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446A -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446A
KR20080068446A KR1020070006268A KR20070006268A KR20080068446A KR 20080068446 A KR20080068446 A KR 20080068446A KR 1020070006268 A KR1020070006268 A KR 1020070006268A KR 20070006268 A KR20070006268 A KR 20070006268A KR 20080068446 A KR20080068446 A KR 20080068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munication module
input
signal level
telema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8446A/ko
Publication of KR2008006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속 수신 모드(DRx mode: Discontinuous mode)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불연속 수신 모드일 때, 딥 휴면 모드(Deep Sleep Mode)로 설정하고, 텔레매틱스 제어부(TCU: Telematics Control Unit)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근부(NAD: Network Access Device)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텔레매틱스(Telematics), 불연속 수신 모드(DRx mode)

Description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URRENT OF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DMA의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 수신 웨이크업(Wake-up) 모드에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립(Sleep) 모드에서의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텔레매틱스 단말기 110: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GPS부)
120: 통신부 130: 네트워크 접근부
140: 네트워크 접근 전원부 150: 텔레매틱스 제어부
160: 텔레매틱스 제어 전원부 170: 트랜시버
180: 제어부 200: 엔진
300: 차량 네트워크부 400: 차량 전원부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컴퓨터와 무선 통신 기술이 결합된 형태이다. 또한,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일반 전화 기능, 각종 생활 정보(교통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지도 정보, 금융 정보 등),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긴급 구난(차량 도난, 교통 사고, 긴급 재난/재해 등) 시에는,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을 통하여 사고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가장 근접한 119구조대나 112 신고 센터에 신고하여 구조 요청을 전달함으로써, 구난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에 이메일과 휴대폰 메시지를 전송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디지털 비디오나 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이후에도 도난 추적과 긴급 구난 등의 차량 안전과 관련하여 일정시간 동안 콜 센터(일반적으로,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한다)와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기능이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통신 기술에 따라 상이하다. 즉, 앰프스 이동 전화 방식(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System, 이하 AMPS라 함)인 경우에는 48시간이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인 경우에는 스탠바이 기간(Standby Duration) 48시간을 포함해 총 72시간의 일정시간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DMA에서의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의 간단한 타이밍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에서는 스탠바이 기간이 2일이고, 상기 스탠바이 기간은 CDMA에서만 해당된다. 또한, 상기 CDMA의 경우, 불연속 수신 모드 기간은 3일이다. 또한, 불연속 수신 모드는 프리-웨이크업(Pre-wakeup) 기간, 웨이크업(Wakeup) 기간, 슬립(Sleep) 기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에서는 스탠바이 시간 및 불연속 수신 기간 이후에 총 30일까지는 오프 모드(Off Mode) 기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는 연속(Continuous) 개념의 휴면 모드(Sleep Mode)를 사용함으로써, 보통 2.56sec의 슬롯 사이클(Slot Cycle)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전류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 수신 모드(DRx mode: Discontinuous-receive mode)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불연속 수신 모드일 때, 딥 휴면 모드(Deep Sleep Mode)로 설정하고, 텔레매틱스 제어부(TCU: Telematics Control Unit)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근부(NAD: Network Access Device)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불연속 수신 모드일 때, 딥 휴면 모드(Deep Sleep Mode)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딥 휴면 모드에서, 텔레매틱스 제어부(TCU)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네트워크 접근부(NAD)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2~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와, 엔진(200)과, 차량 내의 다양한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엔진(2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차량 네트워크부(300)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0) 및 엔진(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전원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GPS부: Global Positioning System부, 110)와, 통신부(120)와,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110) 및 통신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110) 및 통신부(120)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접근부(NAD: Network Access Device)(130)와, 상기 네트워크 접근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네트워크 접근 전원부(140)와,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110), 통신부(120), 네트워크 접근부(130), 네트워크 접근 전원부(140)에 연결되는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와,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텔레매틱스 제어 전원부(160)와,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신호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트랜시버((170)와, 상기 네트워크 접근부(130)와 텔레매틱스 제어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110)는, GPS 위성(미도시)과 통신을 하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 및 지리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20)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 분할 다중 접속 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통하여 콜센터(미도시)와 접속한다. 디지털 셀룰러 교환기(DCS: Digital Cellular Switch)에 적용되는 상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및 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는 디지털 서비스 방식이고,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에 적용되는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는 아날로그 서비스 방식이다.
상기 네트워크 접근부(130)는,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110) 및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외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통신 데이터 처리를 보조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는, 키패드 연결단, 오디오 코덱 연결단,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연결단,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연결단, 네트워크 접근 연결단, 트랜시버 연결단, 동기식 동적 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연결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는, 상기 연결단 등을 이용해서 상기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부(110), 통신부(120), 네트워크 접근부(130), 네트워크 접근 전원부(140), 텔레매틱스 제어 전원부(160), 트랜시버(170)에 연결되고, GPS 통신, 차량 네트워크 통신 및 외부 네트워크 통신(이동통신)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는,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근 전원부(140)는, 상기 차량 전원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 접근부(13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 전원부(160)는, 상기 차량 전원부(400)와 연결되어,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트랜시버(170)는, 차량네트워크 입력신호를 전송(Tx: Transmit) 또는 수신(Rx: Receive)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로 전송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네트워크(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100)가 딥 휴면 모드일 때,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접근부(130)의 입출력 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레벨은 하이(High) 신호 레벨, 로우(Low) 신호 레벨, 미리설정된 신호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 레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시동이 꺼지고(Key Off), 문이 모두 닫힌 상태(Door-rock state)인지 판단한다(S10).
상기 판단 결과, 시동이 꺼지고, 문이 모두 닫힌 상태일 때, 불연속 수신 모드를 유지한다. 상기 불연속 수신 모드는, 웨이크업 모드 구간과 휴면 모드 구간으로 나뉜다.
상기 웨이크업 모드 구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한 시간 소비 구간(A 구간)과, 전송 모드(Tx mode)를 미리설정된 시간동안 턴-온시키는 캣냅(catnap) 웨이크업 구간(B 구간)과,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 의한 웨이크업 구간(C 구간)과, 휴면 구간(D 구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면 구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 Temperature Compensation Crystal Osillator)를 인에이블시키거나 디스에이블 시키는 구간을 포함하는 딥 휴면 모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딥 휴면 모드는, 수신 모드(Rx mode: Receive mode)를 미리설정된 주기마다 턴-온(Turn-On)시키고 상기 턴-온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는 턴-오프(Turn-off)시키는 상태이고, 전송 모드(Tx mode: Transmit mode)를 턴-오프시키는 상태이다(S20).
이후,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근부(130)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한다(S30).
상기와 같이, 딥 휴면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150)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근부(130)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통신 모듈에 소비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다가,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될 때(S40), 상기 불연속 수신 모드를 종료하고, 노말 모드(Normal Mode)로 전환된다(S5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딥 휴면 모드를 유지하고,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근부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통신 모듈에 소비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와 휴면 모드에 의해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통신 모듈에 소비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통신 모듈의 모드가 불연속 수신 모드(DRx mode: Discontinuous-receive mode)일 때, 딥 휴면 모드(Deep Sleep Mode)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딥 휴면 모드에서, 텔레매틱스 제어부(TCU: Telematics Control Unit)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네트워크 접근부(NAD: Network Access Device)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모드는,
    키 오프(Key Off) 및 도어 락(Door Rock) 상태일 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모드는,
    웨이크업 모드와 휴면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는,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TCXO)를 인에이블시키거나 디스에이블 시키는 구간을 포함하는 딥 휴면 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딥 휴면 모드는,
    수신 모드(Rx mode: Receive mode)를 미리설정된 주기마다 턴-온(Turn-on)시키고, 전송 모드(Tx mode: Transmit mode)를 턴-오프(Turn-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노말 모드(Normal Mode)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방법.
  7.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불연속 수신 모드일 때, 딥 휴면 모드로 설정하고,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과 상기 텔레매틱스 제어부의 입출력단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근부의 입출력단의 신호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모드는,
    키 오프 및 도어 락 상태일 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은,
    하이(High) 신호 레벨, 로우(Low) 신호 레벨, 미리설정된 신호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KR1020070006268A 2007-01-19 2007-01-19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68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68A KR20080068446A (ko) 2007-01-19 2007-01-19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68A KR20080068446A (ko) 2007-01-19 2007-01-19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46A true KR20080068446A (ko) 2008-07-23

Family

ID=3982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68A KR20080068446A (ko) 2007-01-19 2007-01-19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84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a wireless client device
US75963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a wireless client device
KR100763103B1 (ko)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US8090963B2 (en) Automated power management of a peripheral device
EP155058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ower saving mode of telematics terminal
KR101162384B1 (ko)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40198466A1 (en) Telematic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7525413B2 (en) Apparatus supporting active and passive tele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035543A (zh) 一种智能终端的省电管理方法及装置
CN112165697B (zh) Tbox休眠唤醒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854853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X2008013390A (es) Metodo para controlar frecuencias de despertar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1102582B (zh) 远程信息处理终端机
JP5304526B2 (ja) ウェイクアップ電波送信機能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lan端末
JP2004356838A (ja) 無線基地局装置の消費電力制御方式と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202190412U (zh) 能耗控制设备和包含能耗控制设备的移动终端设备
KR20080068446A (ko) 통신 모듈의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87197A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경계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60035771A (ko) 개선된 배터리로 전원 공급되는 장치들
KR100669609B1 (ko) 텔레메틱스 단말기
EP2373098B1 (en) Automated power management of a peripheral device
EP22470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a wireless client device
KR200165501Y1 (ko) 태양열 충전지의 전원으로 작동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형성된이동 전화기.
KR10033468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알람방법
GB2369963A (en) Battery saving in a radio communic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