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818A -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818A
KR20080065818A KR1020070002946A KR20070002946A KR20080065818A KR 20080065818 A KR20080065818 A KR 20080065818A KR 1020070002946 A KR1020070002946 A KR 1020070002946A KR 20070002946 A KR20070002946 A KR 20070002946A KR 20080065818 A KR20080065818 A KR 20080065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ter
module
solar cell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097B1 (ko
Inventor
최규하
김홍성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최규하
김홍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하, 김홍성 filed Critical 최규하
Priority to KR102007000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승압하는 DC/DC 컨버터와, 승압된 직류전원을 충전하는 전력조절 모듈과, DC/DC 컨버터 또는 전력조절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공급하는 DC/AC 컨버터, 및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 외의 시간에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시키고,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는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DC/AC 컨버터로 방전시키는 제어모듈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 모듈의 정격용량을 낮추더라도 피크 컷 기여도를 종래에 비해 현격히 높일 수 있다.
Figure P1020070002946
태양광, 태양전지, 전력저장, 계통연계

Description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PHOTOVOLTAIC SYSTEM ASSOCIATED WITH POWER L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에 대한 세부 구성도,
도 4는 태양전지 모듈의 일일 출력 추이를 보인 그래프,
도 5는 전력저장 모듈의 일일 충전 추이를 보인 그래프,
도 6은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방전 양상을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의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110: 태양전지 모듈 120: DC/DC 컨버터
130: 전력조절 모듈 140: DC/AC 컨버터
150: 제어모듈
본 발명은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얻어지는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최대 전력소비 시간대에 계통으로 공급함으로써, 전력계통의 피크 컷(peak cut) 기여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력수요의 급증은 곧 전력생산을 위한 에너지 자원의 소비 급증으로 이어진다. 이는 비용적 그리고 환경적인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최근, 청정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한 계통연계형 발전시스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종래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10)은, 다수의 태양전지 어레이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모듈(12)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전력계통에 인가하기 위해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14)를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크게 'kWh 가치'와 'kW 가치' 평가될 수 있다. 'kWh 가치'가 높다는 의미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이용률(시스템 이용률)이 높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동일 용량의 시스템에 있어서 그 출력되는 전력량이 많을수록 'kWh 가치'는 높아지므로 동일 용량의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일일 일사량이 많은 지역일수록 'kWh 가치'가 높아지는 것이다.
Figure 112007002598656-PAT00001
............ [수학식 1]
예를 들어, 일본 동경의 경우 그 이용률이 11.4%로 일일 24시간 중 약 2.7시 간 정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정격 운전된다.
이와 달리, 'kW 가치'는 전력 예비율 확보에 대한 기여도 측면에 입각한 개념으로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얼마만큼의 전력을 발전하여 계통에 공급할 수 있느냐에 따라 'kW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종래 도 1과 같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피크 컷(peak cut) 기여도는 약 17%~35% 정도이다. 예컨대, 태양전지 모듈의 정격용량이 1[kWp]인 시스템은 0.17[kW]~0.35[kW] 범위로 피크 컷에 기여한다는 의미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3[kWp]급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표준처럼 인식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피크 컷 기여도(17%~35%)에 적용해 보면 0.51~1.05[kW]로 단지 양적인 증대만 이루어질 뿐이다. 더욱이 정격용량이 늘어난다는 의미는 태양전지 모듈이 그만큼 커진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시스템 구축비용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태양전지 모듈의 정격용량을 낮추면서도, 피크 컷 기여도 또는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제공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특징적인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다수의 태양전지 배열을 구성한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승압하는 D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충전 하는 전력조절 모듈과, 전력조절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공급하는 DC/AC 컨버터, 그리고 각 구성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어모듈은,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 외의 시간에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시키고, 반면에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는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방전시켜 DC/AC 컨버터를 통해 계통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이하, '발전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의 발전시스템(100)은 태양전지 모듈(110), DC/DC 컨버터(120), 전력조절 모듈(130), DC/AC 컨버터(140) 및 제어모듈(150)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 모듈(110)은 다수의 태양전지(photovoltaic cell array) 배열을 구성하여 태양광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출력하고, DC/DC 컨버터(120)는 태양전지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승압하여 출력한다.
전력조절 모듈(130)은 DC/DC 컨버터(120)로부터 출력되는 승압된 직류전원을 충전 또는 방전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충·방전을 위해 전력조절 모듈(130)은 충전지 등의 전력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다.
DC/AC 컨버터(140)는 DC/DC 컨버터(120) 또는 전력조절 모듈(13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전력계통)(P)과 부하(L)에 공급한다.
제어모듈(150)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각 구성요소(110~140)를 제어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 제어부(152), DC/AC 컨버터 제어부(154), 전력조절 모듈 제어부(156) 및 제어데이터 저장부(158)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 제어부(152)는 제1 PWM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DC/DC 컨버터(120)를 제어하며, 전력조절 모듈 제어부(154)는 전력조절 모듈(130)의 충·방전 기능을 제어하고, DC/AC 컨버터 제어부(156)는 제2 PWM 제어신호를 통해 DC/AC 컨버터(140)를 제어한다. 제어데이터 저장부(158)는 다수의 제어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특히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대한 시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어모듈(150)의 특징적인 제어 양상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제어모듈(150)은 일일 중 상기 시간 데이터에 설정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 외에는 태양전지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전력조절 모듈(130)에 충전시킨다. 태양전지 모듈(110)로부터 일일 동안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추이는 첨부도면 도 4의 그래프와 대동소이하다. 구체적으로 도면의 시간축 상에 표시된 일출(sunrise)부터 일몰(sunset)까지의 구간이 태양전지 모듈(110)의 실제 가동 시간이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직 류전원은 DC/DC 컨버터(120)를 거쳐 도 5와 같은 형태로 전력저장 모듈(130)에 저장(충전)된다.
한편, 계통의 전력소비가 최대로 임박하는 시간대, 다시 말해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는 일일 중 수 시간 정도의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하절기의 경우 그 시간대가 14시~17시 범위(약 3시간)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제어모듈(150)은 전력저장 모듈(13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방전시켜 DC/AC 컨버터(140)를 통해 계통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는 곧 방전 시간대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력저장 모듈(130)의 충·방전 양상은 첨부도면 도 6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방전 시간대(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전력저장 모듈(130)에 충전되어 있던 직류전원의 방전이 수행되며, 상기 방전된 직류전원은 DC/AC 컨버터(140)에 인가되어 최종적으로 계통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3[kWp]급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종래 발전시스템의 피크 컷 기여도가 약 17%~35%라 가정하면, 동일 정격용량의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은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정격용량에 해당하는 전력이 발전되므로 종래 발전시스템의 피크 컷 기여도에 비해 약 2.85~5.88배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전시스템을 1[kWp]급으로 낮추더라도 기존의 3[kWp]급 시스템의 피크 컷 효과를 기준으로 0.95~1.96배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kW 가치'는 대폭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의 정격용량을 낮추더라도 'kW 가치'를 종래에 비해 현격히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낮은 가격에 고 'kW 가치'를 갖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민수시장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태양전지 배열을 구성한 태양전지 모듈(110)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승압하는 DC/DC 컨버터(120)와,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는 전력조절 모듈(130)과, 상기 DC/DC 컨버터 또는 전력조절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공급하는 DC/AC 컨버터(140), 및 각 구성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모듈(150);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 외의 시간에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시키고,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는 상기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방전시켜 상기 DC/AC 컨버터를 통해 계통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DC/D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DC/DC 컨버터 모듈 제어부(152)와, 상기 전력조절 모듈의 충·방전 기능을 제어하는 전력조절 모듈 제어부(154)와, 상기 DC/AC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DC/AC 컨버터 모듈 제어부(156), 및 상기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제어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데이터 저장부(15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3. 다수의 태양전지 배열을 구성한 태양전지 모듈(110)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승압하는 DC/DC 컨버터(120)와,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는 전력조절 모듈(130)과, 상기 DC/DC 컨버터 또는 전력조절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공급하는 DC/AC 컨버터(140), 및 각 구성을 제어하며 기설정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100)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 외의 시간에 태양전지 모듈의 직류전원을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시키는 과정; 및
    상기 피크 전력소비 시간대에 상기 전력조절 모듈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방전시켜 상기 DC/AC 컨버터를 통해 계통으로 공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70002946A 2007-01-10 2007-01-10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86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46A KR100866097B1 (ko) 2007-01-10 2007-01-10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46A KR100866097B1 (ko) 2007-01-10 2007-01-10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18A true KR20080065818A (ko) 2008-07-15
KR100866097B1 KR100866097B1 (ko) 2008-10-30

Family

ID=3981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946A KR100866097B1 (ko) 2007-01-10 2007-01-10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0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9901A (ja) * 2009-11-19 2011-06-02 Samsung Sdi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系統連係型電力保存システム
WO2010146583A3 (en) * 2009-06-15 2011-06-30 Yehoshua Fishler Electrical grid solar energy harvesting system
JP2011254696A (ja) * 2010-06-01 2011-12-15 Samsung Sdi Co Ltd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854004B2 (en) 2011-01-12 2014-10-07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73186B2 (en) 2009-06-15 2020-12-22 Yehoshua Fishler Electrical grid solar energy harves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37B1 (ko) 2008-12-30 2011-04-12 한국전기연구원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KR102327608B1 (ko) * 2014-10-08 2021-1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전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16A (ja) * 1995-02-14 1996-08-30 Nippon Electric Ind Co Ltd 太陽光発電インバータシステムの商用系統電源との切り換え方法
KR19990058506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잉여전력 운용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6583A3 (en) * 2009-06-15 2011-06-30 Yehoshua Fishler Electrical grid solar energy harvesting system
AU2010261324B2 (en) * 2009-06-15 2014-08-07 Yehoshua Fishler Electrical grid solar energy harvesting system
EA022251B1 (ru) * 2009-06-15 2015-11-30 Йехошуа Фишлер Систем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для сбора солнечной энергии
US10873186B2 (en) 2009-06-15 2020-12-22 Yehoshua Fishler Electrical grid solar energy harvesting system
JP2011109901A (ja) * 2009-11-19 2011-06-02 Samsung Sdi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系統連係型電力保存システム
US8552590B2 (en) 2009-11-19 2013-10-08 Samsung Sdi Co.,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11254696A (ja) * 2010-06-01 2011-12-15 Samsung Sdi Co Ltd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854004B2 (en) 2011-01-12 2014-10-07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097B1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3929B2 (en) Solar power array with maximized panel power extraction
JP4128145B2 (ja) 島ネットワークと島ネットワークを稼働する方法
Castañeda et al. Sizing optimization, dynamic modeling and energy management strategies of a stand-alone PV/hydrogen/battery-based hybrid system
EP27159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demand/response between alternative energy sources, grid power, and loads
KR100866097B1 (ko)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6024973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JP4641507B2 (ja) 給電システム
US20130241465A1 (en) Adaptive power control for energy harvesting
JP6032651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5541982B2 (ja) 直流配電システム
CA2734671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ximum efficiency of power conversion for a photovoltaic system, and photovoltaic system employing a photovoltaic array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WO2005112551A2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artial shade in photovoltaic power system
KR20010044490A (ko) 태양열 발전장치
TWI460963B (zh) 具適應性電能控制之太陽光伏發電系統及其操作方法
AU2009329553B2 (en) A photovoltaic system
WO2015133136A1 (ja) 電源システム
WO2017187258A1 (en) System for power collection and transmission from concentrated photo voltaic power generator and the method thereof
CN202168016U (zh) 离网型风光互补发电系统
KR101587488B1 (ko)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의 고효율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5817A (ko) 승압컨버터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3337868A (zh) 一种抑制光伏发电输出功率波动的方法及装置
JP2015065765A (ja) 充電回路および充電システム
BG66619B1 (bg) Метод за управление на натрупването и разхода на енергия от автономни енергийни източници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ализиращо метода
JP2007300728A (ja) 発電装置
Marasini et al. Coordination between modified MPPT and battery storage system for flexible active power control of grid connected PV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