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752A -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752A
KR20080075752A KR1020070015096A KR20070015096A KR20080075752A KR 20080075752 A KR20080075752 A KR 20080075752A KR 1020070015096 A KR1020070015096 A KR 1020070015096A KR 20070015096 A KR20070015096 A KR 20070015096A KR 20080075752 A KR20080075752 A KR 20080075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unit
parking state
vehicl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웨이브
Priority to KR102007001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752A/ko
Publication of KR2008007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 상태 감지부, 및 사용자 출력부를 포함한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차량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출력부는 전송된 차량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주차장 내의 여러 주차 위치에서의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 가능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주차 관리, 주차 블록, 전력선 통신

Description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sensing parking status, and park managing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주차 상태 감지 장치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감지부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주차 상태 감지 장치의 전원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6, 및 7은 도 5의 주차 관리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를 수행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 예식장, 대형 할인점과 같은 공공 시설의 대형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 관리를 돕기 위한 주차 관리 요원들을 흔히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주차장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에 의한 주차 관리는 주차장 출입 관리나 주차비 산출 정도에 불과하고 차량을 적재 적소에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 관리는 사람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까지 고안된 주차 관리 시스템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들어 실제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 상태 감지부, 및 사용자 출력부를 포함한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차량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출력부는 전송된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주차장 내의 여러 주차 위치에서의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 가능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상태를 계속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감지함으로써 주차 유무 상태 감지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감지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감지 범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주차 유무 상태 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센싱을 이용하는 경우 주차 상태 감지부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감지 오류 가능성을 제거시킬 수 있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주차 유무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만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유무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하여 소모 전력, 및 통신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주차 상태 감지부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주차 위치에 대해 복수의 주차 상태 감지부가 사용되는 경우 주차 상태 감지부의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주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 상태 감지부가 설치되는 주차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상태 감지부는 주차 상태 감지가 용이한 주차 블록 내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해 진다.
주차 상태 감지부와 출력부 사이에서 주차 상태 유무 정보를 중계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부를 설치함으로써 주차 상태 감지부의 설치 위치 제한이나 출력의 제한으로 인한 주차 관리의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중계부와 출력부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 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설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시스템 적용으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가 청구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차 상태 감지 장치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주차 상태 감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전송부(120), 감지 범위 조절부(130), 및 주차 블록(140)을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차량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11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은 장치의 제조자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초 간격으로 동작을 하는 경우 차량 유무의 판단에 문제가 없다.
차량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계속 센서가 구동을 해야 하는데 센서가 동작을 하면 그에 따른 전력 소모가 생기므로 시간 간격을 두어 센서를 동작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 상태를 계속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감지함으로써 주차 유무 상태 감지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감지부(110)는 감지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감지 범위 조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주차 유무 상태 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감지부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앞부분이 개봉된 원형관(tube)에 센서를 설치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원형관은 센서의 방사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감지부(11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센싱을 이용하는 경우 감지부(110)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감지 오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는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및 소형 카메라 등은 센서 앞부분에 이물질이 묻으면 감지에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관리에 불편한 점이 많아 초음파 센서를 사용한다.
전송부(120)는 감지된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부(120)는 주차 유무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만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유무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하여 소모 전력, 및 통신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무선 송신단이 계속해서 동작하면 전력 소모가 많아지므로 차량 유무의 신호를 전송한 후에는 컨트롤러에서 동작을 멈추게 하고 새로운 신호를 센서에서 감지하는 경우 컨트롤러가 다시 무선 송신단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전송부(120)는 전송부(12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주차 위치에 대해 복수의 주차 상태 감지 장치(100)가 사용되는 경우 전송부(11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주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식별 정보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100)가 설치된 주차 위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이기 때문에, 주차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라면 전송부(120)의 식별 정보 이외에도 물론 감지부(110), 및 다른 어떤 식별 정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주차 블록(140)에는 감지부(110), 감지 범위 조절부(120), 전송부(130)가 내부에 설치된다. 주차 블록(140)은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주차 위치마다 차량이 지정된 주차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된 블록을 말한다.
주차 상태 감지 장치(100)의 구성 회로를 이와 같이 주차 상태 감지가 용이한 주차 블록 내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해 진다.
주차장에는 주차 칸마다 차량 이탈용 방지물(주차 블록)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 블록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주차 상태 감지 장치(100)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주차 상태 감지 장치의 전원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주차 상태 감지 장치는 독립적으로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작 전원은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에 따른 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의 방전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배터리는 충전을 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이온-폴리머 계열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0)은 주차 상태 감지부(100), 사용자 출력부(200), 중계부(300), 및 전력선 통신부(400)를 포함한다.
주차 상태 감지부(100)는 차량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출력부(200)는 전송된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 출력부(200)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영상 출력 수단이 일반적이겠지만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출력부(200)는 주차장 관리자의 개인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도 있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차장 내의 여러 주차 위치에서의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 가능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중계부(300)는 주차 상태 감지부(100)와 사용자 출력부(200) 사이에서 주차 상태 유무 정보를 중계한다.
주차 상태 감지부(100)는 무선으로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배터리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주차 상태 감지부의 설치 위치나 출력의 제한으로 인한 사용자 출력부(200)로의 주차 유무 상태 정보 전달의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가 완료되면, 주차 블록(이탈 방지물)이 차량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무선 송신을 방해하여 전파가 멀리 전달되지 않는다. 이를 대비하여 전파법 상 규정 전파 세기로 전송을 하면 약 30m 전송이 가능하므로 주변에 중계기를 설치하는 것이다.
전력선 통신부(400)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중계부(300)와 사용자 출력부(2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한다.
대형 주차장의 경우 중계기가 많이 필요하므로 중계기의 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차장 내부에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설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시스템 적용으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6, 및 도 7은 도 5의 주차 관리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주차 관리소에서는 주차장 상황을 모니터로 확인하여 이용자에게 주차장의 정보를 제공한다.
차량이 주차를 위해 주차 칸에 진입을 하면, 주차 위치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중계기를 거쳐 주차 관리소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차가 출차하는 경우에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 출차 신호를 관리소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차량 이탈 방지물(주차 블록)에 있는 센서가 차량 유무의 신호를 송신하며, 주차 상태 감지 장치가 내장된 각각의 주차 블록은 주변의 제일 가까운 곳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최종단 중계기에 신호를 전송한다.
주차 상태 감지 장치가 다수 배열된 A, B, ... 라인은 각각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으며, 주차장이 복층일 경우에는 각층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도 가지고 있 다.
본 발명은 차량 이탈 방지물(주차 블록)에 센서와 컨트롤러 및 RF 송수신단을 내장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여 주차 관리소에 설치된 모니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을 가진다.
차량이 주차를 하거나 출차할 때 차량 이탈 방지물에 내장된 초음파 센서가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여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소로 전송을 한다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차량 이탈 방지물이 차량 밑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무선 신호의 전송 거리가 짧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계기를 설치한다.
대형 주차장의 경우 중계기의 설치 수량이 많아 지므로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중계기 사용을 위하여 전력선 통신 방법을 사용한다. 전력선 통신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 주차장 안에 가설되어 있는 전선을 이용한다.
전력선 통신 방법으로 전송된 신호는 최종단에 위치한 중계기를 통하여 주차 관리소의 모니터에 전송되어 화면에 주차장의 주차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주차 관리소 외부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주차 대기자가 어느 구역에 주차가 가능한지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여러 주차 위치에서의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 가능 위치를 파 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 보수 관리가 매우 용이해 진다. 이에 따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저렴해지고 주차 관리 또한 매우 효율적으로 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차량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주차 유무 상태의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감지 범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 유무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주차 유무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만 상기 주차 유 무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부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및 전송부가 설치되는 주차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8. 차량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주차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전송된 차량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의 주차 유무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는 감지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감지 범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는 상기 주차 유무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만 상기 주차 유무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는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감지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가 설치되는 주차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감지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서 상기 주차 상태 유무 정보를 중계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070015096A 2007-02-13 2007-02-13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80075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096A KR20080075752A (ko) 2007-02-13 2007-02-13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096A KR20080075752A (ko) 2007-02-13 2007-02-13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752A true KR20080075752A (ko) 2008-08-19

Family

ID=3987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096A KR20080075752A (ko) 2007-02-13 2007-02-13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5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8801A (zh) * 2014-10-11 2015-01-28 广东艾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导航卫星信号的车辆检测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8801A (zh) * 2014-10-11 2015-01-28 广东艾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导航卫星信号的车辆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9256B2 (en) Server based distributed security system
JP5894345B2 (ja) スマート端末を利用してアパートで統合的な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KR20090106201A (ko)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80987A (zh) 安全系统
KR100930477B1 (ko)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CN103632560A (zh) 智能公交车站牌及公交车行驶信息指示系统
CN103632561A (zh) 智能公交车站牌及公交车行驶信息指示系统
KR101134028B1 (ko) 원패스 태그를 이용한 주차 및 출입 관리 시스템 그리고 세대원 주차관리 방법과 세대원 출입 관리 방법
KR20210062935A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JP5396442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926781B1 (ko) 건물 진동 감지를 통한 건물 붕괴 예방 대피 자동 방송 시스템
KR101691400B1 (ko) 주차 센서,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080075752A (ko) 주차 상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10003888A (ko) 지그비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026223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795201B1 (ko)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주차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JP3060093B2 (ja) 消火器ケース
KR101737789B1 (ko)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주차 유도 시스템
KR20110057851A (ko) 자동 주차 안내 시스템
KR10177686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잔여 주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KR200387501Y1 (ko) 빌딩이나 공영주차장의 주차 공간 알림 장치
KR100775001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220B1 (ko)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주차 유도 시스템
KR101777541B1 (ko) 고속도로 시설물의 스위치 허브 랜 포트 연결 전원제어시스템
CN202816154U (zh) 智能公交车站牌及公交车行驶信息指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