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408A - 전자사진용 현상제 - Google Patents

전자사진용 현상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408A
KR20080075408A KR1020070014557A KR20070014557A KR20080075408A KR 20080075408 A KR20080075408 A KR 20080075408A KR 1020070014557 A KR1020070014557 A KR 1020070014557A KR 20070014557 A KR20070014557 A KR 20070014557A KR 20080075408 A KR20080075408 A KR 2008007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toner
developer
binder resin
electrophot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덕
연경열
이덕희
최석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408A/ko
Publication of KR2008007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테레프탈산 7 내지 12몰%, 무수 트리멜리트산 35 내지 40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 35 내지 50몰% 및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5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축합중합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전자사진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고습 환경 조건에서 토너의 열화로 인한 Streak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현상롤러와 토너층 규제 장치에서의 Filming을 개선할 수 있고, 현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토너의 내구성 향상 등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용 현상제{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g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현상방식의 전자사진 장치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감광체 5: 현상롤러
6: 공급롤러 7: 현상제규제 블레이드
8: 현상제 9: 전사수단
10: 클리닝 블레이드 13: 인쇄매체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고습 환경하에서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처리기기로서는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이 있으며, 이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광체에 잠상을 만든 후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체 상의 잠상에 토너를 이동시키고, 이를 용지 등 인쇄매체에 전사해 목적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근래 화상형성 장치가 널리 보 급되면서 고품질의 화상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제의 조성물은 결착 수지, 착색제, 대전제어제, 왁스 등을 포함한다. 결착 수지로 사용되는 수지의 단량체 조성에 따라 고온고습 환경 조건에서 Streak 및 토너층 규제장치에서의 Filming 현상이 발생하여 현상효율 저하와 고품질의 화상형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대전제어제는 종류에 따라 낮은 마찰대전성, 분산 불량, 낮은 저장안정성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옵셋 방지제로 들어가는 왁스는 첨가량이 증가하면 분산이 어렵고, 또한 감광체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현상 방식 중에서 비접촉 비자성 1성분 현상방식은 소형화가 가능함은 물론 컬러의 대응이 용이하고 엣지(edge) 재현 및 토너 계조성(gradation)이 우수하고 고해상도의 인자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비자성 비접촉 1성분 현상방식의 경우 안정적인 현상성 유지, 포그(fog) 및 비산 방지 등을 위하여 초기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작동후에도 토너의 일정한 대전량 및 균일한 대전분포를 유지해야 하지만, 토너층을 얇게 하면 토너가 Stress를 심하게 받게 됨으로써 토너가 쉽게 열화되고 규제 블레이드에 융착되어 Streak가 쉽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상 롤러상에서 토너층의 박층형성시 토너 대전량의 상승으로 급격한 현상효율의 저하 및 이에 따른 화상농도의 저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현상롤러와 토너층 규제장치에서 Filming 현상이 발생하여 현상효율 저하와 화상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온고습 환경에서 Streak 및 토너층 규제장치에서의 Film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현상제를 필요로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고습 환경 조건에서 토너의 열화로 인한 Streak, 현상롤러와 토너층 규제 장치에서의 Filming을 개선하는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상제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테레프탈산 7 내지 12몰%, 무수 트리멜리트산 35 내지 40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 35 내지 50몰% 및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5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축합중합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전자사진 현상제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토너 모입자는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대전 제어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제에 사용되는 결착 수지로서는 공지의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정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컬러 현상제에 적합하다. 상기 폴레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 7 내지 12몰%, 무수 트리멜리트산 35 내지 40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 35 내지 50몰% 및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5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축합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테레프탈산 및 무수 트리멜리트산을 포함하고, 성분의 함량은 각각 7 내지 12몰% 및 35 내지 4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레프탈산의 함량이 7 몰%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12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대전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무수 트리멜리트산의 함량이 35몰% 미만인 경우에는 스트릭(Streak)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40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착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결착 수지는 Tm이 13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Tm은 FT condition, Weight:20Kgf, Die:1mm, Inc.temp:6℃/분의 조건에서 Shimadzu Flow Teser CFT510으로 측정된 것이다. 상기 결착 수지의 Tm이 130℃ 미만인 경우에는 옵셋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착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는 2-프로폭시 비스페놀A(BPO-2PO) 및 2-에톡시 비스페놀 A(BPO-2EO)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프로폭시 비스페놀A(BPO-2PO) 및 2-에톡시 비스페놀 A(BPO-2EO)의 함량은 각각 35 내지 40몰%와 0.1 내지 1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 현상제는 디카르복실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석신산, 아디프산, 및 피멜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착 수지의 산가(acid value)는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8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착 수지의 산가가 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에 토너 부착성이 높아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착색제로서 흑백 토너의 경우에는 카본블랙 또는 아닐린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토너는 칼라 토너를 제조하기 용이하다. 또한 칼라 토너의 경우에는 착색제 중 검은색은 카본 블랙을 이용하고 칼라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착색제를 더 포함한다.
옐로우 착색제는 축합 질소 화합물, 이소인돌리논 화합물, 안트라킨 화합물, 아조 금속 착제, 또는 알릴 이미드 화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 안료 옐로우 12, 13, 14, 17, 62, 74, 83, 93, 94, 95, 109, 110, 111, 128, 129, 147, 또는 16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젠타 착색제는 축합 질소 화합물, 안트라킨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염기 염료 레이트 화합물, 나프톨 화합물, 벤조 이미다졸 화합물, 티오인디고 화합물, 또는 페릴렌 화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 안료 레드 2, 3, 5, 6, 7, 23, 48:2, 48:3, 48:4, 57:1, 81:1, 144, 146, 166, 169, 177, 184, 185, 202, 206, 220, 221, 또는 25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시안 착색제는 동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안트라킨 화합물, 또는 염기 염료 레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 안료 블루 1, 7, 15, 15:1, 15:2, 15:3, 15:4, 60, 62, 또는 6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색상, 채도, 명도, 내후성, 토너 중의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현상에 의해 가시상을 형성할 수 있는 토너를 착색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되는데, 예컨대 결착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착색효과가 불충분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토너의 전기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마찰 대전량을 얻을 수 없어 오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전 제어제는 부대전성 대전 제어제 및 정대전성 대전 제어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전제어제는 토너를 정전기력에 의해 현상롤러 위에 안정되게 지지하므로, 상기와 같은 대전제어제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빠른 대전 속도가 가능해진다.
상기 부대전성 대전 제어제로는 크롬 함유 아조 착제(azo dyes) 또는 모노아조 금속 착체와 같은 유기 금속 착체 또는 킬레이트 화합물; 크롬, 철, 아연과 같 은 금속 함유 살리실산 화합물; 및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유기 금속 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정대전성 대전 제어제로서는 니그로신과 그의 지방산 금속염 등으로 개질된 생성물, 트리부틸벤질암모늄 1-히드록시-4-나프토술포네이트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오늄염 등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토너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전 제어제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입자는 이형제, 고급지방산 또는 그 금속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서는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저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알킬렌왁스, 에스테르 왁스, 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파라핀왁스, 고급지방산, 지방산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지방산 및 그 금속염은 감광체를 보호하고 현상특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하여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는 수지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미리 플러싱(flusing) 처리, 또는 수지와 고농도로 용융 혼련한 마스터 배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 수지와 착색제를 필수적인 성분으로 하여 2롤, 3롤, 가압 니더, 또는 2축 압출기 등의 혼련 수단에 의하여 혼합될 수 있다. 이 때 착색제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 며 80 내지 180℃의 온도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용융 혼련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제트 밀, 마찰 밀, 또는 회전형 밀 등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분쇄하고, 평균 입자의 크기가 3 내지 15㎛의 크기인 토너 입자를 제조하고 외첨제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분체 유동성이나 대전 안정성 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는 상기와 같은 비접촉 비자성 1성분 토너를 사용한 전자사진 장치 외에도 접촉식 비자성 1성분 현상방식의 토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대전성 또는 정대전성 토너 모두에 다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중합 및 분쇄형 토너에 있어서, 색도, 대전특성, 및 정착성 향상 등을 위하여 착색제, 대전제어제, 이형제 등이 결착 수지 내에 균일하게 내첨되고, 이와 함께 유동성, 대전 안정성, 및 클리닝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외첨제들이 첨가되고 있다. 외첨제의 첨가에 있어서 화상 열화의 원인이 되는 토너 표면의 외첨제의 이탈, 매몰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균 입경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외첨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첨제로는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 입자, 산화티탄 및 멜라민계 비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2 종류의 상이한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2 종류의 실리카는 평균 입경 20 내지 200nm의 대입경 실리카 및 평균 입경 5 내지 20nm의 소입경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실리카 입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대입경 실리카는 스페이서(spacer)입자로서 내구에 의한 토너 열화를 막고 전사성의 향상 기능이 있으며, 소입경 실리카는 주로 토너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입경 실리카 및 소입경 실리카 입자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토너 모입자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3.0 중량부이며,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실리카 첨가로 인한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착성 저하, 과대전 및 클리닝 불량 등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비표면적이 비교적 큰 실리카만을 사용하면 전사 효율 측면에서 상당히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만, 장기간 많은 출력을 하는 경우에는 드럼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저한 개선 효과를 위해서 실리카 이외의 다른 무기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산화티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셀륨, 산화철, 산화구리 및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티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탄은 토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며, 장기간에 많은 양을 출력할 경우에도 고전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 오염을 방지하여 환경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저온 저습시의 토너 챠지 업 (charge up)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고온 고습시에 토너의 챠지 다운 (charge down)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산화티탄의 1차 평균 입경은 5 내지 100nm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n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1차 평균 입경이 1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 고습시의 챠지 다운이 문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5nm 미만인 경우에는 정착불량 및 대전 불균일성 등이 발생하기 용이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산화티탄의 함량은 상기 2 종의 실리카 입자와의 조절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으며, 토너 모입자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부이다. 산화티탄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드럼 오염을 제거하는 효과가 저하되어 화상오염을 초래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찰 대전값이 떨어져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없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멜라민계 폴리머 비즈는 현상 부재 오염에 따른 화상 오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테레프탈산 7 내지 12몰%, 무수 트리멜리트산 35 내지 40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 35 내지 50몰% 및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5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축합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전자사진 현상제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비접촉 현상방식의 화상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하기에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접촉현상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자성 1성분 현상제는 폴리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공급롤러(6)에 의해 현상롤러(5)상으로 공급된다. 상기 현상롤러(5) 상으로 공급된 현상제(8)은 현상롤러(5)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 규제블레이드(7)과 현상롤러(5)의 접촉부에 도달한다. 상기 현상제 규제블레이드(7)은 금속,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 규제블레이드(7)과 현상롤러(5)의 접촉부 사이를 현상제가 통 과시 현상제(8)의 층이 일정한 층으로 규제되어 박층이 형성되고 현상제를 충분히 대전시킨다. 박층화된 현상제(8)은 현상롤러(5)에 의하여 잠상 담지체인 감광체(1)의 정전잠상에 현상제(8)가 현상되는 현상영역으로 이송되게 된다.
현상롤러(5)는 감광체(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촉하지 않고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다. 현상롤러(5)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감광체(1)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영역으로 이송된 현상제(8)는 현상롤러(5)에 인가된 DC 중첩된 AC 전압과 감광체(1)의 잠상전위와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된 전기력에 따라 감광체(1)의 정전잠상으로 현상된다.
감광체(1)에 현상된 현상제(8)은 감광체(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사수단(9)의 위치에 도달한다. 감광체(1)에 현상된 현상제는 코로나 방전 또는 롤러형태로 현상제 (8)에 대한 역극성 고전압이 인가된 전사수단(9)에 의하여 인쇄용지(13)이 통과하면서 인쇄용지로 현상제가 전사되어 화상이 형성된다.
인쇄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고온, 고압의 정착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인쇄용지에 현상제가 융착되어 화상이 정착된다. 한편 현상롤러(5) 상의 미현상된 잔류 현상제는 상기 현상롤러(5)와 접촉되어 있는 공급롤러(6)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결착 수지용 단량체로서 테레프탈산 38 몰%, 트리멜리트산 10몰%, 2-프로폭 시 비스페놀 A 37몰%, 2-에톡시 비스페놀 A 8몰%, 및 에틸렌글리콜 7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고, 분자량을 100,000으로 조절하였다.
상기 제조된 중량평균분자량 100,000의 폴리에스테르 90.5 중량부, 카본블랙 (미쯔비시 화학 주식회사 제조) 5 중량부, 부대전성 대전제어제 (Hodogaya 제조, Fe 착물) 2.5 중량부,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왁스 (산요 화학 산업사 제조) 2중량부를 헨셀 (Henschel) 타입 믹서를 이용하여 예비혼합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130℃에서 용융 혼합물을 압출하고 냉각 응고 한 후, 분쇄 분급기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 약 8㎛인 외첨처리 전단계의 토너 모입자(untreated toner)를 얻었다.
상기 토너 모입자에 외첨제로서 제1 실리카(1차 입경 35nm, Nippon Aerosil사) 1.3 중량부, 제2 실리카(1차 입경 7nm, Nippon Aerosil사) 1.0 중량부, 산화티탄(1차 입경 30nm) 0.2 중량부, 및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0.2 중량부를 헨셀 믹서를 이용하여 날개 끝단의 선속을 20 내지 30m/sec로 하여 5분간 처리하였다.
비교예 1
결착 수지용 단량체로서 테레프탈산 38 몰%, 2-프로폭시 비스페놀 A 37몰%, 2-에톡시 비스페놀 A 10몰%, 네오 펜틸 글리콜 8몰%, 및 에틸렌글리콜 7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고, 분자량을 100,000으로 조절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화상평가 시험 (부대전성 토너 기준)
현상 장치의 실시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표면전위 (Vo): - 600 V
잠상전위 (VL): - 100 V
현상롤러 인가 전압: Vp-p = 1.8 KV, 주파수 = 2.0 kHz,
Vdc = - 300 V, 효율비 = 35 % ( 구형파 )
현상 갭: 300 ㎛
현상롤러:
(1) 알루미늄의 경우
조도 : Rz = 1 ~ 2.5 (니켈 도금 후 )
(2) 고무롤러의 경우 (NBR계 탄성고무롤러)
저항: 1 X 105 ~ 5 x 106 Ω
경도: 50
토너: 대전량 (q/m) = -5 내지 -30 μC/g
(층 규제장치 통과 후 현상롤러상에서)
면적당 토너량(m/a) = 0.3 내지 1.0 mg/㎠
화상평가 방법(부대전성 토너 기준)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토너를 대상으로 하여 30ppm급 레이저 프린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평가하였다. 상온 상습에서 5% character pattern으로 5,000매 인쇄 테스트를 실시하고, 1,000매마다 I/D, Filming, Dot 재현성, Streak를 측정 평가하였다.
1) I/D: 화상평가후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2) Filming: 화상평가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3) Dot 재현성: 화상평가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4) Streak: 화상평가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시험 결과
구분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X X X X
구분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X X X X X
구분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X
구분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X X X X X
평가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은 5,000매까지 I/D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은 1,000매까지는 I/D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이후에는 I/D 특성이 매우 저조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1은 5,000매까지 Filming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초기에는 Filming 특성이 우수하였지만, 1,000매 이후에는 매우 저조하였다.
상기 표 3에서, 실시예 1은 5,000매까지 Dot 재현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은 2,000매까지는 Dot 재현성이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4,000매까지 저하된 다음 4,000매 이후에는 Dot 재현성이 매우 저조하였다.
상기 표 4에서, 실시예 1은 5,000매까지 Streak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초기에는 Streak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1,000매 이후에는 Streak이 많이 발생되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사진 현상제는 장시간의 Running 이후에도 Streak가 방지되고, Dot 색재현성이 유지되었으며, Filming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고온고습환경 조건에서 토너의 열화로 인한 Streak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현상롤러와 토너층 규제 장치에서의 Filming을 개선할 수 있고, 현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토너의 내구성 향상 등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및
    상기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제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테레프탈산 7 내지 12몰%, 무수 트리멜리트산 35 내지 40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 35 내지 50몰% 및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5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축합중합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는 Tm이 13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옥실레이트 비스페놀 A는 2-프로폭시 비스페놀A(BPO-2PO) 35 내지 40몰% 및 2-에톡시 비스페놀 A(BPO-2EO) 0.1 내지 10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의 산가(acid value)는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전자사진 현상제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용 장치.
KR1020070014557A 2007-02-12 2007-02-12 전자사진용 현상제 KR20080075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57A KR20080075408A (ko) 2007-02-12 2007-02-12 전자사진용 현상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57A KR20080075408A (ko) 2007-02-12 2007-02-12 전자사진용 현상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08A true KR20080075408A (ko) 2008-08-18

Family

ID=3987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557A KR20080075408A (ko) 2007-02-12 2007-02-12 전자사진용 현상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54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0917B2 (ja) トナー
KR101399355B1 (ko) 전자사진용 토너
JP5497014B2 (ja) 画像ブロッキング防止用トナー組成物
EP1193564A2 (en) Toner, developer and container for the developer,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KR100716979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KR20090000506A (ko) 전자사진용 비자성 1성분 토너
US6136491A (en) Developing agen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20080058008A (ko) 전자사진 현상제
KR100677155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US20090155701A1 (en) Toner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US20040191657A1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KR20060115097A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
KR100667779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JP4047823B2 (ja) トナー
JP2002341587A (ja) 非磁性一成分現像用トナー
JP200111728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20080075408A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KR20080065500A (ko) 전자사진 현상제
JP4191635B2 (ja) 一成分現像方法
JP416580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20034064A (ko) 유동성과 대전능력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635286B1 (ko) 저온현상 특성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KR100571925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용 토너
KR20050054778A (ko) 스트리크 및 필름화 현상 방지 특성을 갖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용 토너
KR100636134B1 (ko) 균일한 대전분포 및 향상된 내오프셋 특성을 갖는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용 토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