하단부 (12)가 꼽힐 핀 구멍(32)을 형성하며 회동편 방향으로 상부에 핀 구멍(315)을 갖는 돌부(316)를 내통체의 선단부(41)에 걸림 요홈이 있을 시 형성하며 돌출부 또는 회동축에 걸림 요홈이 있을 시는 핀 구멍(32)과 내통체 선단부 사이에 돌부(316)를 형성한 실린더(3)로 하고, ㄱ형 선단부(810), 핀 구멍(850)을 형성한 하단부(820), 중앙부(830)로 된 레버(800)와 선단부(11), 걸림링(13), 하단부(12)로 된 핀(10)과 스프링(787)을 구비하여 실린더에 핀(10)의 하단부(12)를 핀 홀(32)에 판체핀 하측 돌부(87)에 맞닿게 꼽고 레버 선단부(810)가 구멍(314)과 내통체 걸림 요홈(414)에 꼽고 핀 선단부(11)를 레버 중앙부(830)로 가압하면서 돌부의 핀 구멍(315)과 레버 하단부(820)의 핀 구멍(850)과 스프링(787)을 결합한 후, 열쇠를 꼽으면 경사면(1107 또는 108)에 의해 판체핀 상측 돌부(86)를 요홈(330)에서 뽑아지며 내통체 외면과 동일면이 되며 동시에 판체핀 하측 돌부(87)이 핀 하단부(12)를 실린더 내면과 동일면이 되게 밀어 레버 선단부(810)를 요홈(414)에서 뽑아지게 하고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내통체 선단부(41) 또는 하부에 치차형 돌출부(45)를 형성하며 이에 회동축(46)을 일체로 한 내통체로 하고, 실린더(3) 내면 선단부 또는 하부에 상기 치차형 돌출부와 맞물릴 음각 요홈(333)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며, 치차(441)가 음각 요홈(333)에 맞물리고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음각 요홈에서 치차형 돌출부가 벗어지는 위치에 고정용 걸림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 금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내통체 선단부(41) 또는 하부에 치차형 돌출부(45)를 형성하며 이에 회동축(46)을 일체로 한 내통체로 하고, 실린더(3) 내면 선단부 또는 하부에 상기 치차형 돌출부와 맞물릴 음각 요홈(333)을 형성한 실린더로 하며, 치차(441)가 음각 요홈(333)에 맞물리고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필요에 따라 스프링(7)을 꼽아 내통체를 당기거나 밀게 하고, 음각 요홈에서 치차형 돌출부가 벗어지는 위치에 고정용 걸림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9. 실린더(3)와 실린더에 꼽히는 내통체(4)와 실린더 외측으로 나온 회동축(46)에 조임되는 걸림부(6)와 내통체 열쇠 구멍(42)에 열쇠(100)를 꼽아 내통체 측면 구멍(49)에 꼽힌 다수의 판체핀(8A) 또는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을 실린더의 길이방향 요홈(330, 340)에서 정렬되어 좌·우 회전, 잠금 해제되는 도어 잠금장치에서, 내통체 열쇠 구멍 하면에 내장 키 1개 또는 2개 이상(210, 220, …)이 각각 분리되게 삽입될 연장된 열쇠 구멍(422)을 형성하고 내통체 측면에 핀 구멍(418, 428, …)과 판체핀(8A) 구멍(411) 또는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 구멍(49)과 각 판체핀에 스프링 걸림부 위치에 소스프링 구멍(499)과 그 하측에 스프링(707) 삽입 구멍(417, 427, …)을 형성한 내통체(4)이며, 기하학적 형상인 상면(214, 224, …)과 선단부(211, 221, …)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방향 요홈(218, 228, …)과 그 하측에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과 그 하측에 하단부 (212, 222, …)를 형성한 내장 키(210, 220, …)와, 실린더(3)에는 상기 판체핀(8A) 또는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의 상측 돌부(86)와 하측 돌부(87)가 꼽힐 길이방향 요홈(330, 340)을 공지의 길이방향 요홈 또는 구멍에 연장한 실린더이며, 판체핀(8A) 또는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과 소스프링(9), 스프링(707), 핀(1)과 열쇠(100)로 구성되어 내통체 측면에 판체핀(8A) 또는 분할 판체핀을 소스프링과 함께 꼽고 열쇠 구멍(42)에 상기 내장 키의 하단부(212, 222, …)로부터 연장된 열쇠 구멍에 분리되게 삽입, 각 판체핀(8A) 또는 분할 판체핀(8B, 8C)의 열쇠 구멍(84)을 관통하고 스프링 구멍(417, 427, …)을 통해 스프링(707)을 하단부(212, 222, …)에 꼽고 핀 구멍(418, 428, …)에 핀(1)을 관통하여 길이방향 걸림 요홈 또는 구멍(218, 228, …)에 꼽아 고정하여서 된 내통체(4)를 실린더에 결합한 후 열쇠(100)를 꼽으면 열쇠의 선단부(109, 119, 129, 139)와 경사면(107, 108, 117, 118, 127, 128)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03, 113, 123)과 선단부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 중 일부 또는 전부로 열쇠 구멍 하면에 솟아오른 내장 키 선단부의 기하학적 상면(214, 224, …)을 가압하여 각 내장 키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219, 229, …)에 의해 판체핀(8A) 또는 분할 판체핀(8B, 8C)의 열쇠 중앙 구멍(84)의 돌부(85)를 가압하여 상측 돌부(86)를 길이방향 요홈(330)에서 뽑아지며 내통체면과 동일면이 되어 열쇠를 회전, 잠금 해제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내통체(4)와 일체인 회동축(46)을 분리하여 내통체와 회동 축(20 ; 46)으로 구분하고 내통체 하면(44)에 회동축(20 ; 46)이 꼽히는 회동축 구멍(48)과 각 내장 키 연장된 열쇠 구멍(422)과 하나의 공간이 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장 키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걸림 요홈을 없애고 필요에 따라 하단부(212, 222, …)는 돌설 하단부로 한 내장 키로 하여 상기 내장 키 선단부(211, 221, …)로부터 내통체 하면에서 각 내장 키 삽입 구멍(40 ; 422)에 꼽고 각 하단부(돌설 하단부)에 스프링(707)을 꼽은 후 스프링 걸림판(775)으로 내통체 하면에서 단층으로 고정한 후 회동축을 회동축 구멍(48)에 꼽고 고정하여서 된 내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열쇠 선단부의 1개 또는 2개 이상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과 경사면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03, 113, 123) 위치에 각 선단부 삽입 구멍(40)이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90˚ 및 기하학적 단면 형상인 내통체이며, 내장 키(210, 220, 230, 240)는 내장 키의 선단부가 상기 내통체 선단부 삽입 구멍(40)과 동일 위치,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내장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내장 키(210, 220, …, 290, …등)가 다수로 되고 내통체 선단부 삽입 구멍은 상기 내장 키 선단부 동일 위치, 동일 수, 동일 단면인 선단부 삽입 구멍(40)이 분리되게 형성된 내통체이고, 내통체 측면에 각 내장 키의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이 가압하는 판체핀 또는 분할 판체핀 삽입 구멍 (49)이 형성된 내통체이며 상기 분할 판체핀을 단층으로 스프링 걸림판(775)으로 고정하고 그 외 내장 키는 상기 스프링 걸림판에 형성한 내장 키의 삽입 구멍을 경유, 상기 내통체 선단부 삽입 구멍에 꼽고 복층으로 스프링 걸림판으로 가압 고정하고 회동축(46)을 회동축 구멍(48)에 꼽고 고정하여서 된 내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3. 내통체(4)의 측면에 상면과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쌍으로 분리된 분할 판체핀(8B, 8C) 구멍(49)과 소스프링 구멍(499)을 양측에 형성하며 내통체 하측에서 상기 분할 판체핀 삽입 구멍을 상기 분할 판체핀 구멍 사이에 다수 형성한 내통체에 길이방향 열쇠 구멍과 하나의 공간이 되게 형성한 내통체(4)로 하고, 실린더 내통체 삽입 구멍 내면에 상기 분할 판체핀 상측 돌부(86) 또는 하측 돌부(87)가 꼽힐 길이방향의 요홈 또는 구멍(330, 340)을 상·하에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실린더(3)이며, 분할 판체핀(8B, 8C)은 상측 돌부(86)와 그 하측에 스프링 걸림부(81)와 하측에 하측 돌부(87)와 중앙 열쇠 구멍(84)이 상·하로 절단한 형상이며 걸림부(82)와 걸림부(83)를 갖는 돌부를 내향 중앙에 각각 형성한 쌍으로 된 분할 판체핀(8B, 8C)이며 열쇠는 전면과 이면 각 상·하부에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 123)을 중앙판(130)까지 음각으로 들어가게 형성하며 선단부(139) 상·하에서 폭이 좁아지며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과 연결되는 경사면(117, 127)도 중앙판까지 음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가 수직으로 된 음각 열쇠(100)로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에서, 열쇠(100)는 전면(110)과 이면(120)의 상·하부 4개소에 경사면(118, 128) 과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 123)을 중앙판(130)에서 양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선단부(119, 129) 및 선단부(139)를 수직되게 형성한 양각 열쇠이고 분할 판체핀(8B, 8C)은 돌부(85)를 하측 돌부(87) 상측에 걸림부(82, 83)로 형성한 분할 판체핀(8B, 8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열쇠의 중앙판(130)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열쇠(100)는 전면 상부와 이면 하부에는 양각 열쇠이고 전면 하부와 이면 상부가 음각 열쇠인 양·음각 열쇠(100)로 하며 분할 판체핀(8B)은 음각 분할 판체핀이며 분할 판체핀(8C)은 양각 분할 판체핀으로 하되 내통체에 삽입할 때 분할 판체핀(8B)은 상측에서 분할 판체핀(8C)은 하측에서 삽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6. 제23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선단부(119, 129, 139)와 선단부(139)에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이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며 경사면(117, 127, 118, 128)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평면(116, 126) 또는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을 형성한 열쇠에서 일부 또는 전부로 내장 키(210, 220, …)의 기하학적 상면(214, 224, …)을 가압하는 열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전면 상부와 이면 하부를 음각 열쇠로 하여 전면·이면, 상·하 4개소에 음각 열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선단부(139)에 기하학적 돌부 또는 요홈(1104)을 없애고 선단부 상·하부에서 속으로 들어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107)과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03) 또는 수평면(1106)이 1개 또는 2개 이상 중앙판(130)에 상호 대칭되게 절삭된 M형 선단부인 음각 열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음각 열쇠의 경사면에 형성된 수평면(116), 굴곡면 상면 또는 요홈(113)을 없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080019929A 2007-03-06 2008-03-04 도어 잠금장치 KR20080081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29,805 US20100107706A1 (en) 2007-03-06 2008-03-05 Door locks
JP2009552587A JP2010520391A (ja) 2007-03-06 2008-03-05 ドアロック装置
PCT/KR2008/001247 WO2008108579A2 (en) 2007-03-06 2008-03-05 Door 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60 2007-03-06
KR20070021760 2007-03-06
KR1020070039812 2007-04-24
KR20070039812 2007-04-24
KR1020070040709 2007-04-26
KR20070040709 2007-04-26
KR1020070049231 2007-05-21
KR20070049231 2007-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830A true KR20080081830A (ko) 2008-09-10

Family

ID=4002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29A KR20080081830A (ko) 2007-03-06 2008-03-04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07706A1 (ko)
JP (1) JP2010520391A (ko)
KR (1) KR200800818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619A (zh) * 2017-01-09 2017-05-17 彭文辉 弹芯可变形的锁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5119B2 (ja) * 2010-09-30 2014-07-23 株式会社五味製作所 シリンダー錠
JP6343422B2 (ja) * 2013-02-14 2018-06-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ディスクタンブラー錠
CN105971400B (zh) * 2016-05-05 2018-01-26 浙江亚磊型钢冷拔有限公司 一种防盗性能好且带有防护装置的锁芯
CN105735764B (zh) * 2016-05-05 2018-01-26 浙江亚磊型钢冷拔有限公司 一种可以防止异物进入也能防盗的锁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619A (zh) * 2017-01-09 2017-05-17 彭文辉 弹芯可变形的锁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0391A (ja) 2010-06-10
US20100107706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1830A (ko) 도어 잠금장치
EP1635012A3 (en) Cylinder lock device
JP5177588B2 (ja) プレートタンブラーを備える盗難防止ロック
CN106972320B (zh) 一种连接器用的二次锁扣装置保障系统
CN109322562A (zh) 一种外置式固定锁
EP2982817A1 (en) Lock core
CN201031534Y (zh) 一种防盗页片锁及钥匙
JP2005232941A (ja) 二段開錠型ロック及びその開錠方法
US20130319057A1 (en) Novel anti-theft lockset
JP5739885B2 (ja) 連動式防犯シリンダー錠
CN220726005U (zh) 月牙双排锁开锁工具
CN209509765U (zh) 一种外置式固定锁
CN207063718U (zh) 防盗锁芯、防盗锁及钥匙
CN214996820U (zh) 双保险锁栓装置
CN220747921U (zh) 月牙有边锁开锁工具
CN112942995B (zh) 双保险锁栓装置
CN220726019U (zh) 一种保险柜多角锁开锁工具
US5809813A (en) Gear shift lock
CN220726013U (zh) 月牙安防锁开锁工具
CN218029580U (zh) 防止断电卡死的电动锁体
CN217353931U (zh) 一种全齿轮锁体
CN220285507U (zh) 一种带边锁具开锁工具
CN220667232U (zh) 一种具备防盗功能的门锁
CN213953299U (zh) 具有双锁芯机构拖车门安防锁
CN220726004U (zh) 一种安防月牙锁开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