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761A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761A
KR20080067761A KR1020070005048A KR20070005048A KR20080067761A KR 20080067761 A KR20080067761 A KR 20080067761A KR 1020070005048 A KR1020070005048 A KR 1020070005048A KR 20070005048 A KR20070005048 A KR 20070005048A KR 20080067761 A KR20080067761 A KR 20080067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air
cooking chamber
heating
conv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761A/ko
Priority to EP07834051A priority patent/EP2126473A4/en
Priority to AU2007347943A priority patent/AU2007347943B2/en
Priority to CN2007800500320A priority patent/CN101583826B/zh
Priority to RU2009127094/03A priority patent/RU2420692C2/ru
Priority to PCT/KR2007/005745 priority patent/WO2008105581A1/en
Priority to US12/523,411 priority patent/US8461488B2/en
Priority to MX2009007692A priority patent/MX2009007692A/es
Publication of KR2008006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리물의 균일 가열이 가능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며, 복수의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가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제 1 가열 유닛 및 제 2 가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 유닛은, 히터와, 상기 히터의 열을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적어도 상기 히터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티 내부의 가열 공기가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캐비티, 컨벡션 어셈블리

Description

오븐{Ov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의 관계를 기하학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상기 오븐의 작동시 컨벡션 어셈블리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비티 14 : 도어
100 : 좌측 컨벡션 어셈블리 200 : 우측 컨벡션 어셈블리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리물의 균일 가열이 가능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이란, 조리실 내부에 투입된 조리물을 주로 히터의 열을 가 열원으로 사용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오븐은 크게 히터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방식과, 히터의 열을 팬으로 순환시키고 열풍에 의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열풍 순환식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송풍팬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히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 및 히터는 상기 캐비티의 후측에 체결되는 케이싱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후벽에 대략 중앙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주위에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상기 케이싱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케이싱 내의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열풍으로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 내부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븐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면, 상기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원심력과 상기 송풍팬의 회전 방향의 힘으 합성으로 결정되는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 내의 가열 공기가 균일하지 못하는 것은 상기 조리물로 가열된 공기가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어느 한 쪽으로 공기가 집중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조리물의 어느 한 쪽이 과도하게 익거나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오븐에 의하면, 상기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만 흡토출 되므로, 다양한 조리물의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균일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오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물로 가열된 공기가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오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히터를 이용하여 공기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의 신속한 조리가 가능한 오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다양한 조리물의 적절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오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며, 복수의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가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제 1 가열 유닛 및 제 2 가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 유닛은, 히터와, 상기 히터의 열을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적어도 상기 히터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입구 및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가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며, 적어도 히터와 팬 어셈블리가 포함되는 제 1 가열 유닛 및 제 2 가열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각 가열 유닛에 의해서 가열되는 공기는 서로 다른 층류(laminar airflow) 패턴을 가지고 상기 캐비티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가열 챔버; 및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 및 가열 챔버를 순환하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층류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컨벡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가열 챔버는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층류 패턴은 적어도 상부 층류 패턴과 하부 층류 패턴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븐(1)은,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고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11)와, 상기 캐비티(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14)와, 상기 캐비티(11)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물이 놓이도록 하는 조리물 지지부(20)와, 상기 조리물 지지부(20)에 놓인 조리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원과, 상기 외부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트롤 패널(3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11)의 상측에는 상부 히터(16)가 제공되고, 상기 캐비티(11)의 하방에는 하부 히터(18)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1)의 후방에 는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100)(20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200)는 히터와, 팬 및 모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벽(11a)에는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입구(31, 41) 및 토출구(32, 33, 42, 44)가 형성되어, 상기 각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각 팬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독립적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독립된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100)(20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200)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나,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의 설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2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200)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100)(200)는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좌측에 도시된 컨벡션 어셈블리(100)의 구조에 대해서 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어셈블리(100)는, 컨벡션 히터(110)와, 상기 컨벡션 히터(11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로 공급되도록 하는 컨벡션 팬(120)과, 상기 컨벡션 팬(120)을 구동시키는 모터(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110)와 상기 컨벡션 팬(120)은 커버 부재(140)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140)는 상기 캐비티(11)의 후측에서 상기 캐비티(11)의 후벽(11a)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11)의 후벽(11a)과 상기 커버 부재(14)에 의해서 공기가 가열되기 위한 공간인 가열 챔버(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챔버(142)에는 상기 컨벡션 히터(110) 및 컨벡션 팬(120)이 위치된다.
즉, 상기 컨벡션 히터(110) 및 상기 컨벡션 팬(120)은 상기 캐비티(11)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컨벡션 팬(120)은 상기 커버 부재(140)의 후방에서 관통된 상기 모터(130)의 축(132)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 후벽(11a)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31)의 상하측에는 상기 가열 챔버(142)에서 가 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및 하부 토출구(32, 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1) 및 토출구(32, 33)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과 가열 챔버(142) 내부가 연통되고, 상기 가열 챔버(142)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 및 가열 챔버(142) 내부를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140)는 상기 컨벡션 히터(110)를 커버하므로, 상기 커버 부재(140)는 상기 캐비티(11) 외측에 제공되는 다른 컨벡션 히터 및 컨벡션 팬과 공간적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140)에 의해서 각 컨벡션 히터(110) 및 컨벡션 팬(120)이 공간적으로 구분되므로,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200)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즉, 어느 컨벡션 어셈블리는 상기 컨벡션 히터 및 컨벡션 팬의 작동에 있어서 다른 컨벡션 어셈블리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컨벡션 어셈블리(100)의 컨벡션 히터(110) 및 컨벡션 팬(120)이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캐비티(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31)를 통하여 상기 가열 챔버(142)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컨벡션 히터(110)에 의해서 가열되어 상기 각 토출구(32, 33)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토출되며, 상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조리물이 조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200)의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의 관계를 기하학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11)의 후방에는 복수의 컨벡션 팬(또는 컨벡션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례로 한 쌍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은,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에서 균일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두 가지 측면의 기하적인 관점에서 그 위치가 결정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은, 좌측 컨벡션 팬(120)과 우측 컨벡션 팬(2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120)(220)은 서로 상하 높이차를 가진다. 즉, 상기 캐비티(11)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의 축은 상기 우측 컨벡션 팬(220)의 축보다 높게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의 축이 상기 우측 컨벡션 팬(220)의 축보다 높게 위치하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120)(220)의 축을 잇는 가상의 제 1 선(A)의 길이는, 상기 제 1 선(A)을 평면 투영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볼 때 형성되는 제 2 선(B)의 길이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컨벡션(120)(220)의 축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 도록 하는 경우 상기 각 켄벡션 팬(120)(220)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부에 전체적으로 퍼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120)(220)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균일하게 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120)(220)은 대략적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과 우측 컨벡션 팬(220)이 어느 일 측에 집중되는 경우 상기 컨벡션 팬(120)(220)이 집중된 부분에 가열된 공기가 집중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캐비티 후벽(11a)을 중심각이 동일한 4개의 사분면으로 구획하고,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이 어느 한 사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이 위치한 사분면을 제 1 사분면이라 하고, 상기 제 1 사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제 2 사분면, 제 3 사분면, 제 4 사분면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컨벡션 팬(220)은 상기 제 1 사분면과 대칭을 이루는 사분면이 제 3 사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이 제 1 사분면에 형성될 때, 상기 우측 컨벡션 팬(220)이 제 2 사분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캐비티(11) 내부에서 좌측 부분에 가열된 공기가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우측 컨벡션 팬(220)이 제 4 사분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캐비티(11) 내부에서 상측 부분에 가열된 공기가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우측 컨벡션 팬(220)이 상기 좌측 컨벡션 팬(120)이 위치한 사분면과 대칭을 이루는 사분면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두 가지 관점의 측면에서 상기 한 쌍의 컨벡션 팬(120)(22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 컨벡션 히터(110)(21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11)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 후벽(11a)에는 상기 각 가열 챔버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각 가열 챔버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 내부로 토출되도로록 하는 토출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 1 컨벡션 팬(120)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제 1 흡입구(31)와, 상기 제 2 컨벡션 팬(220)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제 2 흡입구(4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컨벡션 팬(110, 120)의 설치 높이가 달리 형성되므로, 상기 각 흡입구(31, 41) 또한 형성 위치가 달리짐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 1 흡입구(3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32)와, 상기 제 1 흡입구(3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토출구(33)와, 상기 제 2 흡입구(4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3 토출구(42)와, 상기 제 2 흡입구(4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4 토출구(4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구(32) 및 제 2 토출구(33)는 상기 제 1 컨벡션 팬(110)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토출구(42) 및 제 4 토출구(43)는 상기 제 2 컨벡션 팬(220)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 분포가 균일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2 토출구(32, 33)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 3 및 제 4 토출구(42, 43)가 대칭을 이루므로, 상기 제 1 토출구(32)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제 1 토출구(32)와 대비되는 상기 제 3 토출구(42)의 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 2 토출구(33)의 형성 위치는 대비되는 상기 제 4 토출구(43)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컨벡션 어셈블리(100, 200)의 형성 위치 및 흡토출구의 형성 위치 관계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 흐름은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토출구의 구조 및 각 컨벡션 어셈블리의 위치 관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븐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오븐의 작동시 컨벡션 어셈블리에 의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1)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각 컨벡션 히터(110)(210)가 발열하고, 상기 각 컨벡션 팬(120)(220)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캐비티(11) 내부의 공기가 상기 각 흡입구(31)(41)를 통하여 상기 각 가열 챔버(142, 242)로 흡입되고, 상기 각 컨벡션 히터(110)(210)에 의해서 가열되어 상기 각 토출구(32, 33, 42, 43)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각 컨벡션 어셈블리에 의해서 공기가 순환되는 경우,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는 층류(laminar airflow)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층류는 상부 층류(50)와 하부 층류(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층류(50)는 제 1 루프(52 : loop)와 제 2 루프(54)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 층류(60)는 제 3 루트(62) 및 제 4 루프(64)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루프(52)는, 공기가 제 1 토출구(32)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실의 상측을 따라 유동하는 중에 상기 도어(14)를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상기 제 1 흡입구(3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루프(54)는 공기가 제 3 토출구(42)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실의 상측을 따라 유동하는 중에 상기 도어(14)를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상기 제 2 흡입구(4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제 3 루프(62)는 공기가 제 2 토출구(3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실의 하측을 따라 유동하는 중에 상기 도어(14)를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상기 제 1 흡입구(3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루프(54)는 공기가 제 4 토출구(42)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실의 하측을 따라 유동하는 중에 상기 도어(14)를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상기 제 2 흡입구(33)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루프(52)와 제 2 루프(54)는 상기 제 1 토출구(32)와 제 3 토출구(42)의 위치 차이 및 상기 제 1 흡입구(31) 및 제 2 흡입구(41)의 위치 차이에 의해서 서로 다른 유동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제 3 루프(62)와 제 4 루프(64)는 상기 제 2 토출구(33)와 제 4 토출구(42)의 위치 차이 및 상기 제 1 흡입구(31) 및 제 2 흡입구(41)의 위치 차이에 의해서 서로 다른 유동 패턴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루프는 각각이 서로 다른 유동 패턴을 가지고, 이는 상기 층류를 이루는 패턴이 각각이 서로 다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서로 다른 패턴의 층류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 분포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컨벡션 히터(110)(21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부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리물의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각 컨벡션 히터(110)(210) 및 컨벡션 팬(120)(220)이 구동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조리물에 따라서는, 상기 조리 과정 중 상기 각 컨벡션 히터(110)(210) 및 컨벡션 팬(120)(220)이 교번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좌측 컨벡션 어셈블리(10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 부로 토출되고, 그 후에 상기 우측 컨벡션 어셈블리(20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토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의 상부와 하부에 교대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조리의 전과정에서 볼 때 상기 조리물의 균일 가열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티 내부의 가열 공기가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컨벡션 어셈블리가 대략적으로 대칭을 이룸으로써, 한층 더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조리실 내부에 서로 다른 패턴의 층류가 다수 개 형성되므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물로 전달되는 공기가 균일해지게 되어 조리물의 적절한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가 공간적으로 독립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복수의 컨벡션 어셈블리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에는 신속한 조리가 가능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다양한 방 향으로 토출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조리물의 적절한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조리실을 형성하며, 복수의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가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제 1 가열 유닛 및 제 2 가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 유닛은, 히터와, 상기 히터의 열을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적어도 상기 히터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포함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팬의 축을 잇는 가상의 제 1 선과 상기 제 1 선을 평면 투영하여 형성되는 제 2 선은 길이가 서로 다른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열 유닛에 의해서 가열되는 공기는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유동 패턴을 가지는 오븐.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의 높이는 서로 다른 오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열 유닛에 의해서 적어도 두 개의 층류 패턴이 형성되는 오븐.
  6.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입구 및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가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며, 적어도 히터와 팬 어셈블리가 포함되는 제 1 가열 유닛 및 제 2 가열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각 가열 유닛에 의해서 가열되는 공기는 서로 다른 층류(laminar airflow) 패턴을 가지고 상기 캐비티 내에서 유동되는 오븐.
  7.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 벽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가열 챔버; 및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 및 가열 챔버를 순환하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층류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컨벡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가열 챔버는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층류 패턴은 적어도 상부 층류 패턴과 하부 층류 패턴이 포함되는 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류 패턴 및 하부 층류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경로의 제 1 루프(loop) 및 제 2 루프(loop)를 가지는 오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 및 가열 챔버를 순환하는 일련의 과정인 오븐.
KR1020070005048A 2007-01-17 2007-01-17 오븐 KR20080067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048A KR20080067761A (ko) 2007-01-17 2007-01-17 오븐
EP07834051A EP2126473A4 (en) 2007-01-17 2007-11-15 OVEN
AU2007347943A AU2007347943B2 (en) 2007-01-17 2007-11-15 Oven
CN2007800500320A CN101583826B (zh) 2007-01-17 2007-11-15 烤箱
RU2009127094/03A RU2420692C2 (ru) 2007-01-17 2007-11-15 Печь
PCT/KR2007/005745 WO2008105581A1 (en) 2007-01-17 2007-11-15 Oven
US12/523,411 US8461488B2 (en) 2007-01-17 2007-11-15 Oven
MX2009007692A MX2009007692A (es) 2007-01-17 2007-11-15 Horn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048A KR20080067761A (ko) 2007-01-17 2007-01-17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761A true KR20080067761A (ko) 2008-07-22

Family

ID=3982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048A KR20080067761A (ko) 2007-01-17 2007-01-17 오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67761A (ko)
CN (1) CN101583826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3826B (zh) 2011-04-13
CN101583826A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47943B2 (en) Oven
US7102105B2 (en) Electric oven
US8217314B2 (en) Cooking apparatus with divider
EP2087287B1 (en) Method of controlling oven
KR100821731B1 (ko) 오븐의 예열 방법
KR101276434B1 (ko) 오븐
KR101223312B1 (ko) 오븐
KR20080067761A (ko) 오븐
KR101224246B1 (ko) 오븐
KR100895149B1 (ko) 오븐
KR100808860B1 (ko) 가열조리장치
JP2004028513A (ja) 加熱調理器
KR101224333B1 (ko) 오븐
KR100634788B1 (ko) 증기조리장치
KR101639076B1 (ko) 조리기기
KR100667197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635909B1 (ko) 전기오븐
RU2420692C2 (ru) Печь
KR100679425B1 (ko) 오븐
JP2012007797A (ja) 加熱装置
KR20010057084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90056371A (ko)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110137617A (ko) 오븐
JP2005233522A (ja) 加熱調理器
KR20120084027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10

Effective date: 2008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