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526A - 용기의 실링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526A
KR20080079526A KR1020070019840A KR20070019840A KR20080079526A KR 20080079526 A KR20080079526 A KR 20080079526A KR 1020070019840 A KR1020070019840 A KR 1020070019840A KR 20070019840 A KR20070019840 A KR 20070019840A KR 20080079526 A KR20080079526 A KR 20080079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se
sealing
sealing devic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2195B1 (ko
Inventor
조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위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위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위너테크
Priority to KR102007001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1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silient means, e.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필름을 용기의 입구 테두리에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가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로 되어 작동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용기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면을 갖는 테두리가 형성된 용기의 입구를 실링필름을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열융착시켜 상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용기의 실링 장치에 있어서, 용기가 놓이기 위한 위한 베이스와,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게 놓인 실링필름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판이 저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필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 실링, 포장

Description

용기의 실링 장치{DEVICE FOR SEALING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의 열판과 베이스판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에 의해 용기에 실링필름이 열융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제1실시예
110 베이스
111 베이스판
112 스프링
120 가압부
121 가압부 케이스
122 열판
123 패드부재
130 승강부
131 가이드로드
131a 걸림치
132 슬라이더
133 랫치
134 랫치스프링
200 제2실시예
210 베이스
220 가압부
230 승강부
231 제1교차링크
232 제2교차링크
233 수평링크
234 후크
V 용기
V1 테두리
S 실링필름
본 발명은 용기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필름을 용기의 입구 테두리에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기 위한 열판이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로 되어 작동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용기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실링 장치는 반찬류, 생면, 국물이 있거나 냄새가 나는 음식물 기타 분식류 등을 평평한 접착면을 갖는 테두리가 입구에 구비된 용기에 담고, 그 테두리를 따라 실링필름을 열융착시켜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용기의 실링 장치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8962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719호에는 식품이 담겨진 식품용기를 밀봉시키는 용기의 실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제품은 그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사용이 복잡하여 일반인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 보관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필름을 용기의 입구 테두리에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기 위한 열판이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로 되어 작동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용기의 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면을 갖는 테두리가 형성된 용기의 입구를 실링필름을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열융착시켜 상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용기의 실링 장치에 있어서, 용기가 놓이기 위한 위한 베이스와,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게 놓인 실링필름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판이 저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필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서 연직으로 세워지고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걸림치 배열 형성된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가이드로드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치에 걸리게 랫치스프링에 탄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된 랫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전방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상기 승강부는,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된 제1교차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교차링크와 교차되어 그 교차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차링크와 힌지 연결된 제2교차링크와, 후단부에 상기 제2교차링크의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전단부에 상기 제1교차링크의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교차링크와 제2교차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지 지된 수평링크와, 상기 1교차링크의 하단부를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전방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후단부가 상기 스평링크의 후단부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상기 열판의 저면에는 내열성과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패드부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상기 패드부재는 실리콘 재질의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의 열판과 베이스판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에 의해 용기에 실링필름이 열융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100)는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면을 갖는 테두리(V1)가 형성된 용기(V)를 실링필름(S)으로 밀봉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100)는 상기 용기(V)의 입구 및 테두리(V1)를 덮도록 상기 용기(V1)의 상부에 놓인 실링필름(S)이 상기 테두리(V1)의 접착면에 밀착되게 가압하면서 가열하여 실링필름(S)를 테두리(V1)의 접착면에 열융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100)는 베이스(110), 가압부(120) 및 승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용기(V)가 놓이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가압부(120)에 의해 실링필름(S) 및 용기(V)의 테두리(V1)가 가압되는 경우에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게 상기 용기(V)가 지지되도록 스프링(112)에 의해 탄성 지지된 베이스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V)는 상기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놓여 지지된다.
상기 가압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놓인 용기(V)의 입구 및 테두리(V1)를 덮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에 놓인 실링필름(S)을 상기 테두리(V1)의 접착면에 밀착되게 가압하고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120)에는 상기 실링필름(S)을 상기 테두리(V1)의 접착면에 밀착되게 가압하고 가열하도록 상기 실링필름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는 열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열판(122)은 가압부케이스(121)의 저부에 부설된다. 상기 가압부케이스(121)는 상기 승강부(13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고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승강부(130)의 슬라이더(132)에 구비된 힌지(132a)에 힌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120)는 상기 용기(V)의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130)의 가이드로드(131)를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된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로 투입될 용기(V)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동되어 정지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가압부케이스(121)가 회전지지된 힌지축(13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들려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압부(130)이 들려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V)를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로 투입시키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케이스(121)의 내부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열판(122)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장치(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121a는 발열장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판(122)은 상기 실링필름(S)을 상기 테두리(V1)의 접착면에 밀착되게 가압하고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열판(122)의 접촉면(도면에서 하부면)에 내열성과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패드부재(123)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부재(123)는 탄성을 갖는 연질이기 때문에 상기 용기 테두리(V1)의 접착면에 실링필름(S)이 밀착되게 가압하면 상기 테두리(V1)의 형상 및 표면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실링필름(S1)을 상기 테두리(V1)에 전체적으로 고른 압력으로 밀착되게 가압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패드부재(123)가 부설되어 그 패드부재(123)에 의해 상기 테두리(V1)에 접촉된 실링필름(S)에 전체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종래의 용기의 실링 장치와 같이 테두리받침부에 의해 테두리(V1)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실링필름(S)을 용기(V)의 테두리에 충분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테두리(V1)를 받치기 위한 테두리받침부를 채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용기(V)에 실링필름을 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패드부재(123)는 상기 열판(122)으로부터 열이 잘 전도되도록 열전도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며, 실링필름(S)의 표면에 도포된 핫 멜트(Hot Melting, 열용융) 접착체를 용융시키기 위한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링필름(S)에 도포된 핫 멜트 접착제는 대략 90℃ ~ 110℃의 온도에서 용융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재(123)로는 탄성을 갖는 연질일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우수하고 열전도성도 우수한 실리콘 재질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130)는 상기 가압부(110)가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후방에서 연직으로 세워지고 일측(도면에서는 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걸림치(131a)가 배열 형성된 가이드로드(131)와, 상기 가이드로드(13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132)와, 상기 슬라이더(131)가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치(131a)에 걸리게 랫치스프링(134)에 탄지되어 상기 슬라이더(132)에 힌지(133a)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랫치(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130)의 가압부케이스(131)는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더(132)에 구비된 힌지축(132a)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가압부(120)는 상기 가이드로드(13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며,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랫치(133)가 상기 걸림치(131a)에 걸림으로써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10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210), 가압부(220) 및 승강부(230)로 구성되며, 다만 승강부(230)가 제1실시예의 승강부(130)가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가 갖는 특징을 위주, 즉 승강부(230)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200)는 승강부(230)가 제1교차링크(231), 제2교차링크(232), 수평링크(233) 및 직선구동수단(234)로 구성되어 가압부(220)가 베이스(210)에 포개진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200)의 승강부(230)는 양측에 구비되어 제1교차링크(231), 제2교차링크(232) 및 수평링크(233)가 접혀지고 펴지면서 가압부(22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특히, 상기 승강부(230)의 제1교차링크(231), 제2교차링크(232) 및 수평링크(233)는 가압부(220)가 상기 베이스(210)에 포개지게 하강된 상태에서 접혀져 상기 베이스(210)와 가압부(220) 사이로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200)는 가압부(220)가 베이스(210)에 포개지게 하강된 상태에서 컴팩트하게 그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교차링크(231)와 제2교차링크(232)는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어 그 교차된 부분에서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1교차링크(231)는 그 하단부 가 상기 베이스(210)의 후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수평링크(233)의 전단부에 구비된 장홈(233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2교차링크(232)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10)의 전단부 측에서 상기 직선구동수단(23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2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교차링크(231)와 교차되어 그 교차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차링크(231)와 힌지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수평링크(233)의 후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수평링크(233)는 상기 제1교차링크(231) 및 제2교차링크(232)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되며, 그 후단부에 구비된 힌지축(233b)에 상기 가압부(220)의 후단부가 힌지 연결된다. 상기 수평링크(233)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교차링크(232)의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전단부에 형성된 장홈(233a)에 상기 제1교차링크(231)의 상단부가 그 장홈(233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압부(220)는 전방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후단부가 상기 스평링크(233)의 후단부에 구비된 힌지축(233a)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직선구동수단(234)은 상기 제2교차링크(232)의 하단부를 상기 베이스(2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직선구동수단(234)은 상기 베이스(210)의 전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잭스크류(234a)와, 상기 잭스크류(234a)의 회전에 의해 그 잭스크류(234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잭(234b)과, 상기 잭스크류(234a)를 왕복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34c)로 구성된다. 상기 제2교차링크(232)의 하단부는 상기 잭(234b)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잭스크류(234a)의 회전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직선구동수단(234)에 의해 상기 제2교차링크(232)의 하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교차링크(231) 및 제2교차링크(232)는 펼쳐지고 접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교차링크(231) 및 상기 제2교차링크(23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지지된 수평링크(233)이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링 장치는 실링필름을 용기의 입구 테두리에 열융착되도록 열을 가하기 위한 열판이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로 되어 작동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용기의 실링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면을 갖는 테두리가 형성된 용기의 입구를 실링필름을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열융착시켜 상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용기의 실링 장치에 있어서,
    용기가 놓이기 위한 위한 베이스와,
    상기 용기의 입구를 덮게 놓인 실링필름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판이 저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필름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실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서 연직으로 세워지고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걸림치 배열 형성된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가이드로드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치에 걸리게 랫치스프링에 탄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된 랫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전방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실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된 제1교차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교차링크와 교차되어 그 교차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차링크와 힌지 연결된 제2교차링크와, 후단부에 상기 제2교차링크의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전단부에 상기 제1교차링크의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교차링크와 제2교차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된 수평링크와, 상기 1교차링크의 하단부를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전방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후단부가 상기 스평링크의 후단부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실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의 저면에는 내열성과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패드부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실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실리콘 재질의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실링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실링 장치.
KR1020070019840A 2007-02-27 2007-02-27 용기의 실링 장치 KR10087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840A KR100872195B1 (ko) 2007-02-27 2007-02-27 용기의 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840A KR100872195B1 (ko) 2007-02-27 2007-02-27 용기의 실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149A Division KR101039123B1 (ko) 2008-11-05 2008-11-05 용기의 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526A true KR20080079526A (ko) 2008-09-01
KR100872195B1 KR100872195B1 (ko) 2008-12-09

Family

ID=4002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840A KR100872195B1 (ko) 2007-02-27 2007-02-27 용기의 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158B1 (ko) * 2013-04-29 2015-06-16 (주)상원 식품용기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429B2 (ja) * 1995-09-11 2004-10-0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容器に対する蓋の高周波加熱シール装置
JP2000168733A (ja) * 1998-12-10 2000-06-20 Ishida Co Ltd 包装装置
ITTO20021017A1 (it) 2002-11-22 2004-05-23 Minipack Torre Spa Dispositivo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in una
KR100732152B1 (ko) 2005-08-11 2007-06-25 에펠산업(주) 이중 누름장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158B1 (ko) * 2013-04-29 2015-06-16 (주)상원 식품용기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195B1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8677B1 (en) Apparatus for the vacuum packaging of food products
KR100872195B1 (ko) 용기의 실링 장치
CN212386140U (zh) 一种用于杯瓶和器皿的热转印夹具
KR101039123B1 (ko) 용기의 실링 장치
US20140165502A1 (en) Sealing Apparatus
KR100867218B1 (ko) 용기의 실링 장치
JP6212297B2 (ja) 加熱封止装置
KR101576497B1 (ko)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장치
CN217125238U (zh) 一种芯片胶真空包装机的热压封口装置
KR100456588B1 (ko) 실링기
KR20130031519A (ko) 다중 히터를 갖는 진공포장기
KR101796011B1 (ko) 반구형 터치센서 판넬의 열성형 장치
KR100834044B1 (ko)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
KR1021283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CN213974797U (zh) 手压式封口机
CN218861119U (zh) 一种鞋面生产用定型机
CN214605960U (zh) 一种塑料制品热合机整平机构
CN212474002U (zh) 一种中药饮片自动称重包装机的封包机构
CN210911829U (zh) 一种计算机硬件开发用刻印装置
CN213414406U (zh) 一种塑料包装袋封口密封设备
CN216544723U (zh) 一种基于pla复合材料的纸质餐具生产用覆膜装置
CN220009164U (zh) 一种凸版防伪印刷烫印系统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101623847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CN219813853U (zh) 一种具有强制启动功能的保温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