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284A -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284A
KR20080081284A KR1020087015077A KR20087015077A KR20080081284A KR 20080081284 A KR20080081284 A KR 20080081284A KR 1020087015077 A KR1020087015077 A KR 1020087015077A KR 20087015077 A KR20087015077 A KR 20087015077A KR 20080081284 A KR20080081284 A KR 2008008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evice
remote control
state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봉
김용한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제어 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부터의 상태요청명령에 따라 상태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부터의 동작제어명령에 따라 소정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하여, 상태요청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동작제어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 기기로 이루어지며,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 표시 및 동작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전기 기기의 동작 제어 및 상태 표시를 수행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사용자가 오염된 세탁물을 세탁조에 투입하면 세제와 세탁수가 적절히 혼합되어 세탁행정을 수행한 후 헹굼 및 탈수행정을 거쳐 세탁작업을 완료하도록 한 기기이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 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행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기 및 건조기는 실내에 설치하여 동작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집안과 별도로 외부 창고, 지하 세탁실 등과 같이 별개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가정용 기기를 인터넷 환경에 연결하여 그 동작이 필요시 될 때마다 원격지에서 운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상 및 시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손쉽게 각종 가사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 다.
특히,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하나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제품에의 적용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통상적인 세탁기는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써 일정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자동적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기능을 내장하여 전력 소비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즉 세탁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을 경우에는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PC 등이 계속 전원 온 상태가 되어야 할 뿐더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여 제조단가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기 및 건조기가 집안에 설치되지 않고 외부창고, 지하 등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더러, 사용자가 세탁기 및 건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세탁물을 들고 세탁기 및 건조기가 설치된 장소까지 가서 세탁물을 투입시킨 후 동작명령을 입력 해야하며, 동작명령 입력 이후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설치 장소를 방문하여 동작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동작 중에 발생되는 에러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세탁 또는 건조 행정 도중에 발생된 에러로 인해 동작이 멈추었는데도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또한,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해서만이, 가능하였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20) 및 건조기(30)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집안에는 모니터링 장치(10)가 장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을 하고자 선택한 제품 즉, 사용자가 세탁기를 선택하였으면 세탁기의 상태만 표시되고, 건조기를 선택하였으면 건조기의 상태만 표시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되어도 직접 가서 확인하지 않고서는 사용자에게 에러상태를 인식시킬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세탁기(20) 및 건조기(30)의 상태를 제어할 경우 동작 및 일시정지등과 같은 온/오프 기능만을 제어할 수 있을 뿐 동작을 위한 상세 제어는 불가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만을 야기시켰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상기 세탁기(20) 및 건조기(30)의 현재상태가 제어가능한 상태인지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알 수 없고, 무조건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불가능한 상태에서 동작제어시 모니터링 장치의 고장으로 오인할 소지가 있었다.
기술적 과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표시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이전에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부품 전체가 차지하는 용적을 감소시키면서도 신호의 수신율을 향상시키는 원격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원격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벤트들의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원격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인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제어 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부터의 상태요청명령에 따라 상태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부터의 동작제어명령에 따라 소정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하여, 상태요청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동작제어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 기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인 원격 제어 기기는 전기 기기의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요청입력 또는 동작제어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태요청명령 및 동작제어명령에 관련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태요청명령 또는 동작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뒤따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 전기 기기 및 원격 제어 기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 제어 기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은 도 2의 원격 제어 기기의 일부 분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3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4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5실시예이다.
도 13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에 의한 표시 실시예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제1전기 기기(200)와 제2전기 기기(300) 및, 이들 제1 및 제2전기 기기(200), (300)와 각각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제1 및 제2전기 기기(200), (300)의 현재 동작 상태 또는 현재 상태의 표시와, 이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 제어 기기(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전기 기기(200)와, 제2전기 기기(300)는 독자적인 기능(예를 들면, 세탁기 기능, 건조기 기능, 전자레인지 기능 등)을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서도 수행할 수 있고, 원격 제어 기기(100)로부터의 상태요청명령, 동작제어명령 등에 따른 데이터 처리도 가능한 기기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전기 기기(200)와 제2전기 기기(30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세탁기, 건조기, 전자레인지, 냉장고, 에어컨, 텔레비전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세탁기와 건조기 등과 같이 소정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하고 종료되면서도,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동작하는 전기 기기에서, 본 발명은 더욱 큰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원격 제어 기기(100)는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와 같 이 무선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표시 및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의 무선통신은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이용한 통신이 사용된다. 이 원격 제어 기기(100)는 다수의 제1전기 기기(200)와 제2전기 기기(300)의 상태 표시와 제어만을 위한 전용 전기 기기일 수도 있고, 제1전기 기기(200)와 제2전기 기기(300)와 같이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이러한 상태표시와 제어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각 전기 기기 및 원격 제어 기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먼저, 원격 제어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110)와, 필요한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0)와,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130)와, 적어도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0)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소정의 명령 형태로 변환하는 기준정보와, 기타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해당 제1전기 기기(200) 또는 제2전기 기기(300)에 대한 상태 표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이컴(160)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 기기 선택입력, 상태요청입력, 동작제어입력 등을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트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기기 선택입력은 사용자가 상태를 표시하고자 하거나, 동작제어를 위해 선택하는 입력이고, 상태요청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기설정된(예를 들면, 디폴트 설정된) 전기 기기의 상태를 요청하기 위한 입력이다. 이 전기 기기 선택입력과 상태요청입력은 서로 독립적인 입력일 수도 있고, 전기 기기 선택입력이 상태요청입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전기 기기 선택입력을 수행하면, 자동적으로 상태요청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하여, 전기 기기의 상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전원부(120)는 원격 제어 기기(100) 내에 소모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원격 제어 기기(100)의 이동성을 위해 2차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한다. 특히, 전원부(120)는 하기의 마이컴(160)에 의해 제어되어, 온/오프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130)는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와 무선통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특히 ISB 통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송수신부(130)는 안테나, 변조부, 복조부, 증폭부, 필터부 등을 포함하나, 이러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표시부(140)는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의 선택상태,상태정보, 제어정보 등을 표시하는 수단으로, 청각적 표시부와, 시각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청각적 표시부는 소리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이 해당되고, 시각적 표시부는 빛과 색상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면 LED 디스플레이 등이 해당된다.
저장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의 생성과, 전기 기기의 상태 등의 판단을 위한 기준정보를 적어도 저장한다. 이 기준정보는 사용자가 특정입력을 수행하면, 이 입력에 따른 상태 표시 또는 동작 제어를 위해, 제1전기 기기 (200) 및 제2전기 기기(300) 등이 인식할 수 있는 기계어 등으로의 변환을 위한 정보와, 전기 기기의 특정상태(예를 들면, 제어 불능 상태 등)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의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이 설정정보는 원격 제어 기기(100)에 전원이 온된 경우, 최초로 선택하는 전기 기기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오류정보, 동작종료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하기에서 개시되는 자동 표시, 지연 표시 등)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수신된 상태정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제어입력, 오류정보, 동작종료정보, 상태정보의 표시우선순위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각 전기 기기(200, 300)의 상세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저장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기 기기(200, 300) 각각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의 선택/입력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마이컴(160)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한 전기 기기의 선택, 상태요청입력, 동작제어입력 등에 대응하여 상태를 표시하거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하기의 도 8 내지 11에서 마이컴(160)의 기능은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으로, 제1전기 기기(200)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 등을 획득하는 입력부(21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230)와, 제1전기 기기(200)의 독자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240)와, 제1전기 기기(200)의 상태, 동작제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50)와, 제1전기 기기(200)의 독자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 제어 정보,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6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원격 제어 기기(1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태요청명령에 대해서는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동작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오류가 발생된 경우 이에 따른 오류정보를 송신하고, 소정의 동작제어를 완료한 경우 이에 따른 동작종료정보를 송신하고, 세부 동작 상태의 진행 정보(상태요청명령에 의한 것이 아닌 상태정보)는 마이컴(27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마이컴(270)은 기본적으로 제1전기 기기(200)에 기능을 수행하면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태요청명령에 대한 응답과, 동작제어명령에 대한 수행과, 오류정보와, 동작완료정보 및 독립적인 상태정보의 원격 제어 기기(100)로의 송신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제2전기 기기(300)의 구성요소인 입력부(310)와, 전원부(320)와, 송수신부(330)와, 구동부(340)와, 표시부(350)와, 저장부(360) 및 마이컴(370)은 제1전기 기기(200)의 구성요소인 입력부(210)와, 전원부(220)와, 송수신부(230)와, 구동부(240)와, 표시부(250)와, 저장부(260) 및 마이컴(270)에 대응하며, 다만, 구동부(340)는 제2전기 기기(300)의 독자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의 원격 제어 기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원격 제어 기기(100)는 표시부(140) 및 입력부(100)(111은 전기 기기 선택/상태요청입력을 위한 입력부이고, 112는 상세한 동작제어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상부 케이스(100a)와, 내부의 회로 기판 등을 상부 케이스(100a)와 함께 결합하여 보호하는 하부 케이스(100b)로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7은 도 2의 원격 제어 기기의 일부 분해도들이다.
원격 제어 기기(100)는 제1회로기판(170a)과 제2회로기판(170b)이 커넥터 (181)와 커넥터(184) 간의 결합에 의해,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는 원격 제어 기기(100)의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0a, 100b) 내에서 최소한의 용적을 차지하게 되며, 제작시 및 수리시에 제1 및 제2회로기판(170a, 170b) 간의 분리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로기판(170a) 상에는 입력부(110, 111)와, 표시부(140)와, 저장부(150) 및 마이컴(160)이 장착되고, 제2회로기판(170b) 상에는 송수신부(130)가 장착된다. 도 4에 개시된 입력부(112)의 경우는 상부 케이스(100a) 내측에 장착되되, 외부로 그 버튼 등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도선에 의해 제1회로기판(170a)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0)는 제1회로기판(170a), 또는 제2회로기판(170b)에 장착될 수 있으나, 2차전지(미도시)가 원격 제어 기기(100) 내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그 도선 거리 등을 고려할 때 전원부(120)가 제2회로기판(170b)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송수신부(130)의 경우, 각종 소자의 크기가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때문에 제2회로기판(170b) 상에 장착하고, 또한 송수신부(130)의 안테나(131)가 무선 신호에 대하여 높은 수신율을 지니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형태를 지니며, 그 나선축(A)(또는 나선의 진행방향)은 제2회로기판(170b)에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이 안테나(131)의 일단은 제2회로기판(170b)에 연결되어 무선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이러한 안테나(130)의 설치 위치는 원격 제어 기기(100)의 이동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안테나(130)가 다른 구성소자 또는 제1회로기판(170a)과 접촉되지 않기 위해 제2회로기판(170b)에 평행하게 장착된다. 또한, 안테나(130)의 중간 또는 타단(제2회로기판(170b)에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비도전성 물질로 고정할 수도 있다.
제l회로기판(170a)에는 복수개의 단자홀(185) 및 이 단자홀(185) 주위에 도금처리된 랜드(186)로 구성된 커넥터(184)가 형성되며, 제2회로기판(170b)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단자홀(185)로 끝단부가 삽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성 리드핀(182)과, 이 리드핀(182)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절연성 스페이서몰드(183)로 이루어진 커넥터(181)가 형성된다.
여기서, 커넥터(183)의 절연성 스페이서몰드(183)는 제1회로기판(170a)과 제2회로기판(170b)과 각각 접촉하면서 제1 및 제2회로기판(170a, 170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고 두 기판 사이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넥터(181)와 커넥터(184)는 제1회로기판(170a)과 제2회로기판(17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예컨대 전원 공급 또는 그라운드, 데이터 전송 등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81)에서, 원격 제어 기기(100)의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전기 기기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만약 선택 입력이 있으면 단계(S8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82)로 진행한다.
단계(S82)에서, 마이컴(16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판독하여, 상태표시 또는 동작 제어를 위해 기설정된 전기 기기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의 표시는 단순하게 기설정된 전기 기기의 명칭 또는 아이콘 등을 표시하는 것 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83)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를 단계(S82)의 표시방법과 동일하게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단계(S84)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선택된 전기 기기 또는 기설정된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요청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단계(S85)에서, 마이컴(160)은 상태요청입력에 따라 저장부(150)의 기준정보를 판독하여, 이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태요청명령을 생성하여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에,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는 이 상태요청명령을 각각의 송수신부(230), (330)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 상태요청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마이컴(270), (370)은 현재 전기 기기의 상태정보를 송수신부(230), (330)를 통하여 송신한다.
단계(S86)에서, 마이컴(160)은 상태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 마이컴(160)은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할 수도 있다. 만약, 상태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단계(S8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88)로 진행한다.
단계(S87)에서, 마이컴(160)은 수신된 상태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정보는 전기 기기의 상태에 관한 것으로, 상태표시는 전기 기기의 동작의 진행정도를 문자, 도형, 소리 등을 통하여 표시한다.
단계(S88)에서, 마이컴(160)은 상태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이므로, 상태요청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가 오프 상태이거나, 송수신부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그 확인 불능(또는 통신 불능)에 대한 표시를 수행한다.
단계(S89)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상태 표시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종료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태표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상술된 단계에서, 단계(S82) 및 (S83)는 각각 단계(S84) 및 (S85)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상태 요청의 입력없이도 단계(S86) 이하에서 이루어지는 표시에 대한 서비스를 받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마이컴(160)은 단계(S81)에서 전기 기기의 선택입력이 있으면, 단계(S83)에서 선택된 전기 기기의 표시 및 상태요청명령의 생성 및 송신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단계(S82)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81)에서, 마이컴(160)은 복수의 전기 기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계(S83)에서 복수의 전기 기기에 대한 표시를 수행하고, 단계(S84)에서,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요청 입력에 대한 처리만을 수행하여, 실제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상태 정보를 하나의 전기 기기의 상태 정보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경우, 복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선택과 표시 등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91)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로부터의 전기 기기 선택입력을 획득한다. 다만, 단계(S91)에서, 현재 상태 표시가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제어의 경우는 이러한 선택단계가 요구되지 않는다.
단계(S92)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제어입력을 획득한다. 만약 마이컴(160)이 동작제어입력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태표시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8의
Figure 112008044365778-PCT00001
로 진행하여 상태표시를 수행한다. 만약 동작제어입력을 획득하면 단계(S93)로 진행한다.
단계(S92)에서, 마이컴(160)은 저장부(15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판독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동작제어입력을 쉽게 선택/입력할 수도 있다.
단계(S93)에서, 마이컴(160)은 동작제어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상태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는 단계(S92) 이전에 수행되어 사용자가 동작제어입력을 수행할 때, 해당 전기 기기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적절한 동작제어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94)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된 동작제어입력에 따른 제어를 해당 전기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마이컴(160)은 동작제어입력에 세탁인 경우에, 이 세탁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가 만약 전원이 오프인 경우에는 제어 불능으로 판단하고, 만약 전원이 온 상태인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통하여, 마이컴(160)이 불필요한 동작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S95)에서, 마이컴(160)은 동작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가 해당 동작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제어 불능 표시를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한다.
단계(S96)에서, 마이컴(160)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동작제어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송신한다.
단계(S97)에서,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는 이 동작제어명령을 각각의 송수신부(230), (330)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 동작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마이컴(270), (370)은 수신된 동작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마이컴(270) 또는 (370)은 동작제어의 결과를 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원격 제어 기기(100)로 송신하고, 이에 원격 제어 기기(100)는 동작제어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S98)에서, 마이컴(160)은 추가적인 동작제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부(110)를 통하여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추가적인 제어가 수행되어지는 경우에는 단계(S9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8의
Figure 112008044365778-PCT00002
로 진행하여 상태 표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단계(S93)는 단계(S91)과 단계(S92) 사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S92)는 단계(S94)와 단계(S96) 사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3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101)에서, 마이컴(160)은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오류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오류정보가 수신되면 단계(S10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8의
Figure 112008044365778-PCT00003
로 진행하여 상태 표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오류정보는 제1전기 기기(200) 또는 제2전기 기기(300)가 독립적인 판단에 의해 생성하여 원격 제어 기기(100)로 송신한 것이다.
단계(S102)에서, 마이컴(16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판독한다. 이 설정정보는 오류정보의 표시에 대한 설정으로, 오류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전기 기기의 선택과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자동 표시 방법 또는 오류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표시하는 표시방법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만약 자동 표시 방법이 설정되었으면, 단계(S1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03)로 진행한다.
단계(S103)에서, 마이컴(160)은 수신된 오류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단계(S104)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류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대한 선택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마이컴(160)은 이러한 선택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단계(S105)로 진행한다.
단계(S105)에서, 마이컴(160)은 수신된 또는 저장된 오류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마이컴(160)은 오류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상태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4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111)에서, 마이컴(160)은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동작종료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동작종료정보가 수신되면 단계(S11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8의
Figure 112008044365778-PCT00004
로 진행하여 상태 표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동작종료정보는 제1 및 제2전기 기기(200), (300)가 소정의 동작(예를 들면, 하부 동작, 또는 전체 동작)을 완료한 때 송신하는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전기 기기(200, 300)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기는 세탁을 완료하고, 소정의 시간 이후에 전원이 차단되어 오프 상태로 되는 경우, 이 세탁 완료 상태(즉, 동작완료상태)를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에 원격 제어 기기(100)에 알릴 필요가 있게 된다.
단계(S112)에서, 마이컴(16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판독한다. 이 설정정보는 동작완료정보의 표시에 대한 설정으로, 동작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지체없이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자동 표시 방법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예를 들면, 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에) 동작완료정보를 표시하는 지연 표시 방법, 또는 사용자가 동작완료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행한 이후에 표시하는 선택 표시 방법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만약 자동 표시 방법이 설정되었으면, 단계(S1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3)로 진행한다.
단계(S113)에서, 마이컴(16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다시 판독하여, 지연 표시 방법이 설정되었으면 단계(S114)로 진행하고, 선택 표시 방법이 설정되었으면 단계(S115)로 진행한다.
단계(S114)에서, 마이컴(160)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후, 단계(S117)로 진행한다.
단계(S115)에서, 마이컴(160)은 동작종료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단계(S116)에서, 마이컴(160)은 입력부(110)를 통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동작종료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대한 선택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마이컴(160)은 이러한 선택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단계(S117)로 진행한다.
단계(S117)에서, 마이컴(160)은 동작 종료 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는 종료된 전기 기기의 명칭, 아이콘 등과 종료된 동작이 표시된다.
단계(S118)에서, 마이컴(160)은 동작 종료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대한 표시를 삭제하고, 동작 중인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만약 현재 선택된 전기 기기가 동작 종료된 경우, 선택되지 않았거나 기설정된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에, 도 8의
Figure 112008044365778-PCT00005
로 진행하여 상태 표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제5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121)에서 마이컴(160)은 송수신부(13)를 통하여 상태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태정보를 수신하였으면 단계(S12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8의
Figure 112008044365778-PCT00006
로 진행한다. 이 단계(S121)는, 마이컴(160)이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이 상태정보를 위한 상태요청명령을 생성하지 않은 경우이다. 즉, 제1전기 기기(200) 및 제2전기 기기(300)에서 독자적으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경우로서, 상술된 오류정보, 동작종료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현재의 동작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122)에서, 마이컴(160)은 수신된 상태정보의 표시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 표시우선순위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준정보에 포함된다. 이 표시우선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제작자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순서를 정한 것이다.
이 표시우순선위를 사용자에 의한 전기 기기 선택표시 최우선, 동작상태 표시 최우선, 오류정보 표시 최우선, 동작완료정보 표시 최우선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전기 기기의 선택이 최우선인 경우, 어떤 상태정보에 대해서 도 사용자가 선택한 전기 기기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만이 표시된다. 또한, 동작상태가 최우선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전기 기기를 마이컴(160)이 현재 표시하더라도, 다른 전기 기기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동작 시작, 특정 동작의 완료 등)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마이컴(160)은 다른 전기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 또는 제작자는 각각의 필요성에 부합되는 전기 기기의 상태표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123)에서, 마이컴(160)은 표시우선순위에 따라 수신된 상태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법에 의한 표시 실시예이다.
도 13에서, 마이컴(160)은 사용자에 의한 전기 기기의 선택입력을 입력부(111)에 의해 획득하거나 기설정된 전기 기기를 표시한 경우로서, 현재 표시된 전기 기기의 상태정보는 '세탁기가 동작중이고, 남은 시간이 50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형적인 표시는 제1 및 제2표시부(141), (142)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문자적인 표시는 제3표시부(143)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14에서, 도 1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1)를 누름으로써, 건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마이컴(160)은 이에 대응하여 건조기의 상태정보인 '건조기가 동작중이고, 남은 시간이 70분임'을 표시한다.
도 13 및 14에서, 마이컴(160)은 각각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제1표시부(141) 또는 제2표시부(142)를 통하여, 현재 상태를 표시한다.
도 15에서, 마이컴(160)은 사용자로부터 동작제어입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표시하는 것으로, 표시부(140)에 사용자가 세탁기의 세탁명령을 획득한 상태가 표시된다. 이때, 어떠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이전이므로, 제1 및 제2표시부(141, 142)에 어떠한 표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6에서, 마이컴(160)은 자동표시방법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전기 기기 선택입력에 의해 '건조기에 오류가 발생함'을 제3표시부(143)에 표시하고, 제2표시부(142)가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이때 청각적 표시로 알람 등을 발산할 수도 있다.
도 17에서, 마이컴(160)은 자동표시방법에 의해, 또는 지연표시방법 또는 사용자 선택 방법에 의해 '세탁기의 동작이 완료됨'을 제3표시부(143)에 표시하고, 제1표시부(141)를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이때 청각적 표시로 알람 등을 발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표시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이전에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기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동작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거나 제어 불능에 대한 동작제어명령 등의 수행요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부품 전체가 차지하는 용적을 감소시키면서도 신호의 수신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여, 무선 통신이 도달하는는 원범 위 내에서 상태확인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벤트들의 발생 여부를 표시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표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제어 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부터의 상태요청명령에 따라 상태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원격 제어 기기로부터의 동작제어명령에 따라 소정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하여, 상태요청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동작제어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원격 제어 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전기 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태요청명령 또는 동작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거나, 상기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기기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송수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전기 기기의 선택을 수행 하거나, 상기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요청명령 또는 동작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기기는 이동성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5. 전기 기기의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요청입력 또는 동작제어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태요청명령 및 동작제어명령에 관련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태요청명령 또는 동작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 라 판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표시부와, 저장부 및 제어부는 제1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송수신부는 제2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은 상기 제1회로기판이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측에 위치되되 커넥터에 의해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기.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나선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안테나의 축방향은 상기 제2회로기판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기.
  10.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기기는 상기 제2회로기판 상에 2차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기기.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소정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원격 제어 기기에서의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의 선택에 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표시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단계 또는 제2표시단계는 상기 선택되거나 기설정된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요청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요청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부터의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전기 기기로부터의 상태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동작제어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제어입력에 따른 동작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동작제어명령을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기기가 상기 전기 기기로부터 오류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상태정보에 따른 오류상태를 표시하는 제4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표시단계는 상기 선택되거나 기설정된 전기 기기에 대응하는 상태 또는 오류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표시단계는 상기 오류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상태 또는 오류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기기가 상기 전기 기기로부터 동작종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종료정보에 따른 동작종료상태를 표시하는 제5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5표시단계는 상기 동작종료상태를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제5표시 단계를 수행하고, 동작종료되지 않은 전기 기기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제6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소정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원격 제어 기기에서의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로부터 상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관련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상태관련정보를 표시우선순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원격제어방법.
KR1020087015077A 2006-01-27 2006-07-28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KR20080081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8869 2006-01-27
KR1020060008869 2006-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284A true KR20080081284A (ko) 2008-09-09

Family

ID=3830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077A KR20080081284A (ko) 2006-01-27 2006-07-28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38046A1 (ko)
KR (1) KR20080081284A (ko)
CN (2) CN101536535B (ko)
WO (1) WO200708663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38A1 (ko) * 2010-12-13 2012-06-21 Song Young Hoon 네트워크 장비의 감시와 회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9873A (ko) * 2012-09-25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199713A1 (ja) * 2022-04-13 2023-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17B1 (ko) * 2006-12-26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9520743B2 (en) 2008-03-27 2016-12-13 Echostar Technologies L.L.C.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remote control electronics
US8082455B2 (en) * 2008-03-27 2011-12-2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 of remote control electronics
US8009054B2 (en) 2008-04-16 2011-08-3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low battery detection threshold of a remote control
US7907060B2 (en) * 2008-05-08 2011-03-1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placement of a battery in a remote control
JP5531612B2 (ja) * 2009-12-25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264753B2 (en) * 2010-08-03 2016-02-1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control of media players
KR101276861B1 (ko) *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CN102505418A (zh) * 2011-09-30 2012-06-20 常熟市广大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洗衣机
KR20140082298A (ko)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메세지 표시 방법
US10394232B2 (en) * 2015-02-27 2019-08-27 Research Frontiers Incorporated Control system for SPD device and home automation
CN113564865A (zh) * 2020-04-28 2021-10-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远程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510186A (zh) * 2020-10-28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控制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0096D0 (en) * 1996-01-04 1996-03-06 British Telecomm Remote control system
US6127941A (en) * 1998-02-03 2000-10-03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233144A (zh) * 1998-04-23 1999-10-27 欧阳炳宇 家用电器集中控制系统
US5986358A (en) * 1998-07-15 1999-11-16 Gen-Home Technology Co. Ltd. Remotely controllable wall switch
JP2000184478A (ja) * 1998-12-16 2000-06-30 Sharp Corp リモコン装置、被制御装置、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6906617B1 (en) * 2000-11-17 200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lligent appliance home network
CN1176535C (zh) * 2001-12-30 2004-11-17 北京长信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家电网络系统
CN1372404A (zh) * 2002-03-27 2002-10-02 北京长信嘉信息技术有限公司 数字家庭网络中信息家电的控制和相互访问的方法
JP2004096208A (ja) * 2002-08-29 2004-03-25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公衆回線網を介した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制御方法並びにリモート制御プログラム
JP2004363956A (ja) * 2003-06-04 2004-12-2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ロボット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7136709B2 (en) * 2003-11-04 2006-11-14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JP2005301908A (ja) * 2004-04-15 2005-10-27 Toshiba Corp 情報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
DE102004033383A1 (de) * 2004-04-28 2005-11-24 Willtek Communications Gmbh Antennenkoppl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38A1 (ko) * 2010-12-13 2012-06-21 Song Young Hoon 네트워크 장비의 감시와 회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9873A (ko) * 2012-09-25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199713A1 (ja) * 2022-04-13 2023-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6535A (zh) 2009-09-16
US20100238046A1 (en) 2010-09-23
CN101536535B (zh) 2012-07-18
CN102568169A (zh) 2012-07-11
CN102568169B (zh) 2014-10-22
WO2007086633A3 (en) 2009-05-07
WO2007086633A2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1284A (ko)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KR100792067B1 (ko)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US11882431B2 (en)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KR102010295B1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푸시 서비스 방법
EP2430765B1 (en) Mobile terminal controlling washing machine,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AU2004210612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placed within certain distance
JP5945694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JP5945693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KR20130023599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조리기기의 레시피 자동셋팅 방법
CN111778679B (zh) 一种洗涤系统的控制方法
KR101296068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61657B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29155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
CN117917707A (zh) 用于家用电器的提醒装置及提醒方法
KR20050066458A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202037093A (zh) 設定用通信裝置、通信系統、資訊終端之控制方法及程式
KR101241589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074142A (zh) 智能家电的控制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050066453A (ko) 원격 제어 시스템
CN116071906A (zh) 智能家电的控制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068905A (zh) 智能家电的控制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00047623A (ko) 세탁기의 세탁종료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