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494A -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494A
KR20080073494A KR1020070012187A KR20070012187A KR20080073494A KR 20080073494 A KR20080073494 A KR 20080073494A KR 1020070012187 A KR1020070012187 A KR 1020070012187A KR 20070012187 A KR20070012187 A KR 20070012187A KR 20080073494 A KR20080073494 A KR 2008007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data
time
subtitl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7992B1 (ko
Inventor
안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9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엠비(DMB)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및 선택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프로그램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위성으로 송출하는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 및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디엠비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소정시간 동안 저장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선택 재생하는 디엠비 수신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일시적인 불시청(不視聽) 내용을 시청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불시청 내용에 대한 영상, 음성, 및 문자의 분리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데이터만을 선별적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분리된 데이터에서 무효(Null) 데이터를 삭제시킴에 따라 데이터 재생시 재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위성 디엠비(DMB), 영상 저장

Description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SATELLITE DMB BROADCASTING SIGNAL SELECTING PLAY, TERMINAL FOR BROADCASTING SIGNAL SELECTING PLAY}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재생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프로그램 공급자 2OO: 위성
300: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 400: 디엠비 수신장치
410: 디엠비 수신모듈 420: 전송스트림 디멀티프렉서
430: 재생 제어부 440: 메모리
450: 코덱 460: 디스플레이부
470: 음향 출력부 480: 채널 설정부
본 발명은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엠비 방송 단말기로 일시 저장 기능을 부가하여 일시적인 불시청(不視聽) 내용을 시청 가능하게 하며, 상기 불시청 내용을 각각의 영상, 음성, 및 문자 데이터로 분리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를 제외시킴으로써, 재생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분리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재생시키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지연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의 전송 규격으로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2 TS(Transport Stream)를 사용한다. 이러한 DMB 방송 규격에 따르면 DMB 방송 채널은 Walsh code 정보를 포함하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 채널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Pilot 채널과, DMB 방송의 수신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채널,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채널, 그리고 실제 전송 스트림(Transport Packet:이하 TS라 칭한다)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채널로 구성된다.
디지털 방송센터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정보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로 전송하며, 방송 수신장치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T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PSI 정보로는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가 있다. SDT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서비스 채널들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이 SDT를 참조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PAT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 채널 ID(identification)와 그 방송 채널의 추가 정보를 갖고 있는 PMT의 PID(Packet Identification Description)를 포함한다. 그리고 PMT는 개별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TS의 PID를 포함한다.
즉,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특정 방송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출력하기 위해서 그 채널의 TS 패킷 데이터들의 PID(Packet Elementary Stream Packet Identification Description)값을 알아야 한다. 이 PID는 SDT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채널 ID를 상기 PAT와 PMT에서 검색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DMB 모듈, TS 디멀티플렉서, 코덱 등을 포함한다. DMB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한 CDM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해당 방송 채널에 대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출력한다.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는 TS 디멀티플렉서에서 수신되며, TS 디멀티플렉서는 TS 데이터를 각 방송 채널별로 디멀티플렉싱하여 코덱으로 제공한다. 코덱은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스피커 및 표시부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술한 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디엠비 수신장치는 멀티미디어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스트리밍 방식에서의 영상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일시적인 불시청(不視聽) 상태에서 해당 내용을 놓치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에서는 사용 환경적 요소에 의해 방송의 지속적인 시청이 어려울 경우 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엠비 방송 단말기로 일시 저장 기능을 부가하여 일시적인 불시청(不視聽) 내용을 시청 가능하게 하며, 상기 불시청 내용을 각각의 영상, 음성, 및 문자 데이터로 분리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를 제외시킴으로써, 재생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분리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프로그램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위성으로 송출하는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 및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디엠비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소정시간 동안 저장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소정의 배수로 선택 재생하는 디엠비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엠비(DMB)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및 선택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프로그램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위성으로 송출하는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 및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디엠비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소정시간 동안 저장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선택 재생하는 디엠비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는, 디엠비 방송 신호에 대한 임의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부; 상기 채널 설정부에서 선택된 채널에 따라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한 CDM 채널을 열고 방송 채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 채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엠비 수신모듈;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송 스트림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 서;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일시 지연명령(KEY)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명령에 따라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소정 배수로 재생 제어하기 위한 재생 제어부;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선택 재생 시,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일시 지연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키신호 검출모듈; 상기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재생시켜 해당 코덱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재생모듈; 상기 키신호 검출모듈의 키 신호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을 기동시켜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메모리로 저장 제어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재생모듈을 기동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매 칭시키기 위한 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재생제어 모듈; 및 상기 재생제어 모듈의 매칭 시간제어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해당 코덱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소정의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수학식 2;
Figure 112007011111376-PAT00001
" 여기서, 상기 T는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이고, 상기 N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 저장되는 시간이며, 상기 n은 영상 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배율이고, 상기 m은 정수로서 0 ~ ∝ 까지 이다 " 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는, 1초당 15프레임의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엠비(DMB)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기능 및 선택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기능 및 선택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일시 지연명령(KEY)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명령에 따 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의 배수로 선택 재생 제어하기 위한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일시 지연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키신호 검출모듈; 상기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재생시켜 해당 코덱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재생모듈; 상기 키신호 검출모듈의 키 신호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을 기동시켜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메모리로 저장 제어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재생모듈을 기동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매칭시키기 위한 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재생제어 모듈; 및 상기 재생제어 모듈의 매칭 시간제어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해당 코덱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위성 DMB 신호, 무선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및 뮤직 비디오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방식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 엠비(DMB)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및 선택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가 프로그램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위성으로 송출하는 단계; b) 디엠비 수신장치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가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용량의 메모리로 저장하는 단계; d) 임의의 시점에서 재생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e) 상기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분리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n 배수로 재생 출력하는 단계; f) 상기 b)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재생 출력 시점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현재 수신 시점이 동일하도록 재생 종료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g) 재생 종료 시점이 경과된 후, 현재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 정상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1초당 15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는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방송정보에 포함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f) 단계의 재생 종료 시점은, 소정의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4;
Figure 112007011111376-PAT00002
" 여기서, 상기 T는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이고, 상기 N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 저장되는 시간이며, 상기 n은 영상 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배율이고, 상기 m은 정수로서 0 ~ ∝ 까지 이다 "
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재생 종료 시점은,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T)보다 작도록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기반 기억 재생 시스템의 개략적이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위성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자(100); 프로그램 공급자(100)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위성(300)을 통해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송출하는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200); 상기 위성(300)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디엠비 수신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디엠비 방송센터(200)는, 프로그램 공급자(100)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위성(300)으로 송출한다. 즉, 디엠비 방송센터(200)는, 1초당 15프레임을 기준으로 1/15프레임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에 대한 개별 동기화 정보로 사용하여 각 프레임 단위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때, 각각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에는 무효(Null)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400)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소정의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상기 위성(300)으로부터 송출되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의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수신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소정시간 동안 저장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선택 재생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400)를 디엠비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 한정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400)는 상기 디엠비 신호 이외에 무선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및 뮤직 비디오 등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다양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디엠비 수신장치(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엠비 방송 신호에 대한 임의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부(480)와, 상기 채널 설정부(460)에서 선택된 채널에 따라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한 CDM 채널을 열고 방송 채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 채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엠비 수신모듈(410)과,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송 스트림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420)와,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일시 지연명령(KEY)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명령에 따라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소정 배수로 재생 제어하기 위한 재생 제어부(430)와,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40)와, 상기 영상, 음성 및 자막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450)과, 상기 코덱(450)의 출력단으로 접속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및 자막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60)와, 상기 코덱(450)의 출력단으로 접속되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4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440)는 약 1분 내지 3분 이내의 저장 용량이 바람직하나, 메모리 용량에 대한 한정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재생 제어부(430)는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스(420)에서 제공되는 영상, 음성, 및 자막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일시 지연명령(KEY)에 따라 상 기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440)로 저장 제어하거나, 상기 코덱(450)으로 전송 제어한다. 즉, 상기 재생 제어부(430)는 일시 지연명령을 수신할 경우, 상기 코덱(450)으로 제공되는 영상, 음성,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4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일시 지연명령의 해제 또는 특정 키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430)는 메모리(440)로 기 저장된 영상, 음성, 및 자막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소정의 배수로 재생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재생 제어부(430)는,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선택 재생 시,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에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재생시간을 단축하도록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생 제어부(430)의 저장된 데이터의 선택 재생 동작의 일예를 살펴보면, 영화에서 소리없이 웅장한 자연이 보여지는 장면의 경우, 음성이나 자막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만을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교육방송 어학 청취시에는 음성 데이터만을 재생하며 또한, 자막뉴스와 같은 경우, 자막 데이터만을 재생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는 재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생 제어부(430)는 현재 소정의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음성, 및 자막 데이터와, 재생의 종료 시점에서 수신되는 디엠비 방송신호에 대하여 상호 타이밍을 매칭시켜야 한다. 즉, 메모리(440)로 저장된 영상이 1분 분량이고, 재생 제어부(430)가 2배수로 재생할 경우, 상기 메모리(440)의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시간은 30초이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440)는 30초 동안 현재의 디엠비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 음성 및 자막 데이터를 또다시 저장해야 하며, 이러한 영상은 15초 동안에 재생된다. 그리고, 상기 15초 동안 디엠비 방송신호가 저장되고, 7.5초 동안에 재생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440)로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또다시 저장되는 디엠비 방송신호의 시간이 동일할 때까지 영상의 저장 및 재생이 반복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재생 제어부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일시 지연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키신호 검출모듈(431)과, 상기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42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440)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모듈(432)과, 상기 메모리(440)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재생시켜 상기 코덱(450)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재생모듈(432)과, 상기 키신호 검출모듈(431)의 키 신호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432)을 기동시켜 상기 메모리(440)의 저장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메모리(440)로 저장 제어하며,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재생모듈(433)을 기동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매칭시키기 위한 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재생제어 모듈(434)과, 상기 재생제어 모듈(434)의 매칭 시간제어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코덱(450)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 (4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생제어 모듈(434)의 시간 제어는 소정의 배수 즉, 1 배수보다 빠른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11111376-PAT00003
여기서, 상기 T는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이고, 상기 N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 저장되는 시간이며, 상기 n은 영상 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배율이고, 상기 m은 정수로서 0 ~ ∝ 까지 이다. 예컨대, 상기 N이 60sec 즉,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가 현재 메모리(440)로 수신 저장되는 시간이 60초이고, 상기 n이 3 즉, 메모리(440)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3배속으로 재생할 경우, 60*(1/3+1/9+1/27+....) 이다. 여기서, n은 1 배속보다 빠른 배수의 적용을 위해 1 이상의 무리수가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 제어부(105)는 60*(0.481477) = 28.8888 초 동안 메모리(107)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3배속으로 재생한 후,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이어서 출력함으로써 재생 영상과 수신 영상이 끊김 없이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재생제어 모듈(434)은 28.8888 초 동안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440)로 저장하며, 동일한 시간 동안에 FIFO 방식에 따라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선택 재생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방송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엠비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디엠비 방송센터(200)가 프로그램 공급자(100)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위성으로 송출한다(S100). 즉, 디엠비 방송센터(200)는 상기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1초당 15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는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그리고 나서, 디엠비 수신장치(400)가 상기 위성(200)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한다(S200). 즉, 디엠비 수신장치(400)가 위성(200)으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상기 방송정보에 포함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디엠비 방송신호를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한다.
이후,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400)가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용량의 메모리(407)로 저장하고(S300), 임의의 시점에서 재생 요청을 접수한다(S300).
그런 다음,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400)가 상기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분리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n 배수로 재생 출력한다(S400).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재생명령 즉, 영상, 음성, 자막 각각의 데이터 재생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데이터 재생의 요청에 따라, n 배수로 재생 출력한다. 예컨대, 영화에서 소리없이 웅장한 자연이 보여지는 장면의 경우, 음성이나 자막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만을 재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교육방송 어학 청취시에는 음성 데이터만을 재생하며 또한, 자막뉴스와 같은 경우, 자막 데이터만을 재생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는 재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선택 재생 시,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에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재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S100' 내지 '단계'S500'을 반복하여, 재생 출력 시점과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현재 수신 시점이 동일하도록 재생 종료 시점을 산출한다(S500). 즉, 소정의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재생 종료 시점이 경과된 후,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실시간 정상 출력한다(S6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디엠비 방송 단말기에 일시 저장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로 하 여금 일시적인 불시청(不視聽) 내용을 시청 가능한다.
아울러, 상기 불시청 내용에 대한 영상, 음성, 및 문자의 분리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데이터만을 선별적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따라, 영화에서 소리없이 웅장한 자연이 보여지는 장면의 경우 영상 데이터만을 재생하도록 하며, 그리고 교육방송 어학 청취시에는 음성 데이터만을 재생하며 또한, 자막뉴스와 같은 경우, 자막 데이터만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음성 및 문자로 분리된 각각의 데이터에서 무효(null) 데이터를 제외시킴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의 재생시 재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19)

  1.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엠비(DMB)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및 선택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위성으로 송출하는 위성 디엠비 방송센터; 및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디엠비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소정시간 동안 저장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소정의 배수로 선택 재생하는 디엠비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는,
    디엠비 방송 신호에 대한 임의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부;
    상기 채널 설정부에서 선택된 채널에 따라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한 CDM 채널을 열고 방송 채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 채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엠비 수신모듈;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송 스트림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일시 지연명령(KEY)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명령에 따라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소정 배수로 재생 제어하기 위한 재생 제어부;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선택 재생 시,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일시 지연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키신호 검출모듈;
    상기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배 수로 재생시켜 해당 코덱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재생모듈;
    상기 키신호 검출모듈의 키 신호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을 기동시켜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메모리로 저장 제어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재생모듈을 기동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매칭시키기 위한 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재생제어 모듈; 및
    상기 재생제어 모듈의 매칭 시간제어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해당 코덱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어 모듈의 시간 제어는,
    소정의 배수(1배속보다 빠른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2;
    Figure 112007011111376-PAT00004
    " 여기서, 상기 T는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 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이고, 상기 N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 저장되는 시간이며, 상기 n은 영상 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배율이고, 상기 m은 정수로서 0 ~ ∝ 까지이다"
    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동기화 정보는,
    1초당 15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7.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기능 및 선택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일시 지연명령(KEY)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의 배수로 선택 재생 제어하기 위한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약 1분 내지 2 분 분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의 재생 제어는,
    상기 단말의 키 버튼을 통해 재생 개시를 제어하거나, 상기 메모리 용량에 대응하여 재생 시점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배수는,
    1 배수보다 빠른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선택 재생 시,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Null)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일시 지연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키신호 검출모듈;
    상기 전송 스트림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배수로 재생시켜 해당 코덱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재생모듈;
    상기 키신호 검출모듈의 키 신호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을 기동시켜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메모리로 저장 제어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재생모듈을 기동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매칭시키기 위한 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재생제어 모듈; 및
    상기 재생제어 모듈의 매칭 시간제어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상기 해당 코덱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어 모듈의 시간 제어는,
    소정의 배수(1배속보다 빠른 배수)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3;
    Figure 112007011111376-PAT00005
    " 여기서, 상기 T는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이고, 상기 N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 저장되는 시간이며, 상기 n은 영상 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배율이고, 상기 m은 정수로서 0 ~ ∝ 까지이다 "
    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위성 DMB 신호, 무선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및 뮤직 비디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선별 재생 단말기.
  15.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엠비(DMB) 방송 신호에 대한 일시 지연 및 선택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디엠비 방송센터가 프로그램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여 위성으로 송출하는 단계;
    b) 디엠비 수신장치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 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디엠비 수신장치가 상기 분리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소정 용량의 메모리로 저장하는 단계;
    d) 임의의 시점에서 재생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e) 상기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분리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개별 또는 혼합된 형태로 n 배수로 재생 출력하는 단계;
    f) 상기 b)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재생 출력 시점과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현재 수신 시점이 동일하도록 재생 종료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g) 재생 종료 시점이 경과된 후,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실시간 정상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엠비 방송프로그램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1초당 15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는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방송정보에 포함된 개별 동기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 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재생 종료 시점은,
    소정의 배수(1배속보다 빠른 배속)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재생시간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4;
    Figure 112007011111376-PAT00006
    " 여기서, 상기 T는 상기 메모리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이고, 상기 N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메모리로 저장되는 시간이며, 상기 n은 영상 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배율이고, 상기 m은 정수로서 0 ~ ∝ 까지이다 "
    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지연신호 선별 재생 방법.
  19. 제 15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종료 시점은,
    상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총 출력 시간(T)보다 작도록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방법.
KR1020070012187A 2007-02-06 2007-02-06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KR10085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87A KR100857992B1 (ko) 2007-02-06 2007-02-06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87A KR100857992B1 (ko) 2007-02-06 2007-02-06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494A true KR20080073494A (ko) 2008-08-11
KR100857992B1 KR100857992B1 (ko) 2008-09-10

Family

ID=3988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87A KR100857992B1 (ko) 2007-02-06 2007-02-06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1815B2 (en) 2011-08-31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ubtitle synchronization in multi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160A (ko) * 2003-05-31 2004-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음성 신호 저장 및 재생 장치
KR100577202B1 (ko) * 2003-12-23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방법
KR20050110475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과 음성을 분리하여 녹화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KR100731534B1 (ko) * 2005-12-15 2007-06-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vr 장치 및 그 재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1815B2 (en) 2011-08-31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ubtitle synchronization in multimedia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992B1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835B1 (ko) 캡션 정보의 출력시점 및 출력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방법및 그 장치
JP5586950B2 (ja) プリセットオーディオシーンを用いた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3次元オーディオ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50144637A1 (en) Signal output method and channel selecting apparatus
US8238716B2 (en) Reproducing device
US2005002820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in Mosaic EPG service
KR20090127598A (ko) 프로그램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36447A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JP2004297628A (ja) ストリーム切替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装置
ES2370218A1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sincronizar subtítulos con audio en subtitulación en directo.
KR100678938B1 (ko) 영상과 자막의 동기화 조절 장치 및 방법
EP1206141A2 (en) Digital-broadcast recording/playback apparatus
JPWO2011142129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6270299A (ja) Cm検出装置およびcm検出方法
KR100857992B1 (ko) 위성 디엠비 신호 선별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방송 신호선별 재생 단말기
KR101029807B1 (ko) Pvr 및 pvr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
KR20100039717A (ko) 개인용 녹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369163A (ja) マルチストリーム出力時刻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KR20080054474A (ko) 사용자별 시청선호도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구현방법
KR20070079370A (ko)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이동 방송 수신 데이터 처리방법
KR10042312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출력 타이밍 조절방법
US20100166382A1 (en) Video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distribution device, and synchronization adjustment method
KR100735469B1 (ko) 위성 디엠비 신호 지연 출력장치, 위성 디엠비 신호 지연출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 및 위성 디엠비 신호 지연출력방법
JP2009111955A (ja) ストリーム再生装置
KR100782196B1 (ko) 타임 시프트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81647B1 (ko) Pvr의 편집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