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384A -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384A
KR20080074384A KR1020070013397A KR20070013397A KR20080074384A KR 20080074384 A KR20080074384 A KR 20080074384A KR 1020070013397 A KR1020070013397 A KR 1020070013397A KR 20070013397 A KR20070013397 A KR 20070013397A KR 20080074384 A KR20080074384 A KR 2008007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pointer
broadcast channel
specific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723B1 (ko
Inventor
윤영화
전성익
김준환
이정연
황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7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그래픽 상에서 선택된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이 선국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을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포인터, 지점, 눈금, 방송채널, GUI

Description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and broadcast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TV 130 : GUI 생성부
150 : 제어부 200 : 리모콘
410 : 채널 맵 P : 포인터
본 발명은 방송채널 선택용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이 TV이다. TV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에 마련되어 있는 숫자-버튼들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하게 된다.
방송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 숫자-버튼들로 인하여, 리모콘으의 크기는 비교적 크다. 하지만,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리모콘을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숫자-버튼들이 없는 리모콘을 통해서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또한, 근래에 이르러 방송채널의 개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 바, 하나의 화면에 모든 방송채널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채널을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 역시 요청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숫자-버튼들이 없이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고 하나의 화면에 모든 방송채널들을 나타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으로, 모든 방송채널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채널 맵을 화면에 나타내고 포인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을 생성하여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 대한 번호 및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지점의 주변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기 특정 지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화면을 축소영상으로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앞선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및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뒤진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방송 수신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을 생성하여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TV(100)와 원격제어장치의 일종인 리모콘(200)으로 구축된다.
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리모콘(200)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TV(100)로 전달하며, TV(100)는 전달받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부합하는 기능과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리모콘(200)에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리모콘(200)에는 1개 또는 2개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수의 버튼은 리모콘(200)의 윗면에 마련되어 있으나, 윗면이 아닌 다른 면(예를 들어, 측면이나 아래면)에 마련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의 평 면(Virtual Plane : VP) 상에서 이동된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VP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VP는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평면이다.
리모콘(200) 앞면이 VP 상에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VP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i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VP 상에서 좌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VP와 TV(100)의 디스플레이(D)의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VP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TV(100)와 리모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100)와 리모콘(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은 이동 감지부(210), 송신부(220), 리모콘 제어부(230) 및 버튼 입력부(240)를 구비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버튼 입력부(240)에는 전원-버튼, 채널-버튼, 볼륨-버튼, 선택-버튼 등이 마련된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이동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 방향, 이동 거리)를 송신부(220)를 통해 TV(1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230)는 버튼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송신부(220)를 통해 TV(1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00)는 메인 방송 수신부(110), 메인 방송 처리부(120), 서브 방송 수신부(115), 서브 방송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출력부(140), 제어부(150) 및 수신부(160)를 구비한다.
메인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메인 방송 처리부(120)는 메인 방송 수신부(110)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등의 방송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방송 수신부(115)는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서브 방송 처리부(125)는 서브 방송 수신부(115)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등의 방송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서브 방송 처리부(125)는 서브 방송 수신부(115)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GUI 생성부(130)는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메인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부가한다. 또한, GUI 생성부(130)는 서브 방송 처리부(125)에서 생성된 축소영상을 메인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의 일 영역에 부가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GUI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방송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수신부(16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리모콘(200) 앞면의 이동, 버튼 누름)에 따라 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메인 방송 수신부(110)와 서브 방송 수신부(115)의 선국 동작, GUI 생성부(130)의 GUI 생성 동작 등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모든 방송채널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채널 맵을 화면에 나타내고 포인터(P)를 이용하여 채널 맵 상에서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가 제공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며, 제공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메인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하는 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채널 선택용 GUI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310-Y), 제어부(150)는 채널 맵과 포인터(P)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20).
S310단계에서의 방송채널 선택용 GUI 표시 명령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채널-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입력가능하다.
S32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채널 맵과 포인터(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20단계 수행에 의해 채널 맵(410)과 포인터(P)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 4a에 도시하였다. 채널 맵(410)은 TV(100)가 수신할 수 있는 모든 방송채널들이 일직선을 이루는 지점들에 매핑되어 있는 그래픽이다. 채널 맵(41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눈금들이 나타나 있는데, 이들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방송채널들을 상징한다.
한편, 채널 맵(410)의 우측에는, 현재 선국되고 있는 방송채널의 채널 맵(410) 상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마크(430), 그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에 대한 축소영상(440) 및 채널정보(방송채널 번호 및 명칭)(450)가 나타나 있다.
또한, 채널 맵(4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채널-UP(▲) 아이콘(420-1)과 채널-DOWN(▼) 아이콘(420-2)이 나타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포인터(P)가 채널 맵(410) 상의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S330-Y), 제어부(150)는 포인터(P)가 위치한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S340).
S330단계에서 포인터(P)의 이동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가능하다.
S340단계 수행에 의해, 포인터(P)가 위치한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460)가 특정 지점의 우측에 나타난 디스플레이(D)를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460)는 방송채널 번호와 명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인터(P)가 위치한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S350-Y), 제어부(150)는 그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이 축소영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한다(S360).
S350단계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특정 지점을 지시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S36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1)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서브 방송 수신부(115)를 제어하고, 2) 서브 방송 수신부(115)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하도록 서브 방송 처리부(125)를 제어하며, 3) 서브 방송 처리부(125)에서 생성된 축소영상을 특정 지점의 주변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60단계 수행에 의해 특정 지점의 주변에 특정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의 축소영상(480)이 나타난 디스플레이(D)를 도 4c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영상(480)의 좌측에는 채널 맵(410) 상의 특정 지점을 지시하는 지시마크(470)가 나타나 있고, 축소영상(480)의 우측에는 채널정보(방송채널 번호 및 명칭)(490)가 나타나 있다.
표시된 축소영상(480)이 포인터(P)에 의해 선택되면(S370-Y), 제어부(150)는 특정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메인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8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는 S380단계에서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표시되게 된다. 도 4d에는 포인터(P)에 의해 선택된 특정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50 GEOGRAPHY)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시하였다.
한편, S360단계 이후 포인터(P)에 의해 채널-UP(▲) 아이콘(420-1) 또는 채널-DOWN(▼) 아이콘(420-2)이 선택되면(S390-Y), 제어부(150)는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앞선 또는 하나 뒤진 방송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이 축소영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한다(S400).
S390단계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채널-UP(▲) 아이콘(420-1) 또는 채널-DOWN(▼) 아이콘(420-2)을 지시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S40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1)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 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앞선 또는 하나 뒤진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서브 방송 수신부(115)를 제어하고, 2) 서브 방송 수신부(115)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에 대한 축소영상을 생성하도록 서브 방송 처리부(125)를 제어하며, 3) 서브 방송 처리부(125)에서 생성된 축소영상을 특정 지점의 우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지금까지, 모든 방송채널들이 상징적으로 나타난 채널 맵 상에서 포인터(P)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제공하는 과정 및 제공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맵이 화면의 좌측에 나타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채널 맵이 표시되는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따라서, 채널 맵은 화면의 우측, 상부, 하부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맵은 포인터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지점들이 각각의 방송채널들을 지시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눈금들로 이루어진 형상의 채널 맵과 다른 형상의 채널 맵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터에 의해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그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축소영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을 메인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채널-UP 아이콘이나 채널-DOWN 아이콘이 선 택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의 다른 예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는 채널 맵(510), 채널 PAGE-UP 아이콘(520-1), 채널 PAGE-DOWN 아이콘(520-2), 지시마크(530), 축소영상(540), 채널정보(550), 채널-UP 아이콘(560-1), 채널-DOWN 아이콘(560-2) 및 포인터(P)가 나타나 있다.
채널 맵(510)은 TV(100)가 수신할 수 있는 방송채널들 중 "일부의 방송채널들"이 일직선을 이루는 지점들에 매핑되어 있는 그래픽이라는 점에서, TV(100)가 수신할 수 있는 "모든 방송채널들"이 일직선을 이루는 지점들에 매핑되어 있는 그래픽인 도 4c의 채널 맵(410)과 차이가 있다.
채널 PAGE-UP 아이콘(520-1)은 현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채널 맵(510)에 매핑되어 있는 방송채널들 보다 채널번호가 앞선 방송채널들을 채널 맵(510)에 매핑시키기 위한 아이콘이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채널 맵(510)에 매핑되어 있는 방송채널들이 "CH1 ~ CH30"인 경우, 포인터(P)에 의해 채널 PAGE-UP 아이콘(520-1)이 선택되면 방송채널들 "CH31 ~ CH60"이 채널 맵(510)에 매핑되게 된다.
그리고, 채널 PAGE-DOWN 아이콘(520-2)은 현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채널 맵(510)에 매핑되어 있는 방송채널들 보다 번호가 뒤진 방송채널들을 채널 맵(510)에 매핑시키기 위한 아이콘이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채널 맵(510)에 매핑되어 있는 방송채널들이 "CH31 ~ CH60"인 경우, 포인터(P)에 의해 채널 PAGE-DOWN 아이콘(520-2)이 선택되면 방송채널들 "CH1 ~ CH30"이 채널 맵(510)에 매핑되게 된다.
채널-UP 아이콘(560-1)은 포인터(P)가 위치한 채널 맵(510) 상의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앞선 방송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축소영상과 채널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이다.
그리고, 채널-DOWN 아이콘(560-2)은 포인터(P)가 위치한 채널 맵(510) 상의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뒤진 방송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축소영상과 채널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이다.
지시마크(530), 축소영상(540) 및 채널정보(550)는 도 4c에 도시된 지시마크(470), 축소영상(480) 및 채널정보(490)와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수신장치로 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TV 이외의 방송수신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방송수신장치로 STB(Set Top Box),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수신장치, 방송수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포터블 기기(예를 들면, DMB 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폰) 등을 들 수 있다. 포터블 기기의 경우에는 리모콘이 아닌 터치패드를 통해 포인터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를 이용하여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숫자-버튼들이 없이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화면에 보다 많은 방송채널들이 매핑된 그래픽인 채널 맵을 통해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을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을 생성하여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 대한 번호 및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지점의 주변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기 특정 지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화면을 축소영상으로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앞선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및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 보다 채널번호가 하나 뒤진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5.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방송 수신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을 생성하여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기 특정 지점이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KR1020070013397A 2007-02-08 2007-02-08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KR100864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397A KR100864723B1 (ko) 2007-02-08 2007-02-08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397A KR100864723B1 (ko) 2007-02-08 2007-02-08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84A true KR20080074384A (ko) 2008-08-13
KR100864723B1 KR100864723B1 (ko) 2008-10-23

Family

ID=3988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397A KR100864723B1 (ko) 2007-02-08 2007-02-08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292A (ko) * 2009-11-0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터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WO2013077524A1 (ko) * 2011-11-24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7831A (en) * 1996-08-14 2000-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cursor position indicator
US6175362B1 (en) * 1997-07-21 2001-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selection among various lists of TV channels
KR100710304B1 (ko) * 2005-06-04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292A (ko) * 2009-11-05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터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WO2013077524A1 (ko) * 2011-11-24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US9634880B2 (en) 2011-11-24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723B1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223B1 (ko)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8015508B2 (en) Method for executing user command according to spatial movement of user input device and image apparatus thereof
US20110072399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which generates gravity map to move point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3428548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20080088802A (ko)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 이동속도가 가변적인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EP2670154A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7343215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8209725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broadcast program and AV apparatus therefor
JP2006157638A (ja) 遠隔制御装置、電子デバイス、表示装置および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80094200A (ko)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는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0864723B1 (ko)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KR20130072638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4690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5288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4290943A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37378B1 (ko)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KR20080088833A (ko)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95423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채널 리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267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화면 인터페이스 피드백 방법
KR20060087943A (ko) 영상처리장치
KR101809045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80073967A (ko) 수치 변경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201000024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