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461A -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461A
KR20080074461A KR1020070013631A KR20070013631A KR20080074461A KR 20080074461 A KR20080074461 A KR 20080074461A KR 1020070013631 A KR1020070013631 A KR 1020070013631A KR 20070013631 A KR20070013631 A KR 20070013631A KR 20080074461 A KR20080074461 A KR 2008007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d
keypad
key button
ke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786B1 (ko
Inventor
정종갑
Original Assignee
(주)유비엠메카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엠메카트로닉 filed Critical (주)유비엠메카트로닉
Priority to KR102007001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7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0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thermal op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24Properties of the substrate
    • H01H2209/038Properties of the substrate transpa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키패드 및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키패드와, 베이스 패드를 도광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는, 합성수지로 1차 사출 성형된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의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2차 사출 성형된 베이스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버튼 사이에서 베이스 패드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 패드를 통과하는 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는 별도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서 키버튼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패드와 접촉하는 키버튼의 하부면에 산란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산란패턴은 상기 키버튼과 접촉하는 베이스 패드의 상부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베이스 패드는 광투과성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패드, 이중사출, 스프레잉 코팅, 도광판

Description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키패드{METHOD FOR MANUFACTURING KEYPAD AND KEYPAD MADE BY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1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2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3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4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5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종래의 키패드의 분리 사시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키 버튼 11 플랜지
12 차광시트 20 베이스 패드
100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키패드 및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키패드와, 베이스 패드를 도광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는 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는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하여 복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종래의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종래의 키패드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사전에 제조된 베이스 패드(2)에 사전에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복수의 키버튼(1)을 본드나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여 제조된다. 복수의 키버튼(1)은 베이스 패드(2)에 부착하기 전에 각각의 키버튼(1)의 전면을 스프레잉 공정을 통해 도색하며, 도색된 키 버튼을 레이저 가공으로 문자(Text)를 도안하고, 문자가 도안된 키 버튼의 표면처리를 위하여 하드코팅 후, 상기 베이스 패드(2)의 정해진 위치에 본딩작업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키패드는 각각의 키버튼(10)을 베이스 패드(2)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불량요인으로는 키버튼의 상대적인 위치가 균일하지 못하며, 베이스패드(2)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한 키버튼(1)이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키버튼(1)을 베이스패드(20)에 접착하기 전에 도색하고, 문자나 기호를 새겨넣기 위하여 레이저 가공을 하고, 하드 코팅하는 공정을 개개의 키버튼(1)에 대하여 사전에 행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키버튼(1)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테이터의 입력이나 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키버튼(1)을 조명하기 위한 LED가 인쇄회로기판(PCB)에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LED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는 대신에 키버튼(1)을 조명하기 위한 도광판을 인쇄회로 기판과 키패드 사이에 설치하고, 도광판의 측면에 LED를 설치하여 키패드를 조명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도광판을 키패드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는, 키버튼을 조작할 때 도광판에 의하여 키클릭감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광판을 설치함에 의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해져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키패드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패드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서 키버튼을 조명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용 키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는, 합성수지로 1차 사출 성형된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의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2차 사출 성형된 베이스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버튼 사이에서 베이스 패드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 패드를 통과하는 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는, 키버튼의 조작시 베이스패드의 전면의 도색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키버튼은 베이스 패드와 접하는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키버튼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보다, 상기 베이스 패드에 각각의 키버튼이 설치된 사이의 상부면에 크랙방지홈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크랙방지홈은 경사진 경사면과 평평한 랜드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패드의 각각의 키버튼이 부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의 위치에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는 별도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서 키버튼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패드와 접촉하는 키버튼의 하부면에 산란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산란패턴은 상기 키버튼과 접촉하는 베이스 패드의 상부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베이스 패드는 광투과성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재료는 적당한 탄성을 구비한 우레탄 또는 실리콘이나 러버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자기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달리 키버튼과 베이스패드를 일체로 이중사출에 의하여 합체한 후에 도색공정과 문자나 기호를 레이저로 가공하는 공정과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의 전면을 코팅하는 공정이 수행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생산공정을 단순화하여 불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제1 합성수지 재료를 1차 사출 성형하여 복수의 키버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 각각의 키버튼의 배면에 접착되도록 제1 합성수지 재료보다 탄성을 갖는 제2 재료를 2차 사출성형하여 베이스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 성형된 키버튼과 베이스패드의 전면에 스프레잉으로 도색을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키버튼의 전면에 레이저로 문자나 기호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의 전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의 전면의 코팅은 스프레잉 방식으로 행하는 것이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스프레잉 방식은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 사이의 경사면에도 코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키버튼을 제조하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고, 베이스패드를 제조하는 상기 제2 재료는 광투과성 재료, 특히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실시예 의 사시도이고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100)의 제조공정은, 이중 사출에 의하여 먼저 딱딱한 재질의 합성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복수의 키버튼(10)을 1차로 사출성형한다(S 10). 다음으로, 키버튼(10)의 배면에 베이스패드(20) 사출용 금형을 설치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인 우레탄이나 실리콘으로 2차로 사출성형하여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를 일체로 형성한다(S20). 키 버튼(10)과 베이스 패드(20)가 각각 상호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완벽하게 접합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키버튼의 배면에 우레탄 재질의 베이스 패드를 사출 성형할 경우 우수한 접착성을 보인다. 다음으로, 키버튼(10)과 베이스패드(20)의 전면에 원하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레잉 공정을 수행하여 도색을 한다(S 30). 다음으로, 키버튼(10)의 전면에 문자나 기호를 레이저 가공을 통하여 형성한다(S40). 다음으로, 성형된 문자와 도색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프레잉 방식으로 키버튼(10)과 베이스 패드(20)의 전면을 코팅한다(S50). 스프레잉 방식으로 코팅을 수행하는 이유는, 복수의 키버튼 사이의 경사면이나 베이스패드의 폭이 좁은 전면에도 코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키 버튼(10)과 베이스 패드(20)가 각각 상이한 이종의 재질로 사출됨을 감안하여 스프레잉 방식으로 전 표면을 골고루 코팅하여 도색과정에서 착색된 표면의 색이 갈라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1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2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키패드는, 복수의 키버튼(10)과, 키버튼(10)의 배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접착된 베이스패드(20)와, 키버튼 사이의 공간에 백라이트에 의한 빛이 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시트(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키패드는, 베이스 패드(20)와 접착되는 키버튼(10)의 가장자리부에 프랜지(11)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키패드와 다른 점이다. 플랜지(11)는 키버튼(10)이 눌려 질 경우 무른 재질의 베이스패드(20)가 변형되어 도색에 크랙이 발생하여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3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4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키패드의 제5 실시예의 키버튼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키패드는, 베이스패드의 하부면에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설치된 돔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21)가 형성된 점과, 키버튼(10)에 힘이 가해져서 베이스 패드(20)가 변형될 경우 도색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패드(20)의 각각의 키버튼 사이의 상부면에 크랙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2 및 도3에 도시된 키패드와 차이가 있다. 크랙방지홈은 경사진 경사면(22)과 평평한 랜드면(23)으로 구성된다. 가압돌기(21)는 각각의 키버튼(10)이 부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베이스패드(20)의 하부면에 돌출되도록 2차 사출시 일체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키패드가 도 4에 도시된 키패드와 다른 점은, 키버튼(10)의 배면에 미세한 홈에 의하여 산란패턴(12)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산란패턴(12)은 1차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키패드는, 키버튼(10)을 조명하기 위한 별도의 도광판이 필요하지 않는다. 베이스 패드(20)를 도광판으로 사용할 경우 베이스패드(20)의 측면에 LED를 광원으로 설치하여, 베이스패드(20)의 측면에 입사된 광이 키버튼(20)의 배면에 형성된 산란패턴에 의하여 산란되어 균일하게 키버튼(10)의 전면을 조명할 있다.
도 6에 도시된 키패드가 도 5에 도시된 키패드와 다른 점은, 상기 키버튼과 접촉하는 베이스 패드의 상부면에 산란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산란패턴은 1차 사출성형시에 키버튼(10)의 하부면에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고, 2차로 베이스패드(20)를 사출할 경우 베이스 패드(20)의 상부면에 1차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산란패턴을 키버튼(10)과 베이스패드(20)의 결합면에 형성하면, 별도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키버튼(10)과 베이스패드(20)의 접합력을 증대할 수 있어서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의 부분 단면도로서, 각각의 키 버튼(10a)의 사이에 연장부(11a)가 더 형성되도록 키 버튼을 사출 성형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키 버튼(10a)의 재질이 합성수지재 이므로서, 상기 연장부(11a) 를 가요성을 갖도록 얇게 형성하여 각각의 키 버튼(10a)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연장부(11a)가 조작에 따라 가요되어 인접한 다른 키버튼(10a)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은, 키 버튼과 베이스 패드를 이중사출로 일체로 성형한 후에 도색, 레이저가공, 코팅 공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인라인 제조공정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사출로 형성된 키 버튼과 베이스 패드의 표면처리를 스프레잉 방식으로 코팅을 함으로서,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가 접하는 곳의 갈라짐 및 도색의 벗겨짐 등을 방지하여 향상된 품질의 키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된 베이스 패드를 도광판으로 사용하여 키패드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도광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키클릭감을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1)

  1. 합성수지로 1차 사출 성형된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의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2차 사출 성형된 베이스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버튼 사이에서 베이스 패드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 패드를 통과하는 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은 베이스 패드와 접하는 가장자리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상기 각각의 키버튼 사이의 상부면에 크랙방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랙방지홈은 경사진 경사면과 평평한 랜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각각의 키버튼이 부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의 위치에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와 접촉하는 키버튼의 하부면에는 산란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과 접촉하는 베이스 패드의 상부면에는 산란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된 것이고, 상기 베이스 패드는 광투과성 재료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9. 제1 합성수지 재료를 1차 사출 성형하여 복수의 키버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 각각의 키버튼의 배면에 접착되도록 제1 합성수지 재료보다 탄성을 갖는 제2 재료를 2차 사출성형하여 베이스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 성형된 키버튼과 베이스패드의 전면에 스프레잉으로 도색을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키버튼의 전면에 레이저로 문자나 기호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의 전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과 베이스 패드의 전면의 코팅은 스프레잉 방식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수지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이고,
    상기 제2 재료는 광투과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KR1020070013631A 2007-02-09 2007-02-09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KR10089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631A KR100899786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631A KR100899786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461A true KR20080074461A (ko) 2008-08-13
KR100899786B1 KR100899786B1 (ko) 2009-05-28

Family

ID=3988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631A KR100899786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7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17B1 (ko) * 2008-12-19 2011-06-16 (주) 태양기전 광도파로 부재
KR20130049089A (ko) * 2011-11-03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KR101334854B1 (ko) * 2012-06-20 2013-12-0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백 라이팅 키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62B1 (ko) * 2009-07-03 2011-12-30 (주)미래씨엔피 휴대폰 키패드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180A (ko) * 2002-05-02 2002-08-29 김영호 셀룰라폰용 키패드
KR100457800B1 (ko) * 2002-06-10 2004-12-03 김욱한 핸드폰 키패드 및 이 핸드폰 키패드를 생산하기 위한 이중사출성형금형
KR100584241B1 (ko) * 2005-09-07 2006-05-29 (주)에이원이노텍 휴대폰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17B1 (ko) * 2008-12-19 2011-06-16 (주) 태양기전 광도파로 부재
KR20130049089A (ko) * 2011-11-03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KR101334854B1 (ko) * 2012-06-20 2013-12-0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백 라이팅 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786B1 (ko)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690B2 (en) Key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8080753B2 (en) Input apparatus and keyswitch
JPWO2010150546A1 (ja) 面状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99786B1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US80562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backlighted illuminating keypad
KR100837591B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US20100170775A1 (en) Keypa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88773B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84840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KR100762402B1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4086A (ko) 시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5547B1 (ko) 돔스위치 커버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패드
KR20100059000A (ko) 전자 기기의 키패드 장치
EP2270824B1 (en) Keypad with Water and Dust Protection
KR100584241B1 (ko) 휴대폰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61734B1 (ko) 키패드 제조방법
KR100695520B1 (ko) 금속재질감을 갖는 휴대폰용 이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377638B1 (ko) 플라스틱 키를 갖는 휴대폰용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88966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JP4562518B2 (ja) 照光式キーシート及び照光式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4731277B2 (ja) 外装部品及びキーシート
KR100810050B1 (ko) 키입력 장치
JP2005019264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20110015989A (ko)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59146Y1 (ko) 키버튼 및 키패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