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008A -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008A
KR20080069008A KR1020070006573A KR20070006573A KR20080069008A KR 20080069008 A KR20080069008 A KR 20080069008A KR 1020070006573 A KR1020070006573 A KR 1020070006573A KR 20070006573 A KR20070006573 A KR 20070006573A KR 20080069008 A KR20080069008 A KR 2008006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ffect
additional data
tag
audi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008A/ko
Publication of KR2008006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악의 특성에 따라 음향효과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여 상기 음향효과 정보와 비교한 후,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으면 기설정된 음향효과에 따라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음악에 따라 최적의 음향효과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 ID3 태그, 이퀄라이저, 장르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utomatically a sound effect of digital audio device }
도 1은 ID3 v1.1 태그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ID3 v2 태그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 효과 자동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부가 데이터 관리부 311 : 부가 데이터 추출부
314 : 부가 데이터 비교부 314 : 메모리
320 : 데이터 저장부 330 : 음성신호 처리부
331 : 오디오 디코더 334 :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
340 : 스피커 35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식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디지털 음성 파일을 전송받아 음악으로 재생시켜 주는 기기로,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해 음악을 저장하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휴대하기에 적합하므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 더 높은 데이터 저장 용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화된 고용량의 하드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차세대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CD, 인터넷 및 다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고, 인코딩된 포맷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 압축 해제된 후 디코딩되어 재생된다.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CD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기 때문에 CD 플레이어 수준의 음질을 제공한다.
그러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디지털 오디오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원음을 풍부히 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뭉개져 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오디오 기기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를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소정 주파수 대 역의 오디오 신호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퀄라이저 기능을 이용하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보강할 수 있어 보다 나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음악 장르에 따라 이퀄라이저 기능을 변경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기 전까지는 초기에 설정된 이퀄라이저 기능이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다양한 장르에 맞는 음향 효과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지 못하여 음악의 고유한 특색을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악의 특성에 따라 음향효과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여 상기 음향효과 정보와 비교한 후,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으면 기설정된 음향효과에 따라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각 음악에 따라 최적의 음향효과를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 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한 후,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메모리에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는 부가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에 부합되게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는 부가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가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여 음성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부가데이터 비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에 부합되게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부가 데이터 추출부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와, 부가 데이터 비교부가 상기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 에 부합되게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 태그에 포함된 정보 중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의 순서로 비교하거나 장르(Genre)만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오디오 기기'란 디지털 방식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디코더가 장착되는 모든 디지털 오디오 장치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MP3 플레이어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이에 속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재생 장치도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의 경우에도, MP3 플레이어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셀룰러 폰, 멀티코덱 플레이어, PDA(개인 휴대 단말기) 및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 PMP) 등 모든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부가데이터 태그'란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부가적인 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특별한 프레임 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MP3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경우, 설명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파일과 관련된 다른 부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128 바이트의 ID3 태그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 DAB)의 경우, PAD(Program Associate Data)가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재생할 때,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어, 장르, 음악가, 타이틀 등을 이용하여 그에 적합한 음향 효과를 자동적으로 설정한 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MP3 포맷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경우, 파일명으로만 표시하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ID3 태그라고 하는 특별한 프레임 세트가 선두에 부가되거나 후단에 부가된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부가 데이터 태그'라 한다.
ID3 태그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후단에 부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ID3 태 그는 MP3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마지막 128 바이트를 읽어들임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ID3 태그는 해당 곡의 곡명, 음악가, 앨범명, 제작년도, 앨범 트랙정보, 가사, 장르 등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ID3 태그는 ID3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검색, 분류 및 선택하는데 유용하다.
ID3 태그에 포함된 정보는 주로 텍스트 문자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재생할 때, 상기 ID3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ID3 태그는 버전(Version)에 따라, ID3 v1.1 태그와 ID3 v2 태그 등이 있는데, ID3 v2 태그는 ID3 v1.1 태그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현재 ID3 v2.4 태그까지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ID3 v1.1 태그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100)은 음악으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110)와 ID3 v1.1 태그(140)로 나뉘어 있다.
상기 ID3 v1.1 태그(140)에는 3 바이트가 할당된 ID3 태그 헤더(Header), 30 바이트가 할당된 타이틀(Title), 30 바이트가 할당된 아티스트(Artist), 30 바이트 가 할당된 앨범(Album), 4 바이트가 할당된 연도(Year), 28 바이트가 할당된 코멘트(Comment), 2 바이트가 할당된 앨범 트랙(Album Track), 1 바이트가 할당된 장르(Genre)로 구성되어 총 128 바이트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르(Genre)에는 총 80 개의 미리 지정된 장르에 대응하는 0 ~ 79 값이 기록된다.
도 2는 ID3 v2 태그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200)은 ID3 v2 태그(210)와 음악으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240)로 나뉘어 있다.
상기 ID3 v2 태그(210)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최대 크기가 16 MB인 프레임을 가지며, ID3 v2 태그(210)의 최대 크기는 256 MB이다.
ID3 v2 태그(210)는 총 28개의 비공식적인 프레임이 정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ID3 v2 태그(210)는 ID3 v1.1 태그와는 달리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앞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트리밍에 적합하며, 유니 코드를 지원함으로써 다국어 표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음향 데이터 파일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비동기 프레임을 채택하여 ID3 v2 태그(210)를 지원하지 않는 플레이어와의 호환성을 지원한다.
그리고, 동기/비동기 가사, 그림 프레임이 추가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파일 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ID3 v2 태그(210)의 총 28개의 비공식적인 프레임 중 몇 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 정보 프레임(Text Information Frame)은 ID3 v1.1 태그의 대부분의 필드에 대응하는 프레임으로서, 타이틀, 작곡가, 콘텐츠 형식, 녹음일, 엔코딩 일시, 작사가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코멘트 프레임(Comment Frame)은 ID3 v1.1 태그의 코멘트 필드에 상응하는 프레임이다.
동기 가사/텍스트 프레임(Synced Lyric/Text Frame) 및 비동기 가사/텍스트 프레임(Unsynced Lyric/Text Frame)에는 음악 데이터에 동기 또는 비동기된 가사 또는 텍스트가 기록된다.
첨부 그림 프레임(Attached Picture Frame)에는 임의의 그림 또는 그래픽이 기록된다.
이벤트 타이밍 코드 프레임(Event Timing Code Frame)에는 메인 테마, 변조, 키 변경, 후주 등과 같이 사용자가 희망하는 내부 이벤트와 조명, 효과음 등과 같은 외부 이벤트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 정 장치(300)는 부가 데이터 관리부(310), 데이터 저장부(320), 음성신호 처리부(330), 스피커(340), 디스플레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300)는 USB 포트를 통해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장치에 접속해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다운받아 재생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MP3 또는 MP3 Pro 등의 선택된 인코딩 포맷에 따라 인코딩되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음악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장치로부터 데이터 저장부(320)로 로딩된다.
상기 음악관리 소프트웨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되며, 상기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버스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320)로 전송한다.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310)는 컴퓨터 또는 외부 디지털 기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며,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에 포함된 정보와 기설정된 음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330)로 전달하고, 상기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50)로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310)는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 및 메모리(3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중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ID3 태그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는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ID3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ID3 태그를 포함하고 있으면 이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ID3 태그가 ID3 v1.1 태그인 경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마지막 128 바이트를 읽어들임으로써 ID3 태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는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가 추출한 ID3 태그 정보 중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정보와 상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중음부, 고음부의 파라미터 값들이 기설정되어 있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음성신호 처리부(33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의 순서로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비교할 수 있고, 타이틀(Title), 장르(Genre), 음악가(Artist)의 순서로 비교할 수도 있으며, 장르(Genre)만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르(Genre)를 비교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ID3 태그 정보 중 장르(Genre) 필드에서 확인한 결과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장르가 '재즈'인 경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중음부, 고음부의 파라미터 값들이 기설정되어 있는 장르(Genre) 중 '재즈'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장르(Genre)를 비교한 결과, 상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중음부, 고음부의 파라미터 값들이 기설정되어 있는 장르(Genre) 중에서, 상기 ID3 태그 정보의 장르(Genre)와 일치하는 장르(Genre)가 없는 경우,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의 순서로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비교한다.
상기 메모리(317)는 상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중음부, 고음부의 파라미터 값들이 기설정되어 있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들의 각 목록을 저장한다.
즉, 상기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는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가 추출한 ID3 태그 정보 중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정보와 상기 메모리(317)에 저장되어 있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들의 목록을 비교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는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오디 오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는 하드 드라이브 디스크(Hard Drive Disk : HDD), 이동형 데이터 저장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33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인코딩된 포맷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ID3 태그)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330)는 오디오 디코더(331)와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오디오 디코더(331)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인코딩된 포맷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한다.
상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ID3 태그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스피커(340)로 출력한다.
즉,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등에 따라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중음부, 고음부의 파라미터 값을 적절히 설정한 후 저장하여 두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ID3 태그의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음향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장르가 락(Rock)인 경우,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값을 3, 중음부 값을 5, 고음부 값을 10으로 설정하여 두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장르가 클래식(Classic)인 경우,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값을 5, 중음부 값을 9, 고음부 값을 6으로 설정하여 둔다.
그 후,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ID3 태그 정보 중 장르(Genre) 필드에서 확인한 장르가 클래식인 경우,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값을 5, 중음부 값을 9, 고음부 값을 6으로 처리하여 출력한다.
만약, 상기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의 비교 결과, 일치하는 부가 데이터 정보(장르, 음악가, 타이틀)가 없는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별도의 음향 효과 설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340)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33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5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재생될 때,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재생 경과 시간, 볼륨 레벨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50)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 예를 들면, 파일명, 음악가, 앨범명, 제작연도, 장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음악의 특색에 따른 음향효과가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출력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음악에 따른 최적의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MP3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 ID3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 DAB)의 경우도 PAD(Program Associate Data)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음악에 따른 최적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오디오 방송에서 전송 프레임에는 X-PAD(Extended Program Associate Data)와 F-PAD(Fixed Program Associate Data)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PAD(Program associated data)에는 Dynamic range control, Music/speech indication, Program related text, In-house information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PAD에서 해당 음악의 장르, 음악가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에 기설정된 정보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음향효과를 적용하여 출력하면 사용자의 별도의 설정 없이 최적의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 효과 자동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부가 데이터 관리부(310)는 컴퓨터 또는 외부 디지털 기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한다(단계 S 100).
다음으로,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중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부가 데이터 태그 즉, ID3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 110).
상기 단계 S 110의 확인결과, ID3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ID3 태그를 추출한다(단계 S 120).
이어서,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는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가 추출한 ID3 태그 정보 중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정보와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이퀄라이저의 저음부, 중음부, 고음부의 파라미터 값들이 기설정되어 있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음성신호 처리부(330)로 전달한다(단계 S 130).
이때, 상기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는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의 순서로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비교할 수 있고, 타이틀(Title), 장르(Genre), 음악가(Artist)의 순서로 비교할 수도 있으며, 장르(Genre)만 비교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는 상기 부가 데이터 비교부(314)로부 터 전송받은 상기 비교 결과를 확인하여(단계 S 140),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가 추출한 ID3 태그 정보와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기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기설정되어 있는 이퀄라이저의 파라미터 값대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 150).
즉,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ID3 태그 정보 중 장르(Genre) 필드에서 확인한 장르가 클래식이고, 클래식이라는 장르에 대해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이퀄라이저 파라미터 값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는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이퀄라이저의 파라미터 값 예를 들어, 저음부 값을 5, 중음부 값을 9, 고음부 값을 6으로 처리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단계 S 140의 확인 결과,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311)가 추출한 ID3 태그 정보와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334)에 기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별도의 음향 효과 설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단계 S 145).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 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의 특성에 따라 음향효과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여 상기 음향효과 정보와 비교한 후, 서로 일치하는 정보가 있으면 기설정된 음향효과에 따라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각 음악에 따라 최적의 음향효과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한 후,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메모리에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는 부가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에 부합되게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는 부가 데이터 추출부;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부가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여 음성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부가데이터 비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부가 데이터 관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에 부합되게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5. 부가 데이터 추출부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서 부가 데이터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부가 데이터 비교부가 상기 추출한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음향효과 자동 세팅부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에 부합되게 음향효과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태그는 ID3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태그 정보와 기설정된 음향효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 태그에 포함된 정보 중 장르(Genre), 음악가(Artist), 타이틀(Title)의 순서로 비교하거나 장르(Genre)만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방법.
KR1020070006573A 2007-01-22 2007-01-22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80069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73A KR20080069008A (ko) 2007-01-22 2007-01-22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73A KR20080069008A (ko) 2007-01-22 2007-01-22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008A true KR20080069008A (ko) 2008-07-25

Family

ID=3982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573A KR20080069008A (ko) 2007-01-22 2007-01-22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90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803B2 (ja) 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コンテンツの生成/再生方法、および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サービスのための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構造を有するデータ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記録媒体
KR20060116383A (ko) 디지털 오디오 재생장치의 이퀄라이저 기능 자동 설정 방법및 장치
US20060248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llection in a media player
US7987327B2 (en) Backup system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storing backup data based on data quality
JP2009534696A (ja) 複数のデジタルデータセットを符号化および復号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2034519A (zh) 对象关系音频文件提供装置和方法以及其播放装置和方法
KR20050003457A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75079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in synchronism with a DVD an automated musical instrument
JP2004093729A (ja) 音楽データ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4106309B2 (ja) オーディオ放送受信装置
KR20080069008A (ko)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음향효과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JP4588626B2 (ja) 楽曲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34010A (ja) 音楽情報記録再生装置
CN103594105A (zh) 一种使用cd光碟在自动演奏钢琴上进行演奏的方法
KR101525483B1 (ko) 데이터 파일의 이미지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923095B1 (ko)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KR100653942B1 (ko) Asf 파일로/로부터 부가 정보를 삽입/추출하는 방법 및파일 재생 장치
KR100826659B1 (ko) 음악파일의 특정 연주부분을 소거 또는 선택하여 청취하는방법
WO2004111855A1 (ja) 記録媒体、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8004144A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301885A (ja) カラオケ映像再生装置における映像更新方法
KR20060119533A (ko) 오디오/비디오 동기용 멀티미디어 파일 작성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오디오/비디오동조화 장치
KR101125364B1 (ko) 객체기반 오디오 파일 제공 장치 및 객체기반 오디오 파일 재생 장치, 그리고, 객체기반 오디오 파일 제공 방법 및 객체기반 오디오 재생 방법
Toulson Evolving Technologies of Music Distribution: Consumer Music Formats–Past, Present and Future
Valberg Born-digital media for long term preservation and access: Selection or deselection of media independent music produ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