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405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405A
KR20080072405A KR1020070011126A KR20070011126A KR20080072405A KR 20080072405 A KR20080072405 A KR 20080072405A KR 1020070011126 A KR1020070011126 A KR 1020070011126A KR 20070011126 A KR20070011126 A KR 20070011126A KR 20080072405 A KR20080072405 A KR 2008007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s
air conditioner
open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2405A/ko
Priority to CN2007101054206A priority patent/CN101235976B/zh
Publication of KR2008007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구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블레이드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14 : 토출구
16,18 : 제1 및 제2블레이드 17,19: 제1 및 제2구동모터
22 : 실내팬 100 : 입력부
110 : 블레이드 개폐감지부 120 : 제어부
본 발명은 토출구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공 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냉매가 순환되는 통상의 냉동사이클이 적용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며, 본체의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종래 공기조화기와 달리 최근에는 본체의 좌우 양 측면에 토출구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을 고르고 빠르게 제어함은 물론,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측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측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473818호가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토출구와, 각 토출구에 하나씩 설치되어 토출구의 개폐정도를 변화시키면서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그런데, 동 공보에 개시된 종래 공기조화기는 각 토출구에 하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토출 공기의 풍향을 변화시키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풍향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토출구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토출 공기의 풍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킴에 있어 각 블레이드가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토출구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간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의 폭이 다르며; 상기 제2블레이드의 폭이 제1블레이드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작인가 판단하고, 운전 시작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동시에 열리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종료인가 판단하고, 운전 종료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순차적으로 닫히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블레이드를 먼저 닫아 주도록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제1블레이드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제1블레이드를 닫아 주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스윙모드가 입력되었는가 판단하고, 스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릴 때까지 상기 제2블레이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리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에서 스윙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리는 최소각도를 상기 제2블레이드의 스윙 동작 시 간섭이 일어나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작인가 판단하고, 운전 시작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동시에 열리도록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종료인가 판단하고, 운전 종료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순차적으로 닫 히도록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블레이드를 먼저 닫아 주도록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제1블레이드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제1블레이드를 닫아 주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스윙모드가 입력되었는가 판단하고, 스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릴 때까지 상기 제2블레이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리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에서 스윙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측면 토출방식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실내기 본체(10;이하, 실내기라 한다)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12)가 양 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토출구(14)가 양 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4)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회동하며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블레이드(16)가 설치되고, 제1블레이드(16)의 전방 내측에는 제1블레이드(16)와 함께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제2블레이드(18)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블레이드(18)는 제1블레이드(16)가 토출구(14)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블레이드(16)의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는 블레이드(16,18)간의 충돌을 예방하고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제2블레이드(18)의 폭이 제1블레이드(16)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제2블레이드(18)가 제1블레이드(16)보다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16)와 제2블레이드(18)의 상측에는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를 각각 회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는 토출구(14)에 설치된 제1 및 제 2블레이드(16,18)를 개별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블레이드(16,18)에 설치되어 그 회전량에 따라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가 일정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를 회전각도 분해능이 뛰어난 가변 자기 저항형 스텝핑모터(Variable Reluctance Type Stepping Motor)를 사용하게 되면 블레이드(16,18)의 단계적 방향 전환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방향 전환이 필요한 스윙모드를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블레이드(16,18)의 단계적 방향 전환과 연속적 방향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동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의 구동에 따라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각도가 변화하고, 이 변화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제1블레이드(16)는 그 회전각도(default angle)의 위치에 따라 토출구(14)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는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2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팬(22)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는 냉방운전 모드에서는 저온저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evaporator) 역할을 하고, 난방운전 모드에서는 고온고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상온(常溫)고압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condenser)의 역할을 하여 냉매의 엔탈피(enthalpy) 변화에 대응하여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 외에 입력부(100), 블레이드 개폐감지부(110), 제어부(120), 압축기구동부(130), 실내팬구동부(140), 블레이드구동부(150) 및 표시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운전모드(냉방 또는 난방)와 설정온도, 설정풍량, 설정풍향(스윙모드) 등의 운전정보를 입력하도록 키조작부 또는 리모콘신호수신부 등으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개폐감지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구 동모터(17,19)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의 개폐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실내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상기 입력부(10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의 회동을 제어하여 상기 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를 회동시킴에 있어 각 블레이드(16,18)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운전이 종료되어 상기 토출구(14)를 폐쇄시킬 때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16)가 외측에 마련되고, 제2블레이드(18)가 내측에 마련됨에 따라 제2블레이드(18)를 먼저 회동시켜 완전히 닫힐 때까지 제1블레이드(16)를 정지시키고, 제2블레이드(18)가 완전히 닫히면 제1블레이드(16)를 회동시켜 토출구(14)를 닫아 주도록 제어한다.
한편, 운전이 시작되어 상기 토출구(14)를 개방시킬 때에는 제1블레이드(16)와 제2블레이드(18)를 동시에 회동시켜 토출구(14)를 열어 주고, 운전 시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제1블레이드(16)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여 제1블레이드(16)가 열릴 때까지 제2블레이드(18)를 정지시키고 있다가 제1블레이드(16)가 열리면 제2블레이드(18)를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에서 스윙 동작시켜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해 준다. 이때 제1블레이드(16)가 열리는 최소각도는 제2블레이드(18)의 스윙동작 시 간섭이 일어나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한다.
상기 압축기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132)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고, 실내팬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팬(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블레이드구동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의 위치 및 스윙각도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이다.
상기 표시부(160)는 제어부(120)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 에러모드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16,18)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온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운전 온인가를 판단하여(S200) 운전 온이면 토출구(14)를 개방하기 위해 블레이드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실내기(10)의 양 측면 토출구(14)에 설치된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시에 열리도록 제1 및 제2구동모터(17,19)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를 동시에 회동시킨다(S202).
이때 두 개의 블레이드(16,18)가 동시 회동함에 있어 서로 간섭을 주지 않는 구간에서는 동시에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빠른 응답성을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가 동시에 열리면서 토출구(14)가 개방되면, 제어부(120)는 입력부(100)를 통해 스윙모드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04) 스윙모드가 입력된 경우 제1블레이드(16)가 열려 있는가를 블레이드 개폐감지부(110)를 통해 판단한다(S206).
상기 S206의 판단결과, 제1블레이드(16)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1블레이드(16)가 열린 상태에서 제2블레이드(18)를 스윙하기 위해 블레이드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제1블레이드(16)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리도록 제1구동모터(17)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블레이드(16)를 열어 주면서 제1블레이드(16)가 열릴 때까지 제2블레이드(18)를 정지시킨다(S208).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제1블레이드(16)의 열림 동작에 따라 제1블레이드(16)가 완전히 열렸는지를 블레이드 개폐감지부(110)를 통해 판단하여(S210), 제1블레이드(16)의 열림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1블레이드(16)가 완전히 열릴 때까지 제2블레이드(18)를 정지시킨 상태로 제1블레이드(16)를 열어 준다.
상기 S210의 판단결과, 제1블레이드(16)의 열림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1블레이드(16)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제2블레이드(18)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에서 스윙 동작시켜 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해 준다(S212). 이때 제1블레이드(16)가 열리는 최소각도는 제2블레이드(18)의 스윙 동작 시 간섭이 일어나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여 제1블레이 드(16)와 제2블레이드(18)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운전 오프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운전 오프인가를 판단하여(S214) 운전 오프가 아니면 제1 및 제2블레이드(16,18)의 풍향위치를 사용자가 설정한 풍향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하는 운전을 계속한다.
상기 S214의 판단결과, 운전 오프이면 제어부(120)는 토출구(14)를 폐쇄하기 위해 블레이드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제2블레이드(18)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히도록 제2구동모터(19)를 구동시킴으로써 제2블레이드(18)를 닫아 주면서 제2블레이드(18)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제1블레이드(16)를 정지시킨다(S216).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제2블레이드(18)의 닫힘 동작에 따라 제2블레이드(18)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블레이드 개폐감지부(110)를 통해 판단하여(S218), 제2블레이드(18)의 닫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2블레이드(18)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제1블레이드(16)를 정지시킨 상태로 제2구동모터(19)를 구동시켜 제2블레이드(18)를 닫아 준다.
상기 S218의 판단결과, 제2블레이드(16)의 닫힘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2블레이드(18)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1블레이드(16)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히도록 제1구동모터(17)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블레이드(16)를 닫아 준다(S220).
도 4c는 제2블레이드(18)가 먼저 토출구(14)의 내측으로 회동하여 접혀진 다음에 제1블레이드(16)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토출구(14)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제2 블레이드(18)가 완전히 접힌 다음에 제1블레이드(16)가 닫히도록 하는 것이 충돌의 염려가 없어 안전하나 제1블레이드(16)와 제2블레이드(18)가 접히기 시작하는 시간을 적절히 제어하여 거의 동시에 제1블레이드(16)와 제2블레이드(18)가 닫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들(16,18)이 동시에 닫히도록 하면 블레이드들(16,18)의 개폐시간을 줄일 수 있고, 보다 자연스런 개폐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제1블레이드(16)의 닫힘 동작에 따라 제1블레이드(16)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블레이드 개폐감지부(110)를 통해 판단하여(S222), 제1블레이드(16)의 닫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1블레이드(16)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제1구동모터(17)를 구동시킨다.
상기 S222의 판단결과, 제1블레이드(16)의 닫힘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20)는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토출구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토출 공기의 풍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킴에 있어 각 블레이드가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토출구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간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의 폭이 다르며;
    상기 제2블레이드의 폭이 제1블레이드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작인가 판단하고, 운전 시작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동시에 열리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종료인가 판단하고, 운전 종료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순차적으로 닫히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블레이드를 먼저 닫아 주도록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제1블레이드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제1블레이드를 닫아 주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윙모드가 입력되었는가 판단하고, 스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릴 때까지 상기 제2블 레이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리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에서 스윙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리는 최소각도를 상기 제2블레이드의 스윙 동작 시 간섭이 일어나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작인가 판단하고,
    운전 시작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동시에 열리도록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종료인가 판단하고,
    운전 종료이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순차적으로 닫히도록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회동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블레이드를 먼저 닫아 주도록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제1블레이드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제1블레이드를 닫아 주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를 회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스윙모드가 입력되었는가 판단하고,
    스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릴 때까지 상기 제2블레이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열리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에서 스윙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11126A 2007-02-02 2007-02-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2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126A KR20080072405A (ko) 2007-02-02 2007-02-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007101054206A CN101235976B (zh) 2007-02-02 2007-05-30 空调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126A KR20080072405A (ko) 2007-02-02 2007-02-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405A true KR20080072405A (ko) 2008-08-06

Family

ID=398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126A KR20080072405A (ko) 2007-02-02 2007-02-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2405A (ko)
CN (1) CN1012359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8941A3 (en) * 2009-01-15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2212C (zh) * 2004-05-20 2006-12-27 上海交通大学 多方向送风的柜式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5976B (zh) 2010-04-21
CN101235976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97238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63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507231B2 (ja) 空気調和機
US20120171948A1 (en) Air flow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728336B1 (ko) 에어컨의 보조 토출구 제어 장치 및 방법
US7624587B2 (en) Multi-stage operation type air conditioner
JP6808065B2 (ja) 空気調和機
JP4170676B2 (ja) 天井型エアコンのベーン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37314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240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93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CN113757947B (zh) 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
KR200900550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60056107A (ko) 천정형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1172683B1 (ko)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28345B1 (ko) 에어컨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KR100791926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789710B1 (ko) 천정형 에어컨
KR20110004147A (ko) 공기조화기
KR101176633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598795B1 (ko) 댐퍼 시스템이 적용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장치
KR10070735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043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2001201155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244334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