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327A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327A
KR20080077327A KR1020080014005A KR20080014005A KR20080077327A KR 20080077327 A KR20080077327 A KR 20080077327A KR 1020080014005 A KR1020080014005 A KR 1020080014005A KR 20080014005 A KR20080014005 A KR 20080014005A KR 20080077327 A KR20080077327 A KR 2008007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ballast water
concentration
ballast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우이치 미야나베
이쯔미 오니시
슈지 우에키
케니치 혼다
칸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크로린엔지니아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크로린엔지니아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3O3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할 수 있도록 기동시켜,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효과적으로 살멸 또는 제거한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2)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4)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합장치(7)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는 복수개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8)을 가지며;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11)를 가지고, 이 오존 농도 검출부(11)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오존 혼합장치(7)에 오존을 공급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4)를 가지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80014005
밸러스트수, 수처리장치, 기동제어시스템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START CONTROL SYSTEM FOR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항상 안정적이고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할 수 있도록 기동시키며,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효과적으로 살멸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유나 컨테이너 등을 수송하는 화물용 선박에는 항행시의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원유 등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밸러스트 탱크 내를 밸러스트수로 채워서 원유나 컨테이너 등을 실을 때에 밸러스트수를 배출함으로써, 선체의 부력을 조정하여 선체를 안정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밸러스트수는 선박의 안전한 항행을 위하여 필요한 물로서, 통상적으로 하역을 수행하는 항만의 해수가 이용된다. 그 양은 세계적으로 보면 연간 30~40억톤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편, 밸러스트수중에는 이를 취수(取水)한 항만에 생식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혼입되어 있어 선박의 이동에 따라 이들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동시에 타국으로 운반되어진다.
따라서 원래 그 해역에는 생식하지 않았던 생물종이 기존 생물종을 대신하는 생태계의 파괴가 심각하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국제해사기관(IMO)의 외교 회의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 및 침전물의 규제 및 관리를 위한 조약(이하, 조약이라고 한다)이 채택되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관리의 실시의무가 2009면 이후 건조선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조약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배출기준은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정되었다.
항목 밸러스트수질 기준 크기
수생생물 10개/ml 10~50㎛
수생생물 10개/m3 50㎛이상
지표 세균수 대장균 250cfu/100ml
병원성 콜레라균(01,0139) 1cfu/100ml
장구균 100cfu/100ml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밸러스트수의 처리기술의 개발이 급선무이다.
종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를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오존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살균 또는 제균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3에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특개 2004-160437호 공보
[특허문헌 2]특개평 6-134023호 공보
[특허문헌 3]특개 2005-161284호 공보
오존을 사용하여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경우, 밸러스트수의 오존 농도를 수생생물이나 세균률를 살멸 또는 제거하는 데 필요한 오존 농도로 해야 한다.
만약,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가 너무 낮으면, 완전히 처리하지 못하여 밸러스트수중에서 살아남은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밸러스트수의 배출시에 바다로 유출되어 그 해역의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약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출항하는 것은 고사하고 원유나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적재하는 것조차 할 수 없게 되어서, 선박 회사에 막대한 손실을 입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원유 등 생활에 필수불가결한 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이 출항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은 사회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오존 발생장치를 기동시켜, 생성된 오존을 밸러스트수중에 혼입시켜도, 기동 초기부터 필요 농도의 오존이 생성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밸러스트수가 소정의 오존 농도를 갖지 않고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완전히 살멸 또는 제거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오존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할 수 있도록 기동시킴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효과적으로 살멸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벨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음과 같은 기재에 따라 명백해진다.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합장치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을 가지며, 상기 오존 발생장치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를 가지고, 이 오존 농도 검출부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 장치에 오존을 공급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장치에 공급되지 않은 오존을 배오존 분해탑으로 보내어, 분해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입장치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을 가지며, 상기 오존 발생장치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Ⅰ)를 오존 공급라인에 설치하고, 또한 오존 혼합장치로부터 슬릿판에 이르는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Ⅱ)를 설치하며, 이 오존 농도 검출부(Ⅰ)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러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장치에 오존을 공급하고,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Ⅱ)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온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장치 이후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보내지 않고 이 오존 혼합장치의 바로 앞에서, 또한 상기 밸러스트 펌프의 입구측의 라인으로 반송(返送)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합장치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을 가지며, 상기 오존 발생장치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Ⅰ)를 오조 공급라인에 설치하고, 이 오존 농도 검출부(Ⅰ)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규정 농도에 이르러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 장치에 오존을 공급하고,또한 상기 오존 혼합 장치에 오존을 공급 후, 규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오존 혼합 장치 이후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보내지 않고 이 오존 혼합 장치 바로 앞에서, 또한 상기 밸러스트 펌프의 입구측의 라인으로 반송(返送)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존 혼합장치에 의해 오존이 혼입된 밸러스트수를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상기 슬릿판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러스트수를 오존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할 수 있도록 기동시킴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효과적으로 살멸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선체, 2는 이 선체(1)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 3은 밸러스트 탱크(2)에 밸러스트수를 이송(주수:注水)하는 주배관, 4는 밸러스트수를 취수(取水)하는 밸러스트 펌프, 5는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 발생장치, 6은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공급라인, 7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합장치, 8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슬릿판, 9는 배오존을 분해하기 위한 배오존 분해탑, 10은 배오존을 배오존 분해탑(9)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오존 라인, 11은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 농도를 배출하기 위한 오존 농도 검출부, 12는 오존 공급라인(6)에 설치된 개폐밸브, 13은 배오존 라 인(10)에 설치된 개폐밸브, 14는 오존 농도 검출부(11)의 검출결과를 입력하여 밸러스트 펌프(4), 개폐밸브(12)(13)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밸러스트 탱크(2)는 1개만 나타나 있지만, 통상적으로 밸러스트 탱크(2)는 선체(1) 내에 복수개 설치되며, 각 밸러스트 탱크(2) 내에 각각 주배관(3)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이송된다.
밸러스트 탱크(2)에는 선박 바닥부 부근에 설치된 씨체스트(SEA CHEST)(미도시)로부터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 대상이 되는 밸러스트수에는 예를 들면 해수, 담수 등이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해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밸러스트수에는 동물 플랑크톤, 식물 플랑크톤, 미생물 등의 수생생물이나 대장균 등의 세균류가 포함된다.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는 주배관(3)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2)로 이송된다. 이 주배관(3)을 통과하는 도중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의해 오존이 주입되어 밸러스트수의 처리가 수행된다.
오존 혼합장치(7)는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에 오존 발생장치(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킨다.
오존 발생장치(5)는 컴프레서(compressor)(51), 산소발생기(52) 및 오존 발생기(53)를 가지고 있으며, 산소 발생기(52) 및 오존 발생기(53)를 거쳐 생성된 오존이 컴프레서(51)에 의해 오존 공급라인(6)을 통하여 오존 공급장치(7)에 공급된다.
이 오존 혼합장치(7)는 주배관(3)을 통하여 이송되는 밸러스트수와 오존 또는 오존과 산소의 혼합기체를 기액 혼합하는 기액 혼합장치(오존 인젝터)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밸러스트수중에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테틱 믹서(Static Mixer), 라인 믹서(line mixer) 등의 정적 혼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슬릿판(8)은 오존 혼합장치(7)에 의해 오존이 혼입된 밸러스트수를 고압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한다.
이 슬릿판(8)의 상세도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다.
도 2는 주배관(3) 내의 슬릿판(8)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판(8)은 주배관(3)의 내부에 이 주배관(3)의 유로전체를 가로막도록 하여 배설되어 있다.
슬릿판(8)에는 복수개의 슬릿형상의 개구(8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81)의 개구폭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는 효과가 충분이 발휘될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200㎛~500㎛로 한다.
주배관(3) 내를 통하여 이송되는 밸러스트수는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이 슬릿판(8)을 향하여 고압으로 압송된다. 압송된 밸러스트수는 환류상태인 채로 슬릿판(8)의 슬릿형상의 개구(81)를 통과하도록 하여, 이 개구(81)를 통과할 때에 전단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파괴하여 살멸한다.
이러한 전단력에 의한 파괴, 살멸 효과를 더욱 발휘시키기 위하여 슬릿판(8)은 밸러스트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슬릿판(8)은 주배관(3) 내에 밀접하게 부착되지만, 도시하지 않지만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플랜지 등에 의해 주배관(3)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판(8)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형상의 개구(81)의 형상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라 할 수 있다. 개구(8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밸러스트수의 압력손실, 전단현상의 발생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각 개구(8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주배관(3)의 단면형상에 맞추어 중앙부의 개구(81)를 길게 하고, 단부로 갈수록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개구(81)의 형상은 직선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주배관(3) 내에 배설되는 슬릿판(8)의 개수는 1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를 간격을 두고 배설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슬릿판(8)을 배설하는 경우에는 각 슬릿판(8)의 각각의 개구(81)의 폭, 크기, 개수, 형상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단 현상을 보다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으며,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파괴, 살멸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배관(3) 내를 통하여 이송되는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의한 밸러스트수중으로의 오존혼입과 슬릿 판(8)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제거 또는 살멸된다.
배오존 분해탑(9)은 밸러스트수처리에 불필요한 배오존을 배오존 라인(10)으로부터 받아서 분해 처리한다. 이 배오존 분해탑(9)에 의해 분해된 처리가 끝난 가스는 선체(1)의 데크(deck)상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오존 농도 검출부(11)는 오존 발생장치(5)에 의해 생성된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계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을 오존 혼합장치(7)에 공급하기 위한 오존 공급라인(6)에서 오존 농도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오존 농도 검출부(11)를 오존 발생장치(5) 내에 편성함으로써 오존 발생장치(5)의 오존 발생기(53)에서 생성된 직후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4)는 이 오존 농도 검출부(11)로부터 보내지는 오존 농도(가스 농도)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여, 오존 발생장치(5)에 의해 생성된 오존 농도가,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제어부(14)는 이 오존 농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 개시의 가부, 오존 공급라인(6) 중의 개폐밸브(12) 및 배오존 라인(10) 중의 개폐밸브(13)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 오존 농도(가스 농도)의 규정 농도는 오존을 생성하기 위한 원료(공기, 산소 가스 등)에 의해서도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3~15%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제1 실시형태에서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에 대하여 도 4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은 밸러스트 탱크(2) 내에 밸러스트수를 취수할 때에 개시된다.
현재, 밸러스트 펌프(4)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다.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밸러스트수를 취수함에 있어서, 먼저 오존 발생장치(5)가 기동 개시되어 컴프레서(51), 산소 발생기(52) 및 오존 발생기(53)가 각각 구동함으로써 오존의 생성이 개시된다(S1).
그러나 이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초기에는 아직 오존 생성량은 충분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하며, 이를 오존 혼합장치(7)에 공급하여 밸러스트수와 혼합시켰다고 할지라도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오존 농도의 밸러스트수를 만들어 낼 수는 없다.
제어부(14)는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개시 직후부터 오존 농도 검출부(11)로부터 보내진 오존 농도 검출 신호를 계속 감시하여,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S2).
그 결과,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초기에는 오존 농도는 아직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제어부(14)는 오존 공급라인(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2)를 폐쇄상태로 하여 오존이 오존 혼합장치(7)에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직 저농도의 오존을 처리하기 위해, 배오존 라인(10)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3)를 개방상태로 하여, 저농도의 오존을 배오존 분해탑(9)으로 이송하여 분해 처리한다(S3).
이 배오존 분해탑(9)으로의 오존의 이송 제어는 오존 농도 검출부(1)의 검출효과가 규정 농도를 초과할 수 있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 오존 발생장치(5)에 의해 생성된 오존 농도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여, 오존 농도 검출부(11)의 검출결과가 규정 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14)는 이 검출결과를 받아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을 개시하여 밸러스트수의 취수(取水)를 개시한다(S4).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는 이윽고 주배관(3)을 통하여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다. 제어부(4)는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 개시 후, 계속하여 오존 공급라인(6) 중의 개폐밸브(12)를 개방상태로 하는 한편, 배오존 라인(10) 중의 개폐밸브(13)를 폐쇄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충분한 오존 농도가 된 오존을 오존 공급라인(6)을 통하여 오존 혼합장치(7)로 공급하여 주배관(3) 내의 밸러스트수에 혼입시킨다(S5).
이 오존 혼합장치(7)에서 밸러스트수와 오존이 혼합됨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대부분은 오존의 살균 작용에 의해 살멸된다.
또한, 오존 혼합장치(7)를 거쳐 소정 농도의 오존이 혼합된 밸러스트수는 다음으로 슬릿판(8)의 개구(81)를 통과하기 때문에, 밸러스트수중에 잔존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는 이 개구(81)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더욱 파괴되어 살멸된다.
또한, 오존 혼합장치(7)에 의한 밸러스트수중으로의 오존의 혼입은, 밸러스 트 펌프(4)의 운전에 따라 밸러스트수가 취수되어서 밸러스트 탱크(2)가 가득 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S6).
마침내 밸러스트 탱크(2)가 가득 채워지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전은 정지된다. 여기에서 제어부(14)는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을 정지시키고(S7), 계속하여 오존 발생장치(5)를 정지시켜 밸러스트수처리를 종료시킨다(S8).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하고, 아직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존 혼합장치(7)에 오존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밸러스트수에 불충분한 저농도의 오존이 혼입되는 일이 없으며,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효과적으로 살멸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IMO 기준을 채운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 공급라인(6)에 설치된 오존 농도 검출부(11) 외에, 오존 혼합장치(7)로부터 슬릿판(8)에 이르는 주배관(3) 내를 통하여 이송되는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액중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15)를 설치하고 있다. 전자의 온존 농도 검출부(11)가 본 발명에서의 오존 농도 검출부(Ⅰ) 이고, 후자의 오존 농도 검출부(15)가 본 발명에서의 오존 농도 검출부(Ⅱ)이다.
또한, 주배관(3)에는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15)와 슬릿판(8)과의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밸러스트 펌프(4)의 일차측(입구측)에 접속되는 반송라인(16)이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라인(16)의 분기부분과 슬릿판(8)과의 사이의 주배관(3) 및 반송라인(16)에 각각 개폐밸브(17)(1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 실시형태에서 제어부(14)는 또한 오존 농도 검출부(15)로부터 보내지는 오존 농도(액중 농도)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소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오존 농도(액중 농도)의 규정 농도는 오존 혼합장치(7)의 성능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0.5~5ppm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각 오존 농도 검출부(11)(15)에 의한 오존 농도의 제어결과에 따라서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 개시의 가부, 각 개폐밸브(12)(13)(17)(18)의 개폐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 제2 실시형태에서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 제어에 대하여 도 6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은 밸러스트 탱크(2) 내에 밸러스트수를 취수할 때에 개시된다.
현재 밸러스트 펌프(14)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다.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밸러스트수를 취수함에 있어서, 먼저 오존 발생장치(5)가 기동 개시되고, 컴프레서(51), 산소발생기(52) 및 오존 발생기(53)가 각각 구동함으로써 오존의 생성이 개시된다(S10).
그러나 이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초기에는 아직 오존 생성량은 충분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이를 오존 혼합장치(7)에 공급하여 밸러스트수와 혼합시켰다고 할지라도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오존 농도의 밸러스트수를 만들어 낼 수 없다.
제어부(14)는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개시 직후부터 오존 농도 검출부(11)로부터 보내지는 오존 농도 검출신호를 계속 감시하여,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S11).
그 결과,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초기에는 아직 오존 농도는 규정 농도에는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제어부(14)는 오존 공급라인(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2)를 폐쇄상태로 하여 오존 혼합장치(7)에 오존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직 저농도의 오존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오존 라인(10)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3)를 개방상태로 하여, 저농도의 오존을 배오존 분해부(9)로 이송하여 분해 처리한다(S12).
이 배오존 분해탑(9)으로의 오존의 이송제어는 오존 농도 검출부(11)의 검출 결과가 규정 농도를 넘을 수 있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오존 발생장치(5)에 의해 생성된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어, 오존 농도 검출부(11)의 검출 결과가 규정 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 부(14)는 그 검출 결과를 받아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을 개시하여 밸러스트수의 취수를 개시한다(S13).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는 마침내 주배관(3)을 통하여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다. 제어부(14)는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개시 후, 계속하여 오존 공급라인(6) 중의 개폐밸브(12)를 개방상태로 하는 한편, 배오존 라인(10) 중의 개폐밸브(13)를 폐쇄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충분한 농도(가스 농도)가 된 오존을 오존 공급라인(6)을 통하여 오존 혼합장치(6)에 공급한다(S14).
이에 따라, 오존 공급라인(6)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주배관(3) 내를 통하여 이송되는 밸러스트수가 오존 발생장치(7)에서 혼합된다. 그러나 혼합 초기에는 이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 후의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는 아직 규정 농도(액중 농도)에 이르지 못하는 일이 있다. 이는 오존 발생장치(5)로부터 보내어지는 오존 농도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오존 공급라인(6)으로부터 오존이 공급되고, 주배관(3) 내의 밸러스트수와 혼합되어지면, 제어부(14)는 오존 농도 검출부(15)로부터 보내지는 오존 농도 검출부 신호의 감시를 개시하여, 그 입력된 오존 농도(액중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그 결과, 오존 혼입개시 초기에는 오존 혼합장치(7)의 이차측의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는 아직 규정 농도가 되지는 못하기 때문에 제어부(14)는 주배관(3)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7)를 폐쇄상태로 함과 동시에, 반송라인(1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8)를 개방상태로 하여, 밸러스트수를 오존 혼합장치(7)의 일차 측(입구측), 또한 밸러스트 펌프(4)의 일차측(입구측)으로 반송함으로써,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로 이송하지 않고 주배관(3)과 반송라인(16) 사이에서 순환시킨다(S16).
이 밸러스트수의 순환은 오존 농도 검출부(15)의 검출 결과가 규정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오존 혼합장치(7)에 의해 혼합되는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가 안정적이고, 오존 농도 검출부(15)의 검찰 결과가 규정 농도에 이르게 되면, 제어부(14)는 그 검출결과를 받아 주배관(3)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7)를 개방상태로 함과 동시에, 반송라인(1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8)를 폐쇄상태로 하여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 밸러스트수가 주배관(3) 내를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2)를 향하여 이송되도록 한다(S17).
이 오존 혼합장치(7)에서 밸러스트수와 오존이 혼합됨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대부분은 오존 살균작용에 의해 살멸된다.
또한, 오존 혼합장치(7)를 거쳐 소정 농도의 오존이 혼합된 밸러스트수는 다음으로 슬릿판(8)의 개구(81)를 통과하기 때문에, 밸러스트수중에 잔존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는 이 개구(81)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더욱 파멸되어서 살멸된다.
오존 혼합장치(7)에 의한 밸러스트수중으로의 오존의 혼입은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취수되어 밸러스트 탱크(2)가 가득 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S18).
마침내, 밸러스트 탱크가 가득 채워지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은 정지된다. 여기에서 제어부(14)는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을 정지시키고(S19), 계속하여 오존 발생장치(5)를 정지시켜 밸러스트수 처리를 종료시킨다(S20).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하여, 아직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오존 혼합장치(7)에 오존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오존 혼합장치(7)로부터 슬릿판(8)에 이르는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액중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오존 혼합장치(7) 이후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에 보내지 않고 반송라인(16)과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1, 도 2와 동일 부호는 동일 구성을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치되어 있던 오존 혼합장치(5)의 이차측(출구측)의 오존 농도 검출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구성상 다르다.
여기에서 제3 실시형태에서 제어부(4)는 개폐밸브(12)를 개방상태로 하여 오존 공급라인(6)에 의해 오존 혼합장치(7)에 오존을 공급한 후의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그 경과시간이 규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 규정시간이란 오존 혼합장치(7)로부터 공급된 오존이 주배관(3) 내의 밸 러스트수와 혼합되어 충분히 구석구석 미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으로서, 예를 들면 30초~3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오존 농도 검출부(11)에 의한 오존 농도(가스 농도)의 판단 결과와 상기 경과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서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 개시의 가부, 각 개폐밸브(12)(13)(17)(18)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서 19는 탈기 탱크로서, 오존 혼합장치(7)로부터 주배관(3) 내의 밸러스트수에 혼합된 오존 중 과잉 오존을 탈기(脫氣)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이 탈기 탱크(19)의 용량은 밸러스트 펌프(4)를 상기 규정시간 동안 풀 회전시켰을 때에 이송되는 밸러스트수를 저장 가능한 용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탈기 탱크(19)에 의해 탈기된 과잉 오존은 배오존 분해탑(9)으로 보내어져 분해된 후에 선박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탈기 탱크(19)는 반송라인(16)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 제3 실시형태에서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에 대하여 도 8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은 밸러스트 탱크(2) 내에 밸러스트수를 취수할 때에 개시된다.
현재 밸러스트 펌프(4)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다.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밸러스트수를 취수함에 있어서, 먼저 오존 발생장치(5)가 기동 개시되며, 컴프레서(51), 산소 발생기(52) 및 오존 발생기(53)가 각각 구동함으로써 오존의 생성이 개시된다(S30).
그러나 이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초기에는 아직 오존 생성량은 충분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이를 오존 혼합장치(7)에 공급하여 밸러스트수와 혼합시켰다고 할지라도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오존 농도의 밸러스트수를 만들어 낼 수는 없다.
제어부(14)는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개시직후부터 오존 농도 검출부(11)로부터 보내지는 오존 농도 검출신호를 계속 감시하여,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S31).
그 결과, 오존 발생장치(5)의 기동 초기에는 아직 오존 농도는 규정 농도에는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제어부(14)는 오존 공급라인(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2)를 폐쇄상태로 하여 오존 혼합장치(7)에 오존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직 저농도의 오존을 처리하기 위해, 배오존 라인(10)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3)를 개방상태로 하여, 저농도의 오존을 배오존 분해탑(9)으로 이송하여 분해 처리한다(S32).
이 배오존 분해탑(9)으로의 오존의 이송제어는 오존 농도 검출부(11)의 검출결과가 규정 농도를 넘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오존 발생장치(5)에 의해 생성된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데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여, 오존 농도 검출부(11)의 검출 결과가 규정 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4)는 그 검출 결과를 받아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을 개시하여 밸러스트수의 취수를 개시한다(S33).
밸러스트 펌프(4)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는 이윽고 주배관(3)을 통하여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다. 제어부(14)는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개시 후, 계속하여 오존 공급라인(6) 중의 개폐밸브(12)를 개방상태로 하는 한편, 배오존 라인(10) 중의 개폐밸브(13)를 폐쇄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충분한 오존 농도가 된 오존을 오존 공급라인(6)을 통하여 오존 혼합장치(6)에 공급한다(S34).
이에 따라, 오존 공급라인(6)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주배관(3) 내를 통하여 이송되는 밸러스트수가 오존 혼합장치(7)에서 혼합된다. 그러나 혼합 초기에 있어서는 이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 후의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액중 농도)는 아직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할 때가 있다.
오존 공급라인(6)으로부터 오존이 공급되어 주배관(3) 내의 밸러스트수와 혼합되면 제어부(14)는 개폐밸브(12)를 개방상태로 하여 오존 공급라인(6)에 의해 오존 혼합장치(7)로의 오존의 공급을 개시한 후의 경과 시간을 계속 카운트하여, 규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
경과시간이 규정시간까지 경과하지 않은 동안에는 제어부(14)는 주배관(3)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7)를 폐쇄상태로 함과 동시에, 반송라인(1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8)를 개방상태로 하여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펌프(4)의 일차측(입구측)으로 반송함으로써,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로 이송하지 않고 주배관(3)과 반송라인(16)과의 사이에서 순환시킨다(S36).
이 때, 반송라인(16)을 통하여 밸러스트 펌프(4)로 반송되는 밸러스트수중으 로부터는 탈기 탱크(19)를 경유함으로써 과잉 오존이 제거되기 때문에, 밸러스트 펌프(4)에 악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마침내, 규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는 주배관(3)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7)를 개방상태로 함과 동시에, 반송라인(16)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18)를 폐쇄상태로 하여, 오존 혼합장치(7)를 통과한 밸러스트수가 주배관(3) 내를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2)를 향하여 이송되도록 한다(S37).
이 오존 혼합장치(7)에서 밸러스트수와 오존이 혼합됨으로써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대부분은 오존 살균 작용에 의해 살멸된다.
또한, 오존 혼합장치(7)를 거쳐 소정 농도의 오존이 혼합된 밸러스트수는 다음으로 슬릿판(8)의 개구(81)를 통과하기 때문에, 밸러스트수중에 잔존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는 이 개구(81)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더욱 파괴되어서 살멸된다.
오존 혼합장치(7)에 의한 밸러스트수중으로의 오존의 혼입은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에 의해 밸러스트수가 취수되어서 밸러스트 탱크(2)가 가득 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S38).
마침내, 밸러스트 탱크(2)가 가득 채워지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전은 정지된다. 여기에서 제어부(14)는 밸러스트 펌프(4)의 운전을 정지시키고(S39), 계속하여 오존 발생장치(5)를 정지시켜 밸러스트수 처리를 종료시킨다(S40).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존 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오존 농도(가스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지 못하여, 아직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 균류를 살멸하기에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오존 발생장치(7)에 오존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오존을 오존 혼합장치(7)에 공급 후, 규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오존 혼합장치 이후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로 보내지 않고 반송라인(16)과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밸러스트수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주배관(3)에 오존 농도 검출부(15)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14)에 대한 신호 배선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오존 혼합장치(7) 뒤에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슬릿판(8)이 설치된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릿판(8) 뒤에 오존 혼합장치(7)가 설치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오존 혼합장치(7)는 밸러스트 펌프(4)의 일차측(입구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서의 반송라인(16)은 이 오존 혼합장치(7)의 일차측(입구측)으로 밸러스트수가 반송되도록 설치된다.
도 1은 밸러스트수처리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주배관 내의 슬릿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 5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수계 배관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체 2 : 밸러스트 탱크
3 : 주배관 4 : 밸러스트 펌프
5 : 오존 발생장치 51 ; 컴프레서
52 : 산소 발생기 53 ; 오존 발생기
6 : 오존 공급라인 7 : 오존 혼합장치
8, 8A, 8B : 슬릿판 81 : 슬릿형상의 개구
9 : 배오존 분해탑 10 : 배오존 라인
11 : 오존 농도 검출부(Ⅰ) 12, 13 : 개폐밸브
14 : 제어부 15 : 오존 농도 검출부(Ⅱ)
16 : 반송라인 17, 18 : 개폐밸브
19 : 탈기 탱크

Claims (5)

  1.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합장치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을 가지며,
    상기 오존 발생장치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를 가지고, 이 오존 농도 검출부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 장치에 오존을 공급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장치에 공급되지 않은 오존을 배오존 분해탑으로 보내어, 분해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3.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 스트 탱크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입장치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을 가지며,
    상기 오존 발생장치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Ⅰ)를 오존 공급라인에 설치하고, 또한 오존 혼합장치로부터 슬릿판에 이르는 밸러스트수중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Ⅱ)를 설치하며,
    이 오존 농도 검출부(Ⅰ)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러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장치에 오존을 공급하고,
    상기 오존 농도 검출부(Ⅱ)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온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서, 규정 농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장치 이후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보내지 않고 이 오존 혼합장치의 바로 앞에서, 또한 상기 밸러스트 펌프의 입구측의 라인으로 반송(返送)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4.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수계 배관을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로 이송하는 밸러스트 펌프와, 밸러스트수중에 오존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혼입시키는 오존 혼합장치와, 밸러스트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슬릿판을 가지며,
    상기 오존 발생장치에서 생성하는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오존 농도 검출부(Ⅰ)를 오조 공급라인에 설치하고,
    이 오존 농도 검출부(Ⅰ)에서 얻어진 오존 농도를 입력하여, 이 입력된 오존 농도가 규정 농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규정 농도에 이르러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오존 혼합 장치에 오존을 공급하고,또한 상기 오존 혼합 장치에 오존을 공급 후, 규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오존 혼합 장치 이후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보내지 않고 이 오존 혼합 장치 바로 앞에서, 또한 상기 밸러스트 펌프의 입구측의 라인으로 반송(返送)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혼합장치에 의해 오존이 혼입된 밸러스트수를 복수의 슬릿형상의 개구를 가지는 상기 슬릿판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KR1020080014005A 2007-02-19 2008-02-15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KR20080077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8593 2007-02-19
JP2007038593A JP4351707B2 (ja) 2007-02-19 2007-02-19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起動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327A true KR20080077327A (ko) 2008-08-22

Family

ID=3977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005A KR20080077327A (ko) 2007-02-19 2008-02-15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51707B2 (ko)
KR (1) KR20080077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96B1 (ko) * 2010-09-29 2011-07-19 박제만 선박용 평형수의 오존주입장치
KR101269578B1 (ko) * 2013-04-24 2013-06-05 삼건세기(주) 밸러스트수 처리를 위한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9703B2 (ja) * 2010-03-12 2014-01-15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JP5692652B2 (ja) * 2011-07-26 2015-04-01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US10370263B2 (en) 2012-11-12 2019-08-06 Miura Co., Ltd.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JP5517113B1 (ja) * 2012-11-12 2014-06-11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WO2014073105A1 (ja) 2012-11-12 2014-05-15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6276997B2 (ja) * 2014-01-09 2018-02-07 倉敷紡績株式会社 ヒドロキシルラジカル含有水製造装置
KR101602070B1 (ko) * 2014-12-12 2016-03-10 주식회사 엔케이 브롬염 및 오존주입장치를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101933587B1 (ko) 2017-10-23 2019-04-05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96B1 (ko) * 2010-09-29 2011-07-19 박제만 선박용 평형수의 오존주입장치
WO2012044071A2 (en) * 2010-09-29 2012-04-05 Yu, Hye Ran Device for injecting ozone into ballast water for a ship
WO2012044071A3 (en) * 2010-09-29 2012-07-05 Yu, Hye Ran Device for injecting ozone into ballast water for a ship
KR101269578B1 (ko) * 2013-04-24 2013-06-05 삼건세기(주) 밸러스트수 처리를 위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1707B2 (ja) 2009-10-28
JP2008200590A (ja)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7327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기동제어시스템
KR100946544B1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US7025889B2 (en) Ship ballast water steril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1015536B1 (ko) 선박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US100935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ballast water
US6811705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066674B1 (ko)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US20040099608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JP2006263563A (ja) バラスト水中の微生物等の殺減装置
KR100802889B1 (ko) 오존공급장치와 반응탱크를 갖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WO2008153809A2 (en) Ballast water tank circulation treatment system
EP2723688B1 (en) A method and a modular system for onboard treatment of ballast water
KR20140024302A (ko) 밸러스트 탱크들 내의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
JP2009297610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WO2005061388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JP4365331B2 (ja) 水中の残留オゾン除去方法及びバラスト水中の残留オゾン除去方法
KR101050396B1 (ko) 선박용 평형수의 오존주입장치
JP2006088115A (ja) 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6213104A (ja) バラスト水循環装置
JP2008055353A (ja) 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
JP2008100157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8093587A (ja) 船舶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20220046977A (ko) 발라스트수 처리시스템
EP3405436A1 (en) Ballast water ozone and hydrogen peroxid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hips
KR10134617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