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813A -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813A
KR20080075813A KR1020080042327A KR20080042327A KR20080075813A KR 20080075813 A KR20080075813 A KR 20080075813A KR 1020080042327 A KR1020080042327 A KR 1020080042327A KR 20080042327 A KR20080042327 A KR 20080042327A KR 20080075813 A KR20080075813 A KR 2008007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amine
weight
added
acid solu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인
박형우
조용진
임종환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813A/ko
Publication of KR2008007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36Silicat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but not having molecular sieve properties
    • C01B33/38Layered base-exchange silicates, e.g. clays, micas or alkali metal silicates of kenyaite or magadiite type
    • C01B33/44Products obtained from layered base-exchange silicates by ion-exchange with organic compounds such as ammonium, phosphonium or sulfonium compounds or by intercalation of organic compounds, e.g. organoclay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유기산성용액에 분산시키고, 상기 유기산성용액에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은 나노입자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을 알킬아민 오늄의 알킬아민으로 치환됨에 따라 강력한 항균력을 갖게 되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고, 균체를 사멸할 수 있게 되며,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및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광물, 알킬아민 오늄, 층상구조

Description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Antimicrobial Nano-particle C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나노입자 점토물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의 생육 및 증식 억제능력이 우수한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토광물은 Al, Mg, Fe 등을 포함하는 복합규산염으로 구성된 층상구조를 갖는 규산염광물로, 규소와 산소는 사면체구조를 이루고, 규소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은 팔면체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점토광물과 같은 층간구조의 천연화합물은 무기물 층상구조의 층간에 관능기가 도입된 복합물로서, 대표적인 층간 화합물 중의 하나인 스멕타이트(smectite)는 전형적인 층상 실리케이트(layered silicate) 구조로 층상에 철, 마그네슘, 칼슘과 나트륨 등의 양이온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스멕타이트의 일종으로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s, MMT)는 두께 약 1 nm, 폭 약 200 nm의 높은 종횡비(aspect ratio)와 판상(plate)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실리카 테트라히드랄 판층 사이에 알루미나 옥타히드랄 판층이 위치하는 2 : 1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점토물질로, 산소원자는 실리카 테트라히드랄 판층과 알루미나 옥타히드랄 판층 사이에 위치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실리카 테트라히드랄 판층과 알루미나 옥타히드랄 판층에 포함된 Al3+과 Si4+이온에 치환이 일어나 여러 가지 화학성분상의 변화가 있게 된다. 즉, 사면체층(tetrahedral layer)의 Si4+를 Al3+이 부분적으로 치환하고, Mg2+와 Fe2+, Fe3+가 팔면체층(octahedral iayer)의 Al3+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환한다.
상기 층간에 포함된 알루미늄(Al3+), 마그네슘(Mg2+), 또는 철(Fe2+) 이온과 같은 치환체로 치환작용이 일어남에 따라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몬모릴로나이트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이루지 못하고, 음의 정기적 성질을 띠게 되며, 이는 서로 인접하는 층간에 삽입되는 나트륨(Na+), 리튬(Li+), 또는 칼슘(Ca2+)과 같은 양이온, 즉, 교환이온과 결합하여 전하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층상구조의 점토광물은 현재 유기화제를 처리하여 층상의 이온교환자리에 비극성 또는 저극성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치환하여 층간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고유 특성인 친수성과 소수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요업, 건축, 고분자, 식품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밀폐제, 난연제, 접착제, 가소제, 충진제, 첨가제, 촉매제, 흡착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산업분야에서는 최근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및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로 인한 피해가 빈번해지고, 특히, 식품산업분야의 경우 이러한 미생물로 인한 식중독 등의 발병이 높아짐에 따라 그 피해가 심각하다는 사실이 인지하게 되어 미생물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항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밀폐제, 난연제, 접착제 등으로 사용되는 점토광물에도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기능을 부가하는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층상구조의 점토광물에 유기화제처리를 하여 층간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친수성과 소수성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만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상기의 항균성과 같은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점토광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을 유기양이온으로 치환함으로써 강력한 항균력이 부가된 새로운 기능을 갖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유기산성용액에 분산시키고, 상기 유기산성용액에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라포나이트, 버미큘리트, 일라이트, 피로필라이트-탈크, 미카 및 브리틀 미카 중 하나 혹은 둘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입자 점토광물은 유기산성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0 중량부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 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증류수와 염산이 혼합된 용액에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N-메틸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용제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을 선택하여 첨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상기 증류수에 대하여 0.01~10% 중량의 염산을 첨가하고, 상기 증류수와 염산이 혼합된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기용제 50~40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n-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n-알킬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디데실디메틸암모늄, 디메틸벤질히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 디메틸디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 디메틸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2-에틸헥실암모늄, 메틸탈로우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의 알킬암모늄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상기 나노입자 점토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2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미생물의 생육 및 증식 억제능력이 우수한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은 나노입자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을 알킬아민 오늄의 알킬아민으로 치환됨에 따라 강력한 항균력을 갖게 되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고, 균체를 사멸할 수 있게 되며,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및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에 대하여 그 제조방법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유기산성용액에 분산시키고, 상기 점토광물이 분산된 유기산성용액에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한 뒤 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천연물 유래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로는 몬모릴로나이트(MMT), 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라포나이트(laponite), 버미큘리트(vermiculit), 일라이트(illite), 피로필라이트-탈크(pyrophylite-talc), 미카(mica) 및 브리틀 미카(brittle mica)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자구조상 유기화 반응이 잘 일어나는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유기화 반응효율이 높기 때문에 좋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 점토광물은 유기산성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0중량부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중량보다 많은 양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분산시키면 유기산성용액 내에서 완전하게 분산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중량보다 적은 양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분산시키면 불필요하게 많은 용액을 사용하게 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유기화 반응에 사용되는 알킬아민 오늄을 효과적으로 용해하기 위한 반응용액으로써, 증류수와 염산이 혼합된 용액에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N-메틸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용제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을 선택하여 첨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류수에 대하여 0.01~10% 중량의 염산을 첨가하고,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N-메틸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용제는 상기 염산용액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4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상기 물질의 배합량을 모두 혼합시킨 용액을 이용하여 점토광물을 분산하고,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반응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유기산성용액의 배합량을 나누어 일부는 점토광물을 미리 분산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수용액상태로 제조한 뒤, 상기 점토광물 분산액과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을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혼합된 유기산성용액의 배합량이 상기 배합량과 일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산성용액에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분산시키고 나면, 상기 분산액에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나노입자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이 알킬아민 오늄의 유기 양이온으로 치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미생물의 생육 및 증식 억제 능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n-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n-alkyl benzyl dimethyl quaternary ammonium), n-알킬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n-alkyl dimethyl ethylbenzyl quaternary ammonium), 디데실디메틸암모늄(didecyl dimethyl quaternary ammonium), 디메틸벤질히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dimethyl benzyl hydrogenated tallow quaternary ammonium), 디메틸디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quaternary ammonium), 디메틸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2-에틸헥실암모늄(dimethyl hydrogenated tallow 2-ethylhexyl quaternary ammonium), 메틸탈로우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methyl tallow bis-2-hydroxyethyl quaternary ammon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알킬암모늄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알킬아민 오늄은 탄소수(n) 8내지 18인 소수성 탄소사슬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4급 알킬아민 오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상기 나노입자 점토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2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알킬아민 오늄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량이 첨가될 경우에는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이 알킬아민으로 치환되는 양이 적어 항균성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고, 상기 범위보다 많은 양의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할 경우에는 그 기능의 특별한 향상 없이 반응에 사용되는 알킬아민 오늄의 양만 증가하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여 상기 점토광물이 분산된 분산액에 첨가하였을 때 이온교환반응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전술한 유기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킬아민 오늄을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으로 제조한 뒤, 점토광물이 분산된 분산액에 상기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을 첨가하고, 기계적 교반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교반을 하여 상기 점토광물 분산액과 알킬암모늄염 수용액 사이에 양이온 교환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며, 이러한 양이온 교환반응을 통해 상기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 즉, 교환이온이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의 유기 양이온, 즉, 알킬아민으로 치환된다.
이와 같이 점토광물의 층간 양이온이 알킬아민 오늄의 알킬아민으로 화학적으로 치환되면, 상기 알킬아민의 정전기적 인력과 친유성에 의하여 미생물의 효소, 단백질과 반응하여 신진대사를 억제하고, 미생물의 세포막 형성을 정전기적으로 방해하며, 세포막에 침투하거나 세포막의 구성성분을 녹여내어 막의 투과성을 교란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성장 및 번식을 차단하여 세포의 항상성을 깨트리고, 그로 인하여 미생물의 생육 및 증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나노입자 점토물질은 항균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교반을 통해 알킬아민 오늄과 점토광물 사이의 반응이 완료되 면, 생성된 고체 반응물을 여과하고, 상기 고체 반응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액으로 수회 세척한 뒤, 감압건조기 등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이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교반기 및 온도계가 부착된 20 L의 반응기에 1.5L의 증류수를 넣고, 상기 증류수에 200g의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를 첨가한 후, 1시간 30분간 교반하여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를 완전히 분산시킨 다음,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분산액에 3L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별도로 300mL의 증류수에 60 g의 20% 염산용액과 300g의 메틸탈로우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MT2EtOH)을 첨가하여 1시간 30분간 교반한 후, 600 mL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60~65℃까지 가온하여 알킬 암모늄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을 앞서 제조한 몬모릴로나이트 분산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기계적 교반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생성된 고체 반응물을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의 1:2 혼합용액으로 3회 세척한 뒤, 80℃의 감압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항균 기능성 유기화 몬모릴 로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교반기 및 온도계가 부착된 200L의 반응기에 3.3L의 증류수를 넣고, 상기 증류수에 345g의 35% 염산용액과 2.9 kg의 디메틸디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2M2HT)을 첨가하여 1시간 30분 교반한 후, 6.6 L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첨가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70~75℃까지 가온하여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별도로 2kg의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를 15L의 증류수에 첨가시켜 1시간 30분 교반한 다음,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분산액에 30L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첨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몬모릴로나이트 분산액을 앞서 제조한 알킬암모늄염 수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기계적 교반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생성된 고체 반응물을 여과하고, 물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1 : 2 혼합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80℃의 감압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항균 기능성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 2를 통하여 제조된 항균 기능성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비교구로 무첨가된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를 사용하였다.
특성항목 비교구 제조예 1 제조예 2
유기화제 없음 메틸탈로우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 디메틸디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
유기화제 농도 - 90 meq/100 g MMT 95 meq/100 g MMT
수분함량 4~9% 2% 미만 2% 미만
평균 입자크기 (90% 이상) 13 ㎛ 13 ㎛ 13 ㎛
색깔 순백색 순백색 순백색
밀도 2.86 g/mL 1.98 g/mL 1.77 g/mL
층간거리 (d-spacing) 1.17 nm 1.85 nm 2.42 nm
친소수성 친수성 약한 소수성 강한 소수성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제조예 1, 2)은 비교구인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와 비교하여 평균 입자크기, 색깔 등의 외관특성은 매우 유사하였으나, 수분함량과 밀도는 현저하게 낮은 편이고, 층간거리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사용된 유기화제에 따라 소수성 정도가 다르게 구분되었다.
<실시예 2>
E. coli O157:H7를 시험 미생물 균주로 사용하여 30℃에서 항온 배양하여 제조예 1과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항균 기능성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 첨가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비교구로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 첨가구와 대조구로 무첨가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같이 나타내었다.
배양시간 (h) 대조구 비교구 제조예1 제조예2
0 1.85×107 1.74×107 1.70×107 1.82×107
1 1.98×107 2.00×107 1.19×107 1.97×107
2 4.66×107 5.41×107 3.81×106 4.25×107
4 2.80×108 3.11×108 2.63×106 2.89×108
6 5.39×108 6.47×108 1.42×106 5.50×108
8 7.82×108 8.35×108 6.49×105 8.01×108
그 결과, E. coli O157:H7 균주의 경우 배양 8시간 만에 대조구인 무첨가구와 비교구인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기 몬모릴로나이트(제조예1) 첨가구는 103 이상 생균수를 감소시킴으로서 대조구 및 비교구와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실시예 3>
Listeria monocytogenes를 시험 미생물 균주로 사용하여 30℃에서 항온 배양하면서 제조예 1과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항균 기능성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 첨가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비교구로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 첨가구와 대조구로 무첨가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배양시간 (h) 대조구 비교구 제조예1 제조예2
0 2.22×107 2.18×107 7.18×106 2.13×107
1 2.49×107 2.52×107 0.00×100 2.32×107
2 3.79×107 3.73×107 - 2.11×107
4 2.03×108 1.55×108 - 1.80×107
6 4.95×108 3.41×108 - 2.12×107
8 5.83×108 4.61×108 - 2.01×107
그 결과, Listeria monocytogenes 균주의 경우 배양 8시간 만에 대조구인 무첨가구와 비교구인 무기 몬모릴로나이트(MMT-Na+)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기 몬모릴로나이트(제조예 2) 첨가구는 2×101 이상 생균수를 감소시키고, 유기 몬모릴로나이트(제조예 1) 첨가구는 배양 30분 이내에 107 수준의 생균수를 완전히 사멸시킴으로서 다른 처리구와 현저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은 무기 몬모릴로나이트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미생물 생육 억제효과 및 균체 사멸효과를 보유하고 있음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제조예1 과 제조예 2)의 E. coli O157:H7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비교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제조예1 과 제조예 2)의 Listeria monocytogene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비교 그래프.

Claims (8)

  1. 천연물 유래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을 유기산성용액에 분산시키고, 상기 유기산성용액에 알킬아민 오늄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 층상구조의 나노입자 점토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라포나이트, 버미큘리트, 일라이트, 피로필라이트-탈크, 미카 및 브리틀 미카 중 하나 혹은 둘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점토광물은 유기산성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0중량부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증류수와 염산이 혼합된 용액에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N-메틸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용제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을 선택하여 첨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 토물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성용액은 상기 증류수에 대하여 0.01~10% 중량의 염산을 첨가하고, 상기 증류수와 염산이 혼합된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기용제 50~40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n-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n-알킬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디데실디메틸암모늄, 디메틸벤질히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 디메틸디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암모늄, 디메틸히이드로게네이트탈로우2-에틸헥실암모늄, 메틸탈로우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의 알킬암모늄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민 오늄은 상기 나노입자 점토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2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7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미생물의 생육 및 증식 억제 능력이 우수한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KR1020080042327A 2008-05-07 2008-05-07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5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327A KR20080075813A (ko) 2008-05-07 2008-05-07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327A KR20080075813A (ko) 2008-05-07 2008-05-07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813A true KR20080075813A (ko) 2008-08-19

Family

ID=3987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327A KR20080075813A (ko) 2008-05-07 2008-05-07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58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433B1 (ko) * 2012-09-13 2014-08-29 주식회사 럭키산업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433B1 (ko) * 2012-09-13 2014-08-29 주식회사 럭키산업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손 세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clay nanocomposite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Huang et al. Poly (lactic acid)/graphene oxide–ZnO nanocomposite films with good mechanical, dynamic mechanical, anti‐UV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Li et al. Bioinspired interface engineering of soybean meal-based adhesive incorporated with biomineralized cellulose nanofibrils and a functional aminoclay
Chen et al. Recent advances in Two-dimensional Ti3C2Tx MXene for flame retardant polymer materials
Ruiz-Hitzky et al. Clay mineral–and organoclay–polymer nanocomposite
Perotti et al. Bacterial cellulose–laponite clay nanocomposites
Yang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 (vinyl alcohol)/exfoliated α-zirconium phosphate nanocomposite films
Zhang et al. Antimicrobial nanocomposites prepared from montmorillonite/Ag+/quaternary ammonium nitrate
Wang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quaternary fulvic acid–intercalated saponite/poly (lactic acid) nanocomposites
Lu et al. Nanoreinforcements of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for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es: an overview
Teles et al. Fire retardancy in nanocomposites by using nanomaterial additives
KR101200323B1 (ko) 양이온성 유기나노점토를 이용한 빠르고 효율적인 녹조 수확 방법
Bekhit et al. Mechanical, therm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LLDPE/EVA/MMT/Ag nanocomposites films synthesized by gamma irradiation
KR20080075813A (ko) 항균 기능성 나노입자 점토물질 및 그 제조방법
EP1694763B1 (en) Composite of high melting polymer and nanoclay with enhanced properties
Cruz-Hernández et al. High-performance antifungal nanohybrid materials composed of melanin-clays
Porebska et al. Montmorillonite–triclosan hybrid as effective antibacterial additive with enhanced thermal stability for protection of plastic electrical components
KR101871963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Xue et al. Preparation of Cu/OMMT/LLDPE nanocomposites and synergistic effect study of two different nano materials in polymer matrix
Hundáková et al. Vermiculite with Ag and Cu used as an antibacterial nanofiller in polyethylene/vermikulit S Ag A Cu Použitý Jako Antibakteriální Nanoplnivo V Polyethylenu
JP2011042582A (ja) 抗菌性モンモリロナ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1706A (ko) 유무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도자 소지용 개질 점토 복합체,및 이의 제조방법
Joo et al. Effect of the silane modification of an organoclay on the properties of polypropylene/clay composites
KR100374258B1 (ko) 나노클레이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6623B1 (ko) 장기간 수분에서 안정한 초소수성 형광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