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279A -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4279A KR20080074279A KR1020070013083A KR20070013083A KR20080074279A KR 20080074279 A KR20080074279 A KR 20080074279A KR 1020070013083 A KR1020070013083 A KR 1020070013083A KR 20070013083 A KR20070013083 A KR 20070013083A KR 20080074279 A KR20080074279 A KR 200800742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lead wire
- crystal panel
- connector
- mounting surfac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유닛은 서로 결합하는 수커넥터부와 암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수커넥터부는 길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장착면과 제1장착면으로부터 제1장착면보다 짧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장착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제1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리드선과, 제2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2리드선을 포함하며, 암커넥터부는 수커넥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본체부와, 제1리드선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3리드선과, 제2리드선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4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원효율이 향상된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유닛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액정패널 200 : 구동부
300 : 백라이트유닛 400 : 일체형수납부재
500 : 커버부재 600 : 제2액정패널
700 : 연성인쇄회로기판 800 : 구동보드
900 : 커넥터유닛 910 : 수커넥터부
911 : 본체부 912 : 제1리드선
913 : 제2리드선 920 : 암커넥터부
921 : 수용본체부 922 : 제3리드선
923 : 제4리드선
본 발명은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 투 보드(board to board) 결합을 하는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 받아왔다. 현재는 표시 장치를 필요로 하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 등에도 장착되어 사용되는 등 표시 장치가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핸드폰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듀얼(dual) 표시장치, 카메라, 스피커, 리시버, 바이브레이터 등의 많은 전자장치가 합쳐져있다.
이렇게 많은 전자장치의 구동을 위하여 보통 보드 투 보드(board to board) 결합을 하는 커넥터유닛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커넥터유닛에 배선을 할 때 신호배선에는 보통 1개의 리드선을 할당하지만,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전원배선에는 보통 복수의 리드선을 할당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리드선을 통하여 전원이 전달되기 때문에 저항이 증가하여 전원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에 할당되는 리드선을 개선하여 의하여 전원효율이 향상된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결합하고, 길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장착면과 제1장착면으로부터 제1장착면보다 짧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장착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제1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리드선과 제2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2리드선을 포함하는 수커넥터부와, 수커넥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본체부와 제1리드선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3리드선과 제2리드선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4리드선을 포함하는 암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유닛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2리드선은 제1리드선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
제4리드선은 제3리드선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
제1장착면과 제2장착면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본체부는 길게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이며, 본체부는 외부로 노출된 상면과,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 설명한 커넥터유닛과, 제1액정패널과, 제1액정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유닛의 암커넥터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1기판과, 제1액정패널과 대향하는 제2액정패널과, 제1액정패널과 제2액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부와, 제2액정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유닛의 수커넥터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1기판과 제2기판은 마주할 수 있다.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지부와 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제2리드선은 한 쌍의 제2장착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제1서브리드선과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제2서브리드선을 포함하며, 제1서브리드선은 접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서브리드선은 전원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기판과 제2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연성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를 설명한다. 이하, 제1기판은 구동보드(800)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제2기판은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200)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제1액정패널(100)과, 제1액정패널(100)을 구동하는 구동부(200)와, 제1액정패널(100)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유닛(300)과, 백라이트유닛(300)을 수용하는 일체형수납부재(400)와, 일체형수납부재(400)와 결합하는 커버부재(500)와, 일체형수납부재(400) 후방에 위치하는 제2액정패널(600)과, 제2액정패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700)과,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보드(800)와, 연성인쇄회로기판(700)과 구동보드(800)를 연결시키는 커넥터유닛(900)을 포함한다.
제1액정패널(100)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표시기판(110)과, 제1표시기판(110)에 대향되도록 부착된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제2표시기판(120)과, 양 표시기판(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1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제1액정패널(100)은 화소단위를 이루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후술할 구동부(200)에서 전달되는 화상신호 정보에 따라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제1표시기판(110)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과 복수의 데이터 배선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의 교차점에는 화소전극과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인가된 신호전압은 화소전극에 의해 제1액정층(130)에 공급되며, 제1액정층(130)은 이 신호전압에 따라 정렬되어 광 투과율을 정하게 된다.
제2표시기판(120)에는 빛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RGB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필터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2표시기판(120)은 제1표시기판(110)에 비해 면적이 작다.
제2표시기판(120)과 제1표시기판(110)이 겹치는 부분은 대부분 제1액정패널(100)의 표시영역이 되고, 겹치지 않는 표시영역의 주변영역이 제1액정패널(100)의 비표시영역이 된다.
제1액정패널(100)의 일 측부(100a)에는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200)가 위치하고 있다.
구동부(200)는 제1표시기판(110)에 실장되어 있는 구동칩(210)과, 구동칩(210)을 보호하는 보호막(220)과, 구동칩(210)에 연결된 연성인쇄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230)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동부(200)는 COG(chip on glass)의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TCP(taper carrier package), COF(chip on film)등의 공지의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구동칩(210)은 후술할 구동보드(800)의 일 측부(800a)에 연결된 연성인쇄회로막(230)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제어하여 제1액정패널(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액정패널(100)의 후방에는 백라이트유닛(300)이 위치하고 있다.
백라이트유닛(300)은 광원부(310)와, 광원부(310)의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320)과, 광프로파일을 변환시키는 제1광학부재류(330)와 제2광학부재류(340), 광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반사시트(350)를 포함한다.
광원부(31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311)와 발광다이오드(311)가 실장된 발광다이오드기판(312)을 포함한다.
광원부(310)는 제1액정패널(100)과 후술할 제2액정패널(600) 사이에 위치하여, 도광판(320)방향으로 광을 출사한다.
도광판(320)은 광원부(310)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광학부재류(330)와 제2광학부재류(340)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광학부재류(330)는 제1확산시트(331), 제1프리즘시트(332), 제1보호시트(333)를 포함한다.
제1확산시트(331)는 광원부(310)로부터의 광을 확산시켜 제1프리즘시트(332) 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1프리즘시트(332)는 제1확산시트(331)에서 확산된 광을 상부의 제1액정패널(100)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프리즘시트(332)는 통상 2장이 사용된다. 제1프리즘시트(332)에 형성된 마이크로 프리즘은 소정을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1프리즘시트(332)를 통과한 광은 거의 대부분 수직하게 진행되어 균일한 휘도 분포를 제공하게 된다.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제1보호시트(333)는 스크래치에 약한 제1프리즘시트(332)를 보호한다.
제2광학부재류(340)는 제2확산시트(341), 제2프리즘시트(342), 제2보호시트(343)를 포함한다.
제2광학부재류(340)는 제2광학부재류(340)로 입사한 광을 제2액정패널(600) 방향으로 출사하며, 제1광학부재류(330)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도광판(320)과 제2광학부재류(340) 사이에는 반사시트(350)가 위치하고 있다.
반사시트(350)는 반사시트(350) 방향으로 이동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광학부재류(330)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일부를 제2광학부재류(340)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백라이트유닛(300)은 일체형수납부재(400)에 수용되어 있다.
일체형수납부재(400)는 수납부재(410)와, 지지부재(420)를 포함한다.
수납부재(410)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지며, 지지부재(420)는 수지계열 소재로 만들어진다. 수납부재(410)와 지지부재(420)는 아웃서팅(outserting) 사출 방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재(410)는 백라이트유닛(300)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부재(420)는 제1액정패널(100)과, 백라이트유닛(300), 제2액정패널(6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술할 제2액정패널(600)과 대응하는 수납부재(410)의 저부(411)에는 제1개구부(411a)가 형성되어 있다.
일체형수납부재(400)는 커버부재(500)와 결합한다.
커버부재(500)는 일체형수납부재(400)와 결합하여 제1액정패널(100)의 유효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을 갖는다.
일체형수납부재(400) 후방에는 제2액정패널(600)이 위치하고 있다.
제2액정패널(600)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3표시기판(610)과, 제3표 시기판(610)에 대향되도록 부착된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제4표시기판(620)과, 양 표시기판(610, 6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액정층(630)을 포함한다.
제2액정패널(600)은 전술한 제1액정패널(100)과 동일한 역할을 하며, 제1액정패널(1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특히 액정표시장치(1)가 폴더형 핸드폰에 사용될 시, 제1액정패널(100)은 핸드폰 폴더의 내면에 위치하고 제2액정패널(600)은 핸드폰 폴더의 외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폴더를 닫은 상태에서는 화면 크기가 작은 제2액정패널(600)을 통하여 시간 등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폴더를 열어서 화면 크기가 큰 제1액정패널(100)로 비교적 많은 양의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제2액정패널(600)의 일 측부(600a)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이 위치하고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제2액정패널(600)의 일 측부(600a)로부터 연장되어 제1액정패널(100)의 타 측부(100b)로 연결되어 있다. 즉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제1액정패널(100)과 제2액정패널(600)을 상호 연결한다.
도 1에서는 도시상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200)의 연성인쇄회로막(230)과,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을 끊어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구동보드(800)와 마주하며, 후술할 커넥터유닛(900)에 의하여 구동보드(800)와 보드 투 보드(board to boad)결합을 하고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700)는 제1액정패널(100)로부터 일 신호를 받을 수 있으 며, 구동보드(800)로부터 타 신호를 더 받을 수 있다.
구동보드(800)는 여러 제어 신호를 구동부(200)와 연성인쇄회로기판(700)에 전기적으로 전달하여 제1액정패널(100)과 제2액정패널(6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보드(800)는 구동보드본체부(810)와, 구동보드본체부(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820)와 접지부(830)를 포함한다.
구동보드본체부(810)는 제2액정패널(600)과 대응하는 부분에 제2개구부(810a)를 가진다.
전원부(820)는 구동보드(800)에 교류(alternating current, AC)전류를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지부(830)는 전원부(820)에 의하여 구동보드(800)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시, 구동보드(800)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파장 변화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자파가 구동보드(800)로부터 발생하여 제1액정패널(100) 혹은 제2액정패널(600)의 화면 형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전자파간섭(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시하진 않았으나, 수납부재(410) 또는 따로 마련된 도전체 등과 접지되어 있다.
구동보드(800)와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커넥터유닛(90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유닛(9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700)에 장착되어 있는 수커넥터부(910)와, 구동보드(800)에 장착되어 있는 암커넥터부(920) 를 포함한다.
수커넥터부(910)는 본체부(911)와, 제1리드선(912)과, 제2리드선(913)을 포함한다.
본체부(911)는 길게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이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장착면(911a)과, 제1장착면(911a)으로부터 직교하여 제1장착면(911a)보다 짧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장착면(911b)과, 커넥터유닛(900) 외부로 노출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700)과 접촉하고 있는 상면(911c)과, 상면(911c)과 대향하여 암커넥터부(920)에 수용되어 있는 저면(911d)을 포함한다.
제1리드선(912)은 제1장착면(911a)에 복수개로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제2리드선(913)은 한 쌍의 제2장착면(911b) 중 일면(911b-1)에 장착되어 있는 제1서브리드선(913a)과, 타면(911b-2)에 장착되어 있는 제2서브리드선(913b)을 포함한다.
제2리드선(913)의 폭(d₁)은 제1리드선(912)의 폭(d₂)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
수커넥터부(910)의 적어도 일부는 암커넥터부(920)에 수용되어 있다.
암커넥터부(920)는 수용본체부(921), 제3리드선(922)과, 제4리드선(923)을 포함한다.
수용본체부(921)는 수커넥터부(9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제1장착면(911a)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제1격벽부(921a)와, 제2장착면(911b)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격벽부(921b)와, 저면(911d)과 마주하는 저부(921c)를 포함한다.
제3리드선(922)은 제1리드선(912)과 대응하여 접촉하며, 제1격벽부(921a)에 복수개로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제4리드선(923)은 제3리드선(922)과 대응하여 접촉하며, 제4리드선(923)의 폭(d₃) 은 제3리드선(922)의 폭(d₄)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
제4리드선(923)은 한 쌍의 제2격벽부(921b) 중 일격벽(921b-1)에 장착되어 있는 제3서브리드선(923a)과, 타격벽(921b-2)에 장착되어 있는 제4서브리드선(923b)을 포함한다.
제3서브리드선(923a)은 구동보드(800)의 접지부(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3서브리드선(923a)은 수커넥터부(910)의 제1서브리드선(91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서브리드선(913a)은 접지부(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4서브리드선(923b)은 구동보드(800)의 전원부(8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4서브리드선(923b)은 수커넥터부(910)의 제2서브리드선(91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2서브리드선(913b)은 전원부(8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리드선(913)과 제4리드선(923)은 전원부(820)와 접지부(83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의 효과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보드(800)의 전원부(820)의 전원전류는 암커 넥터부(920)의 제4리드선(923)의 제4서브리드선(923b)을 거쳐서 제2리드선(913)의 제2서브리드선(913b)을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700)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유닛(900)의 전원배선에는 제2리드선(913)의 제2서브리드선(913b)과 제4리드선(923)의 제4서브리드선(923b)이 할당된다.
또한, 연성인쇄회로기판(700)에서 발생되는 접지전류는 수커넥터부(910)의 제2리드선(913)의 제1서브리드선(913a)을 거쳐서 제4리드선(923)의 제3서브리드선(923a)을 통해 구동보드(800)의 접지부(830)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유닛(900)의 접지배선에는 제2리드선(913)의 제1서브리드선(913a)과 제4리드선(923)의 제3서브리드선(923a)이 할당된다.
한편, 기존 커넥터유닛에 배선을 할 때 신호배선에는 보통 1개의 리드선을 할당하지만,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전원배선과 접지배선에는 보통 복수의 리드선을 할당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의 커넥터유닛(900)은 전원배선과 접지배선을 여분의 공간에 폭이 넓은 제2리드선(913)과 제4리드선(923)에 할당함으로써, 리드선 자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전원배선과 접지배선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리드선의 휨이나 이물 등의 외부 간섭에 의한 쇼트(short)를 감소시켜서 과전류로 인한 회로손실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하여 전원효율이 증가한 액정표시장치(1)가 제공된다.
또한, 기존 커넥터유닛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유닛(900)은 여분의 공간에 있는 리드선 즉, 제2리드선(913)과 제4리드선(914)이 전원배선과 접지배선에 할당되어서 기존의 리드선 중 전원배선과 접지배선에 할당되었던 리드선의 수가 감소한다. 이에 의하여 크기가 감소한 커넥터유닛(900)이 제공된다.
또한, 폭이 넓은 제2리드선(913)과 제4리드선(923)에 의하여 커넥터유닛(900)의 수커넥터부(910)와 암커넥터부(92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에 의하여 체결력이 향상된 커넥터유닛(900)이 제공된다.
이하, 각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유닛(900)을 설명한다.
이하,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실시예 및 공지의 기술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커넥터유닛(900)의 수커넥터부(910)의 제2리드선(913)의 폭(d₁)은 제1리드선(912)의 폭(d₂)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 제2리드선(913)은 복수로 마련되어 있다.
암커넥터부(920)의 제4리드선(923)의 폭(d₃)은 제3리드선(922)의 폭(d₄)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커넥터유닛(900)의 수커넥터부(910)의 제2리드선(913)의 폭(d₁)은 제1리드선(912) 의 폭(d₂)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
암커넥터부(920)의 제4리드선(923)의 폭(d₃)은 제3리드선(922)의 폭(d₄)보다 넓게 마련되어 있다. 제4리드선(923)은 복수로 마련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유닛(900)의 형상은 다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효율이 향상된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 서로 결합하는 수커넥터부와 암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유닛에 있어서,상기 수커넥터부는,길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장착면과, 상기 제1장착면으로부터 상기 제1장착면보다 짧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장착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상기 제1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리드선과;상기 제2장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2리드선을 포함하며,상기 암커넥터부는,상기 수커넥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본체부와;상기 제1리드선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3리드선과;상기 제2리드선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제4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리드선은 상기 제1리드선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4리드선은 상기 제3리드선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장착면과 상기 제2장착면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유닛.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는 길게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이며,상기 본체부는 외부로 노출된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유닛.
-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유닛과;제1액정패널과;상기 제1액정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상기 암커넥터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1기판과;상기 제1액정패널과 대향하는 제2액정패널과;상기 제1액정패널과 상기 제2액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부와;상기 제2액정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상기 수 커넥터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지부와 전원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2리드선은 상기 한 쌍의 제2장착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제1서브리드선과,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제2서브리드선을 포함하며,상기 제1서브리드선은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서브리드선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083A KR20080074279A (ko) | 2007-02-08 | 2007-02-08 |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083A KR20080074279A (ko) | 2007-02-08 | 2007-02-08 |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4279A true KR20080074279A (ko) | 2008-08-13 |
Family
ID=3988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3083A KR20080074279A (ko) | 2007-02-08 | 2007-02-08 |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7427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9086A (ko) * | 2018-10-04 | 2020-04-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220002599U (ko) * | 2021-04-22 | 2022-10-31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다각형 커넥터 |
-
2007
- 2007-02-08 KR KR1020070013083A patent/KR2008007427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9086A (ko) * | 2018-10-04 | 2020-04-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220002599U (ko) * | 2021-04-22 | 2022-10-31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다각형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6672B2 (en) | Portable display device | |
JP5501188B2 (ja) | 平板表示装置、及びモバイル機器 | |
KR100711872B1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US20060050196A1 (en) |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 |
US20060239035A1 (en) |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8508687B2 (en) | Display device | |
US20160103356A1 (en) | Flat pane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 |
KR20080067846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80074279A (ko) | 커넥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CN113325602B (zh) | 悬浮显示装置及电子设备 | |
KR20150102135A (ko) | 표시 장치 | |
KR20080067845A (ko) | 표시 장치 | |
KR20070102279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80048347A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80063980A (ko) | 표시 장치 | |
KR20060059429A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 |
KR100821054B1 (ko) |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 |
US7751182B2 (en) | Portable display device | |
KR20080043051A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
KR20070102160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80004132A (ko) | 평판표시장치 | |
KR20080028580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100796154B1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100793533B1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100784043B1 (ko) | 평판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