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487A - 수력발전시스템 2 - Google Patents

수력발전시스템 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487A
KR20080077487A KR1020070017095A KR20070017095A KR20080077487A KR 20080077487 A KR20080077487 A KR 20080077487A KR 1020070017095 A KR1020070017095 A KR 1020070017095A KR 20070017095 A KR20070017095 A KR 20070017095A KR 20080077487 A KR20080077487 A KR 2008007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ter
drip tray
aberration
cylindrical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025B1 (ko
Inventor
김형섭
김은주
김주용
Original Assignee
김형섭
김은주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섭, 김은주, 김주용 filed Critical 김형섭
Priority to KR102007001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00Engines of impulse type, i.e. turbines with jets of high-velocity liquid impinging on blades or like rotors, e.g. Pelton wheels;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1/02Buckets; Bucket-carrying r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03B7/003Water wheels with buckets receiving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4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flat or V-belts and pull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수차의 회전력은 수차의 중심에서 따졌을시 왼쪽이던 오른쪽이던 어느 한쪽의 물받이에 실리는 물이 중력의 영향으로 밑으로 낙하하면서 그 힘이 회전력으로 바뀐 것이다.
본 발명은 수차의 회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물받이에 실리는 그런 물의 무게를 최대화해서 수차의 회전력을 수배에서 수십 배 극대화해서 그 회전력을 발전에 이용하는 것이다.
컨베어벨트라는 것이 있다.
이 컨베이어 벨트라는 것은 두 개의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길쭉한 원통에 넓은 무한궤도 형태의 벨트를 감싸 씌워 그 두 개의 원통 중의 한 원통에 전동장치를 해서 벨트를 회전을 시키고 그 벨트의 윗면에 물건을 올려놓아 그 물건을 다른 장소로 이동을 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큰 의미로 봤을 때 그 컨베이어벨트의 원리가 역 이용되어 만들어진 발전방법이라 볼 수 있다.
즉 두 개의 길고 큰 원통형 회전체를 컨베이어벨트와는 달리 수직으로 아래위로 두 개를 설치하고 그 원통에 수차에 있어서의 물받이 같은 것이 쭉 많이 달려 있는 무한궤도 형태의 벨트를 두 원통에 씌우고 두 원통 중의 위쪽이던 아래쪽이던 어느 한쪽의 원통형 회전체 양단에 수차에서 생기는 회전력을 다른 곳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달아 그 장치로 회전력을 주동력 샤프트로 전달한 다음 기어 비를 이용 회전수를 조절하고 그런 다음 발전기로 연결을 해서 발전을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컨베이어벨트처럼 생긴 수차의 벨트형 물받이 한 쪽에 실리는 물의 총 무게를 이용해서 회전력을 얻는다는 것으로 낙차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물레방아형 수차의 수배에서 수십 배의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그리 수량이 많지 않고 낙차는 큰 산간지방의 계곡에서 흘러내려 오는 물을 이용해서 발전을 하기 좋은 방식으로 설치비가 저렴하고 효율성이 좋아 소형발전에 아주 적격이라 할 수 있다.
벨트형 물받이, 상부원통형 회전체, 하부원통형 회전체, 간격조정대, 동력전달벨트, 주동력샤프트, 장력조절기, 수차폴리, 물받이 차단벽

Description

수력발전시스템 2{A SYSTEM FOR GENERATION OF HYDROELECTRIC POWER 2}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의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에서 그 구성품 중의 상,하부회전체와 벨트 형 물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에서 그 구성품 중의 하나인 간격조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에서 그 구성품 중의 하나인 물받이 차단벽을 앞, 뒤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에서 동력이 얻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동력전달계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에서 중요 부품 중의 하나인 벨트형 수차의 탄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003) : 기존수차의 형상과 회전력의 크기라고 할 수 있는 물의 양
(004) : 기존수차를 물받이와 회전체로 분리해 놓은 모습
(005) : 두 개의 회전체와 무한궤도 형태의 물받이로 수차를 만들어 놓은 모습과 회전력의 크기라 할 수 있는 물의 양
(006) : 회전력의 크기라 할 있는 물의 양을 극대화한 벨트형 수차의 모습
도 11은 벨트형 수차의 물받이 옆판에 대한 부분 상세도로 수직부분(001)과 곡선부분(002), 옆면과 중간부분상세도
*도면의 중요부분들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 벨트형 물받이. 03 : 상부회전체. 05 : 하부회전체.
07 : 간격조정대. 09 : 제1동력전달벨트. 13 : 배수구.
15 : 하부회전체받침기둥. 17 : 주동력샤프트. 19 : 발전기.
23 : 장력조절기. 27-1, 27-2 : 가로기둥. 29 : 수로
31 : 폴리 33, 33-1 :물받이 차단벽과 지지대
41 : 상부회전체중심축 42: 하부회전체중심축
1, 2, 3, 1-1, 2-1, 3-1, : 각 기둥번호
수력발전이란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의 위치에너지를 수차 등을 이용해서 회전력으로 바꾸고 그 회전력을 이용 발전을 해서 전기에너지를 얻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지만 그 중의 한가지가 수차를 이용해서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을 낮은 곳으로 직접 이동을 시키면서 회전력을 얻는 방식인데 이 방식은 이용도가 아주 낮아서 겨우 물레방아 같은 종류로나 이용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동안 별로 활용되지 못했다고 하는 수차를 이용한 그런 물레방아 방식을 차용한 것으로 기존의 물레방아 방식이 가지고 있던 효율성이 낮다는 단점을 보완해서 그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물이 가진 위치에너지를 중력이라는 이름으로 직접적으로 이용한다는 점을 부각시켜 그 점을 장점화 했다.
회전하고 있는 수차에서 그 회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수차의 중심에서 좌측이던 우측이던 어느 한쪽의 상 단면 즉 물받이라고 하는 물이 실리게 되는 부분이 전부인데 각도 상 약 90도 정도이고 수차전체로 봤을 때는 약 4분의 1 정도이다.
그렇지만, 엄밀하게 따져보면 수차의 물받이라는 그릇에는 물이 수평으로만 담기기 때문에 수차에 실리는 물이 수차의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도 각도 상의 90도니 수차의 4분의 1이니 하는 그런 수치보다는 훨씬 떨어진다.
때문에 원론적인 의미에서의 물레방아 방식은 에너지를 얻기 위한 방식으로는 가치가 별로 없다 (도 9의 003그림.)
때문에 본 발명은 그런 기존의 물레방아 방식에서 몇 가지 점에서 차별화를 했다.
첫째 일반적으로 수차라고 하면 수차의 회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물받이가 수차라는 회전체와 일체화가 되어있는 형상인데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의해서 수차를 안쪽부분에 해당하는 회전체라는 것과 바깥쪽에 해당하는 물받이라는 두 부분으로 분리를 했다(도 9의 004 그림).
즉 안쪽에 해당하는 원통형 회전체라는 것과 바깥쪽에 해당하는 벨트형 물받이라는 것으로 따로 떨어질 수도 있고 따로 움직일 수도 있게 했다는 것이다.
둘째 수차에서 얻을 수 있는 회전력의 크기는 수차의 중심에서 어느 한쪽의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이 얼마나 되느냐 하는 것으로 그 한쪽의 수차에 실리는 물의 양을 늘리는 것이 곧 수차의 회전력을 크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수차는 같은 지름 내에서의 수차에 실리는 물의 양을 늘리는 것이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차의 회전력을 크게 한다는 수차에 실리는 물의 양을 늘리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원통형 회전체를 위와 아래로 수직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를 해서 그 두 회전체를 물받이가 횡으로 쭉 많이 달려 있는 벨트 같은 것으로 두 회전체를 감싸 씌우듯이 해 놓으면 그 벨트 같은 물받이의 한쪽에 실리는 모든 물의 무게가 다 수차의 회전력에 영양을 미치게 된다는 것으로 두 원통형 회전체의 거리가 길어지거나낙차가 커질수록 벨트형 물받이의 개수는 많아지고 벨트형 물받이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벨트형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은 많아지고 벨트형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수차의 회전력도 커진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수차를 본 발명에서처럼 원통형 회전체와 벨트형 물받이로 따로 분리를 하면 수차에 실리는 물의 양은 얼마든지 많게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변수인 낙차만 크다면 수차의 회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차에 실리는 물의 양도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가 있다는 것이다.(도 9의 005 그림)
셋째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을 많게 하기 위해서 물받이를 벨트형으로 변형을 시켜서 밑으로 길게 늘이는 것은 실제 낙차의 크기에 따라 수차의 회전력에 엄청난 영향력을 더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벨트형 물받이를 길게 늘여서 물을 많이 담고자 하는 방법이 완전하다 또 완벽하다 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물받이에 담기는 물은 수평으로만 담기기 때문에 물이 담겨지지 않는 빈 공간이 물받이와 물받이 사이에 많이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위쪽의 원통형 회전체 부분 즉 기존의 수차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기존 수차의 물받이와 물이 담겨지는 용량이 별 차이가 있을 수가 없다.
그렇지만, 기존 수차에 더해져서 밑으로 길게 드리워져서 늘어나게 되는 벨트형 물받이 부분에서는 위 물받이와 아래 물받이 사이에 물이 수평으로만 담겨지기 때문에 상당부분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
위 물받이와 아래 물받이 사이에 생기는 그 빈 공간에까지 물을 가득 채울 수 있다면 그것은 결국 벨트형 수차의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이 많아진다는 얘기가 되고 벨트형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이 많아진다는 것은 곧 벨트형 수차의 회전력이 커진다는 얘기가 되고 그 얘기는 결국 그만큼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벨트형 수차의 아래 위의 물받이 사이에 생기게 되는 빈 공간까지도 가능한 한 물을 가득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해서 본 발명에서는 길게 밑으로 드리워져 있는 벨트형 물받이 외곽에 바로 근접해 서 물받이에 빈 공간 없이 물이 가득가득 실릴 수 있도록 수차의 제일 위 상단부분 높이에서부터 낙차가 끝나는 하부원통형 회전체에 이르는 부분까지 일종의 벽이라 할 수 있는 물받이 차단벽을 대어서 물받이마다 생기게 되는 공간까지도 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수차의 물받이에 물이 실릴 때 물받이에 수평 이상의 물이 담겨도 쏟아지지 못하도록 차단벽을 벨트형 수차의 물받이에 근접되게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쭉 설치를 해서 벨트형 물받이에 실리는 물이 전혀 밖으로 흘러 넘치지 못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그렇게 했을 경우 아래위로 길게 드리워져 있는 기다란 벨트형 물받이에는 제일 위의 첫 칸부터 제일 끝의 마지막 칸까지 모든 칸이 빈공간 없이 물이 꽉 찬 상태로 그 하중을 밑으로 전달하게 되어 물받이에 수평으로만 물이 담겨져서 물받이와 물받이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되는 단점은 없어지게 되고 자연 기존수차에 더해져서 늘어나게 되는 모든 벨트형 물받이 부분에도 물이 다 차게 되어 그렇게 더 차게 되는 물의 양만큼 수차의 회전력이 더 커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도 9의 006 그림)
그 외에도 본 발명을 기존의 수력발전과 비교를 하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이 더 있다.
-기존의 수력발전 방법은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가 이용되는 정도가 아주 순간적인데 비해 본 발명 안은 그 이용 시간이 아주 길다.
기존 수력발전에서는 대부분 높은 수압을 가지고 있는 물을 노즐을 이용해서 수차 로 빨리 쏘거나 많은 량의 물로 수차의 날개를 힘으로 밀어붙여 수차를 돌리는데 이때 물이 수차의 날개에 미치는 영향은 수차의 중심에서 따졌을 시 각도 상으로도 얼마 되지 않고 시간상으로도 수차의 회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 시간도 아주 순간적이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의한 물이 가진 위치에너지가 이용되는 시간은 처음 벨트형 수차의 물받이에 물이 실리면서부터 수차가 회전을 하고 수차에 실린 물이 밑으로 낙하하고 물받이에서 물이 떨어질 때까지 낙차가 크면 클수록 벨트형 수차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벨트형 물받이에 실린 물이 수차의 회전력에 미치는 시간은 길어지고 중첩된다는 것으로 그만큼 수차에 실리는 물이 가진 위치에너지의 이용이 극대화된 것이다.
-수차의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도 질이 틀린다.
기존의 수차는 반동 식이던 충동 식이던 물을 얼마나 많은 량으로, 얼마나 강하고 빠른 속도로 쏘느냐에 따라 수차의 회전력이나 속도가 영향을 받았다. 그렇다는 얘기는 기존 수차의 회전력은 물이 수차의 날개를 밀거나 치는 반탄력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의 수차의 회전력은 기존의 수차가 받게 되는 반탄력과는 그 개념이 전혀 틀린다.
본 발명에서의 벨트형 수차에서 얻어지는 회전력은 오로지 중력에 의해서만 발생이 되는 것으로 벨트형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양이, 물의 무게가 얼마나 되느냐 하는 점이 곧 회전력의 크기로 결정이 된다는 것이다.
-수차의 날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난 다음의 물의 처지가 다르다.
기존 수력발전소의 대부분은 수차의 날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난 다음의 물이 빠져나가야 할 배수로는 그 길이가 상당히 길거나 그 위치가 수중에 있다.
이 이야기는 수차의 날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난 물은 반드시 뒤를 따르는, 아직 수차의 날개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 아직 위치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물이 자신의 위치에너지를 일정부분 소모시켜가면서 배수로 바깥으로 밀어내주어야 하는 방해물로 순간적으로 그 처지가 틀려진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의 방법은 수차에 실린 물이 수차에서 내려지는 그 순간 수차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처지가 된다는 것으로 기존 수력발전에서 나타나는 수차에 아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그런 요소는 전혀 없다는 것이다.
기존의 수력발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수차라는 것으로 이 수차라는 것을 어떤 식으로 운용을 해서 발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얻는가에 따라 크게 충동수차 방식과 반동 수차방식으로 분류가 되는데 기존의 수력발전은 대부분 이 두 가지 방식에 의해서 발전을 했다.
충동 수차방식에는 펠턴 수차 방식이 있고 반동 수차방식에는 프란시스 수차 방식
사류수차방식, 프로펠러 수차방식이 있는데 펠턴수차방식은 주로 고 낙차 즉 300M 이상에 적합한 방식이고 반동 수차방식은 중낙차에서부터 저 낙차에서 주로 사용을 하는데 우리나라의 수력발전방식은 대부분 반동 수차방식에 의한다 할 수 있다.
충동 수차방식이란 수차의 날개에 낙차에 의해서든 수압에 의해서든 높은 압력이 있는 물을 노즐을 통해 빠르게 쏘아 수차의 날개를 강하게 때려서 수차를 회전시키 는 방식이고, 반동 수차방식이란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놓여져 있는 수차의 날개에 물을 빠르게 흘려보내 수차의 날개를 옆으로 밀어 수차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특징에 따라 적절히 사용이 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기존의 그런 수력발전의 방법과는 확연하게 구분이 된다.
본 발명은 기존 수력발전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교적 적은 수량과 낙차에서도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해서 동일한 수량과 낙차에서도 보다 많은 발전량을 얻을 수 있도록 새로운 수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계곡에서 흘러내려 오는 물을 가로막아 놓은 곳으로부터 낙차가 커질 때까지 산허리 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수로와;
상기 수로로부터 댐의 상부면 수차 위까지 이어지는 수차수로(29)와;
상기 수로와 평형 되게 설치된 세로기둥(1, 2, 3, 1-1, 2-1, 3-1)들과;
상기 기둥을 서로 가로질러 설치가 되는 여러 가로 기둥들(27-2, 27-2')과;
상기 여러 가로기둥들 중 2번과 3번, 2-1번과 3-1번 사이의 가로 기둥 위를 가로질러 설치가 되는 제자리 회전가능한 상부 회전중심축(41)과;
상기 회전중심축의 수직 하 방향에 위치한 받침기둥(15)들 위를 가로질러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가 되는 하부 회전중심축(42)과;
상기 하부 회전중심축과 일체가 되어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와 중간 띄움 칸과 폴리로 구성되어 있는 하부 원통형 회전체(05)와;
상기 상부 회전중심축과 일체가 되어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벨트형 수차의 거의 모든 하중을 감당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 원통형 회전체(03)와;
상기 상, 하부 두 원통형 회전체를 넓게 감싸면서 외부에 횡 방향으로 물받이가 쭉 많이 달려 있는 무한궤도 형태의 벨트형 물받이(01)와;
상, 하부 원통형 회전체를 감싸고 길게 회전하고 있는 벨트형 물받이와 아주 근접해서 물받이에 실려 있는 물이 쏟아지지 못하도록 일종의 벽 역할을 하는 물 쏟아짐 방지 물받이 차단벽(33)과;
상기 물 쏟아짐 방지 차단벽(33)의 형태를 유지하고,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물받이 차단벽지지대(33-1)와;
상부 원통형 회전체 밑으로 길게 드리워지는 벨트형 물받이는 물받이에 물이 차서 무거워지면 물이 실린 쪽의 반대편 즉 뒤쪽으로 밀리게 되어 있는바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벨트형 물받이 뒤쪽으로 롤러 형태를 가진 채 가로세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벨트형 물받이 뒤를 받치게 되어 있는 물받이 간격조정대(07)와;
하부원통형 회전체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부원통형 회전체의 중심축과 평형 되게 받침기둥 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가 되는 주동력샤프트(17)와;
상기 주동력샤프트에 고정 설치되어 수차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주동력 샤프트 폴리35)와;
주동력 샤프트 폴리와 하부 원통형 회전체와 일체가 되어 있는 대형 하부 원통형 회전체(31) 폴리를 크게 가로질러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는 제1 동력전 달벨트(09)와;
주동력샤프트에 고정 설치가 되어서 발전기(19)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폴리와 발전기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제2 동력전달벨트(11)와;
하부 원통형 회전체에 달려 있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해주는 장치인 대형폴리(31)와 주동력샤프트(17) 사이, 그리고 주동력샤프트와 발전기(19) 사이에는 고장이나 수리시 동력전달을 차단해야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 원통형 회전체에 달려 있는 동력전달장치인 폴리와 주동력 샤프트 사이, 주동력샤프트와 발전기 사이에 브이형 벨트가 여러 가닥 길게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했는데 이 경우 벨트가 늘어질 가능성도 당연히 존재한다. 때문에 동력을 전달하기도 하고 차단하기도 하고 장력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장력조절기(23)와;
상기 제2동력전달 벨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벨트형 수력발전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는 산속의 계곡 같은 곳에서 흐르는 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경사가 어느 정도 있고 강물처럼 물의 량이 그리 많지 않은 그런 환경에 적합한 소수력 발전 방식이다.
경사가 있는 계곡이라고 해도 그 계곡을 가로막고 발전 가능한 정도인 10m이상의 낙차를 만든다면 사실 그 모양이 흉물스러울 수밖에 없고 결국 자연경관을 해칠 수밖에 없다. 물론 그렇게 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논외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그런 점을 감안해서 가능한 한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발 전을 하는 것으로 구성을 했다.
즉 물을 가로막는 장소에서는 그저 흐르는 물을 가로막는 정도로 하고 그 가로막은 물을 산 허리 쪽으로 수로를 내서 흐르게 하되 수로의 경사를 기존계곡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해서 조금씩 기존 계곡과의 높이 차이를 만들고 그 물을 자연경관을 덜 해치고 낙차가 발전에 필요한 높이가 되는 장소까지 이끌고 이후 공중으로 일정 거리 수로를 만들어서 그곳에 본 발명을 적용한 수력발전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으로 했는데 물의 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횡 방향으로 2~3기 정도 더 건설을 하고 주동력 샤프트로 연결을 해서 물의 양에 따라 발전량의 차이를 달리할 수도 있는 것으로 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조건)
먼저 상부회전체와 하부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이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해야 하고;
상,하 두 회전체와 벨트형 물받이가 서로 공회전하지 못하도록 팽팽하게 당겨져서 고정이 되어야 하고;
벨트형 물받이에 물이 실려 그 하중에 벨트형 물받이가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벨트형 물받이 뒤쪽을 간격조정대가 확실하게 받쳐지도록 되어 있어야 하고;
벨트형 물받이 바깥쪽을 물받이 차단벽이 확실하게 근접해 있어서 물받이에 실리는 물이 한 방울이라도 물받이를 벗어나서 그냥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아주 가까이 잘 밀착이 되어 있어야 하고;
벨트형 물받이와 물받이 차단벽 사이에서 새어나오는 물이 동력전달장치나 기타의 곳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좌우 간격이 근접해서 잘 밀착이 되어야 하고;
하부회전체에 달려있는 동력전달장치인 대형 폴리와 주동력 샤프트에 달려 있는 폴리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벨트인 브이(V)형 벨트는 공회전이 되지
않도록 장력조절기에 의해서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야 하고;
제2동력벨트 역시 그런 이유로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야 하고;
물의 양이 많아서 도면과 같은 수차가 옆으로 몇 기 더 설치가 되어 있을 경우 주동력 샤프트가 일직선으로 잘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일차과정)
그런 상태에서 위로부터 물이 수로를 통해서 흘러들어오다가 수차의 상단부분에 이르게 되면 벨트형 물받이의 상단부분으로 떨어진다.;
벨트형 물받이로 떨어진 물은 물막이 차단벽 때문에 물받이 바깥으로 흘러넘치지 못하고 물받이에 꽉 차게 되고 그 실린 물의 하중에 의해서 벨트형 물받이는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물받이에 실리게 되는 물의 무게로 물받이가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되는 그런 작용은 처음의 물받이가 벨트형 물받이의 가장 하단 부분에 이를 때까지 계속이 되고 나중에는 물막이 차단벽에 근접된 모든 벨트형 물받이들에 물이 다 찬 상태로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가 벨트형 물받이는 최대의 회전력을 발휘하게 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물받이 차단벽을 다 지나게 된 벨트형 물받이에서는 위치에너지가 다 없어진 물이 물받이에서 내려져서 자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차과정)
벨트형 물받이가 회전을 하게 되면 벨트형 물받이 안쪽의 상,하 두 회전체도 회전을 하게 되고 그럼 하부회전체 양단에 일체형으로 부착이 되어 있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대형 폴리도 자연 회전을 하게 된다;
하부회전체의 양단에 붙어 있는 대형 폴리가 회전을 하게 되면 그 폴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된 위치에 있는 주동력샤프트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폴리로 v형 벨트에 의해 그 회전력이 전달이 되게 되는데 v형 벨트는 장력조절기에 의해 두 폴리 사이를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물의 양에 따라 1,2기 정도의 수차가 더 설치될 수도 있고 그런 경우 각 수차의 회전력은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전부 일직선, 일체형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주동력샤프트로 전달이 되게 되는데 그 회전력은 다시 일정거리 떨어진 체 설치되어 있는 발전기로 제2동력전달벨트에 의해 전달이 되어 발전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벨트형 수차에서 생기는 회전력은 꼭 위에서 기술된 동력전달장치에 의해서만 동력이 전달이 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 기술사상에 속하는 모든 동력전달수단이 다 이용될 수 있다.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적은 수량으로서도
더욱 많은 발전이 가능하고 또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보다 많은 수의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할 수가 있고
---설치구조가 간단하고 위치에너지가 이용되는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저비용 고용 량의 소형수력발전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은 우기라 할 수 있고 이때 내리는 빗물은 대부분 바다로 그냥 흘려 들어가버리는데 그런 물들을 저수지 형태로 적절히 운용한다면 여름철 냉방전력의 상당부분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고지대의 저수하기 좋은 위치에 저수지를 몇 개 정도 만들어 우기에 물을 가두어 두었다가 나중 조금씩 흘려 내려보내면서 발전을 한다면 상당기간 발전이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Claims (5)

  1. 계곡에서 흘러내려 오는 물을 가로막아 놓은 곳으로부터 낙차가 커질 때까지 산허리 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수로와;
    상기 수로로부터 댐의 상부면 수차 위까지 이어지는 수차수로와;
    상기 수로와 번호 1,2,3 그리고 1-1, 2-1, 3-1로 서로 평형 되게 설치된 세로기둥들과;
    상기 기둥을 서로 가로질러 설치가 되는 여러 가로기둥들과;
    상기 여러 가로기둥들 중 2번과 3번, 2-1번과 3-1번 사이의 가로 기둥 위를 가로질러 설치가 되는 제자리 회전가능한 상부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의 수직 하방 향에 위치한 받침기둥들 위를 가로질러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가 되는 하부 회전중심축과;
    원통형 회전체와 중간띄움칸과 폴리등이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 는 하부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상부 회전중심축과 일체가 되어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벨트형 수차의 거의 모든 하중을 감당하도록 되어 있는 단순 상부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상, 하부 두 원통형 회전체를 넓게 감싸면서 외부에 횡 방향으로 물받이가 쭉 많이 달려 있는 무한궤도 형태의 벨트형 물받이와;
    상, 하부 원통형 회전체를 감싸고 길게 회전하고 있는 벨트형 물받이와 아주 근접해서 물받이에 실려 있는 물이 쏟아지지 못하도록 일종의 벽 역할을 하는 물 쏟아짐 방지 물받이 차단벽과;
    상기 물 쏟아짐 방지 물받이 차단벽의 형태를 유지, 하중을 지지하고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벨트형 물받이에 밀착을 시킬 수도 뗄 수도 있도록 되어 있는 물받이 차단벽지지대와;
    상부 원통형 회전체 밑으로 길게 드리워지는 벨트형 물받이는 물받이에 물이 차서 무거워지면 물이 실린 쪽의 반대편 즉 뒤쪽으로 밀리게 되어 있는바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벨트형 물받이 뒤쪽으로 롤러 형태를 가진 채 가로세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벨트형 물받이 뒤를 받치고 있는 물받이 간격조정대와;
    하부원통형 회전체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부원통형 회전체의 중심축과 평형 되게 받침기둥 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가 되는 주동력 샤프트와;
    하부원통형 회전체와 일체가 된 상태로 수차에서 생기는 회전력을 다른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하부회전체 대형폴리와;
    상기 주동력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어서 수차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주동력 샤프트 폴리와;
    주동력 샤프트 폴리와 하부원통형 회전체 대형폴리를 크게 가로질러 동력을 전달하도독 되어 있는 제1 동력전달벨트와;
    주동력 샤프트 폴리와 발전기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제2 동력전달벨트와;
    하부 원통형 회전체에 달려 있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해주는 장치인 대형폴리와 주동력 샤프트 사이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차단할 수도 있도록 브이(v)형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장력조절기와;
    제2동력전달 벨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형 벨트형 수력발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수차가 안쪽의 원통형 회전체와 바깥쪽의 벨트형 물받이 두 부분으로 분리가 되었는바 두 부분이 수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회전체가 상, 하 두 회전체로 구성이 되어야 하고 그 두 회전체 중 한 회전체에는 반드시 수차 외부로 수차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달려 있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그런 장치가 하부 원통형 회전체에 달려있고 이 하부 원통형 회전체는 그 구조가 가운데 부분에 수차 길이 정도의 단순 원통형 회전체가 위치하고 그 양단에 단순 원통형 회전체와 동력전달장치와의 간격도 띄우고 벨트형 물받이에서 세어나오는 물을 일차 차단도 한다는 의미에서 원통형 회전체의 지름보다 조금 적은 정도의 간격띄움칸이 위치하고 그 양단에 벨트형 물받이에 세어나오는 물을 다시 한번 차단한다는 의미에서 원판형태의 물차단 막이 위치하고 다시 그 양단에 수차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인 대형폴리 등이 전체적으로 일체형을 이룬 채 벨트형 수차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수력발전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물받이는 상, 하부 원통형 회전체를 무한궤도 형태의 넓은 벨트가 전체적으로 감싸고 그 외곽에 물받이가 달려 있는바 벨트형 물받이는 벨트 옆쪽으로 가능한 한 물이 새어나가거나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과 횡으로 길게 만들어진 물받이는 실리는 물의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 그리고 상, 하부회전체의 곡선부 부분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들이 반드시 필요한바 벨트형 물받이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중간 중간에는 위물받이와 아래 물받이 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는 옆 판이 위치해서 벨트형 물받이에 실려 있는 물이 밖으로 가능한 한 옆으로 흘러나가거나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벨트형 물받이 중간 부분에는 수차의 길이에 따라 몇 군데 옆 판과 같은 모양, 같은 기능을 하는 판이 좌우대칭형으로 겹쳐져서 곡선 부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벨트형 물받이에 실리는 물의 하중은 물받이가 벨트와 옆 판과 옆 판(중간판)에 그 하중을 분배도록 만들어진 상태로 수차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수력발전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벨트형 수차에 실리는 물이 가진 위치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벨트형 물받이 외곽 부분 중 상부 원통형 회전체로부터 밑으로 드리워져서 하부 원통형 회전체에 이르는 부분까지 벨트형 물받이 한칸한칸의 물받이마다 물이 가득가득 실린 채 밑으로 밑으로 이동이 될 수 있도록 물받이 외곽부분을 수차의 제일 윗 상단 높이에서부터 하부원통형 회전체의 중심부분과 수평이 되는 곳까지 벨트형 물받이에 근접해서 수직으로 가로막아 벨트형 물받이에 실려있는 물이 바깥으로 쏟아지지 못하도록 차단벽을 만들어주는 수차 외곽 물받이 차단벽이 있는 수력발전시스템
  5. 벨트형 물받이 부분 중 상부 원통형 회전체로부터 밑으로 드리워지는 벨트형 물받이는 벨트형 물받이에 물이 실리게 되면 그 무게로 벨트형 물받이가 뒤로 밀리게 되고(상, 하부 원통형 회전체의 중심이 이어어지는 가상의 선과 가까워짐) 그렇게 되면 벨트형 물받이에 실린 물이 쏟아지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수차외곽 물받이 차단벽과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수차에 실리는 물이 옆으로 쏟아지게 되고 그럼 수차에 실리는 물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수차의 회전력이 약해지게 되는바 그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벨트형 물받이 뒷부분을 롤러 형태로 가로세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벨트형 물받이 뒤를 안정적으로 받치게 되어 있는 수차간격조정대가 있는 수력발전시스템
KR1020070017095A 2007-02-20 2007-02-20 수력발전시스템 2 KR10095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095A KR100951025B1 (ko) 2007-02-20 2007-02-20 수력발전시스템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095A KR100951025B1 (ko) 2007-02-20 2007-02-20 수력발전시스템 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487A true KR20080077487A (ko) 2008-08-25
KR100951025B1 KR100951025B1 (ko) 2010-04-05

Family

ID=3988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095A KR100951025B1 (ko) 2007-02-20 2007-02-20 수력발전시스템 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24B1 (ko) * 2013-06-28 2014-12-10 박행제 수력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858A (ko) * 2005-02-11 2006-08-17 황유섭 강물이 회전하는 동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24B1 (ko) * 2013-06-28 2014-12-10 박행제 수력발전장치
WO2014208927A1 (ko) * 2013-06-28 2014-12-31 Park Hang-Je 수력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025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7394A1 (en)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water flow kinetic energy continuously
US7918087B1 (en) System for relocating and converting potential energy of water without dams
KR101565461B1 (ko) 취수관을 이용한 중력식 수력발전시스템
CN102345549A (zh) 浮轮式水轮机
CA2864657A1 (en) Generation of power from rivers and the like
KR20080077487A (ko) 수력발전시스템 2
KR101730530B1 (ko) 수력발전시스템
WO2010082011A2 (en) Electric power generator
KR101376254B1 (ko)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 회전력 증강장치
WO2009093256A1 (en) Hydro-power mechanism
WO2019103634A2 (en) Cascading hydroelectric power plant
RU2131993C1 (ru) Русловая бесплотинн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US11434866B2 (en) Water current catcher system for hydroelectricity generation
CN101135289A (zh) 漂浮式无落差流水发电机
KR20130114557A (ko) 수로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1278534B1 (ko) 소수력 발전시스템
KR100695544B1 (ko) 다수의 회전드럼을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WO2013089579A1 (ru) Альтернативн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JP6560813B1 (ja) 重力加算水車
KR100923636B1 (ko) 수력발전시스템 3
JP2004068655A (ja) 定水量開放型水車発電装置
KR20150140058A (ko) 궤도수차를 이용한 수력발전기
CN218407711U (zh) 一种抽水取能装备
JP2005048603A (ja) 水力自家発電装置
JP2014101879A (ja) 荷重利用装置、水力発電装置および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1

Effective date: 201002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