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103A - 탄산음료용 저장고 - Google Patents

탄산음료용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103A
KR20080076103A KR1020070015592A KR20070015592A KR20080076103A KR 20080076103 A KR20080076103 A KR 20080076103A KR 1020070015592 A KR1020070015592 A KR 1020070015592A KR 20070015592 A KR20070015592 A KR 20070015592A KR 20080076103 A KR20080076103 A KR 2008007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arbonic acid
liquefied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103A/ko
Publication of KR2008007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캐비닛과, 본체캐비닛에 마련된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탄산음료가 보관되는 음료용기와; 디스펜서와 음료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공급관과; 음료공급관을 감싸며,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용기와; 음료용기와 냉매용기로 각각 액화탄산을 공급하는 액화탄산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음료용기와 디스펜서 사이를 연결하는 음료공급관을 냉매용기로 감싸고, 냉매용기 내부에 액화탄산을 주입하여 음료공급관에서 유동되는 탄산음료를 냉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서 생산성이 증대되고,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음료용 저장고{STORAGE FOR CARBONATED DRI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저장고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탄산음료용 저장고 3 : 디스펜서
4 : 음료용기 5 : 수위감지부
6 : 탄산농도감지부 20 : 분배부
30 : 공급관 32 : 음료공급관
34 :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 36 :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
50 : 밸브 52 : 음료공급 밸브
54 : 액화탄산 밸브 56 : 냉매공급 밸브
70 : 바이패스관 80 : 펌프
90 : 송풍팬 100 : 제어부
본 발명은,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음료의 맛과 질이 유지되며 액화탄산을 냉매로 이용할 수 있는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는 음료가 저장된 용기에 이산화탄소(CO2)를 소정 압력, 예를 들면 1 ~ 10 기압으로 주입시킴으로써,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되도록 하여 탄산수(H2CO3)로 만들어지는 음용 식품이다.
탄산음료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이다 및 콜라와 같은 음료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산음료는 음료에 포함된 탄산이 공기 중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캔이나 페트(pet)병에 밀봉하여 보관한다. 음용 후에 남은 탄산음료는 밀봉하여 냉장고와 같은 기기에 보관한다.
한편,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이 공기 중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보관을 해도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은 공기 중으로 유출되어 최초 탄산음료의 탄산 농도가 저하되므로, 탄산음료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음용 후 남은 탄산음료의 보관 시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 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탄산음료용 저장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탄산음료용 저장고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압축기 및 증발기와 같은 냉각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냉각장치의 필요성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산음료의 맛과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산을 보충해 줄 수 있는 탄산음료용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산음료를 보관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냉각장치를 개선한 탄산음료용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캐비닛과, 본체캐비닛에 마련된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있어서, 탄산음료가 보관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음료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공급관과; 상기 음료공급관을 감싸며,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와 상기 냉매용기로 각각 액화탄산을 공급하는 액화탄산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탄산 농도를 감지하는 탄산농도감지부와; 상기 음료용기와 상기 액화탄산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과; 상기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액화탄산 밸브와; 상기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탄산음료의 저장량과 상기 탄산농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탄산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액화탄산용기에 저장된 액화탄산을 상기 음료용기로 주입하도록, 상기 액화탄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음료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펜서부의 작동에 의해 상 기 음료용기의 탄산음료가 상기 음료공급관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음료공급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용기와 상기 액화탄산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과, 상기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냉매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료공급관에 유동되는 탄산음료가 냉각 가능하게 상기 액화탄산용기로부터의 상기 액화탄산이 상기 냉매용기로 주입되도록 상기 냉매용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용기와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과; 상기 제1바이패스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용기에 주입되어 기상으로 상변화된 액화탄산의 팽창압으로 작동되는 펌프와; 상기 냉매용기에 삽입된 상기 제2바이패스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매용기 내부의 기류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화탄산용기는 상기 본체캐비닛과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탄산음료 저장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설명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는 독립적인 기기이나, 냉장고와 같은 기기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저장고(1)는 본체캐비닛(2)과, 본체캐비닛(2)에 마련된 디스펜서(3)와, 탄산음료가 보관되는 음료용기(4)와,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용기(7)와, 음료용기(4)와 냉매용기(7)로 각각 액화탄산을 공급하는 액화탄산용기(8)와, 음료용기(4), 냉매용기(7) 및 액화탄산용기(8)를 상호 연결하는 공급관(30)과, 공급관(30)에 배치되는 밸브(50)와, 밸브(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체캐비닛(2)은 탄산음료용 저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디스펜서(3)가 설치된다. 본체캐비닛(2)의 내부에는 전술한 음료용기(4), 냉매용기(7), 액화탄산용기(8), 공급관(30) 및 밸브(50)가 수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체캐비닛(2)은 음료용기(4)와 같은 다양한 구성을 수용하도록 독립적으로 마련되나, 탄산음료용 저장고(1)가 냉장고와 같은 기기에 장착될 때는 음료용기(4)와 같은 다양한 구성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캐비닛(2)에는 탄산음료용 저장고(1)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표시하거나, 탄산음료용 저장고(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와, 탄산음료용 저장고(1)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작동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0)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펜서(3)는 본체캐비닛(2) 내부의 음료용기(4)에 수용된 탄산음료를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본체캐비닛(2)의 전면에 설치된다.
음료용기(4)는 탄산음료가 저장되도록 본체캐비닛(2)의 내부에 마련된다. 음료용기(4)에는 탄산음료가 저장된다. 음료용기(4)에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음료용기(4)에 저장되는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검출하는 수위감지부(5)와, 음료용기(4) 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 농도를 검출하는 탄산농도감지부(6)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료용기(4)는 음료용기(4)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이 공기 중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감지부(5)는 음료용기(4)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검출한다. 수위감지부(5)는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검출하여 후술할 제어부(100)로 검출된 신호를 전송한다.
탄산농도감지부(6)는 음료용기(4)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저장량에 대한 탄산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검출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수위감지부(5)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탄산농도감지부(6)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하여 저장된 탄산음료의 탄산량의 부족량을 추정할 수 있다.
냉매용기(7)는 음료용기(4)와 디스펜서(3) 사이에 개재된다. 냉매용기(7)는 공급관(30) 중 음료공급관(32)을 감싸며, 냉매를 수용한다. 즉, 냉매용기(7)는 디스펜서(3)로 유출되는 탄산음료를 냉각하도록 냉매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냉매용기(7)는 바이패스관(70) 및 펌프(80)와 연결되며, 송풍팬(90)을 수용한다. 여기서, 바이패스관(70), 펌프(80) 및 송풍팬(9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냉매용기(7)에 유입되는 냉매는 액화탄산용기(8)로부터 유출된 액화탄산이다. 냉매용기(7)에 유입되는 액화탄산은 기상으로 변화하며, 미세한 분말가루를 발생한다. 기상의 가스는 바이패스관(70)을 통하여 펌프(80)로 유동되며, 미세한 분말가루는 기화하여 음료공급관(32)을 유동하는 탄산음료를 냉각한다.
액화탄산용기(8)는 고압으로 압축된 액화탄산이 저장된다. 여기서, 액화탄산용기(8)에 저장되는 액화탄산은 이산화탄소(CO2)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액상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한편, 액화탄산용기(8)는 음료용기(4)와 냉매용기(7)에 각각 공급관(30)으로 상호 연결된다. 액화탄산용기(8)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체캐비닛(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액화탄산용기(8)는 내부에 주입된 액화탄산이 고갈되면 새로운 액화탄산용기(8)로 교체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음료용기(4). 냉매용기(7) 및 액화탄산용기(8) 사이에는 분배부(20)가 개재된다. 분배부(20)는 액화탄산용기(8)로부터 유입된 액화탄산을 각각 음료용기(4)와 냉매용기(7)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관(30)은 디스펜서(3)와 음료용기(4)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공급관(32)과, 음료용기(4)와 액화탄산용기(8)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과, 냉매용기(7)와 액화탄산용기(8)를 상호 연결하는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과, 액화탄산용기(8)와 분배부(20)를 연결하는 주입공급관(38)을 포함한다.
음료공급관(32)은 디스펜서(3)와 음료용기(4)를 상호 연결하며, 냉매용기(7)에 의해 둘러 싸여진다. 여기서, 음료공급관(32)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냉매용기(7)에 의해 감싸지는 부분은 탄산음료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있다. 음료공급관(32)은 내부에서 유동되는 탄산음료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리와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은 분배부(20)와 음료용기(4) 사이에 개재된다.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은 액화탄산용기(8)로부터 유출된 액화탄산이 음료용기(4)에 공급되도록 유로 역할을 한다.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은 분배부(20)와 음료용기(4) 사이를 상호 연결한다.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은 액화탄산용기(8)로부터 유출된 액화탄산이 냉매용기(7)에 공급되도록 유로 역할을 한다.
주입공급관(38)은 액화탄산용기(8)와 분배부(20) 사이를 연결한다. 주입공급관(38)은 액화탄산용기(8)로부터 유출된 액화탄산이 분배부(20)에서 음료용기(4)와 냉매용기(7)로 각각 유동될 수 있도록 액화탄산용기(8)와 분배부(20) 사이의 액화탄산 유동 유로를 형성한다.
밸브(50)는 공급관(30)에 배치되어 공급관(30)의 유로를 개폐한다. 밸브(50)는 후술할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밸브(50)는 음료공급관(32)에 배치되어 음료공급관(32)의 유로를 개폐하는 음료공급 밸브(52)와,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에 배치되어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의 유로를 개폐하는 액화탄산 밸브(54)와, 냉매용기(7)와 액화탄산용기(8)를 상호 연결하는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을 포함한다.
음료공급 밸브(52)는 디스펜서(3)와 음료용기(4)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펜서(3)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탄산음료가 유동되는 유로를 개폐한다.
액화탄산 밸브(54)는 분배부(20)와 음료용기(4) 사이에 배치되어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액화탄산 밸브(54)는 제어 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액화탄산이 음료용기(4)에 유입되도록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의 유로를 개방한다.
한편, 냉매공급 밸브(56)는 분배부(20)와 냉매용기(7)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냉매공급 밸브(56)는 전술한 액화탄산 밸브(54)와 유사하게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냉매공급 밸브(56)는 냉매용기(7)로 액화탄산이 유입되도록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의 유로를 개방한다.
한편, 바이패스관(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매용기(7)와 연결된다. 바이패스관(70)은 냉매용기(7)와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관(72) 및 제2바이패스관(7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바이패스관(72)은 냉매용기(7)와 펌프(80)를 연결하며, 제2바이패스관(74)은 펌프(80)와 송풍팬(90)을 연결한다. 송풍팬(90)에 연결된 제2바이패스관(74)의 일단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냉매용기(7)에 수용된다.
펌프(80)는 제1바이패스관(72)과 연결되며, 냉매용기(7)에 주입되어 기상으로 상변화된 액화탄산의 팽창압으로 작동된다. 즉, 펌프(80)는 제1바이패스관(72)으로부터 유입된 기체 압력에 의해 펌핑하여 제2바이패스관(74)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90)은 제2바이패스관(74)의 일단에 마련되어, 펌프(80)의 작동에 의해 작동한다. 송풍팬(90)은 냉매용기(7) 내부에 수용되어 펌프(80)로부터의 팽창압에 의해 회전하며 냉매용기(7)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킨다. 예를 들면, 송풍팬(90)은 음료공급관(32)으로 유동되는 탄산음료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펌 프(80)의 팽창압에 의해 회전하여 냉매용기(7)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 순환시키는 것이다.
제어부(100)는 수위감지부(5) 및 탄산농도감지부(6)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전송받아 밸브(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00)는 디스펜서(3)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수위감지부(5) 및 탄산농도감지부(6)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음료공급 밸브(52), 액화탄산 밸브(54), 및 냉매공급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각 음료공급관(32),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 및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의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00)는 수위감지부(5)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부(9)에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용 저장고(1)의 제어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탄산음료용 저장고(1)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3)를 작동한다(S10). 수위감지부(5)는 음료용기(4)에 저장된 탄산음료 저장량을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하고, 탄산농도감지부(6)는 음료용기(4)에 보관된 탄산음료의 탄산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한다(S30).
그러면, 제어부(100)에서는 수위감지부(5)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탄산농도감지부(6)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탄산농도가 부족한지 판단한다(S50). 탄산농도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34)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액화탄산 밸브(54)를 작동한다(S70).
한편, 탄산농도가 부족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디스펜서(3)로 음료를 공급하도록 음료공급 밸브(52)를 작동하여 음료공급관(32)을 개방한다(S90). 음료공급밸브(50)가 작동하여 음료공급관(32)의 유로가 개방되었는지 판단한다(S110).
음료공급관(32)의 유로가 개방되었으면 음료공급관(32)에서 유동되는 탄산음료를 냉각하도록 냉매공급 밸브(56)를 작동하여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36)의 유로를 개방한다(S150). 냉매용기(7)에 주입된 액화탄산에 의해 펌프(80)는 작동하고, 펌프(80)의 펌핑에 의해 송풍팬(90)은 회전하여 냉매용기(7) 내부의 공기유동을 강제 순환시킨다(S150). 디스펜서(3)로 탄산음료가 배출된다(S170).
이에, 수위감지부 및 탄산농도감지부를 설치하여 저장된 탄산음료의 탄산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탄산농도에 기초하여 액화탄산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산음료의 맛과 질을 유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와 디스펜서 사이를 연결하는 음료공급관을 냉매용기로 감싸고, 냉매용기 내부에 액화탄산을 주입하여 음료공급관에서 유동되는 탄산음료를 냉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서 생산성이 증대되고,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용기와 디스펜서 사이를 연결하는 음료공급관을 냉매용기로 감싸고, 냉매용기 내부에 액화탄산을 주입하여 음료공급관에서 유동되는 탄산음료를 냉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서 생산성이 증대되고,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는 탄산음료용 저장고가 제공된다.
또한, 수위감지부 및 탄산농도감지부를 설치하여 저장된 탄산음료의 탄산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탄산농도에 기초하여 액화탄산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산음료의 맛과 질을 유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산음료용 저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7)

  1. 본체캐비닛과, 본체캐비닛에 마련된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에 있어서,
    탄산음료가 보관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음료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공급관과;
    상기 음료공급관을 감싸며,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와 상기 냉매용기로 각각 액화탄산을 공급하는 액화탄산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탄산 농도를 감지하는 탄산농도감지부와;
    상기 음료용기와 상기 액화탄산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과;
    상기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용 액화탄산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액화탄산 밸브와;
    상기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탄산음료의 저장량과 상기 탄산농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탄산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액화탄산용기에 저장된 액화탄산을 상기 음료용기로 주입하도록, 상기 액화탄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음료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펜서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음료용기의 탄산음료가 상기 음료공급관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음료공급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용기와 상기 액화탄산용기를 상호 연결하는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과,
    상기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용 액화탄산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냉매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료공급관에 유동되는 탄산음료가 냉각 가능하게 상기 액화탄산용기로부터의 상기 액화탄산이 상기 냉매용기로 주입되도록 상기 냉매용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탄산음료용 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용기와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과;
    상기 제1바이패스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용기에 주입되어 기상으로 상변화된 액화탄산의 팽창압으로 작동되는 펌프와;
    상기 냉매용기에 삽입된 상기 제2바이패스관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매용기 내부의 기류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탄산용기는 상기 본체캐비닛과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탄산음료 저장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용 저장고.
KR1020070015592A 2007-02-14 2007-02-14 탄산음료용 저장고 KR20080076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92A KR20080076103A (ko) 2007-02-14 2007-02-14 탄산음료용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92A KR20080076103A (ko) 2007-02-14 2007-02-14 탄산음료용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103A true KR20080076103A (ko) 2008-08-20

Family

ID=398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592A KR20080076103A (ko) 2007-02-14 2007-02-14 탄산음료용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3315B2 (en) 2011-10-11 2015-05-19 Flow Control Llc. Adjustable in-line on demand carbonation chamber for beverage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3315B2 (en) 2011-10-11 2015-05-19 Flow Control Llc. Adjustable in-line on demand carbonation chamber for beverage appl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168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89414B2 (en)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55647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flavoured beverage
EP3106807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6082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1813893A2 (en) Supercooling apparatus, refrigerator, control method thereof
US890538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41408B1 (ko)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및 발포성 가스 주입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CN104019596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BR112016021850A2 (pt) Aparelho para dispensar uma bebida
KR20050095342A (ko) 자동 제어되는 탄산수 제조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4019611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US7814763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water dispenser
KR2015009412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76103A (ko) 탄산음료용 저장고
KR102003804B1 (ko) 생맥주 냉각장치
KR101999272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87533A (ko) 탄산수 디스펜서의 물통냉장장치 및 방법
KR101014191B1 (ko) 탄산수 디스펜서를 장착한 냉장고 및 탄산수생성을 위한온도제어방법
KR20050087536A (ko) 탄산수 공급수단을 구비한 냉장고
KR20050087527A (ko) 탄산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50087535A (ko) 이중냉각방식을 이용한 대용량 탄산수 생성냉장고
KR100588838B1 (ko) 급속 탄산수 생성냉장고 및 급속냉각방법
JP2009149321A (ja) 飲料注出装置
KR20050087534A (ko) 탄산수 디스펜서의 물탱크수량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