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086A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086A
KR20200039086A KR1020180118478A KR20180118478A KR20200039086A KR 20200039086 A KR20200039086 A KR 20200039086A KR 1020180118478 A KR1020180118478 A KR 1020180118478A KR 20180118478 A KR20180118478 A KR 20180118478A KR 20200039086 A KR20200039086 A KR 20200039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wer
short side
disposed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395B1 (ko
Inventor
박민영
심종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39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84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395B1/ko
Priority to US16/535,910 priority patent/US11044804B2/en
Priority to CN201910945107.6A priority patent/CN111009755B/zh
Publication of KR202000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63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 H05K1/0265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or details of the printed conductors, e.g. reinforced conductors, redundant conductors, conductor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컨넥터 어셈블리는 복수의 신호 단자들이 배치된 장변부 및 전원 단자가 배치된 단변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인쇄 배선들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 배선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커넥터의 단변부에 전원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의 폭과 두께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장변 단부에 형성된 전원 단자와 상기 커넥터의 단변부에 형성된 전원단자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는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서 발광 전원 전압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전압의 허용 가능한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형, 경량화 되면서 성능은 더욱 뛰어난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존 브라운관 텔레비전(cathode ray tube: CRT)이 성능이나 가격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널리 사용되었으나,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 CRT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 등의 장점을 갖는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LCD)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들은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발광하기 위한 전원 전압의 공급이 필요하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하기 위한 전원 전압은 하이 전원 전압(ELVDD) 및 로우 전원 전압(ELVSS)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체 최대 전류 용량이 수십 암페어 수준이며,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대형화됨에 따른 전원 전압에 대한 전류 용량 증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원 전압의 허용 가능한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복수의 신호 단자들이 배치된 장변부 및 전원 단자가 배치된 단변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인쇄 배선들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 배선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와 인접한 상기 장변부의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 및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상기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제1 단변부와 대향하는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로우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인접한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하이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1 전원 인쇄 배선,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1 로우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인접한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로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2 전원 인쇄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배선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배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제1 단변부와 인접한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하이 전원 단자를 연결하는 제1 전원 인쇄 배선 및 상기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로우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단변부와 인접한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에 로우 전원 단자를 연결하는 제2 전원 인쇄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장변부에 배치된 신호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변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신호 단자들이 배치된 장변부 및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전원 단자가 배치된 단변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인쇄 배선들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 배선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발광 전원 전압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광 전원 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와 인접한 상기 장변부의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 및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상기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화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회로는 스캔 라인에 연결된 제어 전극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어 전극, 제1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 커패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은 제2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단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제1 단변부와 대향하는 제2 단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로우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인접한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하이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1 전원 인쇄 배선,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1 로우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인접한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로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2 전원 인쇄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배선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배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장변부에 배치된 신호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변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커넥터의 단변부에 전원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의 폭과 넓이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장변 단부에 형성된 전원 단자와 상기 커넥터의 단변부에 형성된 전원단자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는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서 발광 전원 전압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II-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 제1 인쇄 회로 기판(300), 제1 커넥터 유닛(400), 연성 회로 필름(500), 제2 인쇄 회로 기판(600) 및 제2 커넥터 유닛(7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의 스캔 라인들(SL),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들(EL) 및 복수의 화소들(P)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S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들(E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P)은 복수의 화소 행들과 복수의 화소 열들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P)는 스캔 라인(SL), 데이터 라인(DL) 및 발광 제어 라인(EL)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화소(P)는 화소 회로(PC)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회로(PC)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구동 트랜지스터(T1), 커패시터(CST),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와 연결된 제어 전극, 제1 발광 전원 전압(ELVDD)을 수신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와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발광 전원 전압(ELVDD)은 하이 레벨의 전원 전압이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제1 발광 전원 전압(ELVDD)을 수신하는 제1 전극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스캔 신호(S)를 수신하는 제어 전극, 데이터 전압(D)을 수신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는 발광 제어 신호(EM)를 수신하는 제어 전극,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상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과 제2 발광 전원 전압(ELVSS)을 수신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발광 전원 전압(ELVSS)는 로우 레벨의 전원 전압이다.
상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가 턴-온 되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에 흐르는 전류(I)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고,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발광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데이터 라인(DL)의 단부와 인접한 영역으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스캔 라인(SL)의 단부와 인접한 영역으로 상기 스캔 라인(SL)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 회로(110)가 배치된다.
상기 스캔 구동 회로(110)은 상기 화소 회로(PC)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과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상기 제2 영역(A2)에 직접 형성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A3)은 상기 제2 영역(A2)과 마주하고 상기 발광 제어라인(EL)의 단부와 인접한 영역으로 상기 발광 제어 라인(EL)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발광 구동 회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동 회로(130)은 상기 화소 회로(PC)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과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상기 제3 영역(A3)에 직접 형성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은 데이터 구동 칩(210)이 실장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필름(200)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 (300)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필름(200)의 제2 단부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칩(210)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600)으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들 중 외곽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에 형성된 전원 전압 라인들(VDL, VSL)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전원 전압들(ELVDD, ELVSS)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은 복수의 인쇄 배선들(310, 330, 350)이 형성되고, 제1 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인쇄 배선들(310, 330, 350)과 연결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이 배치되고, 제2 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인쇄 배선들(310, 330, 350)과 연결된 제1 커넥터 유닛(400)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인쇄 배선들(310, 330, 35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신호 인쇄 배선들(310)과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전원 전압들(ELVDD, ELVSS)을 전송하는 복수의 전원 인쇄 배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인쇄 배선들은 상기 제1 발광 전원 전압(ELVDD)을 전송하는 제1 전원 인쇄 배선(330)과 제2 발광 전원 전압(ELVSS)을 전송하는 제2 전원 인쇄 배선(3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인쇄 배선들(330, 350)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에 형성된 신호 배선들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인쇄 배선들(330, 350)에 인가된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전원 전압들(ELVDD, ELVSS)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200)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유닛(400)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인쇄 배선들(310, 330, 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커넥터 유닛(400)은 제1 커넥터(410) 및 제2 커넥터(430)를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410)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커넥터(430)는 상기 제1 커넥터(410)에 체결된다.
상기 제1 커넥터(410)는 상기 제2 커넥터(430)가 삽입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의 복수의 인쇄 배선들(310, 330, 350)과 연결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체결구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신호 인쇄 배선들(310)과 연결되는 신호 단자들과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인쇄 배선들(330, 350)과 연결되는 하이 전원 단자 및 로우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단자들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장변부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이 전원 단자들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로우 전원 단자들은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2 단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케이블(500)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과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케이블(500)은 연성 플렛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일 수 있다. 상기 연성 케이블(500)은 구리 등의 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중심 도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도선의 양측에는 유연성과 절연성을 갖는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팔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등과 같은 재질을 갖는 절연 필름이 접착층으로 접착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케이블(500)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 및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500)과 제1 및 제2 커넥터 유닛들(400, 7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600)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구동 회로(610)가 실장되고, 단부에는 상기 메인 구동 회로(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커넥터 유닛(70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 유닛(400)에 포함된 전원 단자들이 상기 제1 커넥터 유닛(400)에 대해 장변부의 단부 및 상기 장변부의 단부와 인접한 상기 제1 커넥터 유닛(400)의 단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변부의 단부 및 상기 장변부의 단부와 인접한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들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의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함으로써 상기 전원 인쇄 배선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제1 발광 전원 전압(ELVDD) 및 제2 발광 전원 전압(ELVSS)에 의해 발광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상기 제2 발광 전원 전압(ELVSS)은 약 -6 V 의 전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턴-온 되면 상기 제1 발광 전원 전압(ELVDD)은 약28 V 내지 약 30 V 의 전압이 공급되고 이때 상기 제2 발광 전원 전압(ELVSS)은 약 - 6 V 의 전압으로 스위칭 한다.
대형화 표시 패널의 설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전원 전압들(ELVDD, ELVSS)은 전체 최대 전류 용량이 대략 30 A 수준일 수 있다.
커넥터의 단자 당 폭과 두께에 따라 허용 최대 전류가 결정되며, 대략 단자 하나 당 전류는 대략 0.5 A 수준이다.
따라서, 대형화 표시 패널의 최대 소비 전류 용량이 대략 30 A 인 경우,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전원 전압들(ELVDD, ELVSS)의 전송을 위해서 대략 60 개 이상의 단자들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의 단변부에 폭 및 두께가 확장된 전원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 전원 전압(ELVDD, ELVSS)의 허용 가능한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CAS)는 제1 인쇄 회로 기판(300) 및 제1 커넥터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유닛(400)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에 결합된 제1 커넥터(410)와 상기 제1 커넥터(410)에 체결되는 제2 커넥터(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410)는 제1 몸체(411) 및 복수의 제1 단자들(4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411)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몸체(411)는 제2 커넥터(430)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구(41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412)는 상기 제1 커넥터(410)와 동일한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들(413)는 상기 체결구(41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의 인쇄 배선들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들(413)은 상기 신호 인쇄 배선(310)과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 단자들(413a),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33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 전원 단자(413b_1, 413b_2),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35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 전원 단자(413c_1, 413c_2)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단자(41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단자(413a)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장변부(411a)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 전원 단자(413b_1, 413b_2)는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장변부(411a)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하이 전원 단자(413b_1) 및 상기 장변부(411a)의 제1 단부와 인접한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단변부(411b)에 배치된 제2 하이 전원 단자(413b_2)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우 전원 단자(413c_1, 413c_2)는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장변부(411a)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1 로우 전원 단자(413c_1) 및 상기 장변부(411a)의 제2 단부와 인접한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2 단변부(411c)에 배치된 제2 로우 전원 단자(413c_2)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단자(413d)는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단변부(411b)에 배치된 접지 단자(413d) 및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2 단변부(411c)에 배치된 접지 단자(413d)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430)은 제2 몸체(431) 및 복수의 제2 단자들(4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431)는 상기 연성 케이블(500)과 연결된다.
상기 제2 몸체(431)는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체결구(4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넥터(41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몸체(431)는 상기 제1 커넥터(410)의 복수의 제1 단자들(413)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43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들(433)은 제1 변 단자들(433a) 및 제2 변 단자들(433b, 433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변 단자들(433a)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장변부(411a)에 배열된 복수의 신호 단자들(413a), 제1 하이 전원 단자(413b_1) 및 제1 로우 전원 단자(413c_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 단자(433a)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돌출 형상의 단자들과 체결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431)에 형성된 홈(4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변 단자들(433b, 433c, 433d)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단변부(411b, 411c)에 배열된 제2 하이 전원 단자(413b_2), 제2 로우 전원 단자(413c_2) 및 접지 단자(413d)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및 제2 하이 전원 단자들(413b_1, 413b_2)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상기 장변부(411a)의 제1 단부 및 제1 커넥터(410)의 제1 단변부(411b)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및 제2 하이 전원 단자들(413b_1, 413b_2)과 연결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의 제1 전원 인쇄 배선(330)은 상기 장변부(411a)의 제1 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배선 영역 및 상기 제1 단변부(411b)에 의해 정의되는 배선 영역의 통합 배선 영역에 따라서 확장된 배선 폭(W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및 제2 로우 전원 단자들(413c_1, 413c_2)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상기 장변부(411a)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2 단변부(411c)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제1 및 제2 로우 전원 단자들(413c_1, 413c_2)과 연결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300)의 제2 전원 인쇄 배선(350)은 상기 장변부(411a)의 제2 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배선 영역 및 상기 제2 단변부(411c)에 의해 정의되는 배선 영역의 통합 배선 영역에 따라서 확장된 배선 폭(W1)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 단자들이 배열된 커넥터의 장변부 보다 형성 면적이 넓은 커넥터의 단변부에 전원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의 폭과 두께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장변 단부에 전원 단자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커넥터의 단변부에 전원 단자가 배치됨으로써 사기 전원 단자들과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서 발광 전원 전압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전압에 대한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커넥터의 단변부에 형성된 전원 단자를 접지 단자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지 단자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안정된 회로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며,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410A) 및 제1 인쇄 회로 기판(30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410A)는 복수의 제1 단자들(413A)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들(413A)은 상기 신호 인쇄 배선(310)과 연결되는 신호 단자(413a)와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330A)과 연결되는 하이 전원 단자(413b)와,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350A)과 연결되는 로우 전원 단자(413c)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단자(413d)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 전원 단자(413b)는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장변부(411a)의 제1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로우 전원 단자(413c)는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장변부(411a)의 제2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단자(413d)는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제1 단변부(411b) 및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제2 단변부(411c)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하이 전원 단자(413b)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상기 장변부(411a)의 제1 단부에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하이 전원 단자(413b)와 연결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300A)의 제1 전원 인쇄 배선(330A)은 상기 장변부(411a)의 제1 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따라서 배선 폭(W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로우 전원 단자(413c)가 상기 제1 커넥터(410)의 상기 장변부(411a)의 제2 단부에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410A)의 로우 전원 단자(413c)와 연결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300A)의 제2 전원 인쇄 배선(350A)은 상기 장변부(411a)의 제2 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따라서 배선 폭(W2)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인쇄 배선들(330, 350)은 커넥터의 단변부에 추가적으로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어 확장된 배선 폭(W1)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쇄 배선의 배선 폭(W1)은 비교예에 따른 전원 인쇄 배선의 배선 폭(W2)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는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서 발광 전원 전압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커넥터의 단변부에 전원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단자의 폭과 넓이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장변 단부에 형성된 전원 단자와 상기 커넥터의 단변부에 형성된 전원단자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는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인쇄 배선의 폭이 확장됨에 따라서 발광 전원 전압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되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C, 서버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디지털 TV, 셋-탑 박스,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네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 카드, 프린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0 : 표시 장치 100 : 표시 패널
110 : 스캔 구동 회로 130 : 발광 구동 회로
200 :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 210 : 데이터 구동 칩
300 : 제1 인쇄 회로 기판 310 : 신호 인쇄 배선
330 : 제1 전원 인쇄 배선 350 : 제2 전원 인쇄 배선
400 : 제1 커넥터 유닛 410 : 제1 커넥터
430 : 제2 커넥터 500 : 연성 케이블
600 : 제2 인쇄 회로 기판 700 : 제2 커넥터 유닛

Claims (19)

  1. 복수의 신호 단자들이 배치된 장변부 및 전원 단자가 배치된 단변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인쇄 배선들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 배선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와 인접한 상기 장변부의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 및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상기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제1 단변부와 대향하는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로우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인접한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하이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1 전원 인쇄 배선;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1 로우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인접한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로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2 전원 인쇄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배선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배선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장변부에 배치된 신호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변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변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신호 단자들이 배치된 장변부 및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전원 단자가 배치된 단변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들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인쇄 배선들 및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 배선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발광 전원 전압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광 전원 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변부와 인접한 상기 장변부의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 및 상기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상기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화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회로는
    스캔 라인에 연결된 제어 전극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어 전극, 제1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연결된 커패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은 제2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단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제1 단변부와 대향하는 제2 단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발광 전원 전압을 수신하는 로우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하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와 인접한 제1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하이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1 전원 인쇄 배선;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1 로우 전원 단자 및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인접한 제2 단변부에 배치되는 제2 로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2 전원 인쇄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배선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원 인쇄 배선은 상기 장변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배선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장변부에 배치된 신호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변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의 단변부에 배치된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변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118478A 2018-10-04 2018-10-04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6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78A KR102669395B1 (ko) 2018-10-04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535,910 US11044804B2 (en) 2018-10-04 2019-08-08 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910945107.6A CN111009755B (zh) 2018-10-04 2019-09-30 连接器组件和具有该连接器组件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78A KR102669395B1 (ko) 2018-10-04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086A true KR20200039086A (ko) 2020-04-16
KR102669395B1 KR102669395B1 (ko) 2024-05-29

Family

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46A1 (ko)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hv 버스 바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24085B2 (en) 2019-11-28 2022-08-23 Samsung Display Co., Ltd.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4085B2 (en) 2019-11-28 2022-08-23 Samsung Display Co., Ltd.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201446A1 (ko)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hv 버스 바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13042A1 (en) 2020-04-09
CN111009755B (zh) 2024-03-22
US11044804B2 (en) 2021-06-22
CN111009755A (zh)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147B2 (en) Array substrat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1092108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08009432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446348B2 (en) Display device
JP2006039541A (ja) 有機電気発光表示装置
KR2008001012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2574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3177680A (ja) 表示装置
KR20110121918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에 구비된 구동칩실장용필름소자
CN113316851A (zh) 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09273490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1009755B (zh) 连接器组件和具有该连接器组件的显示设备
KR1007132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6939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6905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510375B1 (ko) 표시장치
KR100739292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44448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공통배선장치
CN115132763B (zh) Tft基板、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5249717B (zh) Tft基板、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6052531B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220232707U (zh) 有机发光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08002588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8053353A (zh) 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CN116896946A (zh)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