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898A -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898A
KR20080073898A KR1020070012712A KR20070012712A KR20080073898A KR 20080073898 A KR20080073898 A KR 20080073898A KR 1020070012712 A KR1020070012712 A KR 1020070012712A KR 20070012712 A KR20070012712 A KR 20070012712A KR 20080073898 A KR20080073898 A KR 2008007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cleaning nozzle
bidet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371B1 (ko
Inventor
이수영
황의선
윤성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3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기의 세정노즐을 살균세척하기 위한 물을 소정공간에 저장하여 물이 정체된 상태에서 전기분해함으로써 살균효과를 배가시킨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물이 하우징 내에서 정체되도록 하거나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격벽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각각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데기, 세정노즐, 살균수단, 격벽수단, 하우징

Description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Sterilizing Apparatus of Cleaning Nozzle in Bidet}
도1은 종래 비데기의 사시도,
도2는 종래 노즐 세척기능을 갖는 비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가 적용된 비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11 : 입수구
112 : 출수구 120 : 격벽수단
121 : 격판 122 : 도어
130 : 살균수단 131 : 양극판
132 : 음극판
본 발명은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기의 세정노즐을 살균세척하기 위한 물을 소정공간에 저장하여 물이 정체된 상태에서 전기분해함으로써 살균효과를 배가시킨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장실 문화는 용변 후 그 처리를 대부분 화장지에 의존하여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용변이 배설되는 항문 주위는 천여 개 이상의 잔주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장지를 이용하여 아무리 깨끗하게 뒤처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잔주름 사이에 잔류하는 오물을 완전하게 제거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이와 같은 불완전한 뒤처리로 인해 사람들 사이에는 치질과 같은 항문 질환, 질염과 같은 여성질환, 전립선염과 같은 남성질환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배변 후 뒤처리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급수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노즐을 이용하여 항문 주위를 세정토록 하고, 세정된 항문 부위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도록 한 비데기가 개발되어 각 가정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비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 비데기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데기는, 세정수(수돗물)가 사용자의 항문측으로 분사되게 하는 노즐부(1)와, 상기 노즐부(1)로 세정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수도전과 연결되는 급수라인이 구비되는 몸체부(2)가 마련되어 있고, 이 몸체부(2)에는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판(3)이 상호 연결되어 양변기(4)에 설치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급형 비데기의 경우에는 비데기 자체 내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통이 구비되어 온수를 비데기 자체에서 생산하여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데기는 사용자의 항문이나 질을 세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노즐을 사용하기 전이나 사용한 후 이를 세척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 사용자는 불결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거나 별도의 세척도구를 이용하여 세척을 실시한 후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즐을 세척할 수 있는 비데기가 제시된 바 있다.
도2는 종래 노즐 세척기능을 갖는 비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보면, 비데기는 급수라인(10)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필터(11)로 걸러낸 후 저장통(12)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정노즐(1) 측으로 공급하여 항문 또는 질을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기본적인 동작은 도1에 도시된 비데기와 동일하다.
다만, 도2에 도시된 비데기는 세정노즐(1)을 사용하기 전이나 사용한 후에 세정노즐(1)을 세척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저장통(12) 내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세정노즐(1)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세정노즐(1) 을 세척하는 세척노즐(13)이 추가되어 있다.
세정노즐(1)과 세척노즐(13)은 저장통(12)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14)에 연결되며, 펌프(1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통(12) 내에 저장된 물을 세정노즐(1) 및 세척노즐(13)로 공급한다. 즉, 사용자가 비데 기능을 선택하면 펌프(14)는 세정노즐(1)로 물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항문이나 질을 세정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세척기능을 선택하면 펌프(14)는 세척노즐(13)로 물을 공급하여 세정노즐(1)이 세척되도록 한다.
세척노즐(13)은 일단이 상기 펌프(14)와 연결호스로 연결되고, 이 연결호스를 통해 물이 내부로 유입되면 타단에 다수 형성된 노즐구멍을 이용하여 세정노즐(1) 측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노즐(1)을 세척한다.
이와 같이 세척이 가능하도록 세척노즐(13)은 세정노즐(1)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높이를 가지며, 세정노즐(1)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비데기는, 필터에 의해 부유물이 걸러진 수돗물을 사용하여 단순히 세정노즐을 세척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세정노즐을 살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정노즐을 세척하는 시간이 너무 길면 사용에 불편함이 있으므로 세척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세정노즐에 닿는 시간은 약 3초 내지 5초로 설정되는데, 이와 같이 짧은 시간에 세정노즐을 완벽하게 세척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세정노즐은 물속에 잠기는 부분이 아니고 공중에 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위생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데기는 세정노즐의 세척을 위해 수돗물을 사용하므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이나 각종 병원균에 의해 세정노즐이 2차 오염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비데기의 세정노즐에 소정의 살균농도를 유지하는 살균수를 분사하여 세정노즐을 세척함으로써 세정노즐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소정공간에서 정체 상태에 있거나 완만한 흐름을 갖는 상태에서 물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살균되도록 함으로써 살균효과를 배가시키고 살균에 사용되는 전극과 전압은 종전보다 줄이면서 전극간의 간극은 크게 할 수 있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물이 하우징 내에서 정체되도록 하거나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격벽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각각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 교대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상기 격벽수단과 상기 살균수단이 교대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의 힘으로 회동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출수구 측에 하나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은 다수개의 양극판과 음극판이 소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극판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수단은 상기 입수구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각각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되, 유입된 물이 하우징 내에서 정체되도록 하거나 물의 흐름이 지연되도록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이 하우징 내부의 서로 마 주하는 두 면에서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교대로 설치된 살균수단;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가 적용된 비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단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기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전달하는 급수라인(10)과, 상기 급수라인(1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는 필터(11)와 상기 필터(11)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세정수탱크(12)와, 세정수펌프(1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세정수탱크(12)의 물을 공급받아 세정수분사구를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노즐(1)이 기본적으로 구비되는바, 이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세정노즐(1)에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급수라인(1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하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와, 상기 살균장치(100)에 의해 살균된 물을 살균수펌프(15)의 동작에 의해 살균수분사구를 통해 상기 세정노즐(1)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살균노즐(1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살균장치(100)는 도4a 내지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100)는 크게 하우징(110)과, 격벽수단(120)과 살균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소정 체적의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1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입수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머물다가 도3에 도시된 살균수펌프(15)의 동작에 의해 출수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격벽수단(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물이 하우징(110) 내에서 정체되도록 하거나 물의 흐름이 지연되도록 하며, 상기 살균수단(13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을 각각 구비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는데, 상기 격벽수단(120)과 살균수단(130)의 구조 및 배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수단(120)은 격판(121)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 교대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판(121)은 물이 직진하지 못하고 구부러진 흐름을 갖도록 이웃하는 다른 격판(121)과 소정 부위가 겹치도록 그 높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격판(121)의 수는 도4a에서 4개로 도시되었으나 여기에 국한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 상기 입수구(111)와 가장 인접해 있는 격판(121)은 상기 입수구(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130)은 상기 격판(121)과 격판(12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물의 흐름이 지연되거나 물이 정체된 상태에서 물을 전기분해할 충분한 시간을 얻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수단(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이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유입된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물에 함유되어 있는 세균 및 미생물은 직접산화반응과 아울러, 양극판(131)에서 발생되는 염소, 오존, OH 라디칼, 산소 라디칼 등의 다양한 산화성 혼합물질들에 의한 간접산화반응 및 살균이 동시에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살균수단(13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이 교번하여 배치될 때에는 양극판(131)과 양극판(131) 사이에 음극판(13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살균수단(130)은 상기 격벽수단(120)에 의해 물이 정체되거나 물의 흐름이 지연된 상태에서 물을 살균하게 되므로,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의 간극이 커져도 무방하며, 상기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시간을 조정하여 살균물질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비데기에 적용할 때 공간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며 전극수를 최소화하여도 살균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농도의 살균물질을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판(132)의 경우에는 역전이 필요 없게 되므로, 음극판(132)을 저렴한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격벽수단(120)과 살균수단(130)은 도4b 및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 상기 격벽수단(120)과 상기 살균수단(130)이 교대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살균수단(130)은 유입된 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격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격판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4b와 도4c에 의하면 입수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던 물이 격판(121)에 의해 흐름이 저지된 상태에서 옆으로 흐르다가 격판(121)이 없는 곳에서 후방으로 흐르게 되고, 여기서 다시 살균수단(130)에 의해 흐름이 저지되어 유입된 물의 흐름이 전체적으로 지연된다.
이렇게 물의 흐름이 지연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수단(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물이 전기분해되어 살균수가 되고, 이 살균수는 살균수펌프(15)의 작동에 의해 출수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격벽수단(120)은 도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입수구(111) 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의 힘에 의해 회동되는 도어(122)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2)는 상기 입수구(111) 측에 힌지(h)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수구(111)에서 물이 유입될 때 그 힘에 의해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도어(122)가 입수구(111)를 통해 새로 들어오는 물과 도어(122) 내측에 있던 기존의 살균수가 함께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살균수의 살균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22)는 상기 하우징(110)의 출수구(112) 측에 하나 더 설치되는 것이 살균수를 일정한 농도로 만드는데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111) 측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스톱퍼(s)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122)는 유입되는 물의 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구(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수단(120)을 전혀 설치하지 않고, 상기 살균수단(130)의 이격거리를 다소 크게 하여 격벽수단(120)과 동일한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살균수단(130)의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이 하우징(110)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서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교대로 설치하여 상기 입수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양극판(131)과 음극판(132) 을 교대로 지나는 동안 물이 전기분해되어 살균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데기의 세정노즐을 살균 세척하기 위한 살균수가 소정 공간 내에 정체되거나 흐름이 지연된 상태에서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므로 살균수단의 양극판과 음극판간의 간극을 높일 수 있고 극판의 크기와 개수를 줄여도 소정의 살균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비데기의 세정노즐에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정노즐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10)

  1.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11)와,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112)가 구비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을 각각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는 살균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물이 하우징(110) 내에서 정체되도록 하거나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격벽수단(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수단(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 교대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격판(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상기 격벽수단(120)과 상기 살균수단(130)이 교대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수단(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입수구(111) 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의 힘으로 회동되는 도어(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22)는 상기 하우징(110)의 출수구(112) 측에 하나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130)은 다수개의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이 소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132)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수단(120)은 상기 입수구(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10.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11)와,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112)가 구비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131)과 음극 판(132)을 각각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되, 유입된 물이 하우징(110) 내에서 정체되도록 하거나 물의 흐름이 지연되도록 상기 양극판(131)과 음극판(132)이 하우징(110)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두 면에서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교대로 설치된 살균수단(1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KR1020070012712A 2007-02-07 2007-02-07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KR10085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712A KR100859371B1 (ko) 2007-02-07 2007-02-07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712A KR100859371B1 (ko) 2007-02-07 2007-02-07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898A true KR20080073898A (ko) 2008-08-12
KR100859371B1 KR100859371B1 (ko) 2008-09-22

Family

ID=3988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712A KR100859371B1 (ko) 2007-02-07 2007-02-07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198A (ko) * 2016-12-27 2018-07-05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살균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480B1 (ko) * 2015-08-19 2017-02-22 주식회사 효신테크 콤비스팀오븐의 배수장치
KR101797163B1 (ko) * 2016-07-29 2017-12-12 아이에스동서(주) 비데의 노즐 살균 및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43A (ko) * 1997-07-25 1999-02-25 지종기 강산성 소독수 제조용 소금물 전해방법 및 그 장치
KR200240002Y1 (ko) * 2001-04-18 2001-10-11 하이젠환경테크 (주)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
KR100660651B1 (ko) * 2006-02-28 2006-12-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세정노즐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비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198A (ko) * 2016-12-27 2018-07-05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살균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371B1 (ko) 200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JPH1028721A (ja) 水周り設備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859371B1 (ko)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KR100660651B1 (ko) 세정노즐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비데기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CN113181392A (zh) 具有消毒功能的工作站
JP2000300465A (ja) 手乾燥装置
CN102499990A (zh) 内窥镜消毒方法
JPH08323307A (ja) 器具洗浄装置
JPH09173359A (ja) 歯科排液及び排液吸引用配管の浄化システムとそれらの浄化方法
KR101544377B1 (ko) 살균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708673B1 (ko)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KR100511715B1 (ko) 비데기의 세정노즐 살균 소독장치
KR20100099820A (ko) 이온수 비데
JPH09234238A (ja) 電解消毒装置
JPH08326124A (ja) 洗浄器付便器
CN220801488U (zh) 一种牙刷消毒器
CN217105388U (zh) 电解水杀菌马桶
KR101723972B1 (ko)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CN214550483U (zh) 一种妇产科护理用冲洗器
CN217679447U (zh) 一种集成水槽
CN217079002U (zh) 一种马桶
KR200329773Y1 (ko) 비데기용 살균필터
JPH0333332A (ja) 水洗トイレ装置
JP2008291452A (ja) 機能水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