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277A -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덱스트란과아라비노갈락탄의 복합체 - Google Patents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덱스트란과아라비노갈락탄의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277A
KR20080080277A KR1020087009562A KR20087009562A KR20080080277A KR 20080080277 A KR20080080277 A KR 20080080277A KR 1020087009562 A KR1020087009562 A KR 1020087009562A KR 20087009562 A KR20087009562 A KR 20087009562A KR 20080080277 A KR20080080277 A KR 2008008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mplex
polymer
bon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브라함 제이. 돔
이트작 폴라첵
마리나 소스콜니
제이콥 골렌서
Original Assignee
하다지트 메디칼 리서치 써비시즈 앤드 디벨롭먼트 컴파니 리미티드
이슘 리서치 디벨롭먼트 컴퍼니 오브 더 히브루 유니버시티 오브 예루살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다지트 메디칼 리서치 써비시즈 앤드 디벨롭먼트 컴파니 리미티드, 이슘 리서치 디벨롭먼트 컴퍼니 오브 더 히브루 유니버시티 오브 예루살렘 filed Critical 하다지트 메디칼 리서치 써비시즈 앤드 디벨롭먼트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변형되지 않은 모체 화합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치료 활성을 유지하지만 독성은 감소한, 폴리머와 약물의 폴리머 복합체를 제시한다.
복합체, 단량체, 폴리머, 알데히드, 약물

Description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덱스트란과 아라비노갈락탄의 복합체{DEXTRAN AND ARABINOGALACTAN CONJUGATES OF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본원 발명은 다당류를 이용한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의 복합체(conjugate)에 관한 것이다.
제한된 용해도와 안정성을 갖거나, 높은 독성을 가진 생물활성제는 상기의 제한을 극복하거나 독성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당류 같은 친수성의 폴리머에 결합시킴으로써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독성이 덜한 형태로 생물활성 약물을 제제화 하는 것이다. 그러한 예로서, 머지않아 독성이 덜한 미셀 형태(micellar form)의 소디움 데옥시콜레이트-AmB(sodium deoxycholate-AmB , Fungizone®)로 이용될 폴리엔 항생물질 AmB(polyene antibiotic Amphotericin B)가 있는데, 리포좀 제제(liposomal formulation, AmBisome®), 콜로이드 분산제(colloidal dispersion, Amphotec®), 지방 복합체(lipid complex, Abelcet®)에 이용될 수 있다. 미셀 형태가 전반적으로 독성을 줄여주지만, 1회 분량에 제한이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여전히 신장, 중추신경계, 간에 독성을 미친다.
목표하는 곳으로의 약물 도달과 약물의 장기(organ)마다 다른 분배와 간과 신장에 보다 적은 축적으로 인한 낮은 약물 독성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용성 폴리머-약물 복합체(polymer-drug conjugate)의 개발이 추구되었다. 미국 특허번호 5,567,685와 6,011,008은 본원 발명자에게 산화에 민감한 생물활성 물질로서 수용성 다당류 복합체(conjugate)를 제시하였는데, 이들은 자유로운 알데히드 그룹과 원하는 치료효과를 줄 수 있는 활성있는 모이티(moiety)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다. 최근에, 발명자들은 복합체(conjugate)가 치료상으로 효과가 있지만 어느 정도 독성은 남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알데히드 그룹을 갖는 작은 분자들이 독성을 띄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독성은 일반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아민과 반응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서, 단백질과 핵산구조를 방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데히드를 포함한 분자들은 업계에서 생물학적 적합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알데히드의 환원 - 독성 제거는 알데히드 모이티를 실질적으로 독성이 덜한 그룹으로 바꾸어서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화학적 변형이 있는 분자에서는 생물활성 모이티, 예를 들면 AmB 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치료효과의 감소가 관측되기도 한다.
알데히드 모이티가 주는 독성을 감소하는 것과 치료 효과를 유지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분명히, 화합물을 개발하는 데에 장애가 된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폴리머(polymer)와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로 구성된 변형된 폴리머 복합체(conjugate), 이른바 약물(drug)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의 복합체(conjugate)는 변형되지 않은 원래의 화합물에 비해 독성이 감소되었으나, 치료 효과는 변형되지 않은 원래의 화합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복합체(conjugate)는 전형적으로, 미국 특허번호 5,567,685와 6,011,008에 제시된 알데히드를 포함하는 복합체(conjugate) 같은 적당한 선구물질로부터 제조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듯이, 복수 개의 알데히드 그룹을 포함하는 선구물질 복합체(conjugate), 이른바 "모체 복합체( parant conjugates)" 또는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 unmodified conjugates )" 는 상기의 알데히드 그룹을 -CH2OH 외의 그룹으로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조건하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듯이, -CH2OH 외의 그룹은 비-제한 방법으로, 에테르(ethers), 에스테르(esters), 아민(amines), 이민(imines), 아마이드(amides), 아세탈(acetals), 또는 헤미아세탈(hemiacetals) 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미국 특허번호 5,567,685와 6,011,008의 알데히드가 없는 환원된 복합체(conjugate)는 본원발명에서는 제외된다.
본원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다:
1.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약물은 C폴리머-O약물 또는 C폴리머-N약물 결합을 통해서 폴리머 골격에 결합된다.
2. 복합체(conjugate)는 대체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다.
3. 복합체(conjugate)는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에 비해서 독성이 감소하였다.
4. 복합체(conjugate)는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와 관련하여 생물학적 및/또는 치료 효과를 유지한다.
5. 복합체(conjugate)는 폴리머에 결합된 약물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6. 복합체(conjugate)는 대부분의 물리적, 화학적 특징을 유지하는데, 이는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의 용도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복합체( conjugate )" 용어는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다당류, 그리고 다당류에 화학적으로 결합 (예를 들면, 복합된(conjugate))된 약물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화학적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공유결합, 더 바람직하게는 약물 분자의 N 또는 O 원자와 폴리머의 C 원자 간의 결합이며, 상기의 N 또는 O 원자는 상기의 약물 또는 화학적 변형을 통해서 약물에 덧붙여진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폴리머 ( polymer )"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반복되는 단량체, 그리고 적어도 1,000 달톤(Dalton)의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10,000 달톤의 분자량, 더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75,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사용되는 폴리머는 직선형이거나 가지형이다. 폴리머가 적어도 두 개의 반복되는 단량체로 구성된 경우, 폴리머는 정렬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적어도 두 개의 단량체의 각각이 교대로 정렬된 시퀀스(sequence)를 갖거나, 무작위로 정렬되지 않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폴리머(polymer)" 용어는 또한 단독중합체(homopolymer), 공중합체(copolymer), 3량체(terpolymer)와 그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보여주듯이,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다수의 산화된 단량체를 갖는 부분적으로 산화된 폴리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폴리머를 산화시켜서 제조한다. 그 후에 폴리머의 산화된 단량체는 3개의 다른 단량체를 갖는 폴리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따라 변형된다: (ⅰ) 원래의 구조를 유지한 산화되지 않은 단량체, (ⅱ) 알데히드가 없는 단량체를 갖는 약물, (ⅲ)단독 단량체와 알데히드가 없는 단량체를 갖는 약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의 폴리머는 반복되는 단당류 단위(monosaccharide unit)를 포함하는 다당류(polysaccharide)이고, 상기의 단당류는 같은 것(예를 들면 덱스트란(dextran))이거나, 다른 것(예를 들면,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일 수 있고, 상기의 다당류는 천연적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고, 가지형이거나 선형일 수 있다. 다당류는 천연 다당류를 합성하여 변형한 것 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다당류는 수용성이거나 수분산형(water-dispersible) 다당류에서 선택된다.
다당류의 실시예는 전분(starch, 다당류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 글리코겐(glycogen, 반복되는 글루코스 단량체(glucose monomers)로 구성된 가지형 다당류), 셀룰로오스(cellulose, β결합으로 결합된 반복되는 글루코스 단위로 구성된 것), 덱스트란(dextran, 반복되는 글루코스 단위로 구성된 선형 다당류), 풀루란(pullulan, 반복되는 말토트리오스 단량체(maltotriose monomers)로 구성된 것), 키토산(분산된 β-(1-4)-결합된 D-글루코사민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 단위로 구성된 것),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AG, 갈락토스 단위(galactose units):아라비노스 단위(arabinose units)=6:1의 비율로 결합된 갈락토스 단위와 아라비노스 단위로 구성된 가지형의 천연 다당류), 갈락탄(galactan, 반복되는 갈락토스 단량체로 구성된 것), 갈락토마난(galactomannan , 갈락토오스 곁가지를 가진 마노스 단량체(mannose monomers)로 구성된 것), 구아 감(guar gam, β-D-마노스 단량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단량체는 α-D-갈락토스 잔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약물( drug )" 용어는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산화에 민감한 화합물을 말한다. 약물은 폴리머에 붙어 있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공유결합을 통해서 붙어 있어야 하며, 상기의 약물은 바람직하게 수산기가 첨가된 것이거나(티올기(thiol group)가 첨가되거나) 아민화된 활성있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한다. 수산기가 첨가된 화합물의 O(또는 S)원자 또는 아민화된 화합물의 N 원자는, 폴리머에 덧붙여진 것을 통해서, 약물에서 비롯된 것 또는 그러한 덧붙임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 위에 화학적으로 변형된 것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약물은 폴리엔 항생제, 약 2,000 달톤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진 저분자량의 약물, 약 2,000 내지 6,000 달톤 범위의 분자량을 가진 고분자량 약물, 아민 약물 유도체,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와 이의 유사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수산기가 첨가된 약물의 실시예는 덱사멘타손(dexamethasone),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시타라빈(cytarabine), 살리신산(salicylic acid), 산탈올(santalol), 프로파놀올(propanolol)이다. 폴리엔 항생제의 실시예는 니스타틴(Nystatin)과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AmB)이다.
저분자량의 약물의 실시예는 5-아미노 살리실산(5 -amino salicylic acid), 아미노글로코시드 항생제(aminoglucoside antibiotics), 폴리엔 항생제(polyene antibiotics), 플루시토신(flucytosine), 피리메타민(pyrimethamine), 설파디아진(sulfadiazine), 댑손(dapsone), 트리메토프림(trimethoprim), 미토마이신(mitomycins),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폴리믹신 B(polymyxin B), 프로파놀올(propanolol), 시타라빈(cytarabine) 그리고 산탈올(santalol)이다.
"아민 약물 유도체( amine drug derivatives )" 용어는 약물을 포함하는 히드록실의 올리고펩티드 에스터를 말하는데, 1차 아민을 운반하거나 1차 아민을 운반하기 위하여 화학적으로 변형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올리고펩티드( oligopeptide )" 용어는, 통상적으로 20개 정도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사슬을 말하며, 상기의 아미노산은 같은 것이거나 다른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유도체의 예는 알라닐-탁솔(alanyl-Taxol), 트리글리실-탁솔(triglycyl-Taxol), 알라닐-글리실-덱사메타손(alanyl- glycyl-dexamethasone), 글리실-덱사메타손(glycyl-dexamethasone)과 알라닐-덱사메타손(alanyl-dexamethasone)을 포함하며, 다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펩티드는 약 6,000 달톤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인, 메티오닌, 티로신, 히스티딘과 트립토판과 같은 산화될 수 있는 아미노산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 것이다. 그러한 폴리펩티드의 예는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브래디키닌(bradykinin), 바소프레신(vasopressin), 옥시토신(oxytocin),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티로트로핀 방출 인자(thyrotropin, TRF),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인슐린(insulin)과 칼시토닌(calcitonine)을 포함하며, 다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펩티드 유사체( polypeptide analogs )" 용어는 사이클릭 유도체, N-알킬 유도체, 아미노산 말단 또는 펩티드 사슬을 따라 지방산이 붙어있는 유도체, 역 아미노산(reverse amino acid)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생물활성 폴리펩티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C 폴리머 -N 약물 " 표현은 폴리머의 C 원자와 약물 분자의 N 원자 간의 결합을 말하며, "C 폴리머 -O 약물 " 표현은 폴리머의 C 원자와 약물의 O 원자 간의 결합을 말한다. 약물 분자의 N 원자는, 예를 들면 아미노 그룹(1차, 2차, 전하를 띈 것, 중성인 것), 아마이드 그룹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링 구조의 부분(전하를 띈 것, 중성인 것)이 될 수 있고, 약물의 O 원자는 히드록실 그룹(또는 수산기가 첨가된 것)이나 카르복실산(또는 카르복실레이트, -O-C(=O)-)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폴리머의 C 원자와 약물의 N 원자간의 C-N 결합이 단일 결합이며, 이른바 "아민 결합(amine bond)"이라고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N 결합이 이중 결합이며, 이른바 "이민 결합(imine bond)"이라고 한다.
만약,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가 10 개의 단량체나 단당류 당 겨우 하나의 알데히드 그룹, -C(=O)H,(폴리머에 독성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20 개의 단당류 당 하나의 알데히드 그룹, 더 바람직하게는 100 개 단당류 당 1개의 알데히드 그룹을 가지고 있다면,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다고 한다. 알데히드 그룹의 농도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는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에게 알려진 다양한 분석 방법들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하나의 예시적인 테스트는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정량적인 적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이하의 단량체의 조합을 포함한다:
(a) 상기의 폴리머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예를 들면, 다당류 의 단당류가 이에 해당하며;
(b) 상기의 (a)의 단량체의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된 형태; 및
(c) 약물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상기의 (b)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된 형태;
여기서, 상기의 조합은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형(water-dispersible) 다당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의 폴리머는 다당류이고 본원 발명의 복합체는 이하의 단당류의 조합을 포함한다:
(a) 덱스트란과 같은 다당류의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스 단당류;
(b)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글루코스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된 개방 링 형태;
(c) 약물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상기의 글루코스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된 개방 링 형태;
여기서, 상기의 조합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형(water-dispersible) 덱스트란,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a) 내지 (c)의 각각의 단당류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안에서 (a)의 단당류는 복합체(conjugate)의 약 10 내지 98 중량%를 구성한다. 또다른 경우, (b)의 산화된 형태는 복합체(conjugate)의 약 10 내지 60 중량%를 구성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c)의 약물 복합체(conjugate)는 복합체(conjugate)의 약 1 내지 50 중량%를 구성한다.
상기의 그룹 (a)의 "단량체( monomer )" 용어는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폴리머의 블록을 쌓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다당류의 단당류를 말한다. 그러한 단당류의 실시예는 글루코피라노스(glucopyranose, 전분에서 반복되는 단위), 글루코스(글리코겐, 덱스트란, 셀룰로스에서 반복되는 단위),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 풀루란에서 반복되는 단위), β-(1-4)-결합된 D-글루코사민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키토산에서 반복되는 단위), 아라비노스와 갈락토스(아라비노갈락탄(AG)에서 반복되는 단위)과 갈락토스(galactose, 갈락탄에서 반복되는 단위)이다.
상기의 그룹 (b)의 단당류의 산화된 형태는 다당류 사슬의 단당류 단위를 산화시켜서 얻은 개방 링(open ring) 디알데히드(dialdehyde) 형태이다. 실질적으로 알데히드가 없는 산화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방 링 디알데히드는 유리 알데히드 그룹(free aldehyde group)과, 에테르, 에스테르, 아민, 이민, 아마이드, 아세탈 또는 헤미아세탈 중의 그룹과 반응성을 가지고, 이러한 그룹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적으로 변형된다.
상기의 당류의 산화된 형태로서 약물에 결합된 것(상기의 그룹(c))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은 일반식 Ⅰ의 일종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이하의 구조는 개방 링 단당류의 일반적인 표현을 나타낸 것이며, 다른 다당류나 폴리머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구조는 링 크기와,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s), 다른 치환체 그리고 분자량이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일반식 Ⅰ: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1
R1은 없거나, H, OH, O-알킬 그룹에서 선택된다;
R2는 N 또는 O 원자를 통해 상기의 단량체에 결합된 약물(앞에서 정의된)이며, 상기의 N 원자를 통한 결합은 C1-N 단일결합이거나 이중결합일 수 있다;
상기의 결합이 C1-N 이중결합인 경우에, R1은 없고 N 원자는 수소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거나, 수소가 결합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결합이 C1-N 단일결합인 경우에는, R1은 H이고, 상기의 N 원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R3는 없거나, H, OH, -O-알킬 그룹, -N-알킬 그룹, 아미노산, 지방, 당지질,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설탕 또는 올리고당에서 선택된다;
R4는 없거나, 약물(앞에서 정의된), -O-알킬 그룹, -N-알킬 그룹, 아미노산, 지방, 당지질,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설탕 또는 올리고당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R3, R4가 각각 -O- 또는 N- 알킬 그룹이고, 상기의 O 또는 N을 가진 상기의 알킬 그룹이 서로 결합하여 C2원자는 헤테로사이클릭 링(heterocyclic ring)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R2의 약물은 R4의 약물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아미노산( amino acid )" 용어는 아미노 그룹과 카르복실 그룹을 둘다 포함한 유기 분자를 말하며, 상기의 아미노산은 알파 아미노산과 베타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한다. "펩티드( peptide )" 용어는 특정 시퀀스에서 펩티드 결합으로 서로 연결된 아미노산의 짧은 사슬을 말한다. "폴리펩티드( polypeptide )" 용어는 다수의 아미노산을 포함한 선형 폴리머를 말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단백질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지방( lipid )" 용어는 물에 녹지 않지만, 비극성 유기 용매에는 녹는 유기 분자를 말한다. 이러한 부류는 또한 인지질을 포함한다. "당지질( glycolipid )" 용어는 극성 헤드그룹(headgroup)에 붙어있는 설탕 잔기나 올리고당을 가진 지방 분자를 말한다.
"설탕( sugar )" 용어는 일반식 (CH2O)n 으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가진 길이가 짧은 탄수화물을 말한다. 설탕의 실시예는 단당류 글루코스(monosaccharides glucose), 프룩토스(fructose), 만노스(mannose)와 이당류 수크로스(disaccharide sucrose)이다. "올리고당( oligosaccharide )" 용어는 설탕과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짧은 길이의 선형 또는 가지형 사슬을 말한다.
"당단백질( glycoprotein )" 용어는 아미노산 곁사슬과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올리고당 사슬을 가진 단백질을 말한다.
일반식 Ⅰ에서, R4는 없을 수도 있고, C1에 결합된 약물의 N 원자는 C-N 단일 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되어 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식 Ⅰ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다당류에 결합된 약물은 AmB, 독소루비신, 미토마이신 C, 폴리믹신 B, 팍리탁셀, 젠타마이신, 덱사메타손, 5-아미노 살리실산, 그리고 소마토스타틴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약물은 AmB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단당류는 글루코스, D-글루코사민,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또는 이들의 유도체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의 폴리머는 호모-다당류(homo-polysaccharide)로서, 산화되지 않은 단량체, 산화된 단량체, 같은 단당류에 결합된 단량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다당류는 혼합된 것 또는 코-다당류(co-polysaccharide)이며,상기의 코-다당류는 산화되지 않은 단량체, 산화된 단량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단당류의 결합된 단량체(conjugated monomers)로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OH이고, R4는 O-알킬이며 상기의 알킬은 크기가 작은 알킬, 예를 들면 에틸과 같이 1 내지 9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이거나, 크기가 큰 알킬,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과 같이 적어도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OH이고, R4는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N-알킬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없고, R4는 이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N-알킬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H이고, R4는 O-알킬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OH이고, R4는 O-알킬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O-알킬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N-알킬로서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되어 있고, R4는 O-알킬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는 H이고, R4는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N-알킬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3와 R4은 독립적으로,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N-알킬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R3는 없고, R4는 이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아미노산이며, 상기의 아미노산은 바람직하게는 리신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R3는 H이고, R4는 아미노산이며 바람직하게는 리신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R3는 없고, R4는 =NCH2CH2OH 이며, 상기의 N 원자는 중성이거나 전하를 띌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R3는 H이고, R4는 -NZCH2CH2OH 이며, 상기의 Z는 H이거나 상기에서 정의한 치환체일 수 있으며 N 원자는 중성이거나 전하를 띌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R3는 OH이고 R4는 -OCH2CH3 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의 폴리머는 덱스트란, 키토산 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이며,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R4는 =NCH2CH2OH 또는 -NZCH2CH2OH 이며, 상기의 Z는 H, 알킬 또는 -OCH2CH3 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알킬 ( alkyl )" 용어는 광범위하게 1 내지 5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소 사슬을 말한다. 탄소 사슬은 치환될 수도 있고,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직선형이거나 가지형일 수 있고, 고리형이거나, 비고리형일 수 있다. 상기의 알킬의 치환체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그룹 또는 원자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할로겐화물(I, Br, Cl 그리고 F), 헤테로 원자(예컨대, N, O, S, P), -OH, -NO2, -NH2 , -아릴, -S(=O)-, -S(=O)2O-, -C(=O)NH2-, 그밖의 것들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용어는 또한,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내측 사슬 알킬렌 그룹(inner chain alkylene group)과 C-C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 또는 방향족 모이티(moiety)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결합된 탄소 사슬을 말하기도 한다. "크기가 작은 알킬" 용어는 1 내지 9 개 사이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을 말하며, "크기가 큰 알킬" 용어는 10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을 말한다.
상기의 알킬 그룹의 실시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헥실, 알릴(프로페닐)(allyl (propenyl)), 프로파르길(프로피닐)(propargyl (propynyl)), 플루오레닐(fluorenyl), 페닐, 그리고 나프틸(naphthyl)이다.
"-N- 알킬 그룹" 용어는 2차, 3차, 4차 아민 또는 이민이 될 수 있는 N 원자를 통해서 폴리머에 결합된 알킬 그룹을 말하며, 수소가 결합되어 있거나, 알킬이 결합되어 있거나 중성이거나 전하를 띌 수 있다. "-O- 알킬 - 그룹" 용어는 O 원자를 통해서 폴리머에 결합된 알킬 그룹을 말한다.
R3 또는 R4의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N-알킬, -O-알킬 그룹, 아미노산, 지방, 당지질,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설탕 또는 올리고당은 이하의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다: (ⅰ)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의 생물학상/치료상 활성, 특이성,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모이티(moiety)와 (ⅱ)변형된 복합체(conjugate)에 대해 이하에서 선택된 부가적인 특성을 적어도 하나를 부가하는 모이티 : 소수성, 친수성, 산성, 수용성, 분산성, 화학적 반응성, 목표 조직에 대한 특이성, 특정한 수용체나 생물학상 활성 부위에 대한 변형된 치료상의 활성과 친화도
복합체(conjugate)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모이티의 실시예는 에탄올아민, 히드록실아민,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에탄올에서 유도된다.
복합체(conjugate)에 부가적 성질을 제공하는 모이티의 실시예는: (1) 콜레스테롤과 그의 유도체, 이들은 복합체(conjugate)에 소수성을 제공하여 친수성 약물이 소수성 벽을 통과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2) 글루코사민, 이는 복합체(conjugate)의 친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과 같은 아미노산 또는 이들로부터의 짧은 올리고펩티드, 이들은 복합체(conjugate)의 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4) 리신, 오르니틴과 같은 아미노산 또는 이들로부터의 올리고펩티드, 이들은 복합체(conjugate)의 산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5) 리신, 스페르민(spermine), 스페르미딘(spermidine), 다른 비독성 디아민과 같은 두 기능을 가진 분자들, 이들은 복합체(conjugate)를 교차결합하거나 가지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6) 지방산 아민과 같은 소수성 분자들: 스테아릴 아민(stearyl amine), 올레일 아민(oleyl amine), 그리고 팔미토일 아민(palmitoyl amine), 이들은 복합체(conjugate)의 지방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의 모이티는 복합체(conjugate)에게 필요한 소수성을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본원 발명에 따른 변형된 복합체(conjugate)는 물에 녹지 않아서 나노파티클, 리포좀, 미셀 분산액, 콜로이드의 분산액의 제조에 적합해 질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변형된 복합체(conjugate)는 지방친화성의 표면을 입히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면에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 중의 어느 것이라도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조성물은 약학적 용도를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항생제로서 효과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가 이용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구충제로서 효과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가 이용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항암제로서 효과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가 이용된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면에서,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조성물은 캐리어나 불활성 성분을 또한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고, 상기의 캐리어는 약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이다.
약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는 예를 들면,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부형약(vehicle), 보조약, 희석액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약물과 복합체(conjugate)에 화학적으로 활성을 보이지 않는 것과 사용될 때, 해로운 부작용이나 독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 약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로서 선호된다.
캐리어의 선택은 특정한 용도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특정한 복합체(conjugate)에 의해서도 부분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나 이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한 어떠한 조성물도 경구, 에어로졸, 비경구, 피하, 정맥, 근육, 복막, 직장과 질에 투약할 수 있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게다가,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하이드로겔(hydrogels),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어서 주입, 스텐트의 코팅이나 원래 자리에 이식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또한, 나노파티클, 미셀 분산액, 리포좀, 복합체(conjugate)의 다양한 약물 방출 특성을 이용하는 변형된 방출 제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어떤 질병 또는 본원에서 정의한 복합체(conjugate)가 주입된 어떠한 약물에 의해서 치료가능한 장애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체(conjugate)는 인간이나 비인간의 치료를 위해 항생제, 구충제, 또는 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치료( treatment )" 용어 또는 이와 비슷한 용어는 본원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상의 유효량의 투여를 말하며, 본원 발명은 병과 관련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증상을 개선하거나, 발병 전에 그러한 증상의 발현을 막거나,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거나, 증상의 악화 속도를 늦추거나, 완화 기간의 착수를 높이거나 악화되는 만성단계에서 유발된 역행할 수 없는 손상 속도를 늦추거나, 상기의 악화 단계의 개시를 늦추거나, 통증을 줄이거나, 병을 치료하거나, 생존률 또는 보다 빠른 회복을 개선하기 위하여 또는 상기의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이 조합된 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어떠한 적당한 제제(formulation)로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알려진 치료법 즉, 화학요법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면은,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폴리머의 변형되지 않은 수용성 복합체(conjugate), 예를 들면 다당류와 약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의 다당류는 적어도 하나의 알데히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의 약물은 이민(-C폴리머=N약물-), 아민(-C폴리머-N약물R-), 아마이드(-C폴리머-N약물C(=O)-), 에테르(-C폴리머-O약물-) 그리고 카르복실(-C폴리머-O약물-C(=O)-) 결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결합을 통해서 상기의 다당류와 결합된 것; 및
(b) 상기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를 상기의 알데히드 그룹에 반응성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약물 또는 상기의 결합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거나 작은 반응성을 가지는 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500 달톤 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달톤 보다 작은 분자량을 갖는 것;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복합체(conjugate)를 얻게된다.
선택적으로, 약물과 다당류 간의 이민 결합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단계 (a)와 단계 (b)는 순서대로 진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방법은 유기합성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단일-용기(one-pot)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체(conjugate),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것은 상기의 단계(a)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에 비해 독성이 감소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a)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는 미국 특허번호 5,567,685와 6,011,008에서 개시된 복합체(conjugate) 중에서 선택된다.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카이랄 센터(chiral center)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할 것도 없다. 그러한 카이랄 센터는 (R)형 또는 (S)형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이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는 순수한 이성질체 화합물이거나 입체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아미노산 잔기의 경우에, 상기의 잔기는 L- 또는 D-형일 수 있다. 복합체(conjugate)의 카이랄 센터는 어떤 조건하에서는 에피머리즘(epimerism)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다른 면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체(conjugate)가 제공된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면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복합체(conjugate)가 제공된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원 발명은 다수의 알데히드 그룹을 갖는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를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물질, 즉 상기의 다수의 알데히드 그룹을 아민, 이민, 아마이드, 아세탈, 헤미아세탈, 에테르, 에스터 중의 하나로 변형시킬 수 있는 물질과 반응시켜서 제조되는 복합체(conjugate)가 제공된다. 알데히드 그룹의 변형에 관해서는,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 A Guide to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R.C. Larock, Wiley- VCH; 2 Ed. 1999. 에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면에서, 미국 특허번호 5,567,685와 6,011,008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와 관련된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의 방법은 상기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의 다수의 알데히드 그룹을 아세탈, 헤미아세탈, 아민, 이민 중에서 선택된 다수의 그룹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의 알데히드 그룹을 상기의 폴리아민의 아민 그룹과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를 폴리아민과 반응시켜, 상기의 복합체(conjugate)와 상기의 폴리아민을 교차결합시키고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하이드로겔은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다.
본원 발명을 이해하고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첨부한 도 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dextran polyaldehyde)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포독성 테스트는 뮤린(murine) RAW 264.7 세포에서 산화 정도를 달리한 덱스트란(40 kDa)를 사용하여 3H-티미딘 혼성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각각의 테스트는 3 개를 한벌로 해서, 두 번씩 수행하였다. 평균과 표준 편차를 나타냈다. 알데히드 농도는 [2(1회 분량,g) x (산화도 %)/(당 단위 중량(saccharide unit weight), 160 g/mol) mL]로 계산하였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변형된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포독성 테스트는 뮤린(murine) RAW 264.7 세포에서 덱스트란(40 kDa)를 사용하여 3H-티미딘 혼성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각각의 테스트는 3 개를 한벌로 해서, 두 번씩 수행하였다.
도 3은 덱스트란-AmB(이민)과 덱스트란-AmB-에탄올아민 복합체(conjugate)의 in vitro(시험관 안)에서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포독성 테스트는 뮤린(murine) RAW 264.7 세포에서 3H-티미딘 혼성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복합체(conjugate)는 약물과 같은 양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3개를 한벌로 해서, 두번씩 수행하였다.
도 4는 37℃에서 용액에서 덱스트란-AmB 복합체(conjugate)로부터 방출된 AmB를 나타낸 것이다. AmB 방출은 HPLC에 의해 측정되었다.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data point)는 두 개의 다른 배치(batch)의 평균이다.
당업자는 제시된 예들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일반식 Ⅰ의 구조를 갖는 단당류에 대해 본원에서 제시한 도해와 개방 링 구조는 다당류 또는 단당류의 일반적인 표시이며, 청구항의 단량체의 구조로 여겨지거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될 것이다.이러한 일반식 Ⅰ이나 도해에서 보여준 구조는 치환될 수 있고, 다른 폴리머나 다당류의 특성이 될 수 있는 링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필요한 변형을 수행하여 하나의 다당류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의 합성
다른 알데히드 구성을 가진 다양한 산화된 덱스트란을 형성하기 위하여 4,000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덱스트란은 다양한 양의 과요오드산염(periodate)으로 산화하였다(도해 1). 1.5 내지 50% 사이(1.5%, 5%, 8%, 15%, 25%, 그리고 50%)의 산화도를 가진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는 1 g의 덱스트란에 통제된 과요오드산 칼륨(0.0836, 0.2875, 0.46, 0.8625, 1.4375, 그리고 2.875 g, 각각)을 수용액에 첨가하면서 제조한 후, 실온에서 6 시간동안 빛으로부터 보호되는 용기내에서 교반하였다. 제조된 폴리알데히드는 도웩스-1(Dowex-1)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아세테이트 형, pH 7)를사용하여 요오드산염과 반응하지 않은 과요오드산염으로부터 정제했다. 도웩스 아세테이트는 1M 아세트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상업용 음이온 교 환수지의 전처리를 행하여 얻어진다. 정제한 산화된 덱스트란 용액은 4℃에서 48시간 동안 3500 분자량 분리 투석 관(cutoff dialysis tubing)(Membrane Filtration Products Inc., San Antonio, TX)으로 DDW(증류수)로부터 투석(5L의 DDW로 4회 투석)하고 24 시간 동안 감압하에 동결 건조하였다.
산화도의 측정은 다음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산화된 덱스트란(0.1 g, 0.625 mmol)을 0.25 M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용액(pH 4.0) 25 mL 에 녹였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용액을 저은 후, 0.1M NaOH 표준 용액으로 적정했다. 적정 종말점은 적정부피(V) 당 용액부피에 대한 pH(dpH/dV)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부터 계산하였다. 분자량은 GPC로 측정하였다. 10 mg/mL 농도의 샘플은 Shodex(KB-803) 컬럼으로 DDW에서 1 mL/min의 흐름속도의 0.05M 질산 나트륨으로 녹여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샘플의 분자량은 5,000 - 110,000 Da 범위의 풀루란 표준물질(PSS, Mainz,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산화용 과요오드산 칼륨(KIO4)의 양과 산화된 덱스트란의 알데히드 양은 1차 상관관계에 있다. 다양한 몰비(mole ratio)(1:1, 1:2, 1:3, 1:5, 1:10, 그리고 1:33, 과요오드염 : 당 단위)로 과요오드염과 반응시킨 덱스트란의 산화도와 산화된 덱스트란의 분자량은 표 1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2
표 1 - 다양한 몰비의 KIO4 와 산화시킨 후의 덱스트란의 특성.
표1에서: a산화도는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방법(the hydroxylamine hydrochloride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산화의 퍼센트는 당 단위(saccharide unit) 당 2개의 알데히드를 얻기 위한 산화된 당 단위의 퍼센트이다; b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하였다.
모든 산화된 덱스트란은 비슷하게 평균 약 3,2000 분자량과 약 1.6의 다분산성(polydispersity)을 가졌다. 매우 산화된 덱스트란(P = 2.39)의 다분산성 값이 약간 상승하였는데, 이는 산화용으로 사용한 과량의 과요오드염과 관련이 있다.
실시예 2 : 변형된 덱스트란의 합성
환원된 덱스트란 - 산화된 덱스트란(1 g, 50% 산화)은 100 mL의 DDW에 녹였다. NaBH4(1 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은 투석하고 감압동결건조하여 정제하였다.(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덱스트란 아세탈 - 산화된 덱스트란(1 g, 50% 산화)은 100 mL 에탄올에 녹여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덱스트란 아세탈은 DDW에 침전시켜서 감압동결건조하였다.(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덱스트란 - 에탄올아민 이민/아민 - 덱스트란(2 g, 50% 산화)은 200 mL 붕산염 완충용액(pH 11)에 녹인 후, 0.41 mL(1.1 mol) 에탄올아민을 첨가하였다. 샘플 100 mL를 제거한 후, 반응혼합물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투석하여 감압동결건조하여(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민 형태를 얻었다. 아민 형태를 얻기 위하여 상기의 잔존한 100 mL 반응용액에 1 g의 NaBH4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교반 한 후, 투석하여 정제하고 감압동결건조하였다.(도해 1)
실시예 3 : 덱스트란 - 암포테리신 B ( AmB ) 이민/아민 복합체(conjugate)
1 단계에서 산화된 덱스트란(50% 산화)을 준비하고, 2단계에서 산화된 덱스트란을 AmB에 결합시켰다(도해 2). 통상적인 실험으로, 산화도 50%의 당 단위(saccharide unit)로 산화된 덱스트란 1 g을 100 mL 붕산염 완충용액(pH 11)에 녹였다. AmB 분말(0.25 g)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빛으로부터 보호되는 용기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의 pH는 11로 유지하였다. 투석하여 정제한 후, 24시간 동안 감압동결건조하여(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민 복합체(conjugate)의 투명한 옐로우-오렌지 용액을 얻었다. 상기의 이민 복합체(conjugate) 반응 혼합물에 NaBH4을 첨가하여 하루동안 반응 을 유지시켜, 아민 복합체(conjugate)를 얻었다.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옐로우-오렌지에서 엷은 노란색으로 색깔이 변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아민 복합체(conjugate)는 투석으로 정제하고, 감압동결건조하였다(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해 2에서와 같이 덱스트란-AmB-에탄올아민(이민) 복합체(conjugate)를 준비한 후, 이민 복합체(conjugate) 혼합물에 에탄올아민(알데히드 1.1 mol 과 등량)을 첨가하여 하루동안 반응을 유지시켰다. 반응의 pH는 11로 유지하였다. 덱스트란-AmB-에탄올아민 복합체(conjugate)는 투석으로 정제하고, 감압동결건조하였다(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실시예 4 : 복합체(conjugate) 포함된 AmB 양의 측정
본원 발명의 복합체(conjugate)에 포함된 AmB 양은 알려진 양의 약물을 포함한 덱스트란-AmB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410 nm에서 자외선 흡광(UV absorbance)으로 측정하였다. 복합체(conjugate)의 순도는 C18 역상 컬럼(LichroCart 250-4, Lichrospher 100, 5 ㎛) HPLC로 측정하였다. 70% 아세토니트릴/27% 증류수/3% 아세트산의 혼합물을 1.8 mL/min 흐름 속도로 하여 이동상으로 사용했다. 자외선 탐지는 410 nm에서 행하였다. 두 가지 테스트 모두, 복합체(conjugate) 샘플을 DDW에 0.3 mg/mL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5 : 아라비노갈락탄 ( AG )-리신 복합체(conjugate) 합성
평균 분자량 20,000 DA(1 g, 0.006 mol)을 갖는 AG를 20 ml DDW에 녹인 후, 과요오드산 칼륨(1.4 g, 0.006 mol)을 첨가하고, 산화제의 완전한 용해를 위하여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에 따라 얻어진 산화된 AG를 아세트산염 형태로 도웩스-1로 채워진 컬럼에서 과량의 과요오드산염와 반응 부산물로부터 분리했다. 정제한 산화된 AG 용액은 4℃에서 48 시간 동안 DDW로부터 투석 관(12,000 DA 분획 분자량)을 통해서 투석한 후, 감압동결건조하였다. 양자택일로, 순수한 복합체(conjugate)가 얻어질 때까지, 5,000 Da 분획분자량을 사용한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으로 정제하였다.
복합체(conjugate)를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고 페놀 프탈레인의 종말점까지 NaOH 용액으로 형성된 유리 HCl(free HCl)을 적정하여 산화도를 측정하였다. 1 g 다당류 당 0.005 몰 알데히드의 산화도를 갖는 AG를 0.1 M 탄산 완충용액 pH 8.5 (10 mL)에 녹인 후, 리신 히드로클로라이드(1% w/w, 10mg)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37℃에서 24 시간 동안 흔들었다. 이민 복합체(conjugate) 겔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졌다; 한 부분은 여분의 알데히드를 없애기 위하여 과량의 에탄올아민과 반응시켰다. 5 시간 후에, 겔을 분리하여, 반응하지 않은 에탄올아민과 다른 작은 분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조심스럽게 수세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붕소 화학수소화물(1.1 몰 NaBH4/AG 에 포함된 당류의 몰)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원래의 겔 부분의 나머지 절반과 에탄올아민 유도체의 절반을 아민 형태로 환원시킨 후,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6 :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의 in vitro 에서의 독성
다른 산화도(1.5 - 50% 산화)를 갖는 덱스트란의 일련의 희석은 RPMI 1640 배지에서 준비하였다. 테스트의 최종적 알데히드 농도는 0.01 - 34 μmol/mL 였다. 산화된 덱스트란 독성은 글루타릭 폴리알데히드 독성에 비교되는데, 상기의 글루타릭 폴리알데히드는 0.15 내지 4.12 μmol/mL 범위의 알데히드 농도에 첨가된 것이다.
덱스트란 유도체의 세포독성은 약물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포계(cell line)로 국제적으로 인식된 세포, 즉 뮤린 RAW 264.7 세포로 계산했다.
성장 방해는 3H-티미딘 혼성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는 바닥이 평평한 플라스크에서 37℃에서 배양했다. 각각의 실험을 하기 전에, 세포는 수세하여 트립신 처리에 의해 제거하거나 플라스크 바닥에서 문질러 없애고, 적당한 양을 원심분리하고 다시 정지한 후, 원하는 세포 농도가 되도록 성장배지에 희석시켰다. 성장배지는 RPMI 1640과 10% 페탈칼프세럼(FCS)으로 구성되었다. 자동화된 분리기를 사용하여, 200μL의 세포 부유물을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의 각각의 웰(well)에 첨가하였다. 하루동안 배양 한 후에, 3 개를 한 벌로 하여 적당한 약물 농도를, 테스트 웰에 첨가하였다. 약물이 없는 배지는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다음날, 20μL의 배지에 포함된 3H-티미딘(0.5 μCi)을 첨가한 후, 플레이트를 거두어들여서, 24 시간 후에 액체섬광계수기(LKB, Finland)로 판독하였다. 테스트 한 약물에 의한 세포 성장 방해율(퍼센트)은 [100 - (약물을 포함한 배지의 세포 갯수/대조군의 세포 갯수) x 100]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약물의 IC50, 즉 혼성의 50%를 방해하는 농도는 혼성 방해 곡선으로부터 그래픽으로 측정되었다.
결과: 세포독성 실험은 같은 양의 산화된 덱스트란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산화된 덱스트란에 포함된 알데히드와 세포 성장 방해의 상관관계가 밝혀졌다(도 1). 알데히드 그룹의 존재는 3 μmol/mL의 IC50 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일으켰다. 7 μmol/mL 이상의 알데히드 농도를 세포에 노출시키면 세포 성장을 완전히 방해했다.
실시예 7: 변형된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의 세포독성 측정
이 실험의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한 세포 성장 방해가 알데히드 그룹에 의해서만 기인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알데히드 그룹은 히드록실(에탄올아민의 말단 그룹)이나 알리파틱 그룹(에탄올과 반응한 후의 말단 그룹)과 같은 비독성 그룹으로 화학적으로 변형하였다. 모든 변형은 높은 산화도(50%)를 가진 덱스트란 폴리알데히드에서 이루어졌다.(도해 1)
산화된 덱스트란과 변형된 덱스트란의 일련의 희석은 RPMI 1640 액체배지(broth media)에서 행하였다. 테스트의 최종 덱스트란 농도는 44 내지 5555 μg/mL 범위에 있었다.
알데히드 그룹이 세포독성에 주로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래의 덱스트란과 알데히드를 완전히 제거(히드록실로 환원시킴으로써)한 덱스트란을 평가하였다. 50% 산화된 덱스트란은 양성 독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약물 효과와 IC50 는 상기(실시예 6)에서 정의하였다.
결과: 변형된 덱스트란의 독성은 실시예 6에서 제시한 셀 구조에서 평가되었다. 산화된 덱스트란은 테스트한 낮은 농도(130 μg/mL) 에서 거의 완전히 세포의 성장방해를 일으켰다. 에탄올을 이용한 헤미아세탈로의 변형은 폴리머의 독성을 감소시켰고, 1800 μg/mL 보다 고농도의 덱스트란 헤미아세탈의 농도에서는 완전히 세포 성장을 방해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에탄올아민을 사용한 변형(이민 형태)은 독성을 16 배 감소시켰고, 덱스트란-에탄올아민(아민)을 형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환원단계는 변형되지 않은 덱스트란에 비해 독성을 더욱 감소시켰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IC50 = 130 에서 2000μg/mL 으로부터, 덱스트란과 에탄올아민의 복합체(conjugate)(상기의 실시예 2의 과정에 따라서 제조된 것)는 독성이 상당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민 결합에서 아민 결합으로의 환원은 독성을 더욱더 개선시켜서 IC50 = 4500 μg/mL (35 배)에 이르렀다.
알데히드의 완전한 제거, 즉 산화된 덱스트란의 알데히드 그룹을 환원시킴으로써(여기서는 환원된 덱스트란으로서 표 2에서 언급하였다) 테스트한 1회분 분량에서 완전히 독성을 방지하였다. 본래의 덱스트란에서도 비슷한 효과가 관측되었다. 결과의 보다 쉬운 비교를 위하여 IC50 값은 도 2에서 그래픽으로 측정하였고, 표 2로 요약했다.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3
표 2 - 산화된 덱스트란(50%)과 글루타르알데히드에 비교한 변형된 덱스트란의 in vitro 에서의 독성.
aIC50 값은 in vitro 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측정되었다. 덱스트란 40kDa의 다른 변형을 위한 세포독성 테스트는 RAW 264.7 세포에서 3H-티미딘 혼성 방법으로 실행했다. 세포독성은 본래의 덱스트란과 산화된 덱스트란에 비교하였다.
실험예 8: 덱스트란 - AmB 복합체(conjugate) in vitro 에서의 독성
복합체(conjugate)에 대한 세포독성 시험은 상기에서 설명(실시예 7)한 바와 같이, 동일한 세포 구조에서 실시하였다. 복합체(conjugate)는 산화된 덱스트란이 세포독성을 보였던 범위의 농도에서 제조하였다.
결과: 합성한 후에, 복합체(conjugate)의 순도는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PLC에 의해 측정되었다. HPLC는 완전히 결합된 약물 복합체(conjugate)를 보여주었다. 약물이 없는 것은 탐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독성은 복합체(conjugate) 자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이지, 유리된(free) 결합되지 않은 약물 분 자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아니다.
독성은 덱스트란-AmB 이민 복합체(conjugate)(상기에서 언급한 미국 특허번호 5,567,685 에 제시된 것)와 비교하여 측정되었다. 복합체(conjugate) 독성에 미치는 약물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든 복합체(conjugate)에서 AmB 농도는 유사하게 하였다. 에탄올아민을 포함한/포함하지 않은 AmB-덱스트란 이민 복합체(conjugate)는 AmB-덱스트란 아민 복합체(conjugate)와 비교하였고, 상기의 복합체(conjugate)들은 잔존한 알데히드 그룹이 복합체(conjugate) 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같은 양의 AmB를 포함하도록 하였다(도 3). 약물 효과와 IC50 은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IC50 값은 표 3에 요약했다. 단독 AmB는 기생충과 세포에 매우 유독하였다. 아민과 이민 복합체(conjugate)는 단독 AmB보다 실질적으로 덜 유독하지만, 잔존한 알데히드 그룹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독성이 어느 정도는 잔존했다. AmB의 아민 복합체(conjugate)는 기생충과 세포에게 덜 유독하였다. 이론에 얽매이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세포독성과 구충 활성의 차이점은 이민 결합의 가수분해 이후의 이민 복합체(conjugate)로부터 AmB의 상당한 방출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아민 복합체(conjugate)로부터 약물의 방출은 잘 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민이나 아민 복합체(conjugate)를 에탄올아민으로 변형시켜서 얻은 실질적으로 알데히드가 없는 복합체(conjugate)는 활성은 유지하면서, 독성은 훨씬 감소 시켰다.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4
표 3 - Leishmania donovani 에 대한 in vitro 활성, 세포독성과 복합체(conjugate)의 용혈.
aIC50 값은 Leishmania donovani 에 대한 AmB와 다른 dextran-AmB 복합체(conjugate)의 활성시험으로부터 유도하였다. 기생충의 성장 방해는 3H-티미딘 혼성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bIC50 값은 뮤린 RAW 264.7 세포계(cell line)에 대한 AmB와 다른 덱스트란-AmB 복합체(conjugate)의 세포독성 시험으로부터 유도하였다. 세포 성장 방해는 3H-티미딘 혼성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용혈은 양(Sheep)의 적혈구를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시각적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9 : Leishmania donovani 에 대한 in vitro 활성
in vitro에서의 구충 활성은 Leishmania donovani IS promastigote에 대해 측정하였다. 수단(Sudan)에 있는 환자로부터 분리된 이러한 변종은 예루살렘의 헤브루 대학에 있는 International Reference Center of the Kuvin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에서 분양받았다.
시험한 물질의 일련의 희석은 RPMI 1640 성장 배지에서 행하였다. 시험에서 최종 AmB 농도는 0.2 내지 6 μg/mL 범위에 있었다. 약물-단독 배지를 포함한 웰(well)은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간략히, 96-웰 플레이트는 200μL 배지에 60,000 promastigote/웰 을 심은 것이며, 3 시간 후에 여기에 테스트 용액을 첨가했다.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0.5 μCi/웰 3H-티미딘을 첨가하고 24 시간 후에 배지를 거두어 들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세포는 대기에서(in air) 25℃에서 배양되었다. 약물 효과와 복합체(conjugate)의 IC50 은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측정하였다(실시예 7).
결과: 이민 복합체(conjugate) 둘 다(다시 말해서, 에탄올아민이나 그와 결합되지 않은 것)는 아민 복합체(conjugate)에 비해 Leishmania donovani 기생충에 대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IC50 값은 1.2μg/mL에 비해 0.3 μg/mL을 나타냈다(표 3). 이론에 얽매이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이러한 결과는 앞서 논의한 이민 결합이 상당히 가수분해된다는 것을 한층 더 지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10: 독소루비신- 덱스트란 에탄올아민 이민 복합체(conjugate)
독소루비신(DOX, 아드리아마이신)은 다양한 반응 조건하에서 산화된 덱스트란에 결합되었다. 통상적인 실험으로, 20.0 mL의 정제된 DAD 용액(25 mg/ml, MW=19,000)은 같은 양의 0.2M 붕산염 완충용액 pH 9.1과 혼합하고, DOX 200.0 mg 은 폴리머 용액(10 mg/m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pH는 37℃에서 16 시간 동안 pH 8.9±0.1 로 유지되었다. 16 시간 후에, 남아있는 알데히드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에탄올아민을 과량으로 첨가하고 5 시간 동안 비슷한 조건하에서 반응시켰다. 정제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는 12,000 분획 분자량으로 분자 다공성 막 관(molecular porous membrane tubing)을 사용하여 4℃에서 30 시간 동안 DDW에 대해 정제한 후, 2,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감압동결건조하였다. 감압동결건조된 엷은 노란색 생성물(605 mg, 85% 수율)은 약 20% DOX를 포함하였는데, 이는 480 nm에서 UV 흡수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감압동결건조된 엷은 노란색 생성물은 빛과 공기로부터 보호되는 유리 용기에 저장되었다. 복합체(conjugate)로부터 DOX의 방출은 10,000 분획의 기공크기를 가진 투석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0 시간 동안 약 10%의 약물이 방출되었다. in vitro 세포 배지는 복합체(conjugate)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량되었다. 이러한 DOX의 이민 유도체는 단독 약물과 같은 등급의 양에 효과가 있다.
실시예 11 : 키토마이신 C- 아라비노갈락탄 글루코사민 이민 복합체( conjugate )
아라비노갈락탄(AG, 분자량 28,000) 1 g 을 과요오드산 칼륨 0.3 g을 포함한 50 ml 용액에 녹였다. 용액은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액을 도웩스 컬럼에 통과시키고, 투석한 후, 산화제가 없는 흰색 분말을 얻기 위하여 감압동결건조하였다. 순수한 디알데히드 AG (200 mg)을 10 ml 붕산염 완충용액 pH 9.8 에 녹여서 5 ml의 물에 녹인 20 mg 미토마이신 C와 혼합하였다. 용액은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글루코사민을 과량으로 첨가하고 생성물이 물로부터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으로 정제되기 전에 5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한 후, 쉬프 염기(Schiff base)를 얻기 위해서 감압동결건조하였다.
280 nm에서 UV 흡광으로 측정한 결합된 약물의 양은 8 중량% 였다. 감압동결건조한 생성물의 분자량은 26,000 달톤이었다. 용액으로의 미토신 방출과 독성은 상기의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측정하였다. 완충용액(pH 7.4)에서 37℃에서 48 시간이 경과한 후에 용액에서 발견된 약물의 양은 전체 용량의 약 10%였다. 복합체(conjugate)는 단독 약물의 활성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항암 작용을 보였다. 글루코사민으로 변형된 복합체(conjugate)는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와 비교했을 때,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덜했다.
실시예 12 : 폴리믹신 B- 아라비노갈락탄 복합체(conjugate)
순수한 산화된 AG는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제조하였다. 순수한 디알데히드 AG(200 mg)은 10 ml 붕산염 나트륨 완충용액 pH 8.9에 녹여서, 5 ml 물에 녹인 20 g 폴리믹신 B과 혼합하였다. 용액은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은 물로 투석하고, 쉬프 염기를 얻기 위하여 감압동결건조하였다.
AG와 폴리믹신 B의 변형된 복합체(conjugate)는 쉬프 염기를 글로코사민과 에탄올아민과 같은 물질과 반응시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 팍리탁셀 - 아라비노갈락탄 헤미아세탈 복합체( conjugate )
팍리탁셀을 순수한 산화된 AG와 팍리탁셀(: 폴리머 샘플에서 알데히드 그룹)에 대해 1:4의 몰 비율로 반응시켰다. 반응은 실온에서 8 시간 동안 pH 8.5에서 DMSO:물 용액 = 1:9 의 혼합용액에서 실행되었다. 거의 투명한 용액은 과량의 프로필렌 글리콜로 처리하고, 불용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를 하기 전에 5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시킨 후, 회색이 도는 흰색의 분말을 얻기 위하여 감압동결건조하였다. 헤미아세탈 분말은 염류에 용해되어 약물의 약 8 중량%(H-NMR에 의해 측정)를 차지했다.
실시예 14 : 젠타마이신 - 아라비노갈락탄 복합체(conjugate)
아미노글로코시드 항생제, 젠타마이신, 5 개의 아미노 그룹을 가진 수용성 분자가 암포테리신 B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쉬프 염기를 통해서 AG에 결합되었다. 이러한 결합의 목적은 약물의 광범위한 항생 효과에도 불구하고 약물의 용도를 제한하는 약물의 심각한 유기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체(conjugate)의 항균 활성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서 측정된다: 약물과 동일한 양의 유리 형태(free form)의 생리식염수 또는 AG 복합체(conjugate)를 원형의 여과지(직경 6 mm)에 흡수시킨 후,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된 Staphylococcus Aureus (105 /ml)와 E. Coli 가 시드된(seeded) 한천 플레이 트(agar plate) 위에 두었다. 두 샘플 모두 장애 영역을 보였다. 복합체(conjugate)가 한정된 영역(5 mm)을 보인 반면, 단독 약물은 큰 장애 영역(>20 mm)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한천 매체에서 제한된 확산을 갖는 복합체(conjugate)의 크기에 의해 설명되어 질 수 있다.
in vitro 에서의 세포에 대한 복합체(conjugate)의 독성은 단독 약물의 독성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되었다.
in vivo 에서의 쥐에 대한 독성은 주입한 후 7일이 지난 후에 난절된 쥐의 신장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단독 약물로 처리한 대조군에서와는 달리, 복합체(conjugate)로 처리한 쥐의 신장은 독성을 알리는 어떠한 징후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15: 덱사메타손- 아라비노갈락탄 헤미아세탈 복합체(conjugate)
덱사메타손 (10 mg), 물에 잘 녹지 않는 항염증 약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분산염 완충용액 pH 8.9에서 순수한 32% 산화된 아라비노갈락탄(100 mg)과 반응시켰다. 상기의 혼합물에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한 후, 5 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였고, 그 시점에서 H-NMR로 측정한 헤미아세탈 복합체(conjugate)를 얻기 위해 용액을 감압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16: 5-아미노 살리실산- 아라비노갈락탄 글리신 복합체(conjugate)
5-아미노 살리실산은, 붕산염 완충용액 pH 8.9에서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100 mg 5-아미노 살리실산을 300 mg 32% 산화된 AG(MW=19,000)와 반응시킴으로써, AG에 결합되었다. 용액에 글리신을 첨가하고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으로 정제하기 전에 10 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였다. 이민 유도체를 좋은 수율로 얻었다.
투석관 방법(dialysis tubing method)을 사용하여 pH 7.4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결합된 약물의 in vitro 방출은 37℃에서 8 시간 후에 약 10% 방출을 보였다. 복합체(conjugate)는 단독 약물과 비교하여 세포에 훨씬 독성이 덜하다.
실시예 17: 소마토스타틴 - 아라비노갈락탄 에탄올아민 복합체(conjugate)
소마토스타틴, 수용성 펩티드 약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아민 결합을 통하여 산화된 AG에 결합되었다: 순수한 32%의 산화된 AG(붕산염 완충용액 pH 8.9에 100 mg) 용액에 20 mg의 소마토스타틴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4℃에서 하루동안 교반하였다. 10,000 분자량 분획(cutoff)을 사용한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으로 정제하기 전에, 투명한 용액은 과량의 에탄올아민으로 10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염과 결합되지 않은 약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수세하였다. 그 후, 용액은 감압동결건조하여 약 70% 바인딩(binding)에 상응하는 115 mg의 하얀색 고체를 얻었다. 결합 수율은 생성물의 질소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합된 약물의 약 10%가 37℃에서 완충용액 pH 7.4에서 12 시간 후에 방출되었다. 방출된 약물은 원래의 약물과 비슷한 UV 스펙트럼을 보였고, HPLC 분석(C18, 아세토니트릴:물= 1:1, 1 ml/min, Rt=5.2 min)에서 동일한 체류시간을 가졌다.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5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6

Claims (71)

  1.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에 있어서,
    (a) 상기의 폴리머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b) 상기의 단량체의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된 형태; 및
    (c) 일반식 Ⅰ의 약물을 가진 상기의 산화된 단량체의 적어도 하나의 복합체(conjugate)의 조합을 포함하고,
    Figure 112008028402075-PCT00007
    여기서,
    R1은 없거나, H, OH, O-알킬 그룹에서 선택되고,
    R2는 N 또는 O 원자를 통해 상기의 단량체에 결합된 약물(앞에서 정의된)이며, 상기의 N 원자를 통한 결합은 C1-N 단일결합이거나 이중결합일 수 있으며,
    상기의 결합이 C1-N 이중결합인 경우에는, R1은 없고, N 원자는 수소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거나, 수소가 결합되지 않을 것일 수 있고,
    상기의 결합이 C1-N 단일결합인 경우에는, R1은 H이고, 상기의 N 원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R3는 없거나, H, OH, -O-알킬 그룹, -N-알킬 그룹, 아미노산, 지방, 당지질,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설탕 또는 올리고당에서 선택되며,
    R4는 없거나, 약물, -O-알킬 그룹, -N-알킬 그룹, 아미노산, 지방, 당지질,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설탕 또는 올리고당에서 선택되고,
    R3, R4가 각각 -O- 또는 N- 알킬 그룹이고, 상기의 O 또는 N을 가진 상기의 알킬 그룹이 서로 결합하여 C2원자는 헤테로사이클릭 링(heterocyclic ring)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의 조합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머를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도록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복합체는 (a) 내지 (c)의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a)의 단량체는 10 내지 98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b)의 산화된 단량체는 10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c)의 약물의 복합체는 1 내지 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다당류이고 상기의 단량체는 단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당류는 전분, 글리코겐, 덱스트란, 셀룰로스, 풀루란, 키토산, 아라비노갈락탄, 갈락탄, 갈락토마난 그리고 구아 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b)의 산화된 단량체는 단량체를 산화한 후, 실질적으로 알데히드가 없는 단량체로 변형함으로써 제조된 개방 링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약물은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의 활성있는 화합물은 산화에 민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약물은 수산기가 첨가된 약물 그리고 아민화된 약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약물은 폴리엔 항생제, 저분자량 약물, 고분자량 약물, 아민 약물 유도체,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이들의 유사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저분자량 약물은 2,000 달톤(Dalton)보다 분자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의 고분자량 약물은 2,000 내지 6,000 달톤의 분자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산기가 첨가된 약물은 덱사메타손, 다우노루비신, 시타라빈, 살리실산, 산탈올 그리고 프로파놀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엔 항생제는 니스타틴 그리고 암포테라신 B(AmB)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저분자량 약물은 5-아미노 살리실산, 아미노글로코시드 항생제, 폴리엔 항생제, 프루시토신, 피리메타민, 설파디아진, 댑손, 트리메토프림, 미토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다우노루비신, 폴리믹신 B, 프로파놀올, 시타라빈 그리고 산탈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아민 약물 유도체는 알라닐-탁솔, 트리글리실-탁솔, 알라닐-글리실-덱사메타손, 글리실-덱사메타손 그리고 알라닐-덱사메타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펩티드는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브래디키닌, 바소프레신, 옥시토신, 소마토스타틴, 티로신 방출 인자(TRF),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GnRH), 인슐린 그리고 칼시토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4는 없거나 H 이며, C1에 결합된 상기의 약물의 N 원자는 C-N 단일결합이나 이중 결합을 통해서 C2와 결합되어 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에 결합된 상기의 약물은 AmB, 독소루비신, 미토마이신 C, 폴리믹신 B, 팍리탁셀, 젠타마이신, 덱사메타손, 5-아미노 살리실산, 그리고 소마토스타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결합은 이민 결합이거나 아민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OH이고, R4는 O-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OH이고, R4는 N-알킬이며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없고, R4는 N-알킬이며 이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H이고, R4는 O-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OH이고, R4는 O-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와 R4는, 각각 서로 독립적이며, O-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N-알킬이며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되어 있고, R4는 O-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H이고, R4는 N-알킬이며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와 R4는, 각각 서로 독립적이며, N-알킬이며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없고, R4는 이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된 아미노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H이고, R4는 아민 결합을 통해서 C2에 결합 된 아미노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아미노산은 리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없고, R4는 =CH2CH2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H이고, R4는 -NZCH2CH2OH이며, 상기의 Z는 H 이거나 알킬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는 OH이고, R4는 -OCH2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R3와 R4는, 각각 서로 독립적이며, 상기의 복합체(conjugate)에 소수성, 친수성, 산성, 수용성, 분산성, 화학적 반응성, 목표 조직에 특이성, 변형된 치료상의 활성, 특정 수용체 또는 생물학적 활성부위에 대한 친화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부가하는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의 그룹은 (1) 콜레스테롤과 그의 유도체; (2) 글루코사민; (3) 아미노산; (4) 두 기능을 가진 분자; 및 (5) 소수성 그룹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덱스트란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NCH2CH2O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덱스트란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NZCH2CH2OH이며 상기의 Z는 H 또는 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덱스트란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OCH2CH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키토산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NCH2CH2O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키토산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 기의 R4는 -NZCH2CH2OH이며, 상기의 Z는 H 또는 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키토산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OCH2CH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아라비노갈락탄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NCH2CH2O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아라비노갈락탄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NZCH2CH2OH이며, 상기의 Z는 H 또는 알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아라비노갈락탄이고, 상기의 약물은 AmB이고, 상기의 R4는 -OCH2CH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
  49. (a)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conjugate)가 변형되지 않고 수용성인 것을 제공하는 단계, 이때 상기의 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알데히드 그룹을 가지며, 상기 의 약물은 이민결합, 아민결합, 아마이드 결합, 에테르 결합 그리고 카르복실 결합 중에서 선택된 결합을 통해서 상기의 폴리머에 결합되고; 그리고
    (b) 상기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conjugate)를 상기의 알데히드 그룹에 반응성을 갖고, 실질적으로 상기의 약물이나 상기의 결합에 대해서는 반응성이 없거나 낮은 반응성을 갖는 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복합체(conjugate)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복합체(conjugate)를 제조하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물질은 500 달톤 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약물과 폴리머 간의 이민 결합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머는 다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53.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실질적으로 알데히드 그룹이 없는 복합체가 (a) 단계의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에 비해 감소된 독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54. 제 49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은 복합체.
  55. 제 49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복합체.
  56. 다수의 알데히드 그룹을 가진 변형되지 않은 복합체와 상기의 다수의 알데히드 그룹을 아민, 이민, 아마이드, 아세탈, 헤미아세탈, 에테르 그리고 에스테르 로부터 선택된 그룹으로 화학적으로 변형시킬수 있는 물질을 반응시켜서 제조한 복합체.
  57.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합체의 용도.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은 약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용도.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은 항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용도.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은 구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용도.
  61.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용도.
  62.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은 약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4. 제 62 항 또는 제 63 항에 따른 복합체에 캐리어(carri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이 항생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6.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이 구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7.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이 항암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8. 제 1 항에 따른 폴리머와 약물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질병이나 상기의 약물에 의해 치료가능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69. 제 62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이 변형된 서방성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0.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합체와 폴리아민을 포함한 하이드로겔.
  71. 제 1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복합체가 나노파티클, 미셀 분산액 그리고 리포좀 중에서 선택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KR1020087009562A 2005-09-22 2006-09-25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덱스트란과아라비노갈락탄의 복합체 KR20080080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917505P 2005-09-22 2005-09-22
US60/719,175 2005-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77A true KR20080080277A (ko) 2008-09-03

Family

ID=3766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562A KR20080080277A (ko) 2005-09-22 2006-09-25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덱스트란과아라비노갈락탄의 복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159012A1 (ko)
EP (1) EP1926498A2 (ko)
JP (1) JP2009508938A (ko)
KR (1) KR20080080277A (ko)
CN (1) CN101443044A (ko)
AU (1) AU2006293426A1 (ko)
CA (1) CA2625426A1 (ko)
WO (1) WO20070344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05084A (en) 2005-08-24 2023-10-01 Immunogen Inc A process for preparing purified drug compounds
EP1973952A4 (en) * 2006-01-23 2010-09-01 Kwangju Inst Sci & Tech CONJUGATE COMPRISING A COVALENT TO A MUCOADHESIVE POLYMER-ASSOCIATED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 AND A TRANSMUCOSAL ADMINISTRATION METHOD FOR A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 USING THEREOF
JP5766118B2 (ja) 2008-09-11 2015-08-19 ウェルズ ファーゴ バンク ナショナル アソシエイション ポリマー性アルファ−ヒドロキシアルデヒドおよびケトン反応剤ならびに抱合方法
LT2437790T (lt) 2009-06-03 2019-06-10 Immunogen, Inc. Konjugavimo būdai
WO2011061747A1 (en) 2009-11-23 2011-05-26 Conjugate Ltd. Antifungal and anti parasitic conjugates of amphotericin b derivatives
PT104879B (pt) * 2009-12-10 2012-10-17 Univ Do Minho Hidrogel de dextrino para aplicações biomédicas
KR20220009505A (ko) * 2011-03-29 2022-01-24 이뮤노젠 아이엔씨 일-단계 방법에 의한 메이탄시노이드 항체 접합체의 제조
WO2012156938A1 (ru) * 2011-05-17 2012-11-22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армасинтез" Соедин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спаечного процесса
WO2012175639A1 (en) * 2011-06-22 2012-12-27 Universite De Rouen Arabinogalactan proteins for use as an antiparasitic agent
PL221351B1 (pl) * 2012-03-14 2016-03-31 Politechnika Warszawska Sposób otrzymywania nanocząstek polisacharydowych
SG11201502429YA (en) 2012-10-04 2015-04-29 Immunogen Inc Use of a pvdf membrane to purify cell-binding agent cytotoxic agent conjugates
CN104055787B (zh) * 2013-07-25 2017-04-26 北京蓝贝望生物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药用水溶性抗真菌大分子化合物
CN108524945B (zh) * 2018-05-21 2019-12-17 广东海洋大学 一种庆大霉素改性壳聚糖的制备方法
US11968975B2 (en) * 2019-04-30 2024-04-3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oring liquid biospecime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4956A (en) * 1976-04-06 1982-08-17 Nicolo Ercoli Oxotetrahydrothiophenes
IL80972A (en) * 1985-12-20 1992-08-18 Sanofi Sa Modified ribosome-inactivating glycoproteins,their preparation,immunotoxins containing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immunotoxins
US4786287A (en) * 1986-10-10 1988-11-2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Process for decreasing residual aldehyde levels in implantable bioprosthetic tissue
JPH01190636A (ja) * 1988-01-22 1989-07-31 Green Cross Corp:The 制癌作用物質複合体
US5567685A (en) * 1994-08-16 1996-10-22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Water-Soluble polyene conjugate
US6011008A (en) * 1997-01-08 2000-01-04 Yissum Research Develope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Conjugates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EP0961783B1 (en) * 1997-08-08 2007-01-24 Dade Behring Marburg GmbH Polysaccharide conjugates of biomolecules
CA2233725A1 (en) * 1998-03-31 1999-09-30 Hemosol Inc. Hemoglobin-hydroxyethyl starch complexes
EA003790B1 (ru) * 1998-10-30 2003-10-30 Дайити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 Лтд. Соединение сдлс и способ его измерения
AU2003215330B2 (en) * 2002-02-21 2008-03-13 Encelle, Inc. Immobilized bioactive hydrogel matrices as surface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93426A1 (en) 2007-03-29
US20100159012A1 (en) 2010-06-24
WO2007034495A3 (en) 2007-07-12
CA2625426A1 (en) 2007-03-29
JP2009508938A (ja) 2009-03-05
WO2007034495A2 (en) 2007-03-29
EP1926498A2 (en) 2008-06-04
CN101443044A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0277A (ko) 치료상으로 활성있는 화합물인 덱스트란과아라비노갈락탄의 복합체
US584695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100680014B1 (ko) 이민 형성 폴리사카라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의 아쥬반트 및 면역자극제로서의 용도
US20040180858A1 (en) Water-soluble antibiotic comprising an amino sugar, in the form of a polysaccharide conjugate
US7786095B2 (en) Amphiphilic macrocyclic derivatives and their analogues
US5622718A (en) Alginate-bioactive agent conjugates
KR101444274B1 (ko) 약제복합체용 블록 공중합체 및 의약조성물
KR100354944B1 (ko) 제약조성물
RU2321412C2 (ru) Новый твердый препарат, содержащий блок-сополимер и антрациклиновый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ый препара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i et al. Design, synthesis and potent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glycodendrimers: a mini review
JP2009508938A5 (ko)
WO1999001498A1 (en) Conjugate of polyethylene glycol and chitosan
EP1383539B1 (en) Anticancer drug-chitosan complex forming self-aggregat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1531868A2 (en) Therapeutic agent-containing polymeric nanoarticles
Sahni et al. Potential prospects of chitosan derivative trimethyl chitosan chloride (TMC) as a polymeric absorption enhancer: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Pawar et al. Polysaccharides as carriers of bioactive agents for medical applications
WO2016004321A1 (en) Compounds for treating biofilm infection
EP0970131B1 (en) Particulate drug carriers
US20050129769A1 (en) Polymeric articles for carrying therapeutic agents
JP2023535816A (ja) 癌治療のための標的化アントラサイクリン送達システム
WO2005027873A2 (en) Therapeutic aminoglycoside-containing hydrogel nanoparticles
KR20030068034A (ko) 친양쪽성 매크로사이클 유도체 및 그의 유사체
JPH0597682A (ja) 制ガン作用を有する高分子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