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은 에너지원의 출력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바꾸는 정류기와 인버터로 구성된 전력변환부; 상기 에너지원의 정보와 상기 전력변환부의 전압 또는 전류 정보를 가지고 연산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및 상기 제어부에서 보낸 운전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보내주는 사용자 조작부를 구비하는 분산전원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원, 상기 에너지원의 출력전압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전력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명령에 의하여 상기 전력변환부의 전압 및 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부의 정류기와 인버터로 PWM(pulse width modulation)출력으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며 상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또는 교류전원을 원하는 전압, 주파수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의 알고리즘은 상기 에너지원의 정보로부터 최대의 전력을 얻는 최대전력점 추종제어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서 에너지원의 종류, 발전기의 종류, 운전모드의 종류, DC/DC(직류/직류) 컨버터의 유무 등을 설정하여 상기 전력변환부를 스위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공통적인 실행 기능과 선택적인 실행 기능으로 분류하여 격납하고 상기 전력변환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에너지원의 출력전압이 직류, 교류인 경우 또는 교류 중 1상, 3상의 경우 모두 사용하기 위하여 브릿지(bridge)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에너지원이 교류전원이고 유도발전기인 경우에 는 상기 정류기가 제어형 정류기로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에너지원이 교류전원이고 동기발전기인 경우에는 상기 정류기가 제어형 정류기 또는 다이오드 정류기로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에너지원이 직류전원이고 DC/DC(직류/직류) 컨버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정류기를 DC/DC(직류/직류) 컨버터로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에너지원이 직류전원이고 DC/DC(직류/직류) 컨버터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인버터에서 에너지원의 검출와 최대출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력변환부는 계통연계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전류제어모드로 동작하고 단독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전압, 주파수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및 AD 컨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부; IGBT 스위칭 소자, 전압 전류 센서 및 캐패시터 필터를 포함하는 전력변환부;및 액정표시장치 및 키 스위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부를 구비하되,상기 제어부, 상기 전력변환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하나의 모듈로 격납되어 있으나 각각이 용이하게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상기 제어부, 상기 전력변환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하나의 모듈로 격납되어 있으나 각각이 용이하게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용 제어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의 용량이나 정격을 미리 설정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한 분산전원 시스템은 크게 에너지원(100)과 전력변환부(200), 제어부(500)과 사용자 조작부(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너지원(100)은 연료전지 시스템(101), 태양광 발전(102), 풍력발전기(103) 등이 있으며 입력되는 연료량이나 자연 조건에 따라 교류 또는 직류전력(201)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교류 또는 직류전력(201)은 부하 또는 전력계통(300)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전력변환부(2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전력변환부(200)는 입력차단기(207)을 통하여 다이오드 또는 제어 정류기(202)를 통하여 직류전압(204)으로 변환되고 이는 인버터(203)를 통하여 부하 또는 전력계통(300)에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203)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스위칭에 의해 발생한 전압 또는 전류 고조파를 다수 포함하기 때문에 고조파필터(205)를 설치하여 고조파를 제거하고 보호와 절연을 위하여 인버터(203)와 전원계통(300) 사이에 차단기(206) 및 변압기(208)를 설치한다.
상기 제어 정류기(202)와 인버터(20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는 에너지원의 속도(104), 에너지원의 정보(401) 또는 에너지원의 전류, 전압 정보(209)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풍력발전기의 경우 풍력발전기의 속도(104), 풍속계(400)의 정보(401)를 이용하여 최대의 전력을 인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연산하고 이로부터 부하 또는 전력계통(300)에 출력할 수 있는 전력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력명령은 전원계통의 전압, 전류 정보(210)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제어를 거친 후에 정류기(202)나 인버터(203)에 스위칭신호(211)를 출력함으로써 전력변환부(20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 조작부(60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받거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전력변환부 중 정류기부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전력변환부(200)에서 실제 시스템 구성상 정류기부(212)와 인버터부(213)는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정류기부(212)만 설명한다. 정류기부(212)는 에너지원(100)으로부터 가변되는 직류 또는 교류전원(201)를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도3의 브릿지 구조(202a)의 정류기부(212)를 이용하여 입력전원의 종류(직류 또는 교류)나 상수(1상 또는 3상)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직류인 경우에는 입력측(310)을 단락하여 직류전원의 (+)측에 연결하고 (-)측을 직류단의 필터(204)의 하단(308)에 연결함으로써 승압용 컨버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승압용 컨버터는 브리지 구조의 정류기부(212)의 상단 스위치를 오프하 고 하단 스위치를 온/오프함으로써 입력전압(310)보다 높은 직류전압(304)를 얻을 수 있으며 입력전원(310)이 교류인 경우에도 승압형 컨버터로 동작하여 입력단의 전류파형과 역률을 개선하도록 프로그램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설명과 같이 승압용 컨버터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력전원의 전압(304) 및 전류(305)를 검출해야 하며 직류출력 전압(309)도 검출해야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자식 전압 및 전류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류 또는 교류 모두의 검출이 가능하며, 또한 보호기능의 동작 시에 개폐기(302)를 차단하는 디지털 출력을 내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은 선택된 알고리즘에 의해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게이트 드라이브(307)에서 증폭과 절연 후에 정류기(202)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부(213)는 도 3과 동일한 구성이나 정류기부(212)에서의 전력의 흐름이 입력단(310)에서 직류단(204)인데 반하여 인버터부(213)는 전력의 흐름이 직류단(204)에서 계통전력(300)으로 출력되는 점과 내부제어의 목적이 다르다. 즉, 상기 정류기부(212)는 에너지원(100)으로부터 최대전력을 생성하기 구성인 반면에 인버터부(213)는 직류전압(204)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운전모드에 따라 부하 혹은 계통전력(3)에 전력을 전송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제어부의 구성도로서, 상기 제어부(5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신호처리 프로세서(501)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 털제어시스템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500)는 프로그램이나 변수를 격납하는 메모리부(502), 아날로그 신호를 필터링(506)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505),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508)을 위한 전기적인 절연을 하는 절연부(507) 및 외부 타기기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포트(503), 표시 조작부용 버퍼(50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의 메모리부는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의 용량이나 정격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하여 비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술한 것처럼 전기신호로 교류, 직류 모두 동일하게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받을 수 있으며 풍속계나 일사량계(400)등은 아날로그 입력 포트(104,401)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고 통신포트(503)를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사용자 조작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600)은 액정표시장치(601), 키입력 스위치(602), 커넥터(603)으로 구성된다.
이 때 표시기능을 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601)에는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주파수, 역률 등의 전기량 및 일사량, 풍속 등의 에너지원의 운전 상태정보와 보호기능의 동작여부 등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키입력 스위치(602)은 서브메뉴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설정 및 표시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의 설정 내용은 운전모드, 전압기준, 무효전력기준, 제어기의 이득 등이 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동작, 정지 등 운전명령도 상기 사용자 조작부 (600)을 통하여 입력된다. 특히 이 사용자 조작부(600)은 커넥터(603)을 이용하여 제어부(500)의 버퍼포트(604)와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설정 흐름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에너지원(100)의 종류를 결정한다(600). 상기에 의하여 풍력(610), 태양광(620), 연료전지(630)로 에너지원(100)의 전원 종류가 결정된다. 이 때 풍력(610)의 경우는 교류전원이고 태양광(620), 연료전지(630)의 경우는 직류전원이다.
다음으로 풍력(610)의 경우에 유도 발전기(690)의 사용여부와 동기 발전기(700)의 사용여부에 따라서 직류단(204)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하게 된다.
이 때 유도 발전기(690)의 경우는 현재 운전되고 있는 발전기의 주파수보다 낮은 출력을 정류기(202)가 출력함으로써 회생(regeneration)모드로 운전되게 제어해야 하며 동기 발전기(700)의 경우는 타여자(seperately excited)방식이나 영구자석 방식에 관계없이 터빈의 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와 전압이 출력되므로 이를 추종하면서 다이오드나 제어 정류기(202)를 이용하여 직류단(204)으로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또한 태양광(620)과 연료전지(630)의 경우는 직류전압이 출력되므로 전력변환부(200)의 구성에 따라 직류/직류 컨버터의 유무(650)을 판단하여 제어방법을 결정한다. 이 때 직류/직류 컨버터가 있는 구성에서는 상기 컨버터 내에서 최대출력점 추종제어를 수행(710)하고 직류/직류 컨버터가 없는 구성에서는 인버터(203) 내 에서 상기 최대출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 설정이 종료되면 에너지원(100)의 종류에 따라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방식이 결정(660)된 후 정격 용량, 전압, 전류, 상수, 주파수 등 전기적인 사항들을 결정(670)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운전모드의 설정 단계(680)으로 계통연계운전(720)인지 단독운전(730)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계통연계운전(720)인 경우는 계통전력의 전압과 주파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203)는 전류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단독 운전(730)인 경우에는 전원이 없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운전 모드로서 인버터(203)은 부하가 요구하는 정격전압 및 주파수를 유지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시스템 선정 구성도이다. 우선 에너지원(100)의 출력전원에 따라 직류입력(830,840)과 교류입력(810,820)의 구성이 결정된다.
이 때 교류출력이고 유도 발전기(811)인 경우에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하므로 구성(810)이 적용되며, 동기 발전기인 경우에는 제어형 정류기(812)로 이루어진 구성(810) 또는 다이오드 정류기(822)로 이루어진 구성(820) 양자 모두가 가능하다.
이 때 제어형 정류기(812)와 다이오드 정류기(822)는 동일한 스위칭 소자(IGBT)를 이용한 동일한 구성으로서 게이트를 제어하면 제어형 정류기(812)가 되고 게이트를 차단하면 소자에 역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다이오드 정류기(822)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에너지원(100)의 출력이 직류 출력(831)인 경우 직류/직류 컨버터(832)의 유무에 따라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832)가 있는 구성(830)과 없는 구성(840)으로 나누어 진다.
상기 컨버터가 있는 구성(830)의 경우는 직류단 출력전압(309) 및 직류 입력 전압(304)의 검출에 의하여 제어부(500)에서 적절히 제어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출력(211)으로 스위칭하면 되고, 상기 컨버터가 없는 구성(840)의 경우는 입력전압(304)의 검출에 의하여 인버터(203)에서의 에너지원(100)의 검출과 최대전력점 추종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운전모드 구성도이다. 상기 운전모드는 전력변환부(200)이 계통전력(836)에 연결되어 운전되는 계통연계운전모드와 계통전원(836)이 정전되거나 또는 전원이 없는 지역에서 운전되는 단독운전모드로 나뉘어진다.
상기 계통운전모드의 경우는 연계하는 차단기(923)이 닫혀 있어 부하(925)는 계통전력(836) 또는 인버터(203)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공급 받게 된다. 이 때 부하는 인버터(203)의 출력에 관계없이 전원을 받게 되고 인버터(203)는 전원전압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전압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고 전류만 조정할 수 있는 전류제어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단독운전모드의 경우는 부하(925)는 인버터(203)에 의해서만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이 때 인버터(203)는 부하(925)가 요구하는 전압과 주파수를 부하(925)의 크기에 관계없이 제어해야 한다. 이 때 정전이 발생한 경우 계통전원(836)측 차단기(923)은 개방되고 인버터(203)측 차단기(924)가 동작하여 운전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도이다. 상기
제어부(200) 내부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루틴을 분류한 것으로서 시스템의 구성 및 설정과 관계없는 공통적인 루틴(900)과 시스템의 구성 및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루틴(901)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적인 루틴(900)은 직류 및 교류 전기량을 계측하고 이를 전력량으로 연산하는 루틴, 디지털 입출력 루틴, 전압 및 전류제어기 루틴, PWM 펄스 출력 루틴, 표시 및 키입력 루틴, 인버터 및 계통보호 루틴 등이며 이들 루틴들은 외부 하드웨어의 변경에 따른 스케일의 변동 이외에는 거의 변동되는 부분이 없는 고정적인 루틴이며, 특히 공통적인 루틴(900)은 에너지원, 변환장치 구성, 운전 모드에 관계없이 운전 중에 항상 실행되는 부분이다.
한편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선택적인 실행 루틴(901)에는 최대전력점 추종제어, 일사량 및 풍속 검출 루틴, 에너지원 기기 보호 루틴 등이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설정 및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용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 실시예이다. 상기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와 같은 에너지원(100), 전력변환부(200), 제어부(300) 및 사용자 조작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변환부(200)는 IGBT 모듈이 방열판 위에 설치되고 게이트 드라이브 및 전압, 전류 센서, 필터 캐패시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와 주변회로 및 AD 변환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작부(600)는 액정표시장치 및 키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모듈들은 독립적으로 설계, 제작되어 플랫케이블 등 배선을 통하여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전력변환부(200)는 시스템 구성이나 용량, 전압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구성하는 반면 제어부(500) 및 사용자 조작부(600)는 동일한 모듈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외부 기상관측장치(400)는 에너지원(100)에 따라 풍속계 또는 일사량계(401) 등이 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 또는 직렬통신을 통하여 제어부(500)와 연결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