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451A -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451A
KR20080081451A KR1020070021439A KR20070021439A KR20080081451A KR 20080081451 A KR20080081451 A KR 20080081451A KR 1020070021439 A KR1020070021439 A KR 1020070021439A KR 20070021439 A KR20070021439 A KR 20070021439A KR 20080081451 A KR20080081451 A KR 2008008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ent
stored
stor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덕
최광철
한영섭
이강훈
심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1451A/ko
Publication of KR2008008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에 저장된 컨텐츠(contents)를 별도로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보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압축 해제하는 컨텐츠 복호부(contents decoder)와, 컨텐츠 복호부로부터 압축 해제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컨텐츠 복호부를 통해 압축 해제한 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그대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여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보조 장치, 블루투스 모듈, 컨텐츠, 저장부, 컨텐츠 복호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 방법{METHOD AND SUBSIDIARY APPARATUS FOR STORING AND PLAYING CONTENTS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와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contents)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에 대한 실물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의 출력부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를 별도로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보조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능이 강화되면서 저장해야 할 컨텐츠의 양이 많아지는 반면, 기구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휴대 단말기의 보조 장치인 동시에 재생 기능까지 갖춘 MP3 플레이어(MP3 player),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pho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P3와 같은 보조 장치는 휴대 단말기나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케이블(cable)을 이용한 다운로드(download)를 받을 수는 있으나,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는 없다. 또한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보조 장치는 MP3(MPEG Audip Layer-3)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컨텐츠(audio contents)를 수신한 후 이를 그대로 출력할 수는 있으나, 휴대 단말기에 MP3 방식으로 압축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그대로 수신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원할 때 MP3 압축을 해제하여 출력하는 기능은 없다. 한편 보조 장치는 그 특성상 휴대 단말기처럼 소형이어야 하므로, 그 보조 장치에 장착되는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로는 비디오 컨텐츠(video contents)를 제대로 감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그대로 수신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원할 때 이를 압축 해제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자체 또는 그 목록을 휴대 단말 기로 송신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소형의 LCD 패널을 보기 위한 렌즈(lens)를 장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확대하여 감상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압축 해제하는 컨텐츠 복호부(contents decoder)와, 상기 컨텐츠 복호부로부터 상기 압축 해제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복호부를 통해 압축 해제한 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시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복호부를 통해 압축 해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압축 해제된 컨텐츠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 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에 대한 실물 도면이다. 도 1에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100)와 휴대 단말기(200)를 예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여 재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다.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이하 보조 장치라 한다, 100)는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200)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그대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 영역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대개 소형이고 사용자가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구현될 것이다.
컨텐츠는 음악, 영상, 영화 등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MP3 파일(MP3 file)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와 VOD 데이터(Video On Demand Data), 화상 데이터 등의 비디오 컨텐츠가 있을 수 있다.
위 보조 장치(100)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 스피커와 같은 음향 기기나 LCD 패널 등의 화면으로 비디오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화상 기기를 구비한다.
한편 도 1에서 보듯이,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 set) 등의 부속품(accessory)이 이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의 화상 기기를 보조 장치(100) 내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렌즈를 통해서 확대해서 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수신 복호부(receiving decoder, 120), 송신 복호부(transmitting encoder, 122), 컨텐츠 복호부(contents decoder, 130), 컨텐츠 부호부(contents encoder, 132), 저장부(140), 출력부(150), 제어부(160), 키입력부(170), 소형 표시창(180)을 포함하고 있다. 출력부(150)는 LCD 패널(152), 렌즈(154), 스피커(speaker, 15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송수신부(110)는 송신부와 수신부로 각각 구성되며, 송신부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수신부는 휴대 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송수신부(110)의 송신부 및 수신부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module) 등이나 그 외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듈로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직접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신부와 수신부는 통상 듀플렉서(duplexer) 및 안테나(antennas)를 통해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 복호부(120)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복호화한다. 대개의 무선 송수신 장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시에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 컨텐츠를 압축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도 휴대 단말기(200)에서 컨텐츠를 송신할 때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 컨텐츠를 압축하여 보조 장치(100)로 송신하면, 보조 장치(10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압축된 컨텐츠를 수신한 후 수신 복호부(120)를 통해 압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보조 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경우에도 송신 부호부(120)를 통해 컨텐츠를 압축한 후 송수신부(110)를 통해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축 및 압축 해제를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휴대 단말기(200)의 송수신부와 보조 장치(100)의 송수신부(110)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송수신부(110)를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할 경우에는 수신 복호부(120) 및 송신 부호부에서는 SBC(Sub-Band Coding)를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컨텐츠 부호부(132)는 수신 복호부(120)를 통해 복호화한 컨텐츠를 저장부(140)에 저장하기 위해 부호화하여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의 경우 컨 텐츠는 오디오 및 비디오 감상이 가능한 것으로서 대용량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장 매체들에 컨텐츠를 저장할 때는 저장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부호화하여 압축 저장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도 부호화되어 압축 저장된다.
저장부(140)는 컨텐츠 부호부(132)를 통해 부호화되어 압축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영역이다. 컨텐츠 부호부(13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복호부(130)는 저장부(140)에 부호화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복호화한다. 여기서의 복호화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압축 수신한 컨텐츠를 수신 복호부(120)에서 복호화하는 것과 다르다. 컨텐츠 복호부(130)는 컨텐츠를 출력부(150)를 통해 재생하기 위해 복호화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는 부호화하여 압축 저장된 상태이며, 이를 보조 장치(100)로 송신할 때 복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송신한다. 이 점이 종래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보조 장치(100)의 컨텐츠 복호부(130)에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야 재생 가능하다. 아울러 컨텐츠 부호부(132)에서 부호화한 경우도 컨텐츠 복호부(130)에서 복호화하여야 한다. 부호화 및 복호화 방식으로는 MP3(MPEG Audio Layer-3), MP4(MPEG Audio Layer-4), AAC(Advanced Audio Coding), Divx(Digital Internet Video Express), WMA(Window Media Audio), WMV(Window Media Video) 등이 있다.
컨텐츠 부호부(132) 및 컨텐츠 복호부(130)는 위와 같은 부호화 및 복호화 방식이 다양하게 지원되도록 구현 가능하며, 휴대 단말기(200)의 컨텐츠 부호부 및 보조 장치(100)의 컨텐츠 부호부(132)에서 사용한 부호화 방식은 보조 장치(100)의 컨텐츠 복호부(130)에서도 동일한 방식에 의해 복호화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출력부(150)는 컨텐츠 복호부(130)로부터 복호화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에는 스피커(156)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거나 이어폰 등의 부속품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에는 스피커(156)나 이어폰 뿐 아니라 LCD 패널(152)과 같은 화상 기기로 출력한다. 소형의 LCD 패널(152)을 구현하고 렌즈(154)를 통해서 확대해서 봄이 보조 장치(100)의 소형화 특성상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컨텐츠의 출력 및 송신 등 보조 장치(100)에서 가능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키입력부(170)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장치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생 목록의 표시나 재생 컨텐츠의 표시 등 일련의 동작 수행의 상태를 표시하는 소형 표시창(18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언급한 송수신부(110), 수신 복호부(120), 송신 부호부(122), 컨텐츠 부호부(132), 컨텐츠 복호부(130), 저장부(140), 출력부(150), 키입력부(170), 소형 표시창(180)의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에서 보조 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의 목록을 보조 장치(100)로 요구하면, 제어부(160)에서 이를 인지하고 검색하여 송수신부(110)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로 목록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100)의 출력부(15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부(150)는 소형 LCD 패널(152)과 렌즈(154)로 구성된다. 저장부(140)와 컨텐츠 복호부(130)를 통해 LCD 패널(152)로 출력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렌즈(154)를 통해 확대하여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장치(100)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비디오 컨텐츠의 감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 방법은 크게 컨텐츠의 수신 단계, 저장 단계, 복호화 단계, 출력 단계로 구성된다.
수신 단계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휴대 단말기(200)에 이미 부호화되어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복호화하지 않고 압축된 상태 그대로 보조 장치(100)로 송신하면 보조 장치(100)에서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S100) 송수신부(110)의 근거리 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에서는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 컨텐츠를 한 번 더 부호화하여 압축한 후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200)에서는 수신 후 수신 복호부(120)를 통해 이를 복호화하여 압축 해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저장 단계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S200) 다만, 저장부(140)의 저장 영역의 활용을 위해 컨텐츠 부호 부(132)를 통해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압축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복호화 단계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이다. 휴대 단말기(200)에서 부호화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압축 해제한다.(S300) 다만, 보조 장치(100)에서 컨텐츠 부호부를 통해 부호화하여 압축 저장한 경우에는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한 번 더 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출력 단계는 컨텐츠 복호부(130)를 통해 복호화된 컨텐츠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이다.(S400) 출력부(150)에서는 오디오 컨텐츠는 스피커(156) 등을 통해 출력하고, 비디오 컨텐츠는 LCD 패널(152)과 스피커(156) 등을 통해 출력한다.
한편,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그대로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사 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보조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여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보조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의 목록을 휴대 단말기에 표시 가능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보조 장치로부터 다시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장치에 소형 LCD 패널과 렌즈를 장착함으로써, 소형의 LCD 패널에서 확대된 비디오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7)

  1.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의 컨텐츠(contents)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압축 해제하는 컨텐츠 복호부(contents decoder)와,
    상기 컨텐츠 복호부로부터 상기 압축 해제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복호부를 통해 압축 해제한 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가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목록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상기 LCD 패널의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렌즈(len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
  6.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압축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시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복호부를 통해 압축 해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압축 해제된 컨텐츠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방법.
KR1020070021439A 2007-03-05 2007-03-05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KR20080081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439A KR20080081451A (ko) 2007-03-05 2007-03-05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439A KR20080081451A (ko) 2007-03-05 2007-03-05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51A true KR20080081451A (ko) 2008-09-10

Family

ID=4002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439A KR20080081451A (ko) 2007-03-05 2007-03-05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14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78400A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EP2075719B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content playback apparatus
KR20020089630A (ko) 블루투스 카키트를 통한 온라인 음악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977206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526882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050271358A1 (en) Moving picture editing apparatus
US82659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processing extensions (MPX) for audio and video setting preferences
US8244172B2 (en) Remote host-based media presentation
JP2003224822A (ja)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ディジタル信号受信方法、ディジタル信号受信システム
US20030171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ortable media player wirelessly to an automobile entertainment system
JP2004282754A (ja) 映像信号及び/または音声信号を記録/再生でき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KR20080081451A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보조 장치와방법
US20070195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using wireless terminal
WO2006095868A1 (ja) 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遠隔再生システム
JP2008193246A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携帯無線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3087704A (ja) 車載用光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車載用光ディスク再生装置、変換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7180668A (ja) 携帯電話機を用いた動画像配信方法
Sugiyama et al. The origin of digital information devices: The silicon audio and its family
KR20120074059A (ko) 오디오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0646983B1 (ko)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00067415A (ko) 전자장치 및 그의 출력제어방법
KR100608630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1001077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파일의 재생 방법
KR20060112334A (ko) 디지털 음원 데이터 무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93552B1 (ko) 다중 멀티미디어 파일 연결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