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215A -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215A
KR20080081215A KR1020070020826A KR20070020826A KR20080081215A KR 20080081215 A KR20080081215 A KR 20080081215A KR 1020070020826 A KR1020070020826 A KR 1020070020826A KR 20070020826 A KR20070020826 A KR 20070020826A KR 20080081215 A KR20080081215 A KR 2008008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network
fault diagnosis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호
Original Assignee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2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1215A/ko
Publication of KR2008008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PC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웹 상의 서버를 통해 분석하는 서비스 기법을 통해 차량의 고장 진단을 신속하게 서비스하고, 고정밀한 차량의 고장 진단을 실현하며, 차량 고장 진단의 저가격화를 실현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PC를 차량에 직접 연결하고, PC의 연산 기능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거나 혹은 고가의 블루투스 동글을 차량에 탑재하고, 수많은 핫스팟 지역에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를 설치해야만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차량의 OBD 커넥터에 접속한 RF 송수신 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PC로 수집하고, PC에 수집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웹 상의 서버로 전송하여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며, 고장 진단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차량의 등록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온라인 통지함으로써, 차량 고장 진단의 신속성 및 고정밀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고장 진단의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OBILE FAIL DIAGNOSIS SERVICE BY USING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은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OBD 커넥터 102 : RF 송수신기
104 : PC 시스템 108 :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
110 : 기준 데이터 DB 112 : 고객 정보 DB
114 : 무선 통신망 116 : 휴대 단말 그룹
116/1 - 116/n : 휴대 단말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와 웹 서버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을 진단 하고, 그 진단 결과를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장난 차량의 수리를 위해서는 고장의 원인을 판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카센터, 정비 공장 등에는 차량의 고장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차종에 따른 고장 진단 방법을 기재한 정비 해설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정비사들은 정비 해설서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진단 방법에 의거하여 차량의 고장 원인을 진단 및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진단 방법은 필요로 하는 고장 진단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는데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전용 계측기(스캔 툴)를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차량의 고장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계측하게 되지만, 그 구조와 사용이 매우 복잡한 관계로 일반 소비자가 구입하기에는 너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사용에도 어려움이 있어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급화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차량 소유자(운행자)가 정비 공장 등을 직접 방문해야만 차량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비용 및 시간상의 문제로 인해 차량의 정비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안전 운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차량의 이상 또는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 공장 등을 직접 방문해 정비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이상유무를 정비사의 판단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추측에 의한 부품 교체 형태의 정비로 인해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됨으로써, 많은 운전자들의 불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전통적인 진단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서, PC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 진단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52007호(2001년 6월 25일 공개, 이하 선행특허 1이라 함)와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 진단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66966호(2004년 7월 30일 공개, 이하 선행특허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선행특허 1은 차량 정비 해설 데이터와 고장 진단 프로그램을 PC의 RAM이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차량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에 PC를 직접 연결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통신 장치를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고장 진단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PC가 차량의 고장 진단을 수행하는 기술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1은 차량에 PC를 직접 연결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차량 진단에 복잡한 연산을 필요로 하는 경우 PC에서 고정밀하게 진단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다음에, 선행특허 2는 차량 내의 OBD(on-board diagnostics) 커넥터에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설치)하여 차량 데이터를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자동으로 전송하는 방식의 기술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특허 2에서는 블루투스 동글에 신호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핫스팟 지역(예컨대, 주유소)에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중앙 처리 장치 및 백업용 배터리 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비용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차량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동글의 기능 개선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 2의 경우, 고정밀한 분석을 위해 데이터 수집 간격이 1초 이하여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데이터(차량 고장 진단용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여 모든 데이터를 동글에 저장하기가 곤란한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더욱이, 선행특허 2의 경우 모든 주유소(핫스팟 지역)에 블루투스 엑세스 포인트를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커 대중화 및 상용화에 현실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변 PC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웹 상의 서버를 통해 분석하는 서비스 기법을 통해 차량의 고장 진단을 신속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PC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웹 상의 서버를 통해 분석하는 서비스 기법을 통해 고정밀한 차량의 고장 진단을 실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PC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 터를 수집하고 이를 웹 상의 서버를 통해 분석하는 서비스 기법을 통해 차량 고장 진단의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조한 후 원격지의 PC 측으로 무선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송출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가 상기 PC에 수신될 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와 기 저장된 각 상태별 기준 값 및 기 저장된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상 여부 판단이 종료될 때, 고장 진단 결과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등록 사용자에게 온라인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OBD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조한 후 원격지의 PC 시스템 측으로 무선 송출하는 RF 송수신기와, 상기 무선 송출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RF 변환장치가 접속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접속 하여 복조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PC 시스템과, 수신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와 기 저장된 각 차량의 상태별 기준 값 및 기 저장된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로 온라인 통지하는 상기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와, 상기 각 차량의 상태별 기준 값을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DB와, 상기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와 상기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객 정보 DB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PC를 차량에 직접 연결하고, PC의 연산 기능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거나 혹은 고가의 블루투스 동글을 차량에 탑재하고, 수많은 핫스팟 지역에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를 설치해야만 하는 전술한 종래 기술들과는 달리, 차량의 OBD 커넥터에 접속한 RF 송수신 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PC로 수집하고, PC에 수집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웹 상의 서버로 전송하여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며, 고장 진단용 데이터의 분 석 결과를 차량의 등록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온라인 통지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의 계통도로서, 차량의 OBD 커넥터(101)에 접속되는 RF 송수신기(102), PC 시스템(104), 네트워크(106),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 기준 데이터 DB(110), 고객 정보 DB(112), 무선 통신망(114) 및 다수의 휴대 단말(116/1 - 116/n)로 된 휴대 단말 그룹(116)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OBD 커넥터(101)에 접속되는 RF 송수신기(102)는, 예컨대 RF 송수신 모듈, 신호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차량 내부에 탑재된 전자 제어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전달되는 고장 진단용 데이터(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도시 생략)를 통해 무선 송출하거나 혹은 원격지의 PC 시스템(104)에 장착된 RF 변환 장치로부터 무선 송출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원 신호로 복조하여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OBD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차량 운전석 계기 판넬 근처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명 DLC(data link connector) 커넥터라고도 불리며, OBD-Ⅰ, OBD-Ⅱ 규격 등 차량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모든 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장 진단용 데이터는, 차량 내에 장착된 각종 센서(예컨대, RPM 센서, 배기가스 센서, 속도 센서, 수온 센서, 산소 센서, 에어 플로우 센서, 연료탱크 압력 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되어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에 수집되는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음에, PC 시스템은 네트워크 접속 수단(예컨대, 웹브라우저 등)을 갖는 전형적인 퍼스널 컴퓨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PC 시스템(104)에는 USB 커넥터를 통해 RF 변환장치, 차량에 탑재된 RF 송수신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RF 변환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며, RF 변환장치는 RF 송수신 모듈, USB 컨트롤러 등을 구비하여 원격지의 차량에 탑재된 RF 송수신기를 통해 무선 송출되어 안테나(도시 생략)를 통해 수신되는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원 신호로 복조하여 PC 시스템(104)으로 전달하고, PC 시스템(104)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PC 시스템(104)에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네트워크(106)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여기에서, 차량 내의 OBD 커넥터(101)에 접속되는 RF 송수신기(102)와 PC 시스템(104)의 USB 커넥터에 접속되는 RF 변환장치간의 무선 통신은, 예컨대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와이어리스(Wireless) LAN 방식, UWB 방식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USB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IEEE1394, Serial, Ethernet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PC 시스템(104)은, 네트워크(106)를 통해 웹 상의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RF 변환장치를 통해 원격지의 차량에 탑재된 RF 송수신기(102)로부터 수신되는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신의 구분자 정보(사용자 ID 또는 회원 ID)와 함께 네트워크(106)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고장 진단 서비스 이용자들은 PC 시스템(104)을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 접속(로그인 접속)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분석 결과를 조회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PC 시스템(104)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장 진단용 데이터(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단 과정으로는, 일 예로서 아래와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1)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해야 값의 경우
위와 같이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 중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준 값과 분석 결과 값간의 비교를 통해 차량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데, 이를 위하여 기준 데이터 DB(110)에는 차량별, 차량 연식별 등으로 구분되어 기준 값 데이터들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에 의거한 정확한 고장 위치는 각종 파라미터들(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들)의 조합을 통해 판별할 수 있다.
2) 상태에 따라 값이 변하는 경우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 중 여러 파라미터 값과의 의존 관계가 있는 경우(예컨대, 차량 RPM, 배기가스, 속도의 관계 등)에는 각 파라미터 값들의 연관성을 함께 분석하여 이상 발생시 고장을 진단하는데, 이를 위하여 각 파라미터 값들의 연관성 관계는 기준 데이터 DB(110)에 기 저장되어 있다.
3) 정상인 상태의 값과 비교하여 판별하는 경우
차량의 상태가 정상일 때 모든 차량(차종별 차량)의 상태 기준 값들을 기준 데이터 DB(110)에 저장해 둔 후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차량의 상태 값과 상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통해 고장을 진단한다.
즉, 기준 데이터 DB(110)에는 차량의 고장 진단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기준 값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서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수신한 고장 진단용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DB(110)에 기 저장된 각 기준 값들간의 비교 분석 등을 통해 차량의 고장 진단을 수행하며, 그 결과로서 얻어지는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해당 차량 소유자의 ID와 함께 고객 정보 DB(112)에 저장한다.
즉, 고객 정보 DB(112)에는 고장 진단이 행해진 차량들에 대한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들이 각 차량의 소유자별로 구분되어 고장 진단이 행해질 때마다 일자별로 구분되어 누적 저장된다. 또한, 고객 정보 DB(112)에는 회원으로 등록된 고객, 즉 차량 소유자들에 대한 고객 정보, 예컨대 성명, 나이, 성별, 차종, 차량 연식, 차량번호, 사용자 ID, 비밀번호, 전화번호, 휴대 단말 번호, E-메일 주소 등과 같은 고객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객 정보는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컴퓨터, 휴대 단말 등을 이용하여 웹 상의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등록할 때 회원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회원으로 등록된 차량 소유자들은 네트워크(106)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 접속 가능한 단말(컴퓨터, 휴대 단말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들을 필요할 때마다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는 차량의 고장 진단용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 과정을 통해 얻은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고객 정보 DB(112)에 저장한 후, 고장 진단 결과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고객(회원)의 휴대 단말 번호와 함께 네트워크(106)를 통해 무선 통신망(114)으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무선 통신망(114)은, 비록 도면에서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왑(WAP) 게이트웨이,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SMS 서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네트워크(106)를 통해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가 수신될 때 SMS 서버를 통해 이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휴대 단말로 발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로 발송되는 SMS 메시지는 차량의 고장 진단 결과 이상이 없고 있음을 나타내는 간략한 형태의 메시지이거나 혹은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내용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는, 상기와는 달리, 고장 진단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SMS 메시지가 아닌 이메일로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SMS 메시지와 이메일을 동시에 발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휴대 단말 그룹(116)내의 각 휴대 단말(116/1 - 116/n)은, 예컨대 PCS, 셀룰러폰, PDA, IMT-2000 단말, DMB폰, PMP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114)에 접속 가능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망(114)을 통해 제공 되는 SMS 형태의 차량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은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OBD 커넥터에 접속된 RF 송수신기는 전원이 공급되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기 설정된 주기로 PC 시스템을 호출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출하는데(단계 202, 204), 호출 메시지의 통달 거리 내에 PC 시스템(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PC 시스템)이 존재할 경우 해당 PC 시스템에서는 호출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차량에 탑재된 RF 송수신기로 송출한다(단계 206).
상기 단계(206)에서의 체크 결과, 특정 PC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해당 차량에 탑재된 RF 송수신기는 차량에 장착된 전자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와 같이 전달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는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 후 안테나(도시 생략)를 통해 무선 송출된다(단계 208). 여기에서, 고장 진단용 데이터는, 차량 내에 장착된 각종 센서(예컨대, RPM 센서, 배기가스 센서, 속도 센서, 수온 센서, 산소 센서, 에어 플로우 센서, 연료탱크 압력 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되어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에 수집되는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어서, 무선 송출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PC 시스템에 접속된 RF 변환 장치에서는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원 신호로 복조하고 이 복조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PC 시스템으로 전달하며(단계 210), PC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웹 상의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 접속하고,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네트워크(106)를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자신의 구분자 정보(사용자 ID 또는 회원 ID)와 함께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로 전송한다(단계 212).
여기에서, 차량에 탑재된 RF 송수신기와 PC 시스템에 접속된 RF 변환장치간의 통신은, 예컨대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와이어리스(Wireless) LAN 방식, UWB 방식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서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수신받은 해당 차량의 고장 진단용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DB(110)에 기 저장된 각 상태별 기준 값 및 고객 정보 DB(112)에 기 저장된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214), 그 분석 결과로서 얻어지는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들을 사용자 ID와 함께 고객 정보 DB(112)에 저장한다(단계 216).
다음에,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108)에서는 해당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및 분석 결과 저장을 수행한 후 고장 진단 결과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고객(회원)의 휴대 단말 번호와 함께 네트워크(106)를 통해 무선 통신망(114)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차량 소유자의 휴대 단말(또는 차량 소유자 지정의 휴대 단말)로 고장 진단 결과에 대한 SMS 메시지를 발송한다(단계 218). 여기에서, 해당 차량 소유자의 휴대 단말로 발송되는 SMS 메시지는 차량의 고장 진단 결과 이상이 없고 있음을 나타내는 간략한 형태의 메시지이거나 혹은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내용의 메시지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차량의 소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을 통해 현재 자신의 차량에 대한 이상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고장 진단이 수행될 때마다 고장 진단 결과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로 발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는 달리, 고장 진단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SMS 메시지(휴대 단말)가 아닌 이메일(PC)로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SMS 메시지와 이메일을 동시에 발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과 PC를 통신 단말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C를 차량에 직접 연결하고, PC의 연산 기능을 통해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거나 혹은 고가의 블루투스 동글을 차량에 탑재하고, 수많은 핫스팟 지역에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를 설치해야만 하는 전술한 종래 기술들과는 달리, 차량의 OBD 커넥터에 접속한 RF 송수신 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PC로 수집하고, PC에 수집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웹 상의 서버로 전송하여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며, 고장 진단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차량의 등록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온라인 통지함으로써, 차량 고장 진단의 신속성 및 고정밀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고장 진단의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2)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조한 후 원격지의 PC 측으로 무선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송출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가 상기 PC에 수신될 때,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와 기 저장된 각 상태별 기준 값 및 기 저장된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상 여부 판단이 종료될 때, 고장 진단 결과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등록 사용자에게 온라인 통지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PC 간의 통신은,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와이어리스(Wireless) LAN 방식, UWB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이상이 검출될 경우에 온라인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의 온라인 통지는, 이메일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SMS를 통해 상기 등록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온라인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7.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OBD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조한 후 원격지의 PC 시스템 측으로 무 선 송출하는 RF 송수신기와,
    상기 무선 송출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RF 변환장치가 접속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복조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PC 시스템과,
    수신된 고장 진단용 데이터와 기 저장된 각 차량의 상태별 기준 값 및 기 저장된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고장 진단 결과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로 온라인 통지하는 상기 고장 진단 서비스 서버와,
    상기 각 차량의 상태별 기준 값을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DB와,
    상기 이전의 차량 상태 정보 데이터와 상기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객 정보 DB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PC 시스템 간의 통신은,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와이어리스(Wireless) LAN 방식, UWB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고장 진단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이상이 검출될 경우에 온라인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의 온라인 통지는, 이메일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SMS를 통해 상기 등록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온라인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020826A 2007-03-02 2007-03-02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80081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26A KR20080081215A (ko) 2007-03-02 2007-03-02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26A KR20080081215A (ko) 2007-03-02 2007-03-02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215A true KR20080081215A (ko) 2008-09-09

Family

ID=4002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26A KR20080081215A (ko) 2007-03-02 2007-03-02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고장 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12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6947A (zh) * 2015-04-03 2015-08-26 深圳迪恩杰科技有限公司 面向4s店车主服务的车载智能在线管理系统及方法
CN110850848A (zh) * 2019-11-28 2020-02-2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车用网联诊断服务系统
CN114167846A (zh) * 2021-12-31 2022-03-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的远程故障诊断系统和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6947A (zh) * 2015-04-03 2015-08-26 深圳迪恩杰科技有限公司 面向4s店车主服务的车载智能在线管理系统及方法
CN104866947B (zh) * 2015-04-03 2018-08-14 深圳迪恩杰科技有限公司 面向4s店车主服务的车载智能在线管理系统及方法
CN110850848A (zh) * 2019-11-28 2020-02-2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车用网联诊断服务系统
CN114167846A (zh) * 2021-12-31 2022-03-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的远程故障诊断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6345B (zh) 车辆诊断和预测系统
CN102120441B (zh) 使用乘用车辆诊断系统的乘用车辆诊断方法
US9317977B2 (en)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a vehicle
US76686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and registering automotive exhaust emission data
US90149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data to third party authorized recipients
RU2491526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двигателя
US201400523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a vehicle
US20110071725A1 (en) Remotely interacting with a vehicle to perform servicing and engineering functions from a nomadic device or computer
CN106990773A (zh) 车辆远程诊断方法、云服务器及系统
CN104516344A (zh) 车辆诊断和预测系统和方法
JP4661380B2 (ja) 故障診断装置、故障診断システム、故障診断方法、及び車載装置
CN201854303U (zh) 基于车辆诊断线的internet诊断维修系统
CN110032166A (zh) 用于进行车辆诊断的模块和系统
US20040249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ult diagnosis
CN106104636A (zh) 使用基于网络的计算基础结构的汽车检测系统
US20090306849A1 (en) System for diagnosis of motor vehicles, and for reception of vehicles at a repair facility
CN101241573A (zh) 一种基于obd技术为二手车交易提供信用数据的方法
CN105511448A (zh) 一种集成式车用诊断仪及其诊断方法
US9665993B2 (en)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a vehicle
KR101459481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02702A (zh) 整车中t-box的功能检测方法及系统
KR20010103907A (ko)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CN102098326A (zh) 汽车网络诊断的方法及其系统
KR101275287B1 (ko) 원격 차량 감시 시스템
CN202077063U (zh) 汽车网络诊断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