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904A - 센서 칩 및 센서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칩 및 센서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904A
KR20080069904A KR1020077020851A KR20077020851A KR20080069904A KR 20080069904 A KR20080069904 A KR 20080069904A KR 1020077020851 A KR1020077020851 A KR 1020077020851A KR 20077020851 A KR20077020851 A KR 20077020851A KR 20080069904 A KR20080069904 A KR 20080069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sensor chip
sensor
chemic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키 나카무라
마사오 고토오
토모코 이시카와
이사오 가루베
토시후미 호소야
신고 가이모리
모리야스 이치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1Enzyme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01N33/5438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칩의 반응부에 도포된 약제의 열화 상태를, 피측정물질의 농도측정 시에, 검출 가능하게 하는 센서 칩, 및, 이 센서 칩을 이용하여, 약제의 열화 상태를 검출하면서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사이에 끼인 스페이서층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층 내에 복수의 반응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판의 스페이서층쪽 표면에 상기 반응부 내에 노출되는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으로서, 상기 복수의 반응부의 2이상의 반응부에,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되고, 상기 2이상의 반응부 중 적어도 1개의 반응부에는, 또한 상기 약제(A)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B)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칩, 및, 이 센서 칩과 2이상의 반응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전류치를 비교하는 측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시스템이다.

Description

센서 칩 및 센서시스템{SENSOR CHIP AND SENSOR SYSTEM}
본 발명은, 시료 중의 특정성분을 정량하는 센서 칩, 특히 생체시료 중에 함유되는 특정성분을 정량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 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이 센서 칩을 이용한 센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센서 칩은, 혈액, 소변 등의 생체시료를 칩 내부의 반응부에 도입하고, 시료 중에 함유되는 특정성분(피측정물질)과 반응부에 도포된 약제의 사이에, 효소반응이나 항원-항체반응 등의 생화학반응을 일으키게 하고, 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치를 칩 외부로 출력해서, 피측정물질의 정량을 하는 것이다. 바이오 센서 칩은, 생체가 가지는 우수한 분자식별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며, 미량의 화학물질의 신속하고 간편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 센서 칩에 의한 측정에서는, 반응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의 크기에 의거하여 시료 중에 함유되는 피측정물질의 농도가 정량된다. 그러나, 반응부의 약제가 열화했을 경우에는, 피측정물질의 농도가 동일해도, 출력되는 전류치의 크기는 저하되고, 열화가 큰 경우는 측정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반응부의 약제의 열화가 고려되는 경우에는, 측정에 있어서 해당 열화의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최근, 고령자인구의 증가 등에 의해 일상적인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개인의 가정 내에 있어서의 간이측정수단으로서, 염가인 일회용 타입의 바이오 센서 칩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 일회용 타입의 바이오 센서 칩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보관 등에 의해, 반응부의 약제의 열화가 일어나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 생산비용의 저감이나 사용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일회용 타입의 바이오 센서 칩을 복수 매 정리해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런 경우 다수의 바이오 센서 칩은, 포장의 개봉 후 사용 시까지, 장시간 바깥 공기에 노출되게 되므로 약제의 열화가 일어나기 쉽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오 센서 칩에는, 사용자가 약제의 활성을 확인하는 수단이 없었으므로, 약제가 열화하여 정확한 피측정물질농도를 측정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어도, 측정을 실행하여 정확한 측정결과를 오인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측정결과의 옳고 그름의 판단의 착오에 의해, 적절한 자기관리를 할 수 없게 될 위험성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칩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칩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 칩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칩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기판 3: 스페이서층
4, 6: 레지스트재층 5: 점착제층
7, 8: 검지용 전극계 9: 측정용 반응부
10: 레퍼런스 반응부 11, 12: 약제(A)
13: 참조용 시약
본 발명은, 센서 칩을 피측정물질의 정량에 사용할 때에, 반응부에 도포된 약제의 열화 상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칩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이 센서 칩을 이용하는 센서시스템으로서, 약제의 열화 상태를 검출하면서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는,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사이에 끼인 스페이서층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층 내에 복수의 반응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판의 스페이서층쪽 표면에 상기 반응부 내에 노출되는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으로서,
상기 복수의 반응부의 2이상의 반응부에, 동일한 약제(이 약제를 약제(A)라고 함)가 도포되고, 상기 2이상의 반응부 중 적어도 1개의 반응부에는, 또한 상기 약제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이 약제를 약제(B)라고 함)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칩(청구항 1)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자는 검토한 결과, 2이상의 반응부에 동일한 약제를 도포하는 동시에, 그 중 적어도 1개의 반응부에는 또한 이 약제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도 도포한 센서 칩을 이용하면, 쌍방의 반응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를 비교함으로써, 약제의 열화의 정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센서 칩은, 서로 대향하는 즉 대면해서 배치되어 있는 2매의 기판과, 해당 기판 사이에 끼이는 스페이서층으로 이루어진다. 기판의 스페이서층쪽, 즉 서로 대면하고 있는 쪽의 표면 위에는,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어 있다. 검지용 전극계는, 적어도 작용전극과 상대전극을 가지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참조전극 등의 다른 전극이나 그 이외의 수단을 가져도 된다. 통상, 1개의 검지용 전극계 내의 작용전극과 상대전극은 각 기판의 표면 위에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검지용 전극계는, 각 반응부 내에 노출되고, 반응부 내에서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치를 출력한다.
상기 2매의 기판은, 전기절연성의 필름이며, 해당 재질로서는, 세라믹스, 유리, 종이, 생분해성 재료(예를 들면, 폴리락트산, 전분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재료가 예시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절연성 수지가 이용된다.
상기 2매의 기판 사이에 끼이는 스페이서층은, 1층 또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전극간의 절연성을 높이며 또한 전극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는 레지스트재층과, 각층을 접착하는 기능을 지니는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 등의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1층이 레지스트재층과 접착제층을 겸하는 경우도 있으며, 레지스트재층, 점착제층, 접착제층이 각각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레지스트재층은 센서 칩 형성 후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동시에, 기판과의 밀착성이 강하므로, 액체의 약제를 반응부에 도포했을 때에, 기판과 스페이서층과의 계면에 약품이 침투하여 계면이 박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지닌다.
레지스트재층의 재질로서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변성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가 예시된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에폭시계, 아세트산 비닐계, 실리콘계 등의 접착제가 예시되고,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 수지, UV경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도, 센서 칩 형성 후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접착제나 점착제는 영률이 낮아서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반응부의 체적을 규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그다지 두껍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면을 접착하는 기능을 지니는 정도로, 최소한의 두께인 것이 통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센서 칩에서는, 스페이서층 내에 2이상의 반응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매의 기판의 각각의 스페이서층쪽 표면에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고, 한쪽 기판(기판(1)으로 함)의 표면 위에 형성된 검지용 전극계만이 노출되어 있으며 다른 쪽 기판(기판(2)으로 함)의 검지용 전극계는 노출하고 있지 않은 반응부, 및 기판(2)의 검지용 전극계만이 노출되어 있으며 기판(1)의 검지용 전극계는 노출하고 있지 않은 반응부의 적어도 2개의 반응부를 가진다. 기판(1)의 검지용 전극계와 기판(2)의 검지용 전극계를 상기와 같은 대면구조로 함으로써, 복수의 전극계를 한 평면 위에 병렬로 배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센서 칩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부는, 스페이서층 내에 형성된 중공부로서, 이 부분에서 여기에 도입된 시료가 여기에 도포되어 있는 약제와, 검지, 정량을 위한 화학반응을 하고, 바이오 센서 칩의 경우는 생화학반응을 한다. 상기 약제로서는, 이 화학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 효소 등을 들 수 있으며, 반응부 내에 도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약제에 사용되는 촉매, 효소로서는, 혈액 중의 글루코스량을 측정하는 글루코스 바이오 센서에 있어서는, 글루코스옥시다아제(GOD), 글루코스데히드로게나아제(GDH), 글루코스옥시다아제-전자수용체(메디에이터)혼합물, 글루코스옥시다아제-알부민혼합물, 또는 글루코스옥시다아제-전자수용체-알부민혼합물 등이 예시되고, 그 외에, 프락토오스 센서에 있어서의 프락토오스데히드로게나아제(FDH), 락트산 센서에 있어서의 락트산 옥시다아제, 콜레스테롤 센서에 있어서의 콜레스테롤옥시다아제, 알코올 센서에 있어서의 알코올옥시다아제, 아미노산 센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옥시다아제 등이 예시된다. 또, 반응을 원활히 실행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등이 도포되는 경우도 있다.
또, 반응부는, 시료도입구를 적어도 1개 해당 일단부에 가질 필요가 있지만, 또한 시료도입구의 반대쪽 단부에도,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부를, 이와 같은 빨대형상의 구조로 함으로써, 모세관현상을 이용해서 시료의 반응부에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칩은, 해당 복수의 반응부 내에, 어느 약제(A)가 도포되어 있는 반응부 및, 그것과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되는 동시에 이 약제(A)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B)도 도포되어 있는 반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의 약제(A)만이 도포되어 있는 반응부를 측정용 반응부라고 하며, 상기의 약제(A) 및 다른 약제(B)도 도포되어 있는 반응부를 레퍼런스 반응부라고 하고, 이 다른 약제(B)를 참조용 시약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반응부는, 예를 들면, 센서 칩의 제조의 약제도포의 공정에 있어서, 2개의 반응부의 각각에 동일한 약제(A)를 도포하고, 또한 한쪽 반응부에 대해서만, 상기의 약제(A)의 도포 개소와는 다른 개소에 참조용 시약(약제(B))을 도포해서 형성할 수 있다.
시료가 측정용 반응부 및 레퍼런스 반응부에 도입되면, 측정용 반응부에서는 시료 중의 피측정물질이 약제(A)에 의해 반응하여 해당 검지용 전극계에 전류치가 출력된다. 이 전류치를 Ia로 한다. 한편, 레퍼런스 반응부에서는, 시료 중의 피측정물질이 약제(A)에 의해 반응하는 동시에, 참조용 시약과 약제(A)가 반응하여 해당 검지용 전극계에 전류치가 출력된다. 이 전류치를 Ib로 한다. 전류치 Ib는, 시료 중의 피측정물질과 약제(A)와의 사이의 반응에 의한 전류치(Ia와 동일함)와, 참조용 시약과 약제(A)와의 사이의 반응에 의한 전류치의 합산이므로, 2개의 출력전류치의 차 Ix = (Ib - Ia)는, 참조용 시약과 약제(A)와의 사이의 반응에 의한 전류치이다.
약제(A)가 열화하면, 참조용 시약과 약제(A)와의 사이의 반응도 불활성으로 되며, Ix는 약제(A)의 열화와 동시에 감소한다. 그래서, 약제(A)의 열화가 없는 경우의, 참조용 시약과 약제(A)와의 사이의 반응에 의한 전류치 Io와 상기 Ix를 비교함으로써 약제(A)의 열화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전류치 Io는, 센서 칩의 설계 시나 센서 칩의 제조 직후, 즉 약제(A)의 열화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피측정물질을 소정의 농도를 함유한 시료에 대해서, Ia 및 Ib를 미리 측정해서 구할 수 있다.
사용되는 참조용 시약(약제(B))으로서는, 약제(A)에 고활성으로 반응하고, 반응에 따른 전류치를 출력시키는 물질이면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지만, 피측정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청구항 2). 참조용 시약을 피측정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함으로써, 약제(A)의 활성변화에 의거하는 출력의 변화만을 정밀도 양호하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칩은, 측정용 반응부 및 레퍼런스 반응부 이외에 다른 반응부를 가져도 된다. 다른 반응부에, 측정용 반응부 및 레퍼런스 반응부에 도포된 약제(A) 이외의 약제를 도포함으로써, 시료 중이 다른 성분에 대해서 동시에 측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센서 칩은, 바이오 센서 칩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청구항 3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혈액 중의 글루코스량(혈당치)이나 뇨당치를 측정하는 혈당치센서, 뇨당치센서 등으로서 이용되며, 또, 프락토오스센서나 간기능검사,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량의 검사 등에 있어서도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특히, 약제의 열화가 문제가 되기 쉬운 일회용 타입의 바이오 센서 칩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센서 칩에 의해 시료 중의 피측정물질의 정량을 할 때에는, 센서 칩을 센서장치에 장착하고, 센서 칩의 시료도입구를 시료에 접촉시켜서, 반응부 내에 시료를 도입해서 반응시킨다. 센서장치는, 센서 칩에서의 전류치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 해당 전류치를 처리해서 측정결과를 산출하는 수단,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수단 등을 가지는 장치이며, 센서 칩과 센서장치에 의해, 시료 중의 피측정물질을 정량하기 위한 센서시스템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센서 칩에 부가해서, 상기 센서 칩과 센서장치로 이루어지는 센서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사이에 끼인 스페이서층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층 내에 복수의 반응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판의 스페이서층쪽 표면에 상기 반응부 내에 노출되는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으로서, 상기 복수의 반응부 중 2이상의 반응부에,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되고, 상기 2이상의 반응부 중 적어도 1개의 반응부에는, 또한 상기 약제(A)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B)가 도포되어 있는 센서 칩과,
상기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된 2이상의 반응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전류치를 비교하는 측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시스템(청구항 4)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시스템은, 상기의 본 발명의 센서 칩을 이용하는 것과 동시에, 측정용 반응부 및 레퍼런스 반응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전류치, 즉 상기의 Ia와 Ib를 비교하는 측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비교하는 측정수단에 의해 Ia와 Ib의 차인 Ix가 구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서 미리 측정해 둔 전류치 Io를 센서장치 내의 기억부에 미리 기억해 두면, Ix / Io를 구할 수 있으며, Ix / Io의 저하 상태에 의해 약제(A)의 열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약제(A)의 활성 저하가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해당 센서 칩의 사용을 금지하고, 다른 센서 칩과 교환해서 측정을 한다. 이런 경우, 교환을 촉구하는 요지가 센서장치의 표시부에 출력되면 바람직하다.
약제(A)의 활성 저하가 확인되었을 경우일지라도, 해당 센서 칩을 사용하면서 측정을 실행하여, 전류치 Ia를, Ix / Io의 값에 의거해서 보정하고, 피측정물질의 정량을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센서 칩의 폐기교환에 의한 낭비의 발생,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소정의 한계치 Id를 결정해 두고, 전류치 Ix가 Id를 하회했을 경우에는, 약제(A)의 열화가 현저하다고 판단해서 센서 칩을 교환하고, 전류치 Ix가 Id이상인 경우에는, Ix / Io의 값에 의거하는 보정을 실행하여 피측정물질을 정량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칩이나 센서시스템을 이용하면, 반응부에 도포된 약제(A)의 열화 상태를, 측정 시에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보관 등에 의해 약제(A)의 활성이 저하했을 경우일지라도, 그 저하의 정도를 적절히 파악하여, 센서 칩을 교환하거나, 또는 그 저하의 정도에 의거해서 출력을 보정하는 등 방법에 의해, 정확한 정량을 할 수 있으며, 열화한 센서 칩의 사용에 의한 부적절한 판단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센서 칩은, 칩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으며, 또 복잡한 형상의 구성 부재가 없으므로 생산이 용이하다. 따라서, 일회용 타입의 바이오 센서 칩 등으로서, 개인의 가정 내에 있어서의 일상적인 건강관리 등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칩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측면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기판(1)과 기판(2)의 사이에 끼이는 스페이서층(3)은, 레지스트재층(4), 점착제층(5), 레지스트재층(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기판(1)과 기판(2)의 스페이서층(3)쪽 표면에는, 각각, 검지용 전극계(7), 검지용 전극계(8)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층(3) 내에는, 측정용 반응부(9)와 레퍼런스 반응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도면의 예는 측정용 반응부 및 레퍼런스 반응부를 각각 1개씩, 합계 2개의 반응부를 가지는 바이오 센서 칩이다.
측정용 반응부(9)는, 레지스트재층(4) 및 점착제층(5)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검지용 전극계(7)만이 그 내에 노출되어 있다. 레퍼런스 반응부(10)는, 점착제층(5) 및 레지스트재층(6)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검지용 전극계(8)만이 그 내에 노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정용 반응부(9)와 레퍼런스 반응부(10)는, 서로 평행하며, 해당 양단부는, 센서 칩의 양쪽 측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용 반응부(9)와 레퍼런스 반응부(10)는 빨대형상의 형상이며, 각 반응부의 단부가, 시료가 도입되는 시료도입구가 된다.
측정용 반응부(9)와 레퍼런스 반응부(10)에는, 각각 동일한 약제(A11, A12)가 고정되어 있다. 또, 레퍼런스 반응부(10)에는, 약제(A11)의 고정 개소와 다른 개소에, 참조용 시약(13)(약제(B))이, 약제(A11)와는 분리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참조용 시약(13)은 반응부 내의 약제(A11)가 고정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도 2의 예의 센서 칩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센서 칩의 형성 후에는 기판(1)과 기판(2)이 되는 기판시트 위에 검지용 전극계(7, 8)를 형성한다. 검지용 전극계(7, 8)의 형성은, 카본잉크를 스크린 인쇄해서 실행할 수 있으며, 기판시트를 대략 2등분하는 절곡선의 한쪽에 검지용 전극계(7)가, 다른 쪽에 검지용 전극계(8)가 형성된다.
검지용 전극계(7, 8)의 형성 후에는, 각각의 위에 레지스트재층(4, 6)이 형성된다. 레지스트재층(4, 6)은, 각각 센서 칩이 형성된 후에는 측정용 반응부(9) 및 레퍼런스 반응부(10)의 일부가 되는 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홈은 서로 평행하며, 각각에 검지용 전극계(7) 또는 전극계(8)가 노출되고, 또한 기판시트의 측면에 수직이다. 이와 같은 레지스트재층(4, 6)은, 그들을 구성하는 수지를, 홈을 형성하도록, 스크린 인쇄해서 경화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레지스트재층(4, 6)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상기의 2개의 홈과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을 가지도록, 또한 절곡선을 축으로서 이들의 홈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도 홈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은, 그들을 구성하는 수지를, 상기의 각 홈을 형성하도록, 스크린 인쇄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각 홈이 형성된 후에, 그들의 바닥부에 약제(A) 및 참조용 시약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약제(A)나 참조용 시약의 도포 후에, 기판시트를, 절곡선을 중심으로서 절곡하고, 점착제층끼리를 접합한다. 그 결과, 접합된 점착제층은 점착제층(5)을 형성하고, 각 홈은 측정용 반응부(9) 및 레퍼런스 반응부(10)를 형성하며, 센서 칩을 얻을 수 있다.
도 3,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센서 칩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측정용 반응부(9)와 레퍼런스 반응부(10)는, 양자에서 「V」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양단부는, 센서 칩의 양쪽 측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으며, 빨대형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한쪽 측면에 있어서는, 양자의 개구부는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이 접속되어 있는 개구부를 시료도입구로 함으로써, 미량의 시료를 동시에 양자에 도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중 어느 예에 있어서도, 측정용 반응부(9)는, 스페이서층(3) 내에 형성되어서 검지용 전극계(7)만이 그 내에 노출되어 있으며, 레퍼런스 반응부(10)는, 스페이서층(3) 내에 형성되어서 검지용 전극계(8)만이 그 내에 노출되어 있다. 또, 측정용 반응부(9)와 레퍼런스 반응부(10)에는, 각각 동일한 약제(A)가 고정되어 있으며, 레퍼런스 반응부(10)에는, 이 약제(A)의 고정 개소와는 다른 개소에, 참조용 시약이 고정되어 있다. 즉, 이들의 점에서는 도 2의 예와 동일하며, 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5년 10월 27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원2005-312326)에 의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센서 칩이나 센서시스템을 이용하면, 반응부에 도포된 약제(A)의 열화 상태를, 측정 시에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보관 등에 의해 약제(A)의 활성이 저하했을 경우일지라도, 그 저하의 정도를 적절히 파악하여, 센서 칩을 교환하거나, 또는 그 저하의 정도에 의거해서 출력을 보정하는 등 방법에 의해, 정확한 정량을 할 수 있으며, 열화한 센서 칩의 사용에 의한 부적절한 판단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센서 칩은, 칩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으며, 또 복잡한 형상의 구성 부재가 없으므로 생산이 용이하다. 따라서, 일회용 타입의 바이오 센서 칩 등으로서, 개인의 가정 내에 있어서의 일상적인 건강관리 등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사이에 끼인 스페이서층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층 내에 복수의 반응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판의 스페이서층쪽 표면에 상기 반응부 내에 노출되는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으로서,
    상기 복수의 반응부의 2이상의 반응부에,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되고, 상기 2이상의 반응부 중 적어도 1개의 반응부에는, 또한 상기 약제(A)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B)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B)가, 피측정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바이오 센서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칩.
  4. 서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사이에 끼인 스페이서층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층 내에 복수의 반응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판의 스페이서층쪽 표면에 상기 반응부 내에 노출되는 검지용 전극계가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으로서, 상기 복수의 반응부의 2이상의 반응부에,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되고, 상기 2이상의 반응부 중 적어도 1개의 반응부에는, 또한 상기 약제(A)와 반응하는 다른 약제(B)가 도포되어 있는 센서 칩과,
    상기 동일한 약제(A)가 도포된 2이상의 반응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전류치를 비교하는 측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시스템.
KR1020077020851A 2005-10-27 2006-10-25 센서 칩 및 센서시스템 KR20080069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2326A JP2007121060A (ja) 2005-10-27 2005-10-27 センサチップおよびセンサシステム
JPJP-P-2005-00312326 2005-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904A true KR20080069904A (ko) 2008-07-29

Family

ID=3796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51A KR20080069904A (ko) 2005-10-27 2006-10-25 센서 칩 및 센서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123335A1 (ko)
EP (1) EP1942337A4 (ko)
JP (1) JP2007121060A (ko)
KR (1) KR20080069904A (ko)
AU (1) AU2006307156A1 (ko)
CA (1) CA2600433A1 (ko)
NO (1) NO20074538L (ko)
RU (1) RU2007133641A (ko)
WO (1) WO20070496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750B1 (ko) * 2011-10-31 2014-02-2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를 이용한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432B2 (ja) * 2008-05-09 2013-12-11 株式会社船井電機新応用技術研究所 ガス検出システム
JP5420204B2 (ja) * 2008-07-18 2014-02-19 株式会社船井電機新応用技術研究所 携帯型の物質検出装置
RU2564923C2 (ru) 2010-12-31 2015-10-10 Цилаг Гмбх Интернэшнл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измерений аналита с высокой точностью
JP6403653B2 (ja) * 2015-11-05 2018-10-10 シラグ・ゲーエムベーハ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Cilag GMBH International 高精度分析物測定用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9187018A1 (ja) * 2018-03-30 2019-10-03 株式会社ファーストスクリーニング 健康補助システム、センサー、及び健康補助方法
JP7240747B2 (ja) * 2020-12-25 2023-03-16 株式会社ファーストスクリーニング 健康補助システム、健康補助方法、及びセンサ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3856A (ja) * 1993-01-13 1994-08-05 Daikin Ind Ltd バイオセンサの電極活性低下状態検出装置
US6287451B1 (en) * 1999-06-02 2001-09-11 Handani Winarta Disposable sensor and method of making
DE60024965T2 (de) * 1999-10-05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Glukosesensor
US6716577B1 (en) * 2000-02-02 2004-04-06 Lifescan, Inc. Electrochemical test strip for use in analyte determination
JP3793782B2 (ja) * 2000-07-24 2006-07-0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測定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試薬担持体および情報記録媒体、測定データ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6855243B2 (en) * 2001-04-27 2005-02-15 Lifescan, Inc. Electrochemical test strip having a plurality of reaction chamb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3890417B2 (ja) * 2003-08-27 2007-03-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接着及び剥離が可能な保護フィルムを有するバイオセンサ
JP2005312326A (ja) 2004-04-27 2005-11-10 Shigeru Ogawa ヤーコン餅、米菓及びヤーコン餅の製造方法
JP4807493B2 (ja) * 2004-12-03 2011-11-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センサ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750B1 (ko) * 2011-10-31 2014-02-2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를 이용한 바이오센서 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07156A1 (en) 2007-05-03
RU2007133641A (ru) 2009-03-20
US20090123335A1 (en) 2009-05-14
AU2006307156A2 (en) 2007-05-03
NO20074538L (no) 2008-07-25
EP1942337A4 (en) 2009-07-15
WO2007049646A1 (ja) 2007-05-03
CA2600433A1 (en) 2007-05-03
EP1942337A1 (en) 2008-07-09
JP2007121060A (ja)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7910B2 (ja) 生理的又は水性の液体中の被分析物濃度を定量するための被分析物検査システム
US9097660B2 (en) Analyte sensors and methods of use
US8375574B2 (en) Method of making analyte sensor
US20090214384A1 (en) Identification of a strip type by the meter using conductive patterns on the strip
KR20080069904A (ko) 센서 칩 및 센서시스템
JPH11304748A (ja) バイオセンサ
JP2007108104A (ja) センサ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7493B2 (ja) センサ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1377A (ja) センサ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1018A (ja) センサ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