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158B1 - 식품용기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용기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158B1
KR101529158B1 KR1020130047658A KR20130047658A KR101529158B1 KR 101529158 B1 KR101529158 B1 KR 101529158B1 KR 1020130047658 A KR1020130047658 A KR 1020130047658A KR 20130047658 A KR20130047658 A KR 20130047658A KR 101529158 B1 KR101529158 B1 KR 10152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food container
base member
seating groov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772A (ko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주)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원 filed Critical (주)상원
Priority to KR102013004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1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5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용기의 상부에 적층되는 비닐포장지를 열융착하여 포장시킬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기 포장장치는, 상부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용기 포장장치 { APPARATUS FOR PACKING FOOD VESSEL }
본 발명은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용기의 상부에 적층되는 비닐포장지를 열융착하여 포장시킬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식품으로 분류되는 야채, 과일, 열매 등과 일반식당에서 음식물을 배달하는 식품 등을 보관할 때는 주로 식품용기에 담은 다음 식품포장용 밀봉포장기에서 밀봉하게 된다.
즉, 식품용기의 내부에 식품을 넣은 후 그 상부에 비닐포장지를 배치하고, 상기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식품용기포장기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349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39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115호 등에 나타나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식품용기포장기는, 안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그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비닐포장지를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식품용기포장기는 상기 커버부재를 누르는 힘만으로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 비닐포장지 및 메인히터를 밀착시켜 열융착하게 되는바, 열융착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밀착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커버부재가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경우에, 상기 커버부재의 힌지점으로부터 가까운 쪽은 먼저 닿고 먼 쪽은 늦게 닿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 또는 베이스부재에 가스켓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힌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가스켓 부위는 다른 곳보다 큰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식품용기, 비닐포장지 및 메인히터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열융착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고, 또한 하강되는 커버부재가 진공압에 의해 휘어짐이 없이 전체가 승강되어 가스켓의 파손없이 진공 및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식품용기 포장장치는, 상부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식품용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식품용기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안착홈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를 상기 메인히터가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가압스프링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지지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지지판은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가압지지판은 상기 안착홈을 상부와 연통시키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저면과 상기 식품용기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식품용기를 상기 메인히터가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부재에 장착된다.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기 수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부재 및 식품용기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 및 메인히터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에 장착된 폐곡선 형상의 가스켓과; 흡입공이 상기 가스켓의 안쪽에 형성된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케이스와; 상기 힌지케이스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승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의 외곽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전방에 장착되는 보조히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히터는 상기 가스켓을 가로질러 배치된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열봉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탄성부재에 의해 커버부재의 닫혔을 때 식품용기, 비닐포장지 및 메인히터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열융착 효과가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힌지부에 의해, 커버부재가 진공압에 의해 휘어짐이 없이 전체가 승강되어 가스켓의 파손없이 진공 및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안착홈에 식품용기를 안착하고, 커버부재를 회전시켜 식품용기의 상부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커버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진공펌프 작동시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비교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의해 비닐봉투를 진공밀봉하는 상태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안착홈에 식품용기를 안착하고, 커버부재를 회전시켜 식품용기의 상부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커버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진공펌프 작동시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비교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에 의해 비닐봉투를 진공밀봉하는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용기 포장장치는,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와, 힌지부(30)와, 메인히터(40)와, 탄성부재(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부에 식품용기(80)가 안착되는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베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본체(11)는 상기 힌지부(3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재(1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재(12)는 상기 베이스본체(11)에 형성된 탈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수용부재(12)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2)를 별개의 구성으로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베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2)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20)는 회전 또는 승강운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개폐한다.
상기 힌지부(30)는 상기 커버부재(20)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여,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힌지부(30)는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부(30)는 힌지케이스(31)와 승강스프링(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힌지케이스(31)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후방 자세하게는 상기 베이스본체(11)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스프링(32)은 상기 힌지케이스(31)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위와 같은 상기 힌지부(3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힌지케이스(31)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힌지케이스(31)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승강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히터(40)는 상기 커버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2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80)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85)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에 열융착시킨다.
위와 같은 상기 메인히터(40)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 이상이 약간 개방된 개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2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와 상기 식품용기(80)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수용부재(12)의 상면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되는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식품용기(80)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2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서 상기 안착홈(13)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를 상기 메인히터가(40)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안착홈(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압스프링(51)과, 상기 가압스프링(51)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지지판(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지지판(52)은 상기 안착홈(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지지판(52)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히터(40)의 형상에 대응되는 실리콘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판(52)은 여러개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안착홈(13)을 상부와 연통시키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기 가압지지판(52)에 의해 상기 가압지지판(52)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를 국부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상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메인히터(40)에 의해 비닐포장지(85)가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 전체에 고르게 열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가 닫혔을 때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는 상기 메인히터(40)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비닐포장지(85)와의 열융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홈(13)이 수용부재(12)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12)가 상기 베이스본체(11)에 일체로 결합되어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베이스본체(11)의 상면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착홈(13) 및 메인히터(40)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0) 또는 커버부재(20)에 장착된 폐곡선 형상의 가스켓(60)과, 흡입공이 상기 가스켓(60)의 안쪽에 형성된 진공펌프(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60)의 외곽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 또는 커버부재(20)의 전방에 장착되는 보조히터(4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히터(45)는 상기 가스켓(60)을 가로질러 배치된 비닐봉투(87)의 개구부를 열봉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히터(45)는 상기 커버부재(2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보조히터(45)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고무(46)가 장착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3)에 상기 식품용기(80)를 안착시키고, 그 위에 비닐포장지(85)를 적층시킨 후 상기 커버부재(20)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덮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를 상기 메인히터(40)가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는 전방이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부재(20)의 후방은 상기 승강스프링(32)에 의해 상기 힌지케이스(31)와 함께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커버부재(20)는 전방과 후방이 모두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접촉됨이 없이 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0)를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50) 및 승강스프링(32)은 압축되고, 상기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와 비닐포장지(85)와 메인히터(40)가 상호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메인히터(40)가 작동되면 상기 메인히터(40)는 강하게 밀착된 상기 비닐포장지(85)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에 보다 강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펌프(7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스켓(60)의 안쪽과 바깥쪽의 공기 유출입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70)를 작동시키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 또는 비닐포장지(85)에 형성된 엠보싱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8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가스켓(60) 안쪽의 공기도 점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가스켓(60) 안쪽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진공압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는 점점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50) 및 승강스프링(32)은 압축되며, 상기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메인히터(40), 비닐포장지(85) 및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가 상호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메인히터(40)가 작동되면 상기 메인히터(40)는 강하게 밀착된 상기 비닐포장지(85)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에 보다 강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50) 및 승강스프링(32)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는 전방과 후방 전체가 평행하게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가 진공압 등에 의해 휘어지거나 비틀어짐없이 전체적으로 거의 평행하게 하강하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스프링(32)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와 힌지결합된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진공압이 점점 크게 작용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20)의 후방은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고 전방만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20)의 전방이 진공압에 의해 휘어져 상기 가스켓(60)이 들뜨게 되고 이로 인해 진공 및 열봉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상기 탄성부재(50)와 승강스프링(32)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진공압 작용시 전체적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가스켓(6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 및 열봉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투(87)를 상기 가스켓(60)의 안쪽에 배치하여, 상기 진공펌프(70)에 의해 내부를 진공시킨 후, 상기 보조히터(45)를 통해 밀봉시킬 수도 있다.
이때,상기 비닐봉투(8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장치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안착홈(1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부재(50)에만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안착홈(13)의 저면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되는 상기 식품용기(80)의 하부에 접하여, 상기 식품용기(80)를 상기 메인히터(40)가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식품용기(80)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2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는 가압스프링(51)과 가압지지판(52)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가압지지판(52)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식품용기(80)의 하부 전체를 흔들림없이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식품용기(8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 비닐포장지(85) 및 메인히터(40)가 강하게 밀착되어 열융착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기 베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2)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 포장장치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부재(50)에만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제1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본체(11)와, 상기 베이스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용부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베이스본체(11)와 상기 수용부재(12)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2)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본체(11)의 하면과 상기 수용부재(12)의 저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베이스본체(11)에 대해 상기 수용부재(12)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수용부재(12)를 통해 상기 식품용기(8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81), 비닐포장지(85) 및 메인히터(40)가 강하게 밀착되어 열융착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식품용기 포장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재, 11 : 베이스본체, 12 : 수용부재, 13 : 안착홈,
20 : 커버부재,
30 : 힌지부, 31 : 힌지케이스, 32 : 승강스프링,
40 : 메인히터, 45 : 보조히터, 46 : 가압고무,
50 : 탄성부재, 51 : 가압스프링, 52 : 가압지지판,
60 : 가스켓,
70 : 진공펌프,
80 : 식품용기, 81 : 식품용기의 테두리부, 85 : 비닐포장지, 87 : 비닐봉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식품용기의 하부를 상기 메인히터가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하단이 상기 안착홈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압스프링과;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스프링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압지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지지판은 상기 식품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7. 삭제
  8. 상부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식품용기의 하부를 상기 메인히터가 배치된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면과 상기 수용부재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9. 삭제
  10. 상부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안착홈 및 메인히터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에 장착된 폐곡선 형상의 가스켓과;
    흡입공이 상기 가스켓의 안쪽에 형성된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케이스와;
    상기 힌지케이스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승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11. 상부에 식품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를 상기 식품용기의 테두리부에 열융착시키는 메인히터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안착홈 및 메인히터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에 장착된 폐곡선 형상의 가스켓과;
    흡입공이 상기 가스켓의 안쪽에 형성된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켓의 외곽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전방에 장착되는 보조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히터는 상기 가스켓을 가로질러 배치된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열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20130047658A 2013-04-29 2013-04-29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529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658A KR101529158B1 (ko) 2013-04-29 2013-04-29 식품용기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658A KR101529158B1 (ko) 2013-04-29 2013-04-29 식품용기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72A KR20140128772A (ko) 2014-11-06
KR101529158B1 true KR101529158B1 (ko) 2015-06-16

Family

ID=5245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658A KR101529158B1 (ko) 2013-04-29 2013-04-29 식품용기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196A (ko) * 2016-11-25 2018-06-04 안병용 가스켓 높낮이가 조절되는 진공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4743A (zh) * 2016-01-22 2016-05-11 佛山汉格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装置
KR20170118462A (ko) * 2016-04-15 2017-10-25 (주)블루텍 진공포장기
KR20170129415A (ko) * 2016-05-17 2017-11-27 안병용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 및 용기포장 시스템
KR20180038874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포인트팩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포장장치
KR102502900B1 (ko) * 2021-07-30 2023-02-23 임광남 식품용기 포장기용 히팅보드 승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705U (ko) * 1979-09-12 1981-04-21
KR20080079526A (ko) * 2007-02-27 2008-09-01 주식회사위너테크 용기의 실링 장치
KR100991006B1 (ko) * 2010-06-21 2010-10-29 김기정 실링 바의 안전 승강 기능을 갖는 열 봉함 장치
KR20130040969A (ko) * 2013-02-22 2013-04-24 김성희 식품용기 및 비닐봉투 진공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705U (ko) * 1979-09-12 1981-04-21
KR20080079526A (ko) * 2007-02-27 2008-09-01 주식회사위너테크 용기의 실링 장치
KR100991006B1 (ko) * 2010-06-21 2010-10-29 김기정 실링 바의 안전 승강 기능을 갖는 열 봉함 장치
KR20130040969A (ko) * 2013-02-22 2013-04-24 김성희 식품용기 및 비닐봉투 진공포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196A (ko) * 2016-11-25 2018-06-04 안병용 가스켓 높낮이가 조절되는 진공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72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158B1 (ko)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0759487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1529159B1 (ko)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101446060B1 (ko) 식품용기포장기
KR20170129415A (ko)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 및 용기포장 시스템
KR20130010699A (ko) 고정 부재가 구비된 진공 포장기
KR101529155B1 (ko) 식품용기 및 비닐봉투 진공포장장치
KR20120017505A (ko) 진공포장기
KR20150043808A (ko) 절단기능을 갖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30038888A (ko) 노즐이 구비된 식품용기 진공포장장치
KR101465448B1 (ko) 커버승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102213099B1 (ko)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20210008683A (ko)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 및 용기포장 시스템
KR20120051814A (ko) 식품의 가스충전 포장방법과 포장장치 및 가스충전 포장된 식품
KR20180059196A (ko) 가스켓 높낮이가 조절되는 진공포장장치
CN216468723U (zh) 一种抽真空用整形装置
KR20180038874A (ko)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포장장치
CN206068497U (zh) 一种医用液体瓶包装箱
KR200485989Y1 (ko)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KR101623847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KR20180044517A (ko) 챔버 승강형 진공포장장치
CN206275165U (zh) 香烟保鲜盒
KR101623842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