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787A - 전기 소제기 - Google Patents

전기 소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787A
KR20080074787A KR1020080011874A KR20080011874A KR20080074787A KR 20080074787 A KR20080074787 A KR 20080074787A KR 1020080011874 A KR1020080011874 A KR 1020080011874A KR 20080011874 A KR20080011874 A KR 20080011874A KR 20080074787 A KR20080074787 A KR 2008007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heet
electric
rotary brush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781B1 (ko
Inventor
고오이찌 나까이
사다끼 고데라
아끼히로 후꾸모또
지즈요 마쯔모또
아끼히로 모리따
히로따까 시까노
히데야 쯔찌다
요시아끼 마쯔모또
에이지 무꾸모또
시게끼 이누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18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2307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7Wound-up or endless cleanin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전기 소제기에 있어서 흡입구에 내장된 전기 브러시에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을 행할 수 있으면 전기 소제기의 용도가 확대되어 유익하다.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시트(50)를 휘감기 위해서 브러시 모터(44)에 의해 회전 브러시(25)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시트(50)를 떼어내기 위해서 회전 브러시(25)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한다.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강으로 하고,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시트를 자동적으로 떼어낸다.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휘감긴 시트(50)를 사용자가 접촉하지 않고서 탈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난 전기 소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소제기, 브러시 모터, 시트, 전동 송풍기, 걸레질, 구동 플러그, 흡인력

Description

전기 소제기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소제기에 관한 것으로 피 청소면으로부터 진애를 흡입하는 흡입기구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브러시가 내장된 흡입기구(suction unit)가 이용되는 전기 소제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소제기에는 일반적으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소제기 본체와, 전기 소제기 본체에 호스나 파이프를 통해 부착되는 흡입기구가 포함되어 있다. 흡입기구는 피 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가지고, 흡입구 내에 회전 브러시가 내장된 것이 공지이다.
흡입기구의 회전 브러시에는 청소 동작에 수반해서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이 달라붙기 쉽다. 회전 브러시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을 간단하게 제거하기 위한 제안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안은 회전 브러시의 외주에 미리 제거봉투를 씌운다고 하는 것이며, 제거봉투를 벗김으로써, 휘감긴 섬유형상의 진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특허 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작용] 참조).
또, 특허 문헌 2에는 흡입기구에 내장된 회전 브러시를 모터로 구동하여 흡입구의 이동 방향이 전진인지 후진인지를 검출하고, 회전 브러시의 회전 방향을 절환한다고 하는 제안으로 되어 있다.
또, 전기 소제기에 있어서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시판되는 웨트 시트를 활용하여 웨트 시트를 이용한 걸레질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소제기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전기 소제기에 있어서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시판되는 키친 페이퍼 등의 시트를 활용하여 시트를 이용한 걸레질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소제기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62-13390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5-19227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5-304954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4-222739호 공보
흡입기구의 회전 브러시에 휘감긴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안을 채용한 경우, 사용자는 일정기간마다 수동으로 제거봉투를 벗기는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시간이 걸린다.
그런데, 회전 브러시는 모터로 회전시키는 경우, 그 회전 방향을 한쪽 방향 및 다른 쪽 방향으로 절환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특허 문헌 2에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을 절환함으로써, 회전 브러시에 부착한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하등 시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 기재의 구성에서는 웨트 시트를 이용한 걸레질이 가능하지만,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구성은 웨트 시트를 휘감기 위한 전용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어 흡입기구의 크기가 커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4 기재의 구성에서는 시트를 이용한 걸레질이 가능하지만, 걸레질이 끝난 후, 더러워진 시트를 손가락으로 잡고 떼어내지 않으면 안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주된 목적은 회전 브러시에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의 쓰레기가 달라붙어도 그 달라붙은 쓰레기를 자동적으로 풀어 떼어낼 수 있는 전기 소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 시트에 의한 걸레질이 가능한 전기 소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브러시의 둘레면에 시트를 자동적으로 휘감고, 또한 걸레질이 끝난 후에 그 시트를 자동적으로 탈거할 수 있는 전기 소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를 회전 브러시에 휘감을 때에 불편없이 시트를 휘감을 수 있는 전기 소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피 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둘레면의 일부가 상기 흡입구로부터 면하고 있는 회전 브러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하우징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하우징 내에 흡입된 공기 및 진애를 안내하기 위한 통 모양의 밴드를 포함하는 흡입기구와, 상기 흡입기구의 밴드에 연결되어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소제기 본체와, 상기 회전 브러시의 둘레면에 휘감긴 시트를 떼어내기 위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브러시를 정회전 및 역전시키는 동작을 반복시키는 탈거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제기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탈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송풍기를 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전기 소제기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탈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송풍기의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회전 브러시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전기 소제기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 브러시에 휘감긴 시트를 자동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조작성이 뛰어난 전기 소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강으로 함으로써, 시트를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조작성이 뛰어난 전기 소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동 송풍기의 기동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 후에 회전 브러시를 기동시키므로 전동 송풍기가 충분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회전 브러시가 회전하게 되어 시트를 보다 확실하게 회전 브러시로부터 자동적으로 탈거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1)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1에 있어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 앞쪽을 좌, 안측을 우, 상방을 상, 하방을 하로서 설명하고, 전기 소제기(1)의 각 구성 부재에 대해서 설명할 때도 그 방향에 따라, 전후, 좌우 및 상하를 구별하면서 설명한다.
전기 소제기(1)에는 전기 소제기 본체(2), 흡입 호스(3), 조작부(4), 흡입 파이프(5) 및 흡입기구(10)가 포함되어 있다.
전기 소제기 본체(2)에는 전동 송풍기(도3의 42 참조)가 내장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42)에 의해 흡인력이 발생한다. 전기 소제기 본체(2)의 정면측에는 흡입 호스(3)의 일단측(후단측)이 갖춰진 접속부(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흡입 호스(3)는 가요성을 가져, 임의의 형태로 굽힐 수 있다. 흡입 호스(3)의 타단측(선단측)에는 조작부(4)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부(4)는 흡입 호스(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부(7)와, 파이프부(7)로부터 축방향과 교차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그립(8)과, 파이프부(7)의 중심축에 대해 그립(8)과 반대측(180° 떨어진 측)에 설치된 서브 그립(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입 호스(3)의 선단측과 조작부(4)의 사이에는 회전운동 기구(11)가 개재되어 있고, 조작부(4)와 흡입 호스(3)는 서로 축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립(8)의 전방측에는 조작 패널(30)이 갖춰져 있고, 조작 패널(30)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조작키가 배열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5)는 조작부(4)와 흡입기구(10) 사이를 연결하는 긴, 예를 들면 수지제의 파이프이다. 흡입 파이프(5)는 그 길이 방향 거의 중앙부를 경계로 선단측(흡입기구(10)가 장착된 측)(12)이, 후단측(조작부(4)가 접속된 측)(13) 내에 동일 축 상에 수납되어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길이의 가변은 흡입 파이프(5)의 중앙부에 구비된 록 버튼(14)을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흡입기구(10)에는 하우징(20)과 접속용 통인 밴드(21)가 포함되어 있어 밴드(21)는 하우징(20)에 대해서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흡입 파이프(5)의 후단측(13)은 조작부(4)로부터 탈거 가능하고, 조작부(4)를 흡입기구(10)의 밴드(21)와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에 있어서 100은 피 청소면으로서의 마루 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조작 패널(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그립(8)의 전방측에는 조작 패널(30)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30)에는 다음의 5개의 키가 배열되어 있다.
「절」키(31)는 전기 소제기(1)의 운전(전기 소제기(1)의 모든 운전 동작)을 종료하는 경우에 조작되는(누르는) 키이며, 전기 소제기(1)에의 전원 공급의 차단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강/중/약」키(32)는 전기 소제기(1)에 대해서 운전 개시 신호를 입력함과 함께, 운전 모드(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의 세기)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브러시 절/입」키(33)는 전기 소제기(1)가 동작 중(전동 송풍기(42)가 동작 중)에 있어서 흡입기구(10)의 하우징(20) 내에 내장된 회전 브러시(25)(도4 참조)의 정지/회전을 절환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붙임」키(34) 및 「격리」키(35)는 흡입기구(10)의 하우징(20)에 내장된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웨트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 모드로 할 때에 눌러짐과 함께, 휘감은 웨트 시트를 떼어낼 때에 눌러지는 키이다.
도3은 전기 소제기(1)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조작 패널(30)에 배열된 5개의 키, 즉 「절」키(31), 「강/중/약」키(32), 「브러시 절/입」키(33), 「붙임」키(34), 및, 「격리」키(35)의 신호는 각각, 제 어부(40)에 주어진다. 제어부(40)는 CPU, ROM, RAM 등의 전자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소제기(1)의 제어 중추로서 기능한다. 제어부(40)는 드라이버(41)를 통해 전동 송풍기(4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드라이버(43)를 통해 브러시 모터(44)의 구동을 제어한다. 브러시 모터(44)는 흡입기구(10)의 하우징(20) 내에 설치된 회전 브러시(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제어부(40)에는 종이 팩 센서(45)로부터의 신호가 주어진다. 전기 소제기 본체(2)는 먼지 수집 용기로서 종이 팩, 또는 진애를 원심분리해서 저류하는 수지 용기를 택일적으로 세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지, 수지 용기가 세트되어 있는지는 센서(45)의 신호에 의해 판별된다. 제어부(4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웨트 시트의 이용을 할 수 없게 제어한다.
전기 소제기(1)에는 또한, 전원 회로(46)가 포함되어 있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전원 회로(46)를 통해 드라이버(41, 43)에 공급된다.
도4의 (A) 및 도4의 (B)는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흡입기구(10)는 하우징(20) 및 밴드(21)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20)의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셔터(22)가 갖춰져 있다. 하우징(20)과 셔터(22)에 의해 수용실(23)이 구획되어 있다. 수용실(23)은 흡입기구(10)가 피 청소면(100)상에 배치된 청소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피 청소면(100)과 대향하는 흡입구(24)를 가진다. 수용실(23) 내에는 흡입구(24)에 면하도록, 회전 브러시(25)가 수용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25)는 도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회전(정 회전)하여 피 청소면(100)상의 진애를 수용실(23)로 쓸어 올릴 수 있다. 수용실(23)의 후방에는 연통구(26)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 브러시(25)에 의해 쓸어 올려진 진애나 흡입된 공기는 연통구(26)를 통과하고, 밴드(21) 내의 유로(21a)를 통과하여 전기 소제기 본체(2)(도시 1 참조)로 흡입된다.
회전 브러시(25)는 수용실(23) 내에 있어서 수용실(23)의 폭 방향, 즉 하우징(20)의 좌우 방향(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7)과, 회전축(27)의 둘레면에 직립된 브러시(28)(28a, 28b)와, 회전축(27)의 둘레면에 직립된 달라붙음 방지용 블레이드로서의 윙 크로스(29)를 갖추고 있다.
브러시(28)는 돌출 선단의 폭(회전축(27)의 둘레방향의 치수)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브러시(28a)와, 해당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2 브러시(28b) 2종류가 설치되어 회전축(27)의 회전 중심에 대해서 180° 떨어진 대칭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직립되어 있다.
윙 크로스(29)도 회전축(27)의 회전 중심에 대해서 180° 떨어진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직립되어 있다. 윙 크로스(29)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 예를 들면 한쪽 면이 털이 일어난 기모포(起毛布)로 구성되어 있다. 윙 크로스(29)는 회전축(27) 둘레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브러시(28)의 돌출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하면, 도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윙 크로스(29) 및 브러시(28)는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휜다. 제어부(40)에 의해 브러시 모터(44)를 제어하여 회전 브러시(25)를, 도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회전 (역회전)시킬 수도 있다. 회전 브러시(25)가 역회전 중에는 도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윙 크로스(29) 및 브러시(28)는 정회전 시와 역방향으로 휜다.
도5의 (A)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할 때의 윙 크로스(29)의 퍼짐 상태(원심력에 의한 퍼짐 상태)를 나타내고, 도5의 (B)는 회전 브러시(25)가 정역회전(정회전/역회전을 교대로 절환했을 때)할 때의 윙 크로스(29)의 퍼짐 상태를 나타낸다.
도5의 (A) 및 (B)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윙 크로스(29)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으로 교대로 완전히 절환될 때, 회전축(27)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퍼져, 회전축(27)의 둘레면에 엉겨 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의 긴 먼지를 회전축(27)으로부터 떠오르게 해서 긴 먼지가 회전축(27)에 달라붙지 않게 기능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6의 (A) 및 도6의 (B)는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이며, 회전 브러시(25)의 주위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달라붙은 상태(A) 및 회전 브러시(25)의 주위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어져 떨어지는 모습(B)을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하여 통상의 청소가 행해지는 동안에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달라붙는다.
그래서 소정의 타이밍, 예를 들면 청소의 개시시, 즉 회전 브러시(25)를 회전 개시시킬 때, 또는 예를 들면 특정의 스위치를 조작한 타이밍에 근거해서 회전 브러시(25)를 정회전/역회전으로 교대로 회전시키면, 도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실 등이 풀어져서 떨어지고, 실 등은 연통구(26) 및 유로(21a)를 통과하여 전기 소제기 본체(2)로 흡입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1)에서는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달라붙지 않게, 소정의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회전 브러시(25)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제어를 일정시간 행한다. 이러한 제어는 도3에서 설명한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된다.
도7은 도3에 도시하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며, 도6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풀어 떼어내기 위한 제어 내용을 나타낸다.
도3 및 도6을 참조하면서 도7의 흐름에 따라 설명을 한다.
제어부(40)는 스타트 신호가 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강/중/약」키(32)가 눌러짐으로써, 스타트 신호가 제어부(40)에 주어짐과 함께, 「강/중/약」키(32)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42)를 강 운전→중 운전→약 운전→강 운전하는 취지의 신호가 사이클릭으로 전환되어 제어부(40)에 주어진다.
제어부(40)는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판별하면, 예를 들면 RAM에 설치된 구동 플러그를 온하여(스텝 S2),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스텝 S3), 전동 송풍기(42)를 강 운전시킨다(스텝 S4).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강/중/약」키(32)가 눌러지면, 그 누름 횟수에 관계없이, 우선, 전동 송풍기가 강 운전된다.
그리고, 브러시 모터(44)가 T1초간 정회전(스텝 S5), T2초간 정지(스텝 S6), T3초간 역회전(스텝 S7), T4초간 정지(스텝 S8)로 구동되고, 이 구동은 타이머가 미리 정하는 시간 T0을 측정할 때까지 행해진다(스텝 S9).
여기에 T1=0.2초, T2=0.2초, T3=0.5초, T4=0.2초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제어에 의해 전기 소제기(1)의 구동 개시시에는 회전 브러시(25)가 T0초간 정회전/역회전이 교대로 절환되어 도6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이 달라붙어 있어도 그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어진다. 또, 회전 브러시(25)의 정회전/역회전과 연동해서 전동 송풍기(42)가 강 운전되므로 강한 흡인력이 작용하여 회전 브러시(25)로부터 풀어지는 머리카락이나 실 등은 확실히 전기 소제기 본체(2)로 흡입된다. 즉,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을 반복하여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어지는 동작과 더불어 강한 흡인력이 생기므로 머리카락이나 실을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3에 있어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9에 있어서 타이머가 TO초를 측정했는지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는데, 타이머를 대신해서 스텝 S5 내지 S8의 처리가 몇 회 행해졌는지를 계수하도록 하여 스텝 S5 내지 S8의 동작이 소정 횟수(예를 들면 5회) 행해졌을 때에 처리가 스텝 S10으로 진행되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25)를 구동시키고 있는 브러시 모터(4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전 브러시(25)의 정회전/역회전의 변경시에 있어서 정지시간 T2, T4를 도입하고 있지만, 브러시 모터(44)가 정지 기간을 두지 않고 회전 방향을 절환해도 원하는 사용 기간을 보증할 수 있는 것이면, 정지시간은 두지 않아도 된다. 또, T1, T2, T3, T4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스텝 S10에서는 타이머가 클리어 되어 정지되고, 전동 송풍기(42)가 오프되어 브러시 모터(44)도 오프된다. 즉, 전기 소제기(1)의 구동이 일단 정지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구동 플러그가 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제어 동작에서는 구동 플러그는 스텝 S2에서 온되어 있으므로 제어는 스텝 S12로 진행되어 통상의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즉, 스타트 신호와 함께 주어진 「강/중/약」키(32)의 누름 횟수에 근거해서 입력 신호에 따른 흡인력으로 되도록 전동 송풍기(42)가 구동된다.
또, 통상의 구동 제어에서는 조작 패널(30)의 「브러시 절/입」키(33)가 눌러질 때마다,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할지, 정지할지가 절환된다. 이러한 통상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전기 소제기(1)에 의한 청소가 실행된다.
청소가 끝나면, 사용자는 조작 패널(30)의 「절」키(31)를 누른다. 제어부(40)는 절 신호가 입력된 것을 판별하면(스텝 S13에서 YES), 구동 플러그를 오프하여 전동 송풍기(42) 및 브러시 모터(44)를 정지시킨다.
이상의 제어에 의하면, 전기 소제기(1)의 운전 개시시에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으로 교대로 절환되어 전동 송풍기(42)가 강 운전되고,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풀어져 제거되므로 그 후의 청소를,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휘감겨 있지 않은 상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전기 소제기(1)는 스타트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 회전 브러시(25)를 정회전/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에 대신해서 예를 들면 특정 키(도2의 조작 패널(30)에 설치한 5개의 키 이외의 키)를 설치하여 그 키가 눌러졌을 때에 제어부(40)가 그것을 판별하고(스텝 S15), 특정 키의 신호 입력에 따라서 스텝 S3 내지 S1O의 제어 처리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외의 타이밍, 예를 들면 「강/중/약」키(32)가 눌러져서 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이 절환될 때마다, 또는 「브러시 절/입」키(33)가 눌러져서 회전 브러시(25)가 회전 개시될 때, 또는 그 회전이 정지될 때, 회전 브러시(25)를 정역회전시켜,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풀어 제거하는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다음에 도8 내지 도14를 참조해서 전술한 전기 소제기(1)를 이용해서 흡입기구(10)의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웨트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을 행하기 위한 구성 및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웨트 시트」는 요즈음, 주로 개인 주택의 마루바닥(flooring) 등을 청소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청소용 시트로 일반적으로 부직포에 수분 및 알코올분이 함침된 청소용 시트이다. 예를 들면 「퀴클 와이퍼」(등록상표)가 잘 알려져 있다. 웨트 시트는 전용의 기구(봉의 끝에 직사각형의 장착판이 설치된 것)에 부착되어 마루바닥 등의 마루 면을 닦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웨트 시트를, 전기 소제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소제기에 의해 웨트 시트에 의한 걸레질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하고, 이러한 구성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이 실시 형태는 기 제안과는 달리, 전기 소제기의 흡입기구(10)에 설치된 회전 브러시(25)에 웨트 시트를 휘감음으로써, 웨트 시트를 이용한 걸레질을 행할 수 있는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8a 내지 도8d는 흡입기구(10)에 웨트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루 면(100)에 웨트 시트(50)를 펼쳐 두고, 웨트 시트(50)의 선단쪽의 위치에 회전 브러시(25)가 대향하도록, 웨트 시트(50)상에 흡입기구(10)를 싣는다. 그 상태로 조작 패널(30)(도2 참조) 「붙임」키(34)를 누른다.
이 조작에 따라, 회전 브러시(25) 및 전동 송풍기(42)가 소정의 양태로 구동되어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웨트 시트(50)가 휘감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붙임」키(34)의 누름에 따라서 회전 브러시(25)가 소정의 회전 속도로 정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웨트 시트(50)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휘감겨져,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에 두루 감긴 상태로 된다.
웨트 시트(50)에는 수분 및 알코올분이 함침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겨질 때에 웨트 시트(50)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함침되어 있는 수분이나 알코올분의 일부가 웨트 시트(50)로부터 비산한다. 그 때문에 비산하는 수분이나 알코올분이 마루 면(100)에 비산하지 않도록, 연통구(26)로부터 밴드(21) 내로 흡입되도록, 전동 송풍기(42)가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전동 송풍 기(42)의 흡인력이 강하여 웨트 시트(50)로부터 비산하는 수분이나 알코올분이 전기 소제기 본체(2) 내까지 도달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전동 송풍기(42)가 극히 약한 흡인력을 일으켜, 비산하는 수분이나 알코올분은 흡입기구(10)의 연통구(26)로부터 밴드(21)의 전방쪽의 위치까지 들어가고, 밴드(21)의 하방측에 형성된 작은 구멍(51)으로부터 떨어져서 거기에 배치된 흡습 부재(52)에 포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에 웨트 시트(50)가 휘감긴 후에는 회전 브러시(25)가 소정의 회전 속도로 정회전되고, 또한, 전동 송풍기에 의해 소정의 흡인력이 발생됨으로써, 웨트 시트(50)에 의해 마루 면(100)의 걸레질을 행할 수 있다. 걸레질 기간 중에는 웨트 시트(50)로부터 수분이나 알코올분이 비산하는 일은 없다. 웨트 시트(50)로부터 수분이나 알코올분이 비산하는 것은 웨트 시트(50)를 회전 브러시(25)에 휘감을 때뿐이다.
걸레질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조작 패널(30)의 「격리」키(35)가 눌러진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40)에 의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을 교대로 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또한, 흡인력이 강으로 되도록 전동 송풍기(42)가 구동된다.
회전 브러시(25)는 그 주위에 머리카락이나 실밥이 얽힌 경우에 정회전/역회전되면, 얽힌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려 떨어지는 취지를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도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이 회전되어 흡인력이 강으로 되면, 휘감긴 웨트 시트가 자동적으로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떨어져, 전기 소제기 본체(2)에 흡입된다.
도9에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할 때,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웨트 시트(50)가 떨어져 가는 모습을 도해적으로 도시한다.
도9의 (A)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 중인 웨트 시트(50)를 나타내고, (B), (C)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 교대로 반전함으로써,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웨트 시트(5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10은 도3에 도시하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3에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8a 내지 도9를 필요에 따라서 참조하면서 도10의 흐름에 따라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제어부(40)에 의해 조작 패널(30)에 설치된 「붙임」키(34)가 눌러져서 「붙임」키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21).
「붙임」키(34)의 신호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강/중/약」키(32) 및 「브러시 절/입」키(33)로부터의 입력의 접수는 금지하고(스텝 S22), 전동 송풍기(42)가 미약 운전되어(스텝 S23), 종이 팩 센서(45)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24).
종이 팩 센서(45)는 전기 소제기 본체(2)에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으면 오프하는 센서이며, 센서(45)가 온이면, 종이 팩이 아니라 수지 용기가 집진기능으로서 세트되어 있다고 판별되어 걸레질 모드가 진행된다.
센서(45)가 온이 아니면, 전기 소제기 본체(2)에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다고 판별되어 걸레질 모드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그 다음에 브러시 모터(44)가 회전 속도(N1)로 정회전된다(스텝 S25).
이 때의 브러시 모터(44)의 회전 속도(N1)는 회전 브러시(25)를 회전시켜, 그 둘레면에 웨트 시트(50)를 휘감고, 휘감긴 웨트 시트를 회전시키면서 걸레질을 행하기에 적절한 회전 속도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낮은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 브러시(25)가 회전되도록, 브러시 모터(44)의 회전 속도(N1)가 제어된다. 따라서 웨트 시트(50)가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겨지고, 웨트 시트(50)가 휘감긴 회전 브러시(25)가 회전되어 마루바닥 등의 걸레질이 행해진다. 그 때, 전동 송풍기(42)는 미약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있어 피 청소면(100)(마루바닥 등)에 존재하는 진애는 웨트 시트(50)로 닦여지는 것 외에 전기 소제기 본체(2)로도 흡인되어 포획된다.
걸레질이 종료되고, 「격리」키(35)가 눌러지면, 제어부(40)는 격리 신호 있음의 판별을 하여(스텝 S26에서 YES), 카운터를 「1」이라고 하고(스텝 S27), 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을 강으로 하여(스텝 S28), 브러시 모터(44)를 T1초간 정회전시키고(스텝 S29), 그 다음에 브러시 모터(44)를 T2초간 정지시키고(스텝 S30), 브러시 모터(44)를 T3초간 역회전시키고(스텝 S31), 브러시 모터(44)를 T4초간 정지시킨다(스텝 S32)고 하는 브러시 모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 처리를 행하여 카운터가 소정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3). 이 때, 카운터는 「1」이기 때문에 스텝 S27로 되돌아와, 카운터를 「1」 증대시켜(스텝 S27), 브러시 모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카운터가 미리 설정된 값, 예를 들면 「5」로 될 때까지, 브러시 모 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교대로 반복된다.
브러시 모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의 반복에 의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어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겨 있는 웨트 시트(50)가 풀어져 떨어지고, 전동 송풍기(42)에 의한 강 흡인력에 의해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떨어진 웨트 시트(50)는 전기 소제기 본체(2)로 흡입된다.
그리고 스텝 S33에 있어서 카운터가 미리 설정된 값으로 되었을 때에는 브러시 모터(44) 및 전동 송풍기(42)가 오프 되고(스텝 S34), 걸레질 모드는 종료한다.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소제기 본체(2)는 집진기능으로서 종이 팩을 세트할 수 있음과 함께, 진애를 원심분리해서 저류하는 수지 용기인 이른바 사이클론 유닛을 세트할 수도 있다. 어느 것이 세트되어 있는지는 내장의 센서(15)에 의해 검지할 수 있고,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웨트 시트(50)를 이용한 걸레질 모드는 거부되기 때문에 웨트 시트(50)가 종이 팩 내에 흡입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웨트 시트(50)의 수분에 의한 종이 팩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소제기 본체(2)와는 다른 종류의 전기 소제기 본체를 참조해서 전기 소제기 본체에 종이 팩을 세트한 경우와, 사이클론 유닛을 세트한 경우를, 어떻게 센서로 판별하느냐에 대해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1은 전기 소제기 본체(60)에 있어서 종이 팩(61)이 세트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12는 전기 소제기 본체(60)에 있어서 사이클론 유닛(62)이 세트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해서 전기 소제기 본체(60)에는 전동 송풍기(63)가 내장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63)의 전방측에는 집진 공간(64)이 형성되어 있다. 집진 공간(64)은 기밀 공간으로 되어 있어 흡입 호스(3)가 부착되는 입구(65)로부터 들어간 공기는 집진 공간(64) 외부로 누출되는 일 없이, 전동 송풍기(63)로 흡인되어 출구(66)로부터 전동 송풍기(63)로 흐른다. 이 때문에 입구(65) 주위에는 예를 들면 씰 패킹(seal packing)(67)이 갖춰져 있다.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 팩(61)이 세트된 경우에는 종이 팩(61)의 입구종이(61a)가 씰 패킹(67)에 압접되어 입구(65)의 주위가 밀봉된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63)가 구동되면, 집진 공간(64) 내 전체(회색으로 착색한 영역)가 부압으로 된다. 이 영역 내에 센서(45)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 유닛(62)이 세트된 경우에는 사이클론 유닛(62)의 입구(68)가 씰 패킹(67)에 압접되어 입구(65)가 밀봉된다. 사이클론 유닛(62)은 그 내부 공간이 기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63)가 동작되면, 그 흡인력에 의해 사이클론 유닛(62)의 내부공간(회색으로 나타낸 영역)은 부압으로 되지만, 집진 공간(64) 전체가 부압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센서(45)는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 팩(61)이 세트된 경우(A)와, 사이클론 유닛(62)이 세트된 경우(B)에서 다른 상태로 된다.
도13을 참조해서 집진 공간(64)을 구성하는 벽면(641)에는 센서(45)용의 부착구멍(642)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642)에는 씰 패킹(643)을 개재시켜 홀 더(71)가 장착되어 있다. 홀더(71)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슬라이드실(72)를 갖추고 있고, 슬라이드실(7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피스톤(73)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73)은 코일 스프링(74)에 의해 도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힘이 더해져 있다.
피스톤(73)이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한 상태에서는 피스톤(73)의 작용간(75)이 홀더(71)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어 마이크로 스위치(76)의 액튜에이터(77)를 변위시켜, 마이크로 스위치(76)를 예를 들면 온 상태로 하고 있다.
그런데, 종이 팩이 세트된 상태에서는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공간(64) 내 전체가 부압으로 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실(72) 내에 있어서의 집진 공간(64)과 연통한 공간(피스톤(73)의 우측의 공간)은 부압으로 되고, 이 부압에 의해 피스톤(73)은 코일 스프링(74)의 탄력에 저항해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A)상태로 된다. 따라서 작용간(75)이 액튜에이터(77)로부터 떨어지고, 마이크로 스위치(76)는 예를 들면 오프 상태로 완전히 절환된다.
한편, 사이클론 유닛이 세트된 상태(B)에서는 집진 공간(64) 전체가 부압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것처럼 사이클론 유닛(62) 내의 공간만이 부압으로 되므로 피스톤(73)은 우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는다.
이상의 원리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76)의 온 또는 오프를 판별함으로써,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45)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웨트 시트(50)를 휘감을 때에는 전용의 키인 「붙임」키(34)를 누르면 되는데, 사용자가 잘못해서 예를 들면 「강/중/약」키(32)를 눌러 웨트 시트(50)를 장착하려고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러한 조작을 해도 웨트 시트(50)의 휘감김이 행해지지 않도록 한, 이른바 실수 방지 기구를 가지는 변형예에 대해서 이하 설명을 한다.
도14는 실수 방지 기구가 부가된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이다. 도14에 도시하는 흡입기구(10)에는 하우징(20) 내에 형성된 수용실(23) 내에 연통구(26)의 입구에 관련해서 걸림 리브(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리브(55)가 실수 방지를 위한 방해 부재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기구(10)는 웨트 시트(50)를 휘감을 때에는 도에 있어서 우회전(역회전)된다. 회전 브러시(25)가 역회전하면, 그 주위에 웨트 시트(50)가 양호하게 두루 감긴다(도14의 (B)).
한편,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하는 경우는 웨트 시트(50)는 휘감을 수 없다. 왜냐하면, 도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회전하는 회전 브러시(25)에 웨트 시트(50)를 휘감으려고 하면, 회전 브러시(25)에 안내되는 웨트 시트(50)가 걸림 리브(55)의 하단과 부딪쳐서 웨트 시트(50)는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이 아니라, 연통구(26) 방향으로 안내된다.
전기 소제기(1)에 있어서 「브러시 절/입」키(33)에 의해 회전 브러시(33)가 회전될 때는 회전 브러시(25)는 정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잘못해서 「브러시 절/입」키(33)을 눌러, 웨트 시트(50)를 휘감으려고 해도 웨트 시트(50)는 회전 브 러시(25)에 휘감기지 않고, 집진실로 회수된다.
도15는 실수 방지를 위한 방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5의 구성에서는 수용실(23) 내에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과 대향하도록, 경사 기모포(56)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 기모포(56)는 정회전하는 회전 브러시(25)에 의해 털이 곤두서도록 털의 결이 심어 세워져 있다. 따라서 정회전하는 회전 브러시(25)에 웨트 시트(50)를 감으려고 해도 휘감김이 저지된다(도15의 (A)).
한편, 회전 브러시(25)가 역회전하는 경우는 회전 브러시(25)의 주위에 휘감기려고 하는 웨트 시트(50)의 휘감김은 저지되지 않고, 웨트 시트(50)는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순조롭게 휘감긴다(도15의 (B)).
이와 같이, 경사 기모포(56)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도 정회전하는 회전 브러시(25)에의 웨트 시트(50)의 휘감김을 저지할 수 있다.
도16은 실수 방지를 위한 방해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6의 실수 방지 기구는 흡입기구(10)를 구성하는 셔터(22)에 에어인테이크(57)를 형성한 것이다.
전동 송풍기가 동작해서 흡인력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흡입구(24)로부터 공기가 흡입됨과 함께, 에어인테이크(57)로부터도 보조적으로 공기가 흡입된다. 에어인테이크(57)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회전 브러시(25)의 상면측을, 도에 있어서 좌로부터 우방향으로 흐른다.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하고 있을 때, 웨트 시트(50)를 휘감으려고 해도 웨트 시트(50)는 에어인테이크(57)로부터 유입되는 흡인풍에 의해 회전 브러시(25) 에의 휘감김을 저해한다(도16의 (A)).
한편, 회전 브러시(25)가 역회전하고 있는 경우는 회전 브러시(25) 둘레면에의 휘감김 방향과 에어인테이크(57)로부터 흡입되는 흡인풍의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어 웨트 시트(50)는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양호하게 두루 감긴다(도16의 (B)).
이상 설명한 도14 내지 도16과 같이, 통상의 청소 시의 회전 브러시(25)의 회전 방향인 정회전과는 반대인 역회전 시에 웨트 시트(50)를 회전 브러시(25) 둘레면에 휘감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일 때에는 웨트 시트의 휘감김을 저지하는 방해 부재(예를 들면 걸림 리브(55), 경사 기모포(56) 또는 에어인테이크(57) 등)을 설치함으로써, 이른바 실수 방지 기구를 탑재한 흡입기구(10)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기구(10)의 회전 브러시(25)는 윙 크로스(29)를 갖추고 있으므로 윙 크로스(29)의 작용에 의해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머리카락, 실, 웨트 시트(50)등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회전 브러시(25)에 윙 크로스(29)가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여도 회전 브러시(25)에 감긴 머리카락, 실, 웨트 시트 등을 자동적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회전 브러시(25)를 소정의 양태로 정회전/역회전 교대로 절환하고, 그 때에 전동 송풍기에 의한 흡인력을 강으로 함으로써, 회전 브러시에 휘감긴 머리카락, 실, 웨트 시트 등이 서서히 풀리고, 풀린 머리카락, 실, 웨트 시트 등은 강한 흡인력으로 흡인되므로 회전 브러시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17은 조작 패널(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립(8)의 전방측에는 조작 패널(200)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200)에는 다음의 5개의 키가 배열되어 있다.
「절」키(201)는 전기 소제기(1)의 운전(전기 소제기(1)의 모든 운전 동작)을 종료하는 경우에 조작되는(누르는) 키이며, 전기 소제기(1)에의 전원 공급의 차단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강/중/약」키(202)는 전기 소제기(1)에 대해서 운전 개시 신호를 입력함과 함께, 운전 모드(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의 세기)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브러시 절/입」키(203)는 전기 소제기(1)가 동작 중(전동 송풍기(42)가 동작 중)에 있어서 흡입기구(10)의 하우징(20) 내에 내장된 회전 브러시(25)(도4 참조)의 정지/회전을 절환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붙임/닦음」키(204) 및 「격리」키(205)는 흡입기구(10)의 하우징(20)에 내장된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 모드로 할 때에 눌러짐과 함께, 휘감은 시트를 떼어낼 때에 눌러지는 키이다.
도18은 전기 소제기(1)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조작 패널(200)에 배열된 5개의 키, 즉, 「절」키(201), 「강/중/약」키(202), 「브러시 절/입」키(203), 「붙임/닦음」키(204), 및, 「격리」키(205)의 신호는 각각, 제어부(40)에 주어진다. 제어부(40)는 CPU, ROM, RAM 등의 전자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소제기(1)의 제어 중추로서 기능한다. 제어부(40)는 드라이버(41)를 통해 전동 송풍기(4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드라이버(43)를 통해 브러시 모터(44)의 구동을 제어한다. 브러시 모터(44)는 흡입기구(10)의 하우징(20) 내에 설치된 회전 브러시(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제어부(40)에는 종이 팩 센서(45)로부터의 신호가 주어진다. 전기 소제기 본체(2)는 먼지 수집 용기로서 종이 팩, 또는 진애를 원심분리해서 저류하는 수지 용기를 택일적으로 세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지, 수지 용기가 세트되어 있는지는 센서(45)의 신호에 의해 판별된다. 제어부(4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트의 이용을 할 수 없게 제어한다.
전기 소제기(1)에는 또한, 전원 회로(46)가 포함되어 있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전원 회로(46)를 통해 드라이버(41, 43)에 공급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1)에서도 전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와 마찬가지로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달라붙지 않도록, 소정의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회전 브러시(25)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제어를 일정시간 행한다. 이러한 제어는 도18에서 설명한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된다.
도19는 도18에 도시하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며, 전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6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풀어 떼어내기 위한 제어 내용을 나타낸 다. 또, 회전 브러시(25) 외주에 시트를 휘감아 청소를 행한 채로 시트를 떼어내는 것을 잊어버리고 융단 등을 청소하려고 했을 때에 시트를 떼어내기 위한 제어도 행한다.
도18 및 도6을 참조하면서 도19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제어부(40)는 스타트 신호가 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1).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강/중/약」키(202)가 눌러짐으로써, 스타트 신호가 제어부(40)에 주어짐과 함께, 「강/중/약」키(202)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42)를 강 운전→중 운전→약 운전→강 운전하는 취지의 신호가 사이클릭으로 전환되어 제어부(40)에 주어진다.
제어부(40)는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판별하면, 예를 들면 RAM에 설치된 구동 플러그를 온하여(스텝 S102),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스텝 S103), 전동 송풍기(42)를 강 운전시킨다(스텝 S104).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강/중/약」키(202)가 눌러지면, 그 누름 횟수에 관계없이, 우선, 전동 송풍기가 강 운전된다.
그리고, 브러시 모터(44)가 T1초간 정회전(스텝 S105), T2초간 정지(스텝 S106), T3초간 역전(스텝 S107), T4초간 정지(스텝 S108)로 구동되고, 이 구동은 타이머가 미리 정하는 시간 T0을 측정할 때까지 행해진다(스텝 S109).
여기에 T1=0.2초, T2=0.2초, T3=0.5초, T4=0.2초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제어에 의해 전기 소제기(1)의 구동 개시시에는 회전 브러시(25)가 T0초간 정회전/역회전이 교대로 절환되어 도6에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이 달라붙어 있어도 그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어진다. 또, 회전 브러 시(25)의 정회전/역회전과 연동해서 전동 송풍기(42)가 강 운전되므로 강한 흡인력이 작용하여 회전 브러시(25)로부터 풀어지는 머리카락이나 실 등은 확실히 전기 소제기 본체(2)로 흡입된다. 즉,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을 반복하여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어지는 동작과 더불어 강한 흡인력이 생기므로 머리카락이나 실을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또, 회전 브러시(25) 외주에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을 행한 채로 시트를 떼어내는 것을 잊고 있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을 함으로써, 시트의 휘감김이 느슨해져, 전동 송풍기(42)의 강한 흡인력에 의해 시트가 흡인된다. 따라서 시트를 떼어내는 것을 잊어 시트를 휘감은 상태인 채로 융단 등의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103에 있어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109에 있어서 타이머가 TO초를 측정했는지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지만, 타이머를 대신해서 스텝 S105 내지 S108의 처리가 몇 회 행해졌는지를 계수하도록 하여 스텝 S105 내지 S108의 동작이 소정 횟수(예를 들면 5회) 행해졌을 때에 처리가 스텝 S110으로 진행되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25)를 구동시키고 있는 브러시 모터(4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전 브러시(25)의 정회전/역회전의 변경시에 있어서 정지시간 T2, T4를 도입하고 있지만, 브러시 모터(44)가 정지 기간을 두지 않고 회전 방향을 절환해도 원하는 사용기간을 보증할 수 있는 것이면, 정지시간은 두지 않아도 된다. 또, T1, T2, T3, T4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다음에 제어는 스텝 S110으로 진행되어 통상의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즉, 스타트 신호와 함께 주어진 「강/중/약」키(202)의 누름 횟수에 근거해서 입력 신호에 따른 흡인력으로 되도록 전동 송풍기(42)가 구동된다.
또, 통상의 구동 제어에서는 조작 패널(200)의 「브러시 절/입」키(203)가 눌러질 때마다,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할지, 정지할지가 절환된다. 이러한 통상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전기 소제기(1)의 청소가 실행된다.
청소가 끝나면, 사용자는 조작 패널(200)의 「절」키(201)를 누른다. 제어부(40)는 절 신호가 입력된 것을 판별하면(스텝 S111에서 YES), 구동 플러그를 오프하여 전동 송풍기(42) 및 브러시 모터(44)를 정지시킨다.
이상의 제어에 의하면, 전기 소제기(1)의 운전 개시시에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으로 교대로 절환되어 전동 송풍기(42)가 강 운전되고,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풀어져 제거되므로 그 후의 청소를, 회전 브러시(25)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휘감겨 있지 않은 상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시트를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잊어 시트를 휘감은 채로 융단 등의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 불편을 개소할 수 있다.
전기 소제기(1)는 스타트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 회전 브러시(25)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에 대신해서 예를 들면 특정 키(도17의 조작 패널(200)에 설치한 5개의 키 이외의 키)를 설치하여 그 키가 눌러졌을 때에 제어부(40)가 그것을 판별하고(스텝 S113), 특정 키의 신호 입력에 따라서 스텝 S103 내지 S11O의 제어 처리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외의 타이밍, 예를 들면 「강/중/약」키(202)가 눌러져서 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이 절환될 때마다, 또는 「브러시 절/입」키(203)가 눌러져서 회전 브러시(25)가 회전 개시될 때, 또는 그 회전이 정지될 때, 회전 브러시(25)를 정역회전시켜, 회전 브러시(25)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풀어 제거하는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다음에 도20 내지 도23을 참조해서 전술한 전기 소제기(1)를 이용해서 흡입기구(10)의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을 행하기 위한 구성 및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시트」는 옷감이나 종이, 예를 들면 마루바닥 시트 등의 진애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시트이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시트를, 전기 소제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소제기에 의해 시트에 의한 걸레질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하고, 이러한 구성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이 실시 형태는 전기 소제기의 흡입기구(10)에 설치된 회전 브러시(25)에 시트를 휘감음으로써, 시트를 이용한 걸레질을 행할 수 있는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20a 내지 도20D는 흡입기구(10)에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루 면(100)에 시트(50)를 펴 두고, 시트(50) 의 선단쪽의 위치에 회전 브러시(25)가 대면하도록, 시트(50)상에 흡입기구(10)를 싣는다. 그 상태로 조작 패널(200)(도17 참조) 「붙임/닦음」키(204)를 누른다.
이 조작에 따라, 회전 브러시(25) 및 전동 송풍기(42)가 소정의 양태로 구동되어 도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시트(50)가 휘감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붙임/닦음」키(204)의 누름에 따라서 회전 브러시(25)가 소정의 회전 속도로 정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50)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에 휘감겨져, 도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에 두루 감긴 상태로 된다.
전동 송풍기(42)는 브러시 모터(44)의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25)에 시트가 휘감긴 상태로 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대략 2초 경과 후에 기동하게 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25)와 동시에 전동 송풍기(42)가 구동된 경우에는 회전 브러시(25)에 시트(50)가 휘감겨질 때에 전동 송풍기(42)에 의해 시트(50)가 흡인되고, 특히 연통구(26)에 대향하는 시트의 중앙 부분이 강하게 흡인되어 시트(50)가 회전 브러시(25) 외주에 균일하게 휘감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25)에 시트가 휘감긴 후에 전동 송풍기(42)가 기동되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에 의해 시트(50)가 균일하게 휘감기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에 시트(50)가 휘감긴 후에는 회전 브러시(25)가 소정의 회전 속도로 정회전되고, 또한, 전동 송풍기에 의해 소 정의 흡인력이 발생됨으로써, 시트(50)에 의해 마루 면(100)의 걸레질을 행할 수 있다.
이 걸레질 상태에 있어서 「브러시 절/입」키(203)가 조작 가능해진다. 시트(50)를 휘감을 때, 시트(50)가 회전 브러시(25)에 대해서 똑바로 휘감기지 않고, 비스듬하게 휘감기거나 걸레질을 하고 있는 동안에 시트(50)가 회전 브러시(25)에 대해서 치우치는 등 하여 회전 브러시(25)에 대해서 시트(50)가 불균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회전 브러시(25)를 회전시키면, 진동을 크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브러시 절/입」키(203)을 조작하여 회전 브러시(25)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정지시킨 상태로 걸레질을 행한다. 회전 브러시(25)는 피 청소면과의 마찰 저항에 의해 회전하여 시트(50) 전 둘레를 이용해서 걸레질을 행할 수 있다.
흡입기구(10)에는 피 청소면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흡입기구(10)가 피 청소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졌을 때에는 회전 브러시(25)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 브러시(25)에 손가락 등이 접촉해서 부상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흡입기구(10)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로 전동 송풍기(42)의 구동을 계속하는 구성에서는 회전 브러시(25) 외주에 휘감긴 시트의 단부가 연통구(26) 근방에 위치한 경우, 시트 단부가 흡인력에 의해 펄럭여서 잡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기구(10)를 피 청소면으로부터 들어올렸을 때에는 브러시 모터(44)와 전동 송풍기(42)를 정지시켜, 시트 단부의 펄럭임에 의한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걸레질이 종료했을 때에는 조작 패널(200)의 「격리」키(205)가 눌러진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40)에 의해 전동 송풍기(42)가 흡인력이 강으로 되도록 구동되어 전동 송풍기(42)의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송풍기(42)가 강의 흡입력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 구체적으로는 약 2초 경과 후에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을 교대로 하도록 구동 제어된다.
회전 브러시(25)는 그 주위에 머리카락이나 실밥이 얽힌 경우에 정회전/역회전되면, 얽힌 머리카락이나 실이 풀려 떨어지는 취지를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도2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으로 회전되어 흡인력이 강으로 되면, 휘감긴 시트가 자동적으로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떨어져, 전기 소제기 본체(2)에 흡입된다.
도21에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할 때,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시트(50)가 떨어져 가는 모습을 도해적으로 도시한다.
도21의 (A)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 중인 시트(50)를 나타내고, (B), (C)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 교대로 반전함으로써, 회전 브러시(25)의 둘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시트(5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22 및 도23은 도18에 도시하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걸레질 모드 및 시트 탈거 모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19에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20a 내지 도21을 필요에 따라서 참조하면서 도22 및 도23의 흐름에 따라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제어부(40)에 의해 조작 패널(200)에 설치된 「붙임/닦음」키(204)가 눌러져서 「붙임/닦음」키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21).
「붙임/닦음」키(204)의 신호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강/중/약」키(202) 및 「브러시 절/입」키(203)로부터의 입력의 접수는 금지하고, 종이 팩 센서(45)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22).
종이 팩 센서(45)는 전기 소제기 본체(2)에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으면 오프하는 센서이며, 센서(45)가 온이면, 종이 팩이 아니라 수지 용기가 집진기능으로서 세트되어 있다고 판별되어 걸레질 모드가 진행된다.
센서(45)가 온이 아니면, 전기 소제기 본체(2)에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다고 판별되어 걸레질 모드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브러시 모터(44)가 회전 속도(N1)로 정회전된다(스텝 S123).
이 때의 브러시 모터(44)의 회전 속도(N1)는 회전 브러시(25)를 회전시켜, 그 둘레면에 시트(50)를 휘감고, 휘감긴 시트를 회전시키면서 걸레질을 행하기에 적절한 회전 속도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 브러시(25)가 회전되도록, 브러시 모터(44)의 회전 속도(N1)가 제어된다. 따라서 시트(50)가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다.
시트(50)를 회전 브러시(25)에 휘감을 때, 시트(50)의 휘감김에 편향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시트(50)를 휘감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진동이 커지기 쉽고, 또, 피 청소면과의 접촉 저항이 커서 브러시 모터(44)의 부하가 커지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 브러시(25)는 시트(50)를 휘감은 상태에서는 통상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그 다음에 타이머가 스타트 되어(스텝 S124), 타이머가 소정 시간,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25)에 시트(50)가 휘감긴 상태로 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25), 소정시간 경과하면, 전동 송풍기(42)를 미약한 흡인력으로 동작시켜(스텝 S126), 마루바닥 등의 걸레질이 행해진다. 걸레질 시에는 전동 송풍기(42)는 미약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있어 피 청소면(100)(마루바닥 등)에 존재하는 진애는 시트(50)로 닦여지는 것 외에 전기 소제기 본체(2)로도 흡인되어 포획된다.
걸레질이 종료하면, 사용자는 조작 패널(200)의 「절」키(201)를 누른다. 제어부(40)는 절 신호가 입력된 것을 판별하면(스텝 S127에서 YES), 전동 송풍기(42) 및 브러시 모터(44)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도23에 근거해서 시트 탈거 모드를 설명한다.
걸레질이 종료되고, 「격리」키(205)가 눌러지면, 제어부(40)는 격리 신호 있음의 판별을 하여(스텝 S131에서 YES), 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을 강으로 하고(스텝 S132), 전동 송풍기(42)의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송풍기(42)의 흡인력이 증대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33 및 S134). 소정 시간 경과되어 있으면, 브러시 모터(44)를 T1초간 정회전시키고(스텝 S135), 그 다음에 브러시 모터(44)를 T2초간 정지시키고(스텝 S136), 브러시 모터(44)를 T3초간 역회전시키고 (스텝 S137), 브러시 모터(44)를 T4초간 정지시킨다(스텝 S138)고 하는 브러시 모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 처리를 행하여 타이머가 일정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9).
그리고, 브러시 모터(44)가 기동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예를 들면 5초 경과할 때까지, 브러시 모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교대로 반복된다.
브러시 모터(4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의 반복에 의해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어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겨 있는 시트(50)가 풀어져 떨어지고, 전동 송풍기(42)에 의한 강 흡인력에 의해 회전 브러시(25)로부터 떨어진 시트(50)는 전기 소제기 본체(2)로 흡입된다.
그리고, 스텝 S139에 있어서 일정시간 경과하면, 브러시 모터(44) 및 전동 송풍기(42)가 오프되고(스텝 S140), 시트 탈거 모드는 종료한다.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소제기 본체(2)는 집진기능으로서 종이 팩을 세트할 수 있음과 함께, 진애를 원심분리해서 저류하는 수지 용기인 이른바 사이클론 유닛을 세트할 수도 있다. 어느 것이 세트되어 있는지는 내장의 센서(15)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트(50)를 이용한 걸레질 모드는 거부되기 때문에 시트(50)가 종이 팩 내에 흡입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시트(50)에 의해 종이 팩이 조기에 가득 차게 되거나, 시트(50)가 통기 저항으로 되어 흡인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기구(10)의 회전 브러시(25)는 윙 크로스(29)를 갖추고 있으므로 윙 크로스(29)의 작용에 의해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머리카 락, 실, 시트(40)등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회전 브러시(25)에 윙 크로스(29)가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여도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머리카락, 실, 시트 등을 자동적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회전 브러시(25)를 소정의 양태로 정회전/역회전 교대로 절환하고, 그 때에 전동 송풍기에 의한 흡인력을 강으로 함으로써, 회전 브러시에 휘감긴 머리카락, 실, 시트 등이 서서히 풀리고, 풀린 머리카락, 실, 시트 등은 강한 흡인력으로 흡인되므로 회전 브러시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이다.
웨트 시트를 회전 브러시에 휘감아 걸레질을 하는 경우, 청소를 하고 있으면, 점차 웨트 시트의 표면이 마르게 되어 웨트 시트의 효과가 없어진다. 웨트 시트의 이점은 수분에 의해 미세한 진애를 흡착하기 쉽고, 마른 시트보다 진애의 흡착 효율이 높은 점이 있다. 따라서 웨트 시트 표면이 마르게 되면, 걸레질의 효과, 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그러나, 휘감긴 웨트 시트의 내측에는 충분히 수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 수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청소의 개시시에는 웨트 시트로부터 수분이 비산되어 청소기 본체에 수분이 흡인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회전 브러시(25)를 최저속으로 회전시키고, 웨트 시트의 외측이 마르게 됨에 따라, 회전 브러시(25)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내측의 수분을 원심력을 이용해서 외주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24는 걸레질 모드 시에 제어부에 의해 회전 브러시(25)의 회전수를 점차 증가시키는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18에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 20a 내지 도21을 필요에 따라서 참조하면서 도24의 흐름에 따라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제어부(40)에 의해 조작 패널(200)에 설치된 「붙임/닦음」키(204)가 눌러져서 「붙임/닦음」키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41).
「붙임/닦음」키(204)의 신호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강/중/약」키(202) 및 「브러시 절/입」키(203)로부터의 입력의 접수는 금지하고, 종이 팩 센서(45)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142).
종이 팩 센서(45)는 전기 소제기 본체(2)에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으면 오프하는 센서이며, 센서(45)가 온이면, 종이 팩이 아니라 수지 용기가 집진기능으로서 세트되어 있다고 판별되어 걸레질 모드가 진행된다.
센서(45)가 온이 아니면, 전기 소제기 본체(2)에 종이 팩이 세트되어 있다고 판별되어 걸레질 모드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브러시 모터(44)가 가장 낮은 회전 속도(N1)로 정회전된다(스텝 S143).
이 때의 브러시 모터(44)의 회전 속도(N1)는 회전 브러시(25)를 회전시켜, 그 둘레면에 웨트 시트(50)를 휘감고, 휘감긴 웨트 시트를 회전시키면서 걸레질을 행하여 회전시킨 상태로 휘감긴 웨트 시트로부터 수분이 그다지 비산하지 않을 정도의 회전 속도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 브러시(25)가 회전되도록, 브러시 모터(44)의 회전 속도(N1)가 제어된다. 따라서 웨트 시트(50)가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다.
웨트 시트(50)를 회전 브러시(25)에 휘감을 때, 웨트 시트(50)의 휘감김에 편향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웨트 시트(50)를 휘감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진동이 커지기 쉽고, 또, 피 청소면과의 접촉 저항이 커서 브러시 모터(44)의 부하가 커지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 브러시(25)는 웨트 시트(50)를 휘감은 상태에서는 통상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그 다음에 타이머가 스타트 되어(스텝 S144), 타이머가 소정 시간,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25)에 웨트 시트가 휘감긴 상태로 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S145), 소정 시간 경과하면, 전동 송풍기(42)를 미약한 흡인력으로 동작시키고(스텝 S146), 플로어링 등의 걸레질이 행해진다. 걸레질 시에는 전동 송풍기(42)는 미약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있어 피 청소면(100)(마루바닥 등)에 존재하는 진애는 웨트 시트(50)로 닦여지는 것 외에 전기 소제기 본체(2)로도 흡인되어 포획된다.
그 다음에 타이머가 스타트 되어(스텝 S147), 청소를 개시하여 웨트 시트(50)의 표면이 건조되어 갈 정도의 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0초가 경과하면(스텝 S148),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스텝 S149).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의 증대에 의해 회전 브러시(25)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원심력이 증대함으로써,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웨트 시트(50)의 내측의 수분이 표면에 삼출되고, 그 수분을 이용해서 계속해서 걸레질을 행한다.
스텝 S147로부터 스텝 S149를 반복하여 웨트 시트(50)의 내측의 수분을 유효 하게 이용해서 걸레질을 행하고, 웨트 시트(50)를 휘감은 상태로 큰 진동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회전수까지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가 증대하면,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의 증가를 정지한다(스텝 S150).
스텝 S143에 있어서의 브러시 모터(44)의 최저 회전수, 스텝 S148에서 증가시키는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 스텝 S147로부터 스텝 S149를 반복하는 횟수, 및 스텝 S150에 있어서의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의 증가를 정지할 때의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는 이 제어 내용을 채용하는 구성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된다.
걸레질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조작 패널(200)의 「절」키(31)를 누른다. 제어부(40)는 절 신호가 입력된 것을 판별하면(스텝 S151에서 YES), 전동 송풍기(42) 및 브러시 모터(44)를 정지시킨다(스텝 S152).
또한, 이 제어 내용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25)에 웨트 시트가 아니라, 플로어링 시트 등의 흡착 시트를 휘감아 걸레질을 행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시트로부터의 수분의 비산이 없기 때문에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를 서서히 증대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흡입기구(10)의 흡인된 공기가 통과하는 적당 위치, 예를 들면 밴드(21)에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 센서를 배치하고, 시트(50)를 휘감고 나서 소정시간 동안에 수분 센서가 수분을 검출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어 내용을 행하고, 수분 센서가 수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브러시 모터(44)의 회전수를 서서히 증대시키는 스텝 S147로부터 스텝 S149를 생략하고 스텝 S150으로 이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우측면도.
도2는 조작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4는 흡입구의 우측면 종단면도.
도5는 회전 브러시(25)의 회전과 윙 크로스(29)의 퍼짐 상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6은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
도7은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8a는 흡입기구(10)에 웨트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8b는 흡입기구(10)에 웨트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8c는 흡입기구(10)에 웨트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8d는 흡입기구(10)에 웨트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9는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할 때,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웨트 시트(50)가 떨어져 가는 모습을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도.
도10은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11은 전기 소제기 본체(60)에 있어서 종이 팩(61)이 세트된 상태의 단면도.
도12는 전기 소제기 본체(60)에 있어서 사이클론 유닛(62)이 세트된 상태의 단면도.
도13은 센서(4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4는 실수 방지 기구의 일례가 부가된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
도15는 실수 방지 기구의 다른 예가 부가된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
도16은 실수 방지 기구의 또 다른 예가 부가된 흡입기구(10)의 우측면 종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평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19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20a는 흡입기구(10)에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20b는 흡입기구(10)에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20c는 흡입기구(10)에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20d는 흡입기구(10)에 시트(50)를 장착해서 걸레질을 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
도21은 회전 브러시(25)가 정회전/역회전할 때, 회전 브러시(25)에 휘감긴 시트(50)가 떨어져 가는 모습을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도.
도22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23은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시트 탈거 모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24는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걸레질 모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기 소제기
2:전기 소제기 본체
10:흡입구
20:하우징
21:밴드
24:흡입구
25:회전 브러시
29:윙 크로스(달라붙음 방지용 블레이드)
30:조작 패널
40:제어부
42:전동 송풍기
44:브러시 모터
50:웨트 시트, 시트
55:걸림 리브(방해 부재)
56:경사 기모포(방해 부재)
57:에어인테이크(방해 부재)
60:전기 소제기 본체
61:종이 팩
62:사이클론 유닛
63:전동 송풍기

Claims (3)

  1. 피 청소면에 대향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둘레면의 일부가 상기 흡입구로부터 면하고 있는 회전 브러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하우징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하우징 내에 흡입된 공기 및 진애를 안내하기 위한 통 모양의 밴드를 포함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밴드에 연결되어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소제기 본체와,
    상기 회전 브러시의 둘레면에 휘감긴 시트를 떼어내기 위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브러시를 정회전 및 역전시키는 동작을 반복시키는 탈거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송풍기의 기동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회전 브러시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제기.
KR1020080011874A 2007-02-09 2008-02-05 전기 소제기 KR100990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0049 2007-02-09
JP2007030049 2007-02-09
JPJP-P-2007-00173793 2007-07-02
JP2007173793 2007-07-02
JP2007318040A JP5172307B2 (ja) 2007-02-09 2007-12-10 電気掃除機
JPJP-P-2007-00318040 2007-12-10
JPJP-P-2007-00319832 2007-12-11
JP2007319832A JP5232459B2 (ja) 2007-02-09 2007-12-11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787A true KR20080074787A (ko) 2008-08-13
KR100990781B1 KR100990781B1 (ko) 2010-10-29

Family

ID=3943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874A KR100990781B1 (ko) 2007-02-09 2008-02-05 전기 소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2183B2 (ko)
EP (1) EP1955634B1 (ko)
KR (1) KR100990781B1 (ko)
AU (1) AU2008200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1895C2 (nl) * 2008-08-15 2010-02-16 4Wwwwie B V I O Ruitsamenstel voorzien van reinigingsinrichting.
DE102011051683A1 (de) * 2011-07-08 2013-01-10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aubsaugers mit einem Zyklonabscheider und Staubsauger mit einem Zyklonabscheider
KR101411711B1 (ko) * 2012-03-08 201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GB2507320B (en) * 2012-10-26 2014-12-10 Dyson Technology Ltd Switching mechanism
WO2014124274A1 (en) * 2013-02-08 2014-08-14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Battery-powered cordless cleaning system
GB2515082B (en) 2013-06-13 2015-10-2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USD741557S1 (en) 2014-01-15 2015-10-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ust collector
USD742081S1 (en) 2014-01-15 2015-10-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ust collector
US10458128B2 (en) * 2015-10-08 2019-10-29 Owens Corning Intellecutal Capital, LLC Loosefill insulation blowing machine with a distribution airstream having a variable flow rate
US10524627B1 (en) * 2016-10-05 2020-01-07 Al Incorporated Method for automatically removing obstructions from robotic floor-cleaning devices
CN108903795B (zh) * 2018-05-23 2024-01-1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及滚刷组件旋转方向控制方法
KR20210066602A (ko) * 2019-11-28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청소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3854908B (zh) * 2021-09-30 2022-12-23 易宝软件有限公司 洗地机的自清洁方法、洗地机、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9271A (en) 1976-05-18 1977-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floor nozzle
JPS62133904A (ja) 1985-12-04 1987-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ブラシ
JPH05192277A (ja) 1992-01-23 1993-08-03 Sharp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SE506372C2 (sv) 1996-04-30 1997-12-08 Electrolux Ab Självgående anordning
US6859976B2 (en) * 2002-02-22 2005-03-01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apparatus with continuous action wiping and sweeping
JP2004222739A (ja) 2003-01-17 2004-08-12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および塵埃の吸着用シート
US6966098B2 (en) * 2003-02-27 2005-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leaner
KR100746935B1 (ko) 2003-07-09 2007-08-08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JP2005304954A (ja) 2004-04-23 2005-11-04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2183B2 (en) 2010-05-11
US20080201897A1 (en) 2008-08-28
EP1955634A3 (en) 2009-05-13
KR100990781B1 (ko) 2010-10-29
EP1955634B1 (en) 2011-08-10
EP1955634A2 (en) 2008-08-13
AU2008200647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781B1 (ko) 전기 소제기
JP5232459B2 (ja) 電気掃除機
US7509707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dirt detection sensor
EP2801312B1 (en) Bare floor vacuum cleaner
WO2018085356A1 (en) Multi-mode cleaning apparatus with suction
JP6560921B2 (ja) 電気掃除機
EP386826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amp cleaning
WO2002082965A2 (en) Bare floor shifter for vacuum cleaner
US7272871B1 (en) Dirt vessel equipped with cleaning plunger
KR20040067897A (ko) 전기 청소기
KR101851585B1 (ko) 진공 청소기용 브러쉬장치
JP494525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US10980381B1 (en) Nozzle assembly for vacuum device
JP7035446B2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2005065770A (ja) 電気掃除機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JP6413091B2 (ja) 電気掃除機
US20240138639A1 (en) Vacuum cleaning device
US20240138638A1 (en) Vacuum cleaning device
JP5567394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JP2021083681A (ja) 吸込具および電気掃除機
CA2617707C (en)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system
CA2619187A1 (en) Canister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ir cushion caster wheel assembly
JP200902245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