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937B1 -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937B1
KR101027937B1 KR1020080136916A KR20080136916A KR101027937B1 KR 101027937 B1 KR101027937 B1 KR 101027937B1 KR 1020080136916 A KR1020080136916 A KR 1020080136916A KR 20080136916 A KR20080136916 A KR 20080136916A KR 101027937 B1 KR101027937 B1 KR 10102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verter
current
volt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613A (ko
Inventor
전진홍
김슬기
조창희
안종보
김종율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9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 H02J3/44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with means for ensuring correct phase seque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것으로, 전력변환장치를 구성하는 DC-DC 컨버터와 DC-AC 컨버터 사이의 DC 링크 전압을 태양전지어레이로부터 발생되는 출력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되는 출력에 해당하는 전력이 계통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무변압기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는 태양광을 직류전력으로 전환하는 태양전지어레이가 최대 출력점으로 운전하도록 최대 출력점 제어를 수행하고, 태양전지어레이에서 발생된 직류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 계통으로 출력하는 DC-A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DC-AC 컨버터는 배전계통전압정보와 배전계통전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어값 출력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어레이의 출력전력과 배전계통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전류기준값을 출력하는 전류기준값 출력 모듈과, 상기 DC-AC 컨버터에 입력되는 전압정보 및 미리 설정된 운전범위정보를 이용하여 보상전류기준값을 계산하는 DC전압제한 모듈과, 상기 전류기준값과 보상전류기준값 및 상기 제어값 출력 모듈의 제어값을 이용하여 DC-AC 컨버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전류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는 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외부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서 계통 출력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으며, 시스템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태양전지어레이, 전력변환장치, 무변압기형, DC/AC 컨버터

Description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A power converting apparatus for a grid-connected transformerless typ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용량의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전지어레이와 태양전지어레이의 직류전력을 계통연계에 적합한 전압과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주는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변환장치는 연계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연계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그 구성이 다르다.
연계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주는 인버터 시스템과 인버터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교류 전압을 연계계통에 적합하도록 승압 혹은 강압하여 주는 연계 변압기로 구성되어 있다.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버터 시스템이 연계 계통에 적합한 교류 전압을 만들 수 있도록 태양전지어레이에서 발생된 직류전압을 적절한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승압 혹은 강압하여 주는 DC-DC 컨버터와 인버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대용량 시스템에서 연계 변압기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3kW 이하의 소용량 시스템에서는 변압기 사용에 따른 부피와 무게, 효율 문제로 인하여 무변압기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크게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만들어내는 반도체 모듈들로 구성된 태양전지어레이(110)와 태양전지어레이로부터 만들어진 직류 전력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130)에 적합한 주파수와 전압을 가지는 교류 전력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120)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용과 같은 소용량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그 크기와 무게의 제한 조건으로 인하여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무변압기 형태의 전력변환장치 구성을 사용한다.
무변압기형의 전력변환장치는 크게 태양광으로부터 만들어진 직류 전압을 적절한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주는 DC/DC 컨버터(123)와 DC/DC 컨버터에 의해 만들어진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의 전압과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압을 만들어 주는 DC/AC 컨버터(125)로 구성된다.
현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DC/DC 컨버터에 적용되는 전력변환장치는 내부에 변압기 사용 여부에 따라 절연형과 비절형의 크게 두 종류의 전력변환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절연형의 경우는 풀 브리지 컨버터, 하프 브리지 컨버터, 푸시풀 컨버터 등의 전력변환장치가 적용되고 있고, 시스템의 효율 증대를 위하여 영전압 스위칭(ZVS, Zero Voltage Switching)이나 영전류 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전력변환장치에서의 일정한 전력을 출력하기 위해 DC-DC 컨버터와 DC-AC 컨버터 사이의 DC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DC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DC-AC 컨버터는 교류출력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렇게 계통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따라 일사량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의하여 태양전지어레이의 운전점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면 태양전지어레이와 DC-DC 컨버터로부터 DC 링크에 입력되는 전력이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입력전력의 변화는 DC 링크 전압을 변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DC-AC 컨버터가 DC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입력전력의 변화는 DC-AC 컨버터의 출력의 변화로 반영되어 계통에 급격한 출력 변동을 가져오게 된다.
급격한 출력 변동은 계통 측면에서는 계통 전압의 변동과 전류 고조파의 증가 등의 원인이 되며 이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연계되어 있는 배전 계통의 전력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DC-AC 컨버터의 입력 직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출력 전류를 제어하기 때문에 정상상태 운전조건에서도 출력전류의 기준값이 DC 링크의 전압 제어기의 영향으로 미세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출력 전류의 고조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환경 조건의 급격한 변동에도 계통 측면에서 계통 전압의 변동과 전류 고조파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는 태양광을 직류전력으로 전환하는 태양전지어레이가 최대 출력점으로 운전하도록 최대 출력점 제어를 수행하고, 태양전지어레이에서 발생된 직류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 계통으로 출력하는 DC-A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DC-AC 컨버터는 배전계통전압정보와 배전계통전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어값 출력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어레이의 출력전력과 배전계통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전류기준값을 출력하는 전류기준값 출력 모듈과, 상기 DC-AC 컨버터에 입력되는 전압정보 및 미리 설정된 운전범위정보를 이용하여 보상전류기준값을 계산하는 DC전압제한 모듈과, 상기 전류기준값과 보상전류기준값 및 상기 제어값 출력 모듈의 제어값을 이용하여 DC-AC 컨버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전류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DC-A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삼상인 경우, 상기 제어값은 동기 전류벡터이고, 상기 제어값 출력 모듈은 동기회전 좌표변환을 통해 동기 전압 벡터를 출력하는 제1 DQ 변환 모듈과, 상기 동기 전압 벡터를 이용하여 위상각 추정값을 출력하는 위상 동기 모듈과, 상기 위상각 추정값과 삼상 전류값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 전류 벡터를 출력하는 제2 DQ 변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DQ 변환 모듈은 삼상 전압값과 피드백된 위상각 추정값을 이용하여 동기 전압 벡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DC-A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단상인 경우, 상기 제어값은 기준 교류신호이고, 상기 제어값 출력 모듈은 배전계통의 순시전압정보로부터 주파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추정 모듈과, 상기 순시전압정보의 영전위를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영전위 검출 모듈과, 상기 추정된 주파수와 출력된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전압위상정보를 출력하는 전압 위상 추정 모듈과, 상기 전압위상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교류 신호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는 전력변환장치가 DC-DC 컨버터와 DC-AC 컨버터로 구성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출력제어에 있어서 DC-DC 컨버터는 태양전지어레이로부터 최대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최대출력점추종제어로 운전하며 DC-AC 컨버터는 태양전지어레이로부터 발생되고 있는 출력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되고 있는 출력에 해당하는 전력이 계통으로 출력되도록 계통출력 전류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에 의해, DC 링크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과도한 전류 제어 명령의 변화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일정 전류 출력 제어를 통해 계통 출력 전류의 고조파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사량과 같은 외부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한 입력 전력의 급격한 변동 상태에는 계통 출력 기준값 변동에 제한을 두어 계통 출력의 급격한 변동을 제한하여 계통 전압 변동 및 전류 고조파 등의 전압 품질 문제를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운전 상황에서도 DC-DC 컨버터는 최대출력점추종제어로 운전되고 있으므로 태양전지어레이는 최대출력을 발생시키고 있어 출력의 희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절한 DC 링크 전압 유지를 위한 보조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체 시스템 동작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보조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DC/DC 컨버터(123)는 현재의 운전 조건에서 태양전지어레이(110)가 만들어낼 수 있는 최대전력을 출력하도록 태양전지어레이의 출력전압(211)과 출력전류(212)를 제어하여 DC 링크 커패시터(124)에 만들어진 전력을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DC/DC 컨버터 제어 알고리즘은 최대전력점추종(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 모듈(210), 태양전지어레이 출력전압 제어 모듈(220), 태양전지어레이 출력전류 제어 모듈(230)과 DC/DC 컨버터의 구조에 적합한 스위칭 신호를 만들어주는 PWM 발생장치 모듈(240)로 구성되어 있다.
최대출력점추종 제어 모듈(210)은 태양전지의 과거와 현재 출력전압(211)과 출력전류(212)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에서 최대 출력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 기준값(221)을 만들어낸다.
최대 출력점추종 제어 모듈(210)에서 만들어진 출력전압 제어 기준값(221)은 태양전지어레이 출력전압 제어 모듈(220)의 제어 명령으로 사용되며, 출력전압 제어 모듈(220)은 현재 태양전지어레이 출력전압(211)과 비교하여 만들진 오차정보(223)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어레이의 출력전류 제어 기준값(231)을 만들어 낸다.
출력전압 제어 모듈(220)에서 만들어진 출력전류 제어 기준값(231)은 태양전지어레이 출력전류 제어 모듈(230)의 제어 명령으로 사용되며, 출력전류 제어 모듈(230)은 현재 태양전지어레이 출력전류(212)와 비교하여 만들어진 오차정보(233)를 이용하여 DC/DC 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스위칭 소자들의 적절한 스위칭 시간(241)을 계산하여 준다.
출력전류 제어 모듈(230)에서 계산된 스위칭 시간(241)은 PWM 발생장치(240)에 의하여 DC/DC 컨버터(250)의 각 스위칭에 On/Off 신호(251)로 만들어져 DC/DC 컨버터를 제어한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삼상 DC/AC 컨버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C/AC 컨버터(125)는 DC/DC 컨버터(123)가 태양전지어레이로(110)부터 만들어 DC 링크 커패시터(124)로 전송하고 있는 직류 전력을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130)에 적합한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계통(130)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삼상 DC/AC 컨버터는 동기회전좌표에 의한 DQ 변환 모듈(510,530), 위상 동기 모듈(520), DC/AC 컨버터 전류 제 어 모듈(550), DQ 역변환 모듈(560)과 DC/AC 컨버터 구조에 적합한 스위칭 신호를 만들어주는 PWM 발생장치 모듈(570)과 전력 제어 모듈(540)로 구성되어 있다.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130)에 적합한 주파수와 위상을 가지는 전압 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기존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DQ 변환 모듈(510)과 위상 동기 모듈(520)을 이용한다.
동기회전 좌표변환에 의한 DQ 변환 모듈(520)은 DC/AC 컨버터가 연계되어 있는 삼상 배전 전압 정보(511)와 위상 동기 모듈의 위상각 추정 정보(521)를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동기 전압 벡터(512,513)를 만들어 내며 위상 동기 모듈(520)은 DQ 변환 모듈(510)에서 만들어진 동기 전압 벡터(512,513)를 이용하여 위상각 추정 정보(521)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위상 추정 정보(521)는 DC/AC 컨버터의 삼상 전류값(531)에 적용하여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 제어에 필요한 동기 전류 벡터(532,533)를 만들어낸다.
여기서 만들어진 동기 전류 벡터(532,533)는 배전계통전압에 동상인 성분(533)과 90°위상차를 가지는 성분(532)으로 구성된다. 태양전지어레이(110)로부터 만들어진 전력을 배전계통(130)으로 인가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모듈(540)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모듈(540)은 태양광어레이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에 인가하기 위한 배전계통 전압에 동상인 출력전류 기준값(545)을 만들어내는 부분과 DC/AC 컨버터가 원활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DC 링크 커패시터 전압(546)의 운전 범위(547)를 제한하는 DC 전압 제한 모듈(548)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광어레이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배전계통에 인가하기 위하여 태양광어레이의 단자전압(541)과 출력전류(542)의 정보를 통해 현재 태양광어레이의 출력전력(543)을 계산하고 계산된 출력전력(543) 정보와 현재 배전계통의 전압벡터 정보(513)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전력을 계통에 인가하기위한 전류 기준(545)를 계산한다.
또한 DC 전압 제한 모듈(548)은 정상 상태 및 과도 상태에서 DC 링크 운전 전압 확보를 위하여 현재의 DC 링크 전압 정보(546)와 DC 링크의 운전 범위 정보(547)를 이용하여 적절한 보상 전류 기준(549) 값을 계산한다.
또한, 출력전류의 고조파를 일정범위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 고조파 제한 모듈(590)을 이용한다. 고조파 제한 모듈(590)은 현재 계통의 출력전류의 변화량(591)과 출력전류에 함유된 고조파함유율(592)를 이용하여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한다. 고조파함유율(592)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 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고조파함유율의 상한은 각국의 전력기준에 따르며 각국의 기준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고조파 제한 모듈(590)은 고조파함유율(592)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고조파함유율(592)이 감소하도록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하는데 고조파함유율(592)가 증가하는 경우 출력전류의 기준값(551)이 감소하도록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한다.
전력 제어 모듈(540)에서 계산된 출력 전력 기준 전류(545)와 보상 기준 전 류(549)과 고조파 제한값의 합이 배전계통 전압에 동상인 출력전류 기준값(551)이 된다.
또한 배전계통 전압과 90°위상차를 가지는 출력전류 기준값(554)은 기존의 제어 알고리즘과 같은 방법으로 배전계통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무효전력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0의 값을 가진다.
전류 제어 모듈(550)은 동기 전류 벡터의 기준값(551, 554)과 현재의 동기 전류 벡터(533,532) 정보를 비교하여 만들어진 오차정보(553,556)를 이용하여 DC/AC 컨버터가 출력해야 할 출력 전압 벡터(561,562)를 만들어낸다.
DQ 역변환 모듈(560)은 위상 동기 모듈(520)에서 만들어진 위상각 추정 정보(521)와 전류 제어 모듈(550)에서 만들어진 출력 전압 벡터(561,562)의 정보를 이용하여 DC/AC 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스위칭 소자들의 적절한 스위칭 시간(571)을 계산하여 준다.
DQ 역변환 모듈(560)에서 계산된 스위칭 시간(571)은 PWM 발생장치(570)에 의하여 DC/AC 컨버터(580)의 각 스위칭 소자에 On/Off 신호(581)로 만들어져 DC/AC 컨버터를 제어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상 DC/AC 컨버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C/AC 컨버터(125)는 DC/DC 컨버터(123)가 태양전지어레이로(110)부터 만들어 DC 링크 커패시터(124)로 전송하고 있는 직류 전력을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130)에 적합한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계통(130)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상 DC/AC 컨버터는 주파수 추정 모듈(612), 영전위 검출 모듈(613), 전압 위상 추정 모듈(616), 기준 교류 신호 발생 모듈(610), DC/AC 컨버터 전류 제어 모듈(630), DC/AC 컨버터 구조에 적합한 스위칭 신호를 만들어주는 PWM 발생장치 모듈(640)과 전력 제어 모듈(620)로 구성되어 있다.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130)에 적합한 주파수와 위상을 가지는 전압 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기존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주파수 추정 모듈(612), 영전위 검출 모듈(613), 전압 위상 추정 모듈(616)과 기준 교류 신호 발생 모듈(610)을 이용한다.
주파수 추종 모듈(612)은 DC/AC 컨버터가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130) 연계점(PCC)의 순시 전압 정보(611)로부터 전압의 주파수를 추정하며 추정된 주파수 정보(614)는 전압 위상 추정 모듈(616)의 입력 신호로 사용된다.
영전위 검출 모듈(613)은 순시 전압 정보(611)로부터 입력 전압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을 검출하여 적절한 신호(615)를 발생시키며 영전위 검출 모듈(613)에서 발생된 신호는 전압 위상 추정 모듈(616)의 동기 신호(615)로 사용된다.
전압 위상 추정 모듈(616)은 주파수 추정 모듈의 주파수 추정 정보(614)와 영전위 검출 모듈(613)에서 발생된 동기 신호(615)를 이용하여 배전계통 연계점의 전압의 위상 정보(618)를 만들어내며 기준 교류 신호 발생 모듈(610)에서는 전압 위상 추정 모듈(616)에서 만들어진 전압 위상 정보(614)를 이용하여 출력 순시 전류의 교류 파형(619)을 만들어낸다.
태양전지어레이(110)로부터 만들어진 전력을 배전계통(130)으로 인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력 제어 모듈(620)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력 제어 모듈(620)은 태양광어레이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연계되어 있는 배전계통에 인가하기 위한 배전계통 전압에 동상인 출력전류 기준값(625)을 만들어내는 부분과 DC/AC 컨버터가 원활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DC 링크 커패시터 전압(626)의 운전 범위(627)를 제한하는 DC 전압 제한 모듈(628)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광어레이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배전계통에 인가하기 위하여 태양광어레이의 단자전압(621)과 출력전류(622)의 정보를 통해 현재 태양광어레이의 출력전력(623)을 계산하고 계산된 출력전력(623) 정보와 현재 배전계통의 전압 크기 정보(623)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전력을 계통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 기준(625)을 계산한다.
또한 DC 전압 제한 모듈(628)은 정상 상태 및 과도 상태에서 DC 링크 운전 전압 확보를 위하여 현재의 DC 링크 전압 정보(626)와 DC 링크의 운전 범위 정보(627)를 이용하여 적절한 보상 전류 기준(629) 값을 계산한다.
또한, 출력전류의 고조파를 일정범위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 고조파 제한 모 듈(660)을 이용한다. 고조파 제한 모듈(660)은 현재 계통의 출력전류의 변화량(661)과 출력전류에 함유된 고조파함유율(662)를 이용하여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한다. 고조파함유율(662)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 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고조파함유율의 상한은 각국의 전력기준에 따르며 각국의 기준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고조파 제한 모듈(660)은 고조파함유율(662)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고조파함유율(662)이 감소하도록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하는데 고조파함유율(662)가 증가하는 경우 출력전류 크기 기준값(551)이 감소하도록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한다.
전력 제어 모듈(620)에서 계산된 출력 전력 기준 전류(625)와 보상 기준 전류(629)과 고조파 제한값의 합하여 배전계통 전압에 동상인 출력전류 크기 기준값(631)을 만들어낸다.
DC/AC 컨버터 출력 전류 제어를 위한 순시 전류 기준 신호(633)는 전력 제어 모듈(620)에서 만들어진 출력전류 크기 기준값(631) 정보와 기준 교류 신호 발생 모듈(610)에서 만들어진 출력 순시 전류의 교류 파형(619)을 곱하여 만들어진다.
여기서 만들어진 출력전류 제어 기준값(633)은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 제어 모듈(630)의 제어 명령으로 사용되며 출력전류 제어 모듈(630)은 현재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632)와 비교하여 만들어진 오차정보(634)를 이용하여 DC/AC 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스위칭 소자들의 적절한 스위칭 시간(641)을 계산하여 준다.
출력전류 제어 모듈(630)에서 계산된 스위칭 시간(641)은 PWM 발생장치(640) 에 의하여 DC/AC 컨버터(650)의 각 스위칭에 On/Off 신호(651)로 만들어져 DC/AC 컨버터를 제어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DC/DC 컨버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삼상 DC/AC 컨버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상 DC/AC 컨버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태양전지어레이
120 : 무변압기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 변환 장치
123 : DC/DC 컨버터 124 : DC 링크 커패시터
125 : DC/AC 컨버터 126 : 계통 연계 리액터
210 : 최대전력점추종(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기
220 : 태양전지어레이 출력 전압 제어기
230 : 태양전지어레이 출력 전류 제어기
540 : DC/AC 컨버터 출력 명령 발생기
545 : PV 출력 전류 명령 548 : DC 링크 전압 제한 제어기
549 : DC 링크 전압 보상 전류 명령

Claims (6)

  1.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만들어내는 반도체 모듈들로 구성된 태양전지어레이;
    태양광을 직류전력으로 전환하는 태양전지어레이가 최대 출력점으로 운전하도록 최대 출력점 제어를 수행하고, 태양전지어레이에서 발생된 직류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 계통으로 출력하는 DC-A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DC-AC 컨버터는 배전계통전압정보와 배전계통전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 전류 벡터를 출력하는 동기 전류 벡터 출력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어레이의 출력전력과 배전계통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전류기준값을 출력하는 전류기준값 출력 모듈과, 상기 DC-AC 컨버터에 입력되는 전압정보 및 미리 설정된 운전범위정보를 이용하여 보상전류기준값을 계산하는 DC전압제한 모듈과, 배전계통의 출력전류의 변화량과 출력전류 안에 포함된 전류고조파 함유율를 이용하여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하는 고조파 제한 모듈과, 상기 전류기준값, 보상전류기준값, 고조파 제한값 및 상기 동기 전류 벡터를 이용하여 DC-AC 컨버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출력 전압 벡터를 출력하는 전류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동기 전류 벡터 출력 모듈은 동기회전 좌표변환을 통해 동기 전압 벡터를 출력하는 제1 DQ 변환 모듈과, 상기 동기 전압 벡터를 이용하여 위상각 추정값을 출력하는 위상 동기 모듈과, 상기 위상각 추정값과 삼상 전류값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 전류 벡터를 출력하는 제2 DQ 변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DQ 변환 모듈은 삼상 전압값과 피드백된 위상각 추정값을 이용하여 동기 전압 벡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위상 동기 모듈에서 출력하는 위상각 추정값과 출력 전압 벡터를 이용하여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DQ 역변환 모듈과, 상기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DC-AC 컨버터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PWM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4.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만들어내는 반도체 모듈들로 구성된 태양전지어레이;
    태양광을 직류전력으로 전환하는 태양전지어레이가 최대 출력점으로 운전하도록 최대 출력점 제어를 수행하고, 태양전지어레이에서 발생된 직류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 계통으로 출력하는 DC-A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DC-AC 컨버터는 순시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순시 전류파형을 출력하는 출력 순시 전류파형 출력모듈과, 상기 태양전지어레이의 출력전력과 배전계통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전류기준값을 출력하는 전류기준값 출력 모듈과, 상기 DC-AC 컨버터에 입력되는 전압정보 및 미리 설정된 운전범위정보를 이용하여 보상전류기준값을 계산하는 DC전압제한 모듈과, 배전계통의 출력전류의 변화량과 출력전류 안에 포함된 전류고조파 함유율을 이용하여 고조파 제한값을 출력하는 고조파 제한 모듈과, 상기 전류기준값, 보상전류기준값, 고조파 제한값 및 출력 순시 전류파형을 이용하여 산출된 출력전류 제어 기준값과 DC-AC 컨버터의 출력전류값을 비교하여 DC-AC 컨버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출력 순시 전류파형 출력 모듈은 배전계통의 순시전압정보로부터 주파수를 추정하는 주파수 추정 모듈과, 상기 순시전압정보의 영전위를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영전위 검출 모듈과, 상기 추정된 주파수와 출력된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전압위상정보를 출력하는 전압 위상 추정 모듈과, 상기 전압위상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순시 전류파형을 출력하는 기준 교류 신호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6. 청구항 4에서,
    상기 전류 제어 모듈에서 출력하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DC-AC 컨버터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PWM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전력변환장치.
KR1020080136916A 2008-12-30 2008-12-30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KR10102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16A KR101027937B1 (ko) 2008-12-30 2008-12-30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16A KR101027937B1 (ko) 2008-12-30 2008-12-30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13A KR20100078613A (ko) 2010-07-08
KR101027937B1 true KR101027937B1 (ko) 2011-04-12

Family

ID=4263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916A KR101027937B1 (ko) 2008-12-30 2008-12-30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309A (ko) 2018-12-20 2020-06-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iC 파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캐스케이드 부스트-벅 컨버터를 이용하는 태양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59B1 (ko) * 2020-04-14 2020-09-25 주식회사 에너솔라 저전압 지속 발전을 위한 태양광 인버터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16A (ja) * 1995-02-14 1996-08-30 Nippon Electric Ind Co Ltd 太陽光発電インバータシステムの商用系統電源との切り換え方法
KR100716537B1 (ko) 2005-05-26 2007-05-10 한국전기연구원 분산전원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80052514A (ko) * 2008-03-03 2008-06-11 주식회사 실리콘핸즈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의 전력 생산효율 예측시스템의 구현방법 및 장치
KR100866097B1 (ko) 2007-01-10 2008-10-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16A (ja) * 1995-02-14 1996-08-30 Nippon Electric Ind Co Ltd 太陽光発電インバータシステムの商用系統電源との切り換え方法
KR100716537B1 (ko) 2005-05-26 2007-05-10 한국전기연구원 분산전원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66097B1 (ko) 2007-01-10 2008-10-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80052514A (ko) * 2008-03-03 2008-06-11 주식회사 실리콘핸즈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의 전력 생산효율 예측시스템의 구현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309A (ko) 2018-12-20 2020-06-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iC 파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캐스케이드 부스트-벅 컨버터를 이용하는 태양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13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5348B1 (en) Two stage solar converter with DC bus voltage control
EP2790312B1 (en) Power decoupl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power conversion system
CN102570868B (zh) 电力转换系统和方法
US88484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ctive power regulation
EP248113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converter in a wind turbine generator
Huka et al. A comprehensive LVRT strategy of two-stage photovoltaic systems under balanced and unbalanced faults
KR101248593B1 (ko) 무효전력 보상 기능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Guerrero et al. Decentralized control for parallel oper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inverters in microgrids using resistive output impedance
Geng et al. A novel low voltage ride through control method for current source grid-connected photovoltaic inverters
US11177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verter control for virtual impedance
EP2621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ctive power regulation
Zaid et al. Review, analysis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factor of a PV-grid connected system via HERIC transformerless approach
Marei et al. PV interface system with LVRT capability based on a current controlled HFAC link converter
JP5830484B2 (ja) 無効電力比率制御器、無効電力比率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電システム
CN103280835A (zh) 三相并网光伏逆变器的发电状态控制方法
KR20080041310A (ko)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dc/ac컨버터 제어 장치
KR101027937B1 (ko) 무변압기형 계통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Sekhar et al. Reactive Power Enhancement of a PLL less PV inverter for AC Micro-grids
JP7136368B2 (ja) 電力変換装置
Rezayi et al. PLL-Less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ler for three-phase grid-connected power converters
Gaiceanu Inverter Control for Three-Phase Grid Connected Fuel Cell Power System
WO2024047908A1 (ja) 電力変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Vemala et al. A Solar-PV Integrated Novel Reduced-Switch UPQC Device for Power-Quality Improvement
Meraj et al. Virtual flux oriented sensorless direct power control of qzs inverter connected to grid for solar pv applications
RAHMMAN et al. Wind Farm Integrated Power Quality Based Dual Mode Control of AC-HVDC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