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585A -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585A
KR20080077585A KR1020080015335A KR20080015335A KR20080077585A KR 20080077585 A KR20080077585 A KR 20080077585A KR 1020080015335 A KR1020080015335 A KR 1020080015335A KR 20080015335 A KR20080015335 A KR 20080015335A KR 20080077585 A KR20080077585 A KR 20080077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eye
weight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현
이석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8007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G09B23/1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of soli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성분으로 음이온성 중합체인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복합 처방하고,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담체를 특정 량 배합 사용함으로써 점안제 조성물의 점탄성 개량으로 삼투성 및 침투성의 개선에 의해 눈의 보습, 윤활 등이 기존의 단일제제에 비해 월등한 상승효과를 보이는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과질환, 예방, 치료, 히알루론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Description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Ophthalm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cular Diseases}
본 발명은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히알루론산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는 점안액에서 보습작용과 윤활작용에 대해 주시되어 왔으며, 이러한 작용은 일반적으로 눈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이제까지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은 각각 단일제로서만 점안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 두 성분이 함유된 점안액에 대한 그 효능과 배합가능성으로서는 검토되어진 바 없다.
현재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점안액은 쇼그렌 증후군, 스티븐슨-존슨증후군, 안구건조증후군 등의 내인성 질환과 수술 후 약제성, 외상, 하드콘택즈 렌즈 착용 등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장해 치료보조제로서 사용되는 한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점안액은 눈의 피로와 눈의 건조증에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의료현장에서는 해당 안과질환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점안제와 카 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점안제를 동시에 처방하는 것이 현실임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효능과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점안제를 개발하여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점안제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주성분에 대한 배합 가능성 및 개량 효과에 대해 시험한 결과,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은 각각 단일 성분으로 함유한 점안제 보다 이들 두 성분을 배합하여 함유한 점안제일 경우 히알루론산 나트륨은 점탄성 보습제로서 그리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은 계면활성 작용을 가진 윤활제로서 상승효과에 의해 안구건조증, 눈의 자극 등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복합 처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복합 처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점안제 조성물의 점탄성 개량으로 삼투성 및 침투성의 개선에 의해 기존의 단일제제가 가진 눈의 보습, 윤활 등의 효과에 비해 월등한 상승효과를 가짐으로써,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의 각 단일제에 의한 고유효능을 능가하여 눈의 피로와 눈의 건조증 뿐만 아니라 쇼그렌 증후군, 스티븐슨-존슨증후군, 안구건조증후군 등의 내인성 질환과 수술 후 약제성, 외상, 하드콘택즈 렌즈 착용 등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장해 치료보조제로서 매우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음이온성 중합체인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복합 처방하고,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담체를 특정 량 배합 사용함으로써 점안제 조성물의 점탄성 개량으로 삼투성 및 침투성의 개선에 의해 눈의 보습, 윤활 등이 기존의 단일제제에 비해 월등한 상승효과를 보이는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저, 주성분인 히알루론산 나트륨은 이미 임상적으로 안과영역에서 쇼그렌 증후군, 스티븐슨-존슨증후군, 안구건조증후군 등의 내인성 질환과 수술 후 약제성, 외상, 하드콘택즈 렌즈 착용 등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장해 치료보조제로서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이를 0.1 중량%의 단일 주성분으로 함유시켜 제조된 티어린프리 점안액(국내 생산), 비비알 점안액(수입 완제품) 등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주성분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단일제로 함유한 점안제는 눈의 건조증 치료에 유효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일 제제는 경증 및 중증도의 증상에는 유효하나 중증의 안구건조증후군에는 효력이 미흡한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주성분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함께 배합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즉,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1 : 1.25 ~ 5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여 눈의 피로와 건조증, 및 상술한 히알루론산 나트륨 함유 점안제의 고유한 효과를 극대화시켰다. 만일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점탄성이 너무 낮아 습윤 및 윤활작용에 부적절한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과다한 고점탄성으로 침투성에 부적절한 문제가 있다.
상기 주성분인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은 전체 점안제 조성에 대하여 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성분 외에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담체로는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 pH 조절제, 용제 등이 있으며, 완충제는 점안제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약제 조성물이 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눈에 의해 수용되기 위해서는 포유동물의 눈물과 같거나 비슷한 pH를 가진 등장액인 것이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점안제의 pH는 7.1 ~ 7.3이 적합하며, 이에 따라 완충제는 본 발명에서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완충제로는 아미노카프론산, 인산일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완충제로서 사용되는 인산염의 농도는 시력위협 복합성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생리적 수준(71.45 mmol/L) 이상의 인산염, 즉 과도한 인산염은 손상된 각막 표면에 사용할 때 불용성 인산칼슘의 축적물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등장화제는 점안제의 생리적 전해질의 등장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장화제는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 4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제는 점안제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1 중량부 미만이면 점안액의 안정성 확보에 부적절한 문제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점안액의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에데트산 나트륨 및 과붕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H 조절제는 천연 눈물의 pH를 생리적 상태로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H 조절제는 점안제 조성물의 pH가 7.1 내지 7.3 범위로 되게 조절하는데 적량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점안제가 액제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점안제 조성물에 용제를 추가하여 사용하며, 상기 용제로는 멸균 정제수 또는 주사용 증류수가 바람직하며, 이의 함량은 제조하고자 하는 점안액의 총 용량에 필요한 양에 맞추어 사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점안액의 경우에는 전체 점안액 중 상기 점안제 조성물 외에 용제로 사용량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는 방부제(보존제)를 함유한 점안제와 방부제가 함유되지 않은 점안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방부제를 함유한 점안제로 제형화에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염화벤잘 코늄, 메필파라벤 및 에틸파라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며, 이의 함량은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한편, 보존제를 함유한 점안액은 특히 눈의 건조증을 위해 자주 사용할 뿐 아니라 오래 동안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예민한 눈에 자극을 주기 쉬우므로 이로 인해 각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무방부제 점안액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습윤성, 윤활성 등의 효과가 우수하여 눈의 피로와 눈의 건조증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쇼그렌 증후군, 스티븐슨-존슨증후군, 안구건조증후군 등의 내인성 질환과 수술 후 약제성, 외상, 하드콘택즈 렌즈 착용 등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의한 각결막 상피장해 치료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특히 안구건조증에 유효한 바, 안구건조증이란 눈에서 충분한 윤활 및 습기의 만성적인 결핍으로 인해 생기는 안질환으로, 눈을 촉촉하게 적셔주는 눈물의 양과 질이 감소하거나 변동이 생겨 눈물 층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증상들의 복합체를 말한다. 일명 건성 각결막염이라고도 한다. 안구건조증은 대부분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사라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눈의 자극에 의해 지속적으로 통증, 이물감을 가지며, 만약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각막의 궤양이나 흉터로 인해 시력을 상실할 위험도 있다. 안구건조증은 통상적으로 전신 염증질환과 연관되어 있으며 때로는 신체의 건강상태와 관련되기도 한다. 천연 눈물은 지방층, 수성층, 점액층의 3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물 자체가 부족하거나 어느 한 성분이 부족해서 충분한 습윤 및 윤활 작용을 해주지 못해 건조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눈물은 보기보다 매우 복잡하 며, 불결, 먼지 및 기타 공기 중 부유입자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눈의 표면을 보호해 주는 신체의 자연적인 메카니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점안제는 천연 눈물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는 방부제 함유 점안액 또는 무방부제 점안액으로 제형화가 가능하며, 1회 1적, 1일 5 ~ 6회 점안하되 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할 수 있다.
이하, 다음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방부제 점안액 제조
다음 표 1의 성분과 이의 함량을 정확히 칭량 후, 교반기가 부착된 조제탱크에 용제인 멸균 정제수를 넣고, 주성분,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를 넣고 교반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pH 조절제를 넣어 pH를 7.1로 조절하고, 이 조제액을 0.2 ㎛ 필터를 사용하여 멸균, 여과 후, 이를 용기에 충전하고 바킹, 캡으로 밀봉하여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1
실시예 2: 무방부제 점안액 제조
다음 표 2의 성분과 이의 함량을 정확히 칭량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2
실시예 3: 방부제 함유 점안액 제조
다음 표 3의 성분과 이의 함량을 정확히 칭량 후, 교반기가 부착된 조제탱크에 용제인 멸균 정제수를 넣고, 주성분,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를 넣고 교반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보존제를 넣어 교반, 용해 후, pH 조절제를 넣어 pH를 7.1로 조절하고, 이 조제액을 0.2 ㎛ 필터를 사용하여 멸균, 여과 후, 이를 용기에 충전하고 바킹, 캡으로 밀봉하여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3
실시예 4: 방부제 함유 점안액 제조
다음 표 4의 성분과 이의 함량을 정확히 칭량 후,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4
시험예 1: 약리효능시험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5
(1) 안구건조증 유발 및 시험물질 처치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한 실험동물을 송풍기 바람에 노출시키기 30분 전에 5 ㎕의 시험물질 또는 비교물질(디알클리어, 티어린 후레쉬 및 생리식염수)을 양쪽 눈에 각각 점안하였다. 양성대조군에는 과도한 건조를 막기 위해 증류수(lot No. AAW5AE, 중외제약, Korea)를 점안하였다.
점안 30분 경과 후 눈물분비를 억제하기 위하여 20 mg/kg의 아트로핀 설페이트(atropine sulfate, Aldrich Co., USA)를 복강 내로 투여하고, 동물의 일정한 자세유지 및 눈의 깜빡임 방지를 위해 Zoletil(Virbac Laboratories, France)을 근육내로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마취된 실험동물은 바람에 양쪽 안구가 정면으로 노출되도록 송풍기 앞에 고정시키되, 눈이 상대습도 25 ~ 35%의 공기에 풍속 2.4 m/sec로 노출되도록 거리를 조절하였다.
건조공기 노출시점(0분)부터 60분 간격으로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을 5시간 동안 6회 반복 점안하되, 점안 후 물질이 안구에 고르게 퍼지도록 눈꺼풀을 약 10초간 잠시 덮었다가 안구가 공기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실험시간 동안 실험동물의 자세가 흐트러지거나 눈을 감지 않도록 관찰하며 수시로 보정해 주었다[도 1].
(2) 형광염료(Fluorescein dye)의 각막 투과율 측정
5시간 동안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며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을 각각 점안한 실험동물을 송풍기 바람에서 격리시킨 후 형광염료의 각막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BSS(Balanced sodium solution)에 1%로 제조한 형광 나트륨염(fluorescein sodium salt, Sigma Co., USA) 5 ㎕를 결막낭에 점안하고 1시간 동안 반창고를 이용하여 눈을 감겨 두었다. 투과하지 않은 여분의 염료를 생리식염수로 씻어낸 후 안구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안구에 대해 텅스텐 전구(tungsten lamp) 아래에서 각막에 침투된 형광의 녹색 형광 발광 정도를 관찰하고 사진촬영을 하였다.
촬영한 사진을 ImageJ 1.38x (http://rsb.info.nih.gov, NIH, USA)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각막의 녹색도(green intensity)를 수치화하였다.
각막 안으로 투과된 형광도를 정량하기 위해 적출한 각막을 3 - 4 조각으로 잘랐다. 각막절편을 BSS 200 ㎕에 침적하여 24시간 동안 용출시킨 후 분광형광계를 이용하여 excision 485 nm, emission 538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안구건조증을 유발하지 않고 형광염료만을 적용한 후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정상동물의 각막 부분을 지정하여 색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실시한 결과 각막에 침투한 형광이 아주 미미하게 관찰되었다(도 2). 이러한 형광 발현량을 정량화했을 때, 그 바탕(background) 강도는 평균 59.13을 나타내었다(표 6). 이에 비해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면서 증류수를 60분 간격으로 6회 점안한 양성대조군에서는 매우 강한 형광이 감지되었는데, 형광 강도가 96.60을 나타내어 바탕 값을 뺀 순수하게 침착된 형광 강도는 37.47이었다. 이러한 안구건조증 유발동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리식염수를 점안했을 때 92.1%로 감소하여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DHP-101 투여는 형광 침투율을 양성대조군의 58.7% 수준으로 현저하게 낮추었는데, 이는 DHP-101의 구성성분인 디알 클리어(76.1%)와 티어린 후레쉬(88.2%) 각각의 효과보다 더 우수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6
(3) 조직병리학적 검사
동물을 부검하여 안구와 결막을 분리하였다.
안구를 Davidson 용액에 고정한 후 세로로 삭정하여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파라핀에 포매한 다음 4 μm의 조직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슬라이드를 HE 염색(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한 후 X100 시야의 광학현미경 하에서 사진 촬영한 다음 SR ImagePartner™ (Saramsoft,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곳의 각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막 상피의 손상 정도를 정상(-), mild (+), moderate (++) 및 severe (+++)로 점수화하였다.
적출한 결막은 10% 중성 프로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외안각을 중심으로 가로로 절개하여 안구와 마찬가지로 파라핀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슬라이드를 PAS 염색한 후 X100 시야의 광학현미경 하에서 점액(mucin-like glycoproteins) 함유 또는 방출한 배상세포(Goblet cells)의 수를 세었다.
각막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 안구건조증을 유발하지 않은 정상동물의 각막 두께는 평균 259.46 ㎛였으며, 각막 및 상피에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도 3). 이에 비해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고 60분 간격으로 증류수를 도포한 양성대조군에서의 각막 두께는 평균 168.00 ㎛로 정상 대조군의 65% 수준으로 얇아졌으며, 상피세포의 심한 탈락 현상을 보여 주었다. 흥미롭게도 생리식염수는 안구건조로 인한 각막의 얇아지는 현상을 완화시키지 못하였으며, 특히 각막의 손상을 더 심화시켰다. 반면, 디알 클리어, 티어린 후레쉬 및 이들 성분의 복합조성인 DHP-101은 모두 각막 두께를 정상대조군의 82 ~ 83% 수준으로 회복시켰다. 하지만 DHP-101과 티어린 후레쉬가 각막 손상을 거의 완전하게 억제한 데 비해 디알 클리어는 각막을 보호하지 못하였다.
(4) 눈물분비량 측정(Schirmer test)
안구건조증 유발과정과 마찬가지로 동물을 마취하고 송풍하되 눈물분비 억제를 위한 아트로핀(atropine)은 주사하지 않았다.
동물 마취 5분 후 건조공기에 노출시키기 전 코발트 클로라이드 페이퍼(Toyo Roshi Kaisha, Japan)의 한쪽 끝을 동물 양쪽 눈의 외안각 하안검에 대고 5분간 방치하여 눈물이 적셔져 내려오게 하였다.
쉬머 페이퍼의 적셔져 내려온 면적을 ImageInside Ver 2.32 프로그램으로 분석함으로써 건조공기 노출 전의 정상 눈물분비량을 측정하였다.
5시간 동안 송풍 및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눈에 남아 있는 여분의 시험물질을 제거하고 5분간 방치하였다. 건조공기 노출 전에 실시한 방법과 동일하게 쉬머 테스트(Schirmer test)를 진행하여 눈물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건조공기 노출 전후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코발트 클로라이드 페이퍼를 5분간 랫드의 외안각 하안검에 적용했을 때 적셔져 내려온 길이에 있어서 동물 간 차이가 40% 정도로 컸기 때문에 건조공기 노출 전후의 눈물 분비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특히, 쉬머 페이퍼의 적셔진 끝부분(front line)이 불규칙하여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 길이 대신 ImageInside Ver 2.32 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쉬머 페이퍼의 적셔진 면적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도 4). 정상동물에서 초기 측정시의 눈물 분비량은 쉬머 페이퍼 상에서 평균 35.40 mm2를 나타냈으며, 5시간 후 다시 측정했을 때는 평균 38.98 mm2로 3.58 mm2(10.1%) 증가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표 7). 이에 비해 안구건조 유발과 더불어 60분 간격으로 6회 증류수를 점안한 양성대조군에서는 초기 평균 28.75 mm2에서 안구건조증 유발 후 16.86 mm2로 감소하여 눈물 분비량이 11.89 mm2 (41.4%) 줄어들었다. 흥미롭게도 생리식염수 도포는 안구건조증 유발 후의 눈물 분비량을 15.03 mm2 (39.8%) 줄임으로써 개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반면, DHP-101과 디알 클리어는 안구건조증 유발 후에도 각각 99.3%와 89.3% 수준을 보임으로써 눈물 분비능을 유지시켜 주었다. 이에 비해 티어린 후레쉬는 안구건조에 따른 눈물분비 저하를 예방해 주지 못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7
5) 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Mucin-like glycoproteins) 분비율 측정
동물을 부검하여 결막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결막은 10% 중성 프로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외안각을 중심으로 가로로 절개하여 안구와 마찬가지로 파라핀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슬라이드를 PAS 염색한 후 X100 시야의 광학현미경 하에서 적자색 점액(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 mucin-like glycoproteins) 함유 또는 방출한 배상세포(Goblet cells)의 수를 세었다.
시료당 5부위를 임의로 선정하여 광학현미경 시야 내의 전체 배상세포 중 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을 분비하여 비어 있는 세포의 비율(%)을 제시하였다.
눈물 중의 점액성분은 tear film의 파열을 지연시켜 각막을 오랫동안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을 방출한 배상세포의 비율이 높을수록 시험물질의 효능이 높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막 조직슬라이드를 PAS 염색하여 배상세포의 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 분비율을 산출하였다.
결막조직에 대한 PAS 염색소견에서 안구건조증을 유발하지 않은 정상동물의 배상세포는 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고 있는 세포와 분비한 세포수가 비슷하여, 52.73%의 분비율을 나타내었다(도 5 및 표 8). 이에 비해 안구건조증 유발과 더불어 60분 간격으로 6회 증류수를 점안한 양성대조군에서는 뮤신성 글리코프로테인 분비가 저조하여 22.70%로 감소하였다. 생리식염수 점안은 증류수보다는 분비율을 약간 증가시켰지만 평균 25.93%로 큰 효과가 없었다. 반면, DHP-101는 분비율을 41.00%로 크게 회복시켜 주었다. 또한, 디알 클리어는 32.86%로 약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8
시험예 2: 안전성 시험
검역순화기간 종료 시 체중을 측정(HW-60KGL, AND, Korea)하고, 일반증상에 이상이 없는 동물에 대해 직상검안경(Part Number : 1127-P-1005, Keeler Instruments Inc.)을 이용하여 좌ㆍ우 양안이 건강한 토끼 9마리를 선별해서 군분리하였다.
비세안군(6마리)은 토끼의 우안 아래 눈꺼풀(하안검)을 안구로부터 멀리 당겨 컵모양을 형성시키고, 이 결막낭(conjunctival sac)에 시험물질(실시예 1의 점안액, 이하 DHP-101) 원액 0.1 mL를 투여하였다. 약 1초간 눈을 감은 상태를 유지시켜 시험물질의 손실을 방지하였고, 좌안은 무처치 대조안으로 하였다.
세안군(3마리)도 동량의 시험물질을 우안의 결막낭 내에 점안하고, 30초 후 20 mL의 중외 생리식염 주사액(Lot No.: AAX7CV, Choongwae Pharma Corp., Korea)을 사용하여 약 30초간 눈에 자극을 주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세안하였다. 좌안도 우안과 동일하게 세안을 실시하여 세안군 대조안으로 하였다.
(1) 일반증상 관찰 및 체중측정
관찰기간 중 매일 1회씩 모든 동물에 대하여 일반상태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투여일(투여 0일) 및 투여 후 7일째(투여 7일)에 전자저울(HW-60KGL, AND, Korea)을 이용해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관찰기간 동안 사망동물은 없었고, 시험물질투여로 인한 일반증상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표 9].
또한, 시험물질 투여 후 모든 개체의 체중은 증가되었으며, 비세안군의 평균체중 증가량은 0.09 kg, 세안군의 평균체중 증가량은 0.11 kg이었다[표 10].
Figure 112008012626627-PAT00009
Figure 112008012626627-PAT00010
(2) 안구병변의 관찰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좌안을 대조로 하여, 시험물질 투여 후 1, 2, 3, 4 및 7일째에 각막혼탁, 혼탁된 각막의 범위, 홍채반응, 결막발적, 결막부종 및 배출물 유ㆍ무 등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안구병변의 관찰은 'Draize의 안구병변의 등급1)'에 따라 각 항목에 대해 점수화하였다. 투여 후 7일까지의 각 관찰시 대표 례에 대해서 투여부위를 사진 촬영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11
Figure 112008012626627-PAT00012
비세안군에서는 시험물질원액의 투여후 1, 2, 3, 4 및 7일째의 관찰에서 각막혼탁, 홍채반응, 결막발적, 결막부종 및 배출물 등의 안자극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각각의 M.I.O.I.는 '0'이었다.
세안군에서는 시험물질원액의 투여후 1, 2, 3, 4 및 7일째의 관찰에서 각막혼탁, 홍채반응, 결막발적, 결막부종 및 배출물 등의 안자극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각각의 M.I.O.I.는 '0'이었다.
(3) 안점막자극의 평가
안점막자극을 평점화한 것을 이용하여 각 관찰시간 마다 각막병변(최대치 80점), 홍채병변(최대치 10점) 및 결막병변(최대치 20점)을 산출하여 각 동물의 합계평점을 구하고, 각 개체별 합계평점의 합(Individual Total Score; I.T.S.)을 마리수로 나눈 값(Mean Index of Ocular Irritation M.I.O.I.)을 구하였다. M.I.O.I.의 최대치인 I.A.O.I.(Index of Acute Ocular Irritation) 및 Day 7 I.I.O.I.(Individual Index of Ocular Irritation) 등의 값으로 안점막 자극성의 강도를 다음과 같이 Guillot의 '안점막 자극 평가표2)'를 참조해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8012626627-PAT00013
Figure 112008012626627-PAT00014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물질인 디에이치피-101의 안자극을 Guillot의 안점막자극 평가표2 )를 참조해서 분류한 결과, I.A.O.I.는 '0'으로 무자극물로 분류되었고, 투여 후 48시간의 M.I.O.I.는 '0'으로 '무자극물'로 최종 판정되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건조 공기 노출-안구 건조증 유발과 아트로핀 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각 시험군의 각막 투과율을 형광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각막 두께를 칼라 히스토그램을 실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쉬커 페이퍼로 눈물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뮤신성 글루코프로테인 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주성분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이 1 : 1.25 ~ 5 중량비로 혼합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 및 보존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는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 4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는 아미노카프론산, 인산일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5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에데트산 나트륨 및 과붕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염화벤잘코늄, 메필파라벤 및 에틸파라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안제는 액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15335A 2007-02-20 2008-02-20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KR20080077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136 2007-02-20
KR1020070017136 2007-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585A true KR20080077585A (ko) 2008-08-25

Family

ID=3988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335A KR20080077585A (ko) 2007-02-20 2008-02-20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75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40B1 (ko) * 2011-06-10 2012-04-09 주식회사 휴온스 안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KR102051356B1 (ko) * 2019-01-03 2019-12-03 (주)휴온스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40B1 (ko) * 2011-06-10 2012-04-09 주식회사 휴온스 안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KR102051356B1 (ko) * 2019-01-03 2019-12-03 (주)휴온스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
WO2020141711A1 (ko) * 2019-01-03 2020-07-09 (주)휴온스 고농도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5990B1 (en) Semifluorinated compounds and their compositions
JP5542674B2 (ja) タマリンド種子多糖およびヒアルロン酸に基づく点眼組成物
EP3722274A1 (en) 2-perfluorobutyl pentane for ophthalmic administration
US20080075787A1 (en) Therapeutic Agent For Ophthalmic Diseases
CA2630193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ree from dexpanthenol, calcium ions, and phosphate, and use of calcium chelating agent and ophthalmologically compatible viscosity regulator
EA022055B1 (ru) Применение биоусиливающих агентов при перекрестном сшивании роговицы
HUE025116T2 (en) Ophthalmic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he eye
EA013931B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лазных расстройств
US20150031629A1 (en) Ophthalmic formulation derived from silk protein
KR100938500B1 (ko)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US20100184664A1 (en) Ophthalmic compositions useful for improving visual acuity
US7758883B2 (en) Three layer artificial tear formulation
KR20040014657A (ko) N-아세틸-시스테인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안약조성물
KR20080077585A (ko)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HOLLY Artificial tear formulations
ITMI980555A1 (it) Soluzione umettante e lubrificante per uso oftalmico
WO2009157596A1 (en) Ophthalm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cular diseases
Tu et al. Dry eye
RU2755298C1 (ru) Раствор для ухода за контактными линзами
KR101134340B1 (ko) 안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제 조성물
TWI590824B (zh) Artificial tear composition
Tuley EVALUATION OF A PHYSIOLOGICAL TEAR SUBSTITUTE IN PATIENTS WITH KERATOCONJUNCTIVITIS SICCA
MXPA00009197A (en) Ophthalmic solution comprising glyco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