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565A -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565A
KR20080076565A KR1020070016671A KR20070016671A KR20080076565A KR 20080076565 A KR20080076565 A KR 20080076565A KR 1020070016671 A KR1020070016671 A KR 1020070016671A KR 20070016671 A KR20070016671 A KR 20070016671A KR 20080076565 A KR20080076565 A KR 20080076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riving
substrate
circuit boar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각
김헌수
이병곤
정규원
문주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565A/ko
Publication of KR2008007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구동회로 기판의 기능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1 기판에 위치하며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는 전자 방출 유닛, 제2 기판에 위치하며 형광층을 구비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패널과, 발광 패널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캐비넷 하부에 위치하며 캐비넷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과, 케이스 내부에서 발광 패널과 구동회로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전극과 구동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표시패널, 발광패널, 확산판, 케이스, 받침대, 구동회로기판, 접속부재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발광 패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발광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에 의한 구동회로 기판의 기능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원이 요구되는 수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과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하며, 표시 패널이 발광 장치에서 방출된 빛을 제공받아 이 빛을 액정층과 편광판의 작용으로 투과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구현한다.
최근들어 선 광원인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이하 'CCFL'이라 한다)를 이용한 CCFL 방식과, 점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한다)를 이용한 LED 방식을 대체할 발광 장치로서 냉음극 전자원을 이용한 면발광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면발광 장치는 후면 기판에 제공된 전자 방출부에서 전자들을 방출시키고, 이 전자들로 전면 기판에 제공된 형광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방출시킨다. 이러한 면발광 장치는 CCFL 방식 및 LED 방식과 비교할 때 광학 부재 구성이 단순해지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면발광 장치는 전자 방출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을 후면 기판에 형성하고, 전면 기판에 전자빔 가속을 위한 애노드 전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면 기판 뒷면에 구동회로 기판이 설치되고, 구동 전극과 애노드 전극이 구동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통해 해당 전압을 인가받는다.
그런데 구동회로 기판이 후면 기판 뒷면에 위치함에 따라, 발광 장치 작용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구동회로 기판이 손상되어 열에 의한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회로 기판으로 인해 발광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며, 표시 패널과 조합되어 표시 장치를 구성할 때,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여 박형화에 불리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면발광 장치는 표시 장치 구동시 발광면 전체가 동일 휘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화질 개선, 일례로 동적 대비비(dynamic contrast)를 높이는 화질 개선에 부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에 의한 구동회로 기판의 기능 손상을 방지하면서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면을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1 기판에 위치하며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는 전자 방출 유닛, 제2 기판에 위치하며 형광층을 구비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패널과, 발광 패널을 수용하는 캐비넷 및 캐비넷 하부에 위치하며 캐비넷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과, 케이스 내부에서 발광 패널과 구동회로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전극과 구동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전극은 주사 전극들과 데이터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회로 기판은 주사 구동보드와 데이터 구동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부재는 주사 전극들과 주사 구동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 부재와, 데이터 전극들과 데이터 구동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부재와 제2 접속 부재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는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1 기판에 위치하며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는 전자 방출 유닛, 제2 기판에 위치하며 형광층을 구비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 패널과, 표시 패널과 발광 패널을 수용하는 캐비넷 및 캐비넷 하부에 위치하며 캐비넷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과, 케이스 내부에서 발광 패널과 구동회로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발광 패널의 구동 전극과 구동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이 제1 화소들을 구비할 때, 발광 패널은 제1 화소들보다 적은 개수의 제2 화소들을 형성하며, 제2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2)과, 표시 패널(12) 후방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12)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 패널(14)과, 발광 패널(14)과 분리되어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16)과, 발광 패널(14)과 구동회로 기판(1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18, 2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2)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다른 수광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다.
발광 장치는 발광 패널(14)과, 구동회로 기판(16) 및 접속 부재(18, 20)를 포함한다. 발광 패널(14) 전방에는 발광 패널(14)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22)이 위치할 수 있으며, 확산판(22)은 발광 패널(14)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발광 패널(14)은 그 내부에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제1 기판(24)과,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으로 이루어진 발광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제2 기판(26)을 포함한다. 제1 기판(24)과 제2 기판(26)은 밀봉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장자리가 일체로 접합된 후 내부가 배기되어 진공 용기를 구성한다.
구동 전극은 서로 절연을 유지하면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주사 전극들과 데이터 전극들로 이루어진다. 제1 기판(24)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주사 전극들로부터 연장된 주사 전극 패드부(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하고, 제1 기판(24)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는 데이터 전극들로부터 연장된 데이터 전극 패드부(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패널(14)의 구동회로 기판(16)은 발광 패널(14) 뒷면에 위치하지 않고 발광 패널(14)과 분리되어 위치하며, 복수의 접속 부재(18, 20)가 발광 패널(14)과 구동회로 기판(1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2)과 확산판(22) 및 발광 패널(14)은 프런트 커버(28)와 백 커버(30)로 이루어진 캐비넷(32)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되고, 받침대(34)가 캐비넷(32) 하부에 위치하며, 지지대(36)가 캐비넷(32)과 받침대(34) 사이에 설치되어 캐비넷(32)과 받침대(34)를 고정시킨다. 캐비넷(32)과 지지대(36) 및 받침대(34)가 표시 장치(100)의 케이스를 구성한다.
발광 패널(14)의 구동회로 기판(16)은 주사 구동보드(38)와 데이터 구동보드(40)를 포함하며, 받침대(34)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접속 부재(18)가 발광 패널(14)의 주사 전극 패드부와 구동회로 기판(16)의 주사 구동보드(38)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 접속 부재(20)가 발광 패널(14)의 데이터 전극 패드부와 구동회로 기판(16)의 데이터 구동보드(4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 접속 부재(18)와 제2 접속 부재(20)는 캐비넷(32) 내부와 지지대(36) 내부를 거쳐 받침대(34)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16)에 접속된다. 제1 접속 부재(18)와 제2 접속 부재(20)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패널(14)의 구동회로 기판(16)을 받침대(34) 내부에 위치시킴에 따라, 표시 장치(100) 작용시 발광 패널(14)에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더라도 이 열은 구동회로 기판(16)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는 열에 의한 구동회로 기판(16)의 손상과 이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께를 감소시켜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로서, 구동회로 기판(16)을 수용하는 받침대(34)는 복수의 통기공(341)을 형성할 수 있다. 통기공(341)은 구동회로 기판(16)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 외부로 방출시켜 구동회로 기판(16)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12)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12)은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된 TFT 기판(42)과, TFT 기판(42) 상부에 위치하는 컬러필터 기판(44)과, 이 기판들(42, 44)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44)의 상부와 TFT 기판(42)의 하부에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표시 패널(12)을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각 TFT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에는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쇄회로기판(46, 48)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면, TFT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신호 입력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출력된다.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TFT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필터 기판(44)에 구비된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이 전계에 의해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 화소별로 광 투과도가 변화 한다.
발광 패널(14)은 표시 패널(12)보다 적은 수의 화소들을 형성하여 발광 패널(14)의 한 화소가 2개 이상의 표시 패널(12) 화소들에 대응하도록 한다. 발광 패널(14)의 각 화소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패널(12)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에 대응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발광 패널(14)은 화소별로 2 내지 8비트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편의상 표시 패널(12)의 화소를 제1 화소라 하고, 발광 패널(14)의 화소를 제2 화소라 하며, 하나의 제2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화소들을 제1 화소군이라 명칭한다.
발광 패널(14)의 구동 과정은 표시 패널(12)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제1 화소군의 제1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를 검출하고, 검출된 계조에 따라 제2 화소 발광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여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패널(14)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널(14)의 구동 신호는 주사 구동 신호와 데이터 구동 신호를 포함한다. 주사 구동 신호는 주사 구동보드(38)로부터 제1 접속 부재(18)를 통해 발광 패널(14)의 주사 전극들에 인가되고, 데이터 구동 신호는 데이터 구동보드(40)로부터 제2 접속 부재(20)를 통해 발광 패널(14)의 데이터 전극들에 인가된다.
따라서 발광 패널(14)의 제2 화소는 대응하는 제1 화소군에 영상이 표시될 때 제1 화소군에 동기되어 소정의 계조로 발광한다. 발광 패널(14)은 행 방향과 열 방향을 따라 2개 내지 99개의 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패널(14)은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2) 화소들에 적절한 세기의 광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화면의 동적 대비비(dynamic contrast)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패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이다. 발광 패널에서 전자 방출 유닛은 전계 방출 어레이형, 표면-전도 에미션형, 금속-절연층-금속형 및 금속-절연층-반도체형 중 어느 한가지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와 도 5에서는 일례로 전계 방출 어레이형을 도시하였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발광 패널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방출 유닛(50)은 절연층(52)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들(54) 및 제2 전극들(56)과, 제1 전극(54)과 제2 전극(56)의 교차 영역마다 제1 전극(54)에 형성되는 전자 방출부들(58)을 포함한다. 제2 전극들(56)과 절연층(52)은 각 전자 방출부(58)에 대응하는 개구부(561, 521)를 형성한다.
제1 전극(54)이 전자 방출부(58)에 전류를 공급하는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56)이 캐소드 전극과의 전압 차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전자 방출을 유도하는 게이트 전극이 된다. 제1 전극들(54)과 제2 전극들(56) 중 어느 한 전극들이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주사 전극으로 기능하고, 다른 한 전극들이 데이터 구 동 전압을 인가받아 데이터 전극으로 기능한다.
전자 방출부(58)는 진공 중에서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방출부(58)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탄소, 훌러렌(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서 제1 전극(54)과 제2 전극(56)의 교차 영역 하나가 발광 패널(14)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하거나, 2개 이상의 교차 영역이 발광 패널(14)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 하나의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들(54) 및/또는 제2 전극들(56)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구동 전압을 인가받는다.
다음으로, 발광 유닛(60)은 형광층(62)과, 형광층(62)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64)을 포함한다. 형광층(62)은 백색 형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기판(26)의 유효 영역 전체에 형성되거나, 화소 영역마다 하나의 백색 형광층이 위치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구분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형광층(62)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 형광층들이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형광층들은 하나의 화소 영역 안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구분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는 제2 기판(26)의 유효 영역 전체에 백색 형광층이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애노드 전극(64)은 형광층(62) 표면을 덮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애노드 전극(64)은 형광층(62)에서 방사된 가시광 중 제1 기판(24)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26) 측으로 반사시켜 발광면의 휘도를 높인다.
그리고 제1 기판(24)과 제2 기판(26) 사이에는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지지하고 이 기판들(24, 2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들(66)이 위치한다. 도 4와 도 5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스페이서를 도시하였다.
전술한 발광 패널(14)은 제1 전극들(54)과 제2 전극들(56)의 조합으로 복수의 화소들을 형성하며, 진공 용기 외부로부터 제1 전극들(54)과 제2 전극들(56)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전극(64)에 수천 볼트 이상의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그러면 제1 전극(54)과 제2 전극(56)의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58)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들은 애노드 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형광층(62) 부위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 화소별 형광층(62)의 발광 세기는 해당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에 대응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 장치의 구동회로 기판을 받침대 내부에 위치시킴에 따라, 표시 장치 작용시 발광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이 구동회로 기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열에 의한 구동회로 기판의 기능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두께를 감소시켜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며, 캐비넷의 무게를 감소시켜 무게 중심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패널의 화소별 구동을 통해 화면의 동적 대비비를 높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위치하며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상기 제2 기판에 위치하며 형광층을 구비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패널;
    상기 발광 패널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캐비넷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발광 패널과 상기 구동회로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전극과 상기 구동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
    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이 주사 전극들과 데이터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 기판이 주사 구동보드와 데이터 구동보드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주사 전극들과 상기 주사 구동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데이터 전극들과 상기 데이터 구동보드를 연결하 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통기공을 형성하는 발광 장치.
  6.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위치하며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상기 제2 기판에 위치하며 형광층을 구비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발광 패널을 수용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캐비넷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기판;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발광 패널과 상기 구동회로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전극과 상기 구동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이 주사 전극들과 데이터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 기판이 주사 구동보드와 데이터 구동보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주사 전극들과 상기 주사 구동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데이터 전극들과 상기 데이터 구동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패널이 상기 제1 화소들보다 작은 개수의 제2 화소들을 형성하며, 제2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표시 장치.
  11.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KR1020070016671A 2007-02-16 2007-02-16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80076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671A KR20080076565A (ko) 2007-02-16 2007-02-16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671A KR20080076565A (ko) 2007-02-16 2007-02-16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565A true KR20080076565A (ko) 2008-08-20

Family

ID=3987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671A KR20080076565A (ko) 2007-02-16 2007-02-16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5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8551A (zh) * 2018-11-16 2019-03-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8551A (zh) * 2018-11-16 2019-03-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735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80045463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80045464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JP4809311B2 (ja)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7311355A (ja)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0010120A (ja) 発光装置、およびこの発光装置を光源として用いる表示装置
KR100863959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80076565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14850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38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CN101441973B (zh) 发光器件以及使用该发光器件作为光源的显示器件
KR20090006352A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080043536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90056448A (ko) 백라이트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814846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20080076564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50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08047511A (ja)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80104528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80044090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80040907A (ko) 표시 장치
KR10081485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14856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80090876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27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