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447A -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447A
KR20040036447A KR1020020065642A KR20020065642A KR20040036447A KR 20040036447 A KR20040036447 A KR 20040036447A KR 1020020065642 A KR1020020065642 A KR 1020020065642A KR 20020065642 A KR20020065642 A KR 20020065642A KR 20040036447 A KR20040036447 A KR 20040036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data
synchronization
data
dau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2287B1 (ko
Inventor
이용주
박민식
최지훈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287B1/ko
Priority to US10/693,130 priority patent/US7406703B2/en
Publication of KR2004003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287B1/ko
Priority to US12/846,468 priority patent/USRE44192E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엠펙-2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TS)에 삽입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가 수신기에서 원활하게 재생될 수 있도록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DAU에 대한 삽입 시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삽입시점에 따라 DAU를 엠펙-2 오디오/비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부가 데이터를 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들 중,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다중화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하며,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와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 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생성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와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에서 생성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Data Access Unit)의 삽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 및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 이용됨.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of synchronized stream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synchronized stream data)를 엠펙-2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TS)에 삽입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방송을 통하여 비디오/오디오와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통해 서비스 할 수 있는 데이터는 비디오/오디오와의 시간적인 연관관계에 따라 비동기(asynchronous), 동기(synchronous), 동기화(synchronized)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비동기 데이터는 비디오/오디오와 관련 없이 독립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일기 예보, 뉴스, 증권 정보 등이 이러한 비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될 수 있다. 한편, 현재 국내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카루셀(Data Carousel) 방식의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데이터 카루셀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는 엠펙-2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비동기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행된다.
동기 데이터는 수신기에서 재생되는 데이터의 시간적인 제한성을 위해 엠펙-2 PCR(Program Clock Reference)과 엠펙-2 재생시각(PTS : Presentation Time Stamp)을 사용하는 데이터이다.
동기화 데이터는 비디오/오디오와 연관되어 재생되는 데이터로서, 다른 스트림의 AU(Access Unit)와 자신의 DAU(Data Access Unit)의 재생시각을 일치 시키기 위해 엠펙-2 PCR과 엠펙-2 재생시각을 사용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동기화 데이터는 재생의 연속성에 따라 스트림 데이터와 비스트림(non-stream)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는 비디오/오디오의 특정 시점에서 한번만 재생되는 데이터이다. 야구 경기 중 타석에 등장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 드라마의 특정 장면에서 배경이 되는 장소에 대한 설명 등은 비디오와 연관되어 한번만 재생되어야 하므로, 비스트림 형태의 동기화 데이터로 서비스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는 비디오/오디오와 연관되어 연속적으로 재생되어야 하는 데이터로서, 엠펙 비디오 또는 엠펙 오디오 등이 동기화 스트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포츠 경기 중 특정 선수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과거 경기 장면 또는 인터뷰 장면 등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로 서비스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는 비디오, 오디오 등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다른 기초 스트림들과 연관되어 재생되는 데이터이므로 특정 장면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와는 다른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기화 데이터의 서비스를 위한 기술 개발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ATSC의 구현 작업 그룹인 DIWG(Data Interface Working Group)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DIWG에서는 동기화 데이터 방송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여러 기능 모듈들로 구성된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DIWG에서 제시한 시스템 모델은 비디오/오디오를 엠펙-2 전송 스트림으로 부호화하는 모듈이 부가 데이터를 동시에 다중화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비디오/오디오 만을 다중화하는 기존의 디지털 방송 송출 장치와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DIWG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비스트림(non-stream)형태의 동기화 데이터를 위한 모델이므로, 스트림 형태의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기화 데이터는 수신기의 기준시각인 STC(System Time Clock)와 자신의 재생시각이 일치하는 순간에 재생되는데, 비스트림 형태의 동기화 데이터의 경우 특정 시점에서 한번만 재생되는 데이터이므로, 수신기의 STC가 동기화 비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이 되기 이전에 수신기에 도착 완료하면 수신기에서 원활히 재생될 수 있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경우에는 각각의 재생시각을 가지는 DAU가 연속적으로 존재하며, 수신기에서는 연속적인 DAU의 원활한 재생을 위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위한 버퍼 모델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정의된 수신기 버퍼 모델에 의하면 DAU가 수신기에 너무 빨리 도착하는 경우 버퍼에 있는 다른 DAU들로 인해 버퍼 넘침 현상(buffer overflow)이 일어나 데이터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므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경우 각각의 DAU에 대한 수신기의 도착상태를 고려하여 출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가 수신기에서 원활하게 재생될 수 있도록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DAU에 대한 삽입 시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삽입시점에 따라 DAU를 엠펙-2 오디오/비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400)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에서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중 부가 데이터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
420 :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부
430 :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
440 : 부가 데이터 저장부
450 : 전송 스트림 분석부
460 : 재생시각 재설정부
470 : 다중화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부가 데이터를 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들 중,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다중화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하며,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와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 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생성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와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에서 생성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Data Access Unit)의 삽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 및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부가 데이터 중,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동기화를 이루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하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고 삽입하는 시간 간격인 삽입 주기와, 상기 설정된 삽입주기 동안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는 DAU의 최대 개수인 분석 DAU 개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Data Access Unit)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포함하는 초기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삽입 주기와 DAU 분석 개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 DAU 개수 만큼의 DAU를 획득하여 해당 DAU의 재생시각 및 전송 스트림 패킷 개수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된 삽입 주기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 구간내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 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과 상기 제 2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제 3 단계에서 획득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 과 비교하여 상기 분석 구간내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삽입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제 4 단계; 제4 단계에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것으로 결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기 이전에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이용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제 5 단계; 및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에 대한 새로운 재생시각이 재설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은, 비디오/오디오 저장 장치(100), 비디오/오디오 부호화 장치(200), 프로그램 다중화기(PMUX, 300),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400), PSIP/SI 생성 장치(500) 및 재 다중화기(600)를 포함한다.
비디오/오디오 저장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소정 크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비디오/오디오 부호화 장치(200)는 비디오/오디오 저장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엠펙(MPEG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표준에 따라 부호화 압축한다.
프로그램 다중화기(PMUX, 300)는 비디오/오디오 부호화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엠펙-2 비디오/오디오 기초 스트림(ES : Elementary Stream)을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PES : Packetized Elementary Stream)으로 패킷화하며, 이에 대한 프로그램 상세 정보인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또는 SI(Service Information)를 생성하여 이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으로 변환 및 생성한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400)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내에 있는 부가 데이터들 중, 엠펙-2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동기화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여 출력한다.
PSIP/SI 생성 장치(500)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하여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의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PSIP 테이블 또는 SI 테이블)를 생성, 관리 및 출력한다.
재다중화기(600)는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400) 및 PSIP/SI 생성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여러 전송 스트림의 PSIP/SI/PSI를 추출하여 재구성하며, 필요 시 패킷 아이디(PID : Packet Identifier)를 재부여한다. 또한, 프로그램 시간 기준 참조치인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수정하여 해당 전송 스트림을 출력한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400)의 구성을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40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400)는, 부가 데이터 저장부(440),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부(420), 재생시각 재설정부(460) 및 다중화부(470)를 포함한다.
부가 데이터 저장부(440)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엠펙-2 전송 스트림 형태로 캡슐화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포함한 부가 데이터를 저장, 관리 및 출력한다. 이때, 부가 데이터 저장부(4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출력 시점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부(42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따른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는 부가 데이터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 중,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다중화 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시간 간격인 삽입 주기와 설정된 삽입 주기 동안 분석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내의 DAU 개수인 분석 DAU 개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 등 상기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 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설정한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는 상기 부가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삽입 주기와 분석 DAU 개수에 따라 상기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DAU 개수 만큼의 DAU를 획득하고 해당 DAU의 재생시각, 전송 스트림 패킷의 개수 등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는 부가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삽입 주기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 등과 같은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전송 스트림의 PCR은 분석 구간내에 PCR이 포함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CR 값을 직접 획득하고, 엠펙-2 전송 스트림의 출력율을 이용하여 다른 전송 스트림 패킷에 대한 PCR을 계산하거나,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내에 PCR의 초당 증가분과 동일한 27MHz로 증가하는 기준 클럭을 두어, 입력되는 엠펙-2 전송 스트림들 중 PCR을 포함하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PCR을 획득하고, 기준 클럭을 획득한 PCR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여, PCR 값이 필요한 시점에서의 기준 클럭의 값을 획득하는 방법으로 PCR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부(420)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과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에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재생시각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에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에 상기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계산하고, 이를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에서 부가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한 삽입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성한 PCR 정보와 비교하여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현재 분석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마지막 부분의 PCR_base 보다는 크고, 상기 마지막 부분의 PCR_base에 한 주기동안 증가하는 PCR_base의 증가분을 더한 값보다는 적으면 DAU를 삽입하는 시점으로 결정하고, 해당 DAU가 부가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한 주기 동안 증가하는 PCR_base의 증가분은 부가 데이터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한 삽입 주기와 PCR_base의 초당 증가분인 90,000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한 주기 동안의 PCR_base 증가분 = 삽입 주기 90,000
재생시각 재설정부(460)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을 상기 설정된 새로운 재생시각으로 재설정한다.
다중화부(470)는 재생시각 재설정부(46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3a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에서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400)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는 상기 부가 데이터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들 중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동기화 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선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 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삽입하는 시간 간격인 삽입 주기와 상기 선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 및 하나의 삽입 주기에 삽입할 수 있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 최대 개수인 분석 DAU 개수 등의 파라미터 값을 설정한다(S310).
이때 분석 DAU 개수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된 삽입 주기에 DAU 발생회수의 최대값(59.94 또는 60)을 곱하여 이를 계산하고, 삽입 주기와 분석 DAU 개수가 모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삽입 주기를 50msec로 하고 분석 DAU 개수를 3으로 한다.
이후,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는 부가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삽입 주기와 분석 DAU 개수에 따라 부가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 DAU 개수 만큼의 DAU를 획득하여 해당 DAU의 재생시각, 전송 스트림 패킷 개수 등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S320).
이후,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는 외부로부터 실시간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된 삽입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 구간내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 정보 등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삽입에 필요한 정보들을 생성한다.(S330)
이후,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부(420)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설정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과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에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재생시각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부(430)에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에 상기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PCR과 비교하여 상기 분석 구간내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삽입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에 대한 삽입이 결정되는 경우, 부가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해당 DAU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40).
이후, 재생시각 재설정부(460)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에 대한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되었으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부가 데이터 저장부(44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재생시각을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에서 새로이 설정된 재생시각을 참고하여 재설정 하여 출력한다(S350).
이때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기 위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재생시각과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에서 설정한 새로운 재생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한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재생시각과 상기 계산한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면 상기 설정한 새로운 재생시각과 같은 값이 되도록 한다.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모든 DAU의 재생시각에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한다.
이후, 다중화부(470)는 재생시각 재설정부(46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전송 스트림 분석부(45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여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출력한다(S360).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중 부가 데이터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도 3a 에 도시된 재생시각 재설정 과정(S350)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기 위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부(410)를 통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 되었는지 확인한다(S351).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재생시각 재설정 작업을 종료하고,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 되었으면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한다(S352).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 옵셋값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새로이 설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재생시각에서 실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가 가지고 있는 재생시각을 빼서 구할 수 있다.
재생시각 옵셋(PTSoff) = 새로이 설정된 재생시각첫번째 DAU의 재생시각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 옵셋값이 계산되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DAU의 재설정된 재생시각을 계산하여 재설정한다(S353).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재설정된 재생시각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DAU의 재생시각에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함으로써 계산된다.
DAU의 재설정된 재생시각 = 부가 데이터의 재생시각 + PTSoff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와 시간적인 동기를 가지는 스트림 데이터인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엠펙-2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장치로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 구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는 시청자에게 더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부가 데이터를 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 데이터들 중,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다중화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하며,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와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 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생성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와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에서 생성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Data Access Unit)의 삽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 수단;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 및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하는 파라미터 값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고 삽입하는 시간 간격인 삽입 주기 ; 및 상기 설정된 삽입 주기 동안 분석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내의 DAU 개수를 설정하는 분석 DAU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을 통해 DAU 분석 개수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설정된 삽입 주기에 DAU 발생회수의 최대값(59.94또는 60)을 곱하여 이를 계산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삽입 주기와 DAU 분석 개수가 모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삽입 주기를 50msec로 하고, DAU 삽입 개수를 3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은,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에 상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동기화를 이루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을 통해 설정된 삽입 주기와 분석 DAU 개수에 따라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DAU 개수 만큼의 DAU를 획득하고 해당 DAU의 재생시각 및 전송스트림 패킷 개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을 통해 설정된 삽입 주기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하나의 삽입 주기 동안에 분석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분석 구간의 시작 부분의 PCR과 마지막 부분의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송 스트림 분석수단은,
    전송 스트림의 PCR을 계산하기 위해 분석 구간내에 PCR이 포함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PCR 값을 직접 획득하고, 엠펙-2 전송 스트림의 출력율을 이용하여 다른 전송 스트림 패킷에 대한 PCR을 계산하거나,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내에 PCR의 초당 증가분과 동일한 27MHz로 증가하는 기준 클럭을 두어, 입력되는 엠펙-2 전송 스트림들 중 PCR을 포함하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PCR을 획득하고, 기준클럭의 값을 획득한 PCR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 후, PCR 값이 필요한 시점에서의 기준 클럭의 값을 획득하여 PCR 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관리 수단은,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과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재생시각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하고,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에 상기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에서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한 삽입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성한 PCR 정보와 비교하여,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현재 분석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마지막 부분의 PCR 보다는 크고, 상기 마지막 부분의 PCR에 한 주기동안 증가하는 PCR의 증가분을 더한 값보다는 적으면 해당 DAU를 삽입하는 시점으로 결정하고, 해당 DAU가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에 대한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되었으면, 부가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DAU의 재생시각을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새로이 설정된 재생시각을 참고하여 재설정하여 다중화 수단으로 출력하며,
    이때,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은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기 위해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재생시각과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선택/설정 수단에서 설정한 새로운 재생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DAU의 재생시각에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화 수단은,
    재생시각 재설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 를 전송 스트림 분석 수단에서 분석한 구간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내의 Null 패킷 대신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화수단은,
    전송 스트림 분석부에서 분석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내에 다중화 되는 DAU가 2개 이상인 경우, 재생시각이 빠른 순서대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내에 삽입하며, DAU를 삽입하는 위치는 분석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이 작은 부분부터 PCR이 큰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장치.
  12.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부가 데이터 중,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동기화를 이루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선택하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고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하고 삽입하는 시간 간격인 삽입 주기와, 상기 설정된 삽입주기 동안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는 DAU의 최대 개수인 분석 DAU 개수,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첫 번째 DAU(Data Access Unit)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포함하는 초기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를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삽입 주기와 DAU 분석 개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 DAU 개수 만큼의 DAU를 획득하여 해당 DAU의 재생시각 및 전송 스트림 패킷 개수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된 삽입 주기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 구간내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 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과 상기 제 2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제 3 단계에서 획득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PCR 과 비교하여 상기 분석 구간내의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상기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삽입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제 4 단계;
    제4 단계에서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것으로 결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기 이전에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이용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재생시각을 재설정하는 제 5 단계; 및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에 대한 새로운 재생시각이 재설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를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분석 DAU 개수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된 삽입 주기에 DAU 발생회수의 최대값(59.94또는 60)을 곱하여 분석 DAU 개수를 계산하는 제 7 단계; 및
    삽입 주기와 분석 DAU 개수가 모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삽입 주기를 50msec로 하고, 분석 DAU 개수를 3으로 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삽입 주기에 따라 상기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하나의 삽입 주기 동안에 분석되는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의 분석 구간의 시작 부분의 PCR과 마지막 부분의 PCR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과 상기 제 2 단계에서 획득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 번째 DAU의 재생시각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재생시각 옵셋값을 상기 제 2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한 DAU의 재생시각에 더하여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제 3 단계에서 획득한 PCR 정보와 비교하여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현재 분석된 비디오/오디온 전송 스트림의 마지막 부분의 PCR 보다는 크고, 상기 마지막 부분의 PCR에 한 주기 동안 증가하는 PCR의 증가분을 더한 값보다는 적으면 해당 DAU를 삽입하는 시점으로 결정하고, 해당 DAU가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과 다중화 될 수 있도록 DAU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제 9 단계;
    선택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새로운 재생시각이 설정되었으면 새로이 설정된 재생시각에서 실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첫번째 DAU의 재생시각을 빼서 재생시각 옵셋값을 계산하고, 그렇지 않으면 재생시각 재설정을 종료하는 제 10 단계; 및
    입력되는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의 모든 DAU의 실제 재생시각에 상기 계산한 재생시각 옵셋값을 더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 방법.
KR10-2002-0065642A 2002-10-26 2002-10-26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KR10048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642A KR100482287B1 (ko) 2002-10-26 2002-10-26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US10/693,130 US7406703B2 (en) 2002-10-26 2003-10-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synchronized stream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US12/846,468 USRE44192E1 (en) 2002-10-26 2010-07-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synchronized stream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642A KR100482287B1 (ko) 2002-10-26 2002-10-26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47A true KR20040036447A (ko) 2004-04-30
KR100482287B1 KR100482287B1 (ko) 2005-04-14

Family

ID=3232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642A KR100482287B1 (ko) 2002-10-26 2002-10-26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406703B2 (ko)
KR (1) KR10048228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69B1 (ko) * 2005-04-04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오디오 스트림 저장장치 및 방법
WO2008140263A1 (en) * 2007-05-14 200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KR101122200B1 (ko) * 2007-05-14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US8275002B2 (en) 2007-05-14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ing servic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broadcasting service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ly accessing broadcasting service
US8750331B2 (en) 2007-06-18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mobile broadcasting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broadcasting service
KR20140093763A (ko) * 2010-07-19 2014-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US8995353B2 (en) 2007-10-09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KR101525207B1 (ko) * 2014-11-24 2015-06-04 가락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스트림 사이의 신호 동기화 방법
US9106896B2 (en) 2010-10-19 2015-08-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non-real time stereoscopic video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783B1 (ko) 2004-10-06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방법
FR2883692A1 (fr) * 2005-03-25 2006-09-29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nvoi de commande a un serveur de flux de donnees numeriques et appareil implementant le procede
US8842666B2 (en) * 2005-05-13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cketization of content for transmission over a network
US8189786B2 (en) 2005-05-25 2012-05-29 Zenith Electronics Llc Encryption system
US8144868B2 (en) * 2005-05-25 2012-03-27 Zenith Electronics Llc Encryption/decryption of program data but not PSI data
JP2007274607A (ja) * 2006-03-31 2007-10-18 Toshiba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及びデータストリーム処理方法
EP1855402A1 (en) * 2006-05-11 2007-1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ssion, reception and synchronisation of two data streams
ATE539564T1 (de) 2006-07-24 2012-01-15 Lg Electronics Inc Punkt-zu-punkt-funkträger für einen ausstrahlungsdienst
KR20090012814A (ko) * 2007-07-31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Pvr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713604B2 (en) * 2010-06-23 2014-04-29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upplement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a programming
KR101750139B1 (ko) 2011-02-11 2017-06-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협업 세션 중에 이동국 미디어 플로우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03544A (ko) * 2011-06-30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9146A (ko) * 2013-02-01 2014-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영상 기반 방송 서비스를 위한 다중 영상의 기준 pcr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85011A1 (ko) * 2014-11-24 2016-06-02 가락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스트림 사이의 신호 동기화 방법
US11589104B1 (en) * 2022-06-17 2023-02-21 Userful Corporation Latency compensation for external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2233T2 (de) * 1995-09-05 2003-03-27 Hitachi Ltd Verfahren zur digitalen Zugangskontrolle
US6353613B1 (en) * 1996-07-02 2002-03-0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transmitter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KR100225507B1 (ko) * 1997-02-26 1999-10-15 이득렬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방법
US6611537B1 (en) * 1997-05-30 2003-08-26 Centillium Communications, Inc. Synchronous network for digital media streams
KR100469523B1 (ko) * 1998-10-12 2005-02-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정보 기록 매체, 장치 및방법
AU755310B2 (en) * 1998-10-30 2002-12-1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enabling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o access system information in an abstract format
US6993789B1 (en) * 1999-04-23 2006-01-3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DTV data service application and receiver mechanism
KR100325204B1 (ko) * 1999-07-16 2002-02-25 이계안 실물 관리 방법
KR20010010109A (ko) * 1999-07-16 2001-02-0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372902B1 (ko) 2000-04-08 2003-02-17 이상복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을 사용한 데이터 서비스방법과 그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358119B1 (ko) * 2001-02-09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및 그 방법
KR100406122B1 (ko) 2002-03-29 200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 및그 방법
KR100442473B1 (ko) * 2002-05-30 2004-07-30 주식회사 클릭티브이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동영상제어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69B1 (ko) * 2005-04-04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오디오 스트림 저장장치 및 방법
WO2008140263A1 (en) * 2007-05-14 200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KR101122200B1 (ko) * 2007-05-14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US8275002B2 (en) 2007-05-14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ing servic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broadcasting service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ly accessing broadcasting service
KR101227029B1 (ko) * 2007-05-14 2013-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US8717961B2 (en) 2007-05-14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CN101558589B (zh) * 2007-05-14 2015-11-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广播的方法和设备、用于接收广播的方法和设备
US8750331B2 (en) 2007-06-18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mobile broadcasting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broadcasting service
US8995353B2 (en) 2007-10-09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KR20140093763A (ko) * 2010-07-19 2014-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60099736A (ko) * 2010-07-19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세그먼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60150111A (ko) * 2010-07-19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세그먼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US9699521B2 (en) 2010-07-19 2017-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media files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using same
US9699522B2 (en) 2010-07-19 2017-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media files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using same
US10129609B2 (en) 2010-07-19 2018-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media files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using same
US9106896B2 (en) 2010-10-19 2015-08-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non-real time stereoscopic video service
KR101525207B1 (ko) * 2014-11-24 2015-06-04 가락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스트림 사이의 신호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4192E1 (en) 2013-04-30
US20040103430A1 (en) 2004-05-27
KR100482287B1 (ko) 2005-04-14
US7406703B2 (en)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287B1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스트림 데이터 삽입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8354A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 및그 방법
EP0881838B1 (en) Timing correction
EP2051510B1 (en) Mobile-terminal-orientated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3666625B2 (ja)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US82506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to a portable terminal
Howson et al. Second screen TV synchronization
JP2001513606A (ja) 符号化ビデオの処理
KR20050002183A (ko) 멀티미디어 컨테츠와 세그먼트 메타데이터간의 시간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581159B1 (ko) 디지털 신호 다중화 방법 및 장치,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디지털 신호 기록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
JPH11275524A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CN102204249B (zh) Mpeg传输流的恒定比特率填充
KR20110129559A (ko) 디지털 광고 삽입기를 위한 비동기 직렬 인터페이스 스위쳐
WO2002071760A2 (en) System for synchronizing reception of data over different networks
KR100439339B1 (ko) 데이터 방송 서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öhnen et al. A DVB/IP streaming testbed for hybrid digital media content synchronization
JPH1141193A (ja) データパケット再多重方法及び再多重装置
KR100576543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전송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스트림 변환장치 및 그 방법
JP5466633B2 (ja) ストリーム切替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送出システム
JP2001268518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00527843B1 (ko) 엠펙-2 비디오/오디오 전송 스트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2323B1 (ko) 지상파 디엠비 방송 시스템에서의 부가데이터 송출을 위한대역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87973B1 (ko) 멀티 어플리케이션 송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디지털 데이터 방송 전송 시스템
KR0154005B1 (ko) 시스템 부호화기를 위한 재생시간정보 발생장치
JP2004104518A (ja)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