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248A -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 Google Patents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248A
KR20080065248A KR1020080002351A KR20080002351A KR20080065248A KR 20080065248 A KR20080065248 A KR 20080065248A KR 1020080002351 A KR1020080002351 A KR 1020080002351A KR 20080002351 A KR20080002351 A KR 20080002351A KR 20080065248 A KR20080065248 A KR 2008006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nector
power
adapter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997B1 (ko
Inventor
캄 와 소
Original Assignee
모던 센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던 센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모던 센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6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coupling part with coding means activating the switch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범용 전원 어댑터(universal power adapter)는 전원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 및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에서 선택된 출력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을 갖는다. 전압 변환기 회로는 입력 전압과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사이를 변환한다. 출력단과 연결 가능한 커넥터 팁(connector tip)은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를 출력단에 연결한다.

Description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UNIVERSAL POWER ADAPTER/CONVERTER}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 기기의 전원공급 또는 충전에 사용되는 전원 어댑터/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상이한 국가에서, 그리고 상이한 기기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configuration)의 선택 기능을 갖는 범용 배터리 충전기 및/또는 전원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대체 플러그 삽입 방향(alternative plug-insertion orientation)이 없는 주요 전기 핀/소켓(main electrical pin/socket) 패턴을 갖는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어댑터(electrical adapter)를 이미 제안하였다. 이 어댑터는 이하의 공개된 특허문헌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내용 전부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오스트리아 특허출원 제2006202331호(2006년 5월 31일 출원)
중국 특허출원 제200610114891.9호(2006년 8월 16일 출원)
중국 특허공개공보 CN1518169A(2004년 8월 공개)
유럽공동체 특허출원 제06252004.4호(2006년 4월 11일 출원)
유럽 특허공개공보 EP1437804A2(2004년 7월 14일 공개)
일본 특허출원 제2006-236097호(2006년 8월 31일 출원)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214206A2(2004년 7월 29일 공개)
한국 특허출원 제10-2006-0048801호(2006년 5월 30일 출원)
대만 특허출원 제95119620호(2006년 6월 2일 출원)
미국 특허 제6,942,508호(2005년 9월 13일 등록)
미국 특허출원 제11/401,443(2006년 4월 11일 출원)
상기한 문서들에 개시된 전기 어댑터는, 다른 국가에서 사용할 때 상이한 전원 출구 소켓 구성을 매칭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는 플러그 상부(plug top)를 가진다. 전기 어댑터 상의 플러그 상부 및 매칭 리셉터(matching receptor)는, 원하는 플러그 상부와 어댑터의 연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기 연결부(electrical connection)와 협력하는 회전 연결부(rotary connection feature)를 가진다. 이 전기 어댑터는 또한 여러 상이한 전기 기기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어댑터는 상이한 전압 출력단들을 갖는 다수의 출력 리드선(lead) 또는 리드선의 출력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선택기 스위치를 갖는 하나의 리드선을 갖는다. 이것은 사용자가 출력 리드선의 선택 또는 선택기 스위치의 설정할 것을 요구한다. 선택이 잘못되면, 어댑터와 함께 사용되는 전기 기기는 동작하지 않거나 더 나쁘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극복 또는 적어도 개선하거나, 또는 일반인에게 유용한 선택을 적어도 제공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를 위한 전원 어댑터/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출력 전압을 선택할 필요가 없는 전기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입력 전압과 둘 이상의 출력 전압 사이를 변환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universal power adapter)는, 전원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에서 선택된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단,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사이를 변환하는 전압 변환기 회로, 및 전원을 사용하는 디바이스(power consuming device)의 상기 출력단에 대한 연결을 편리하게 하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 가능한 커넥터 팁(connector tip)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팁은 또한 상기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변환기는 복수의 플로팅 분압기 레그(floating divider leg)를 갖는 분압기 회로(voltage divider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팁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분압기 레그 중 하나 이상을 접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단은 각각의 상기 플로팅 분압기 레그와 연결된 복수의 단자(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팁은, 상기 커넥터 팁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될 때 각각의 상기 단자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용 전원 어댑터는 직류 변환기이고, 상기 입력단은 직류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단은 상이한 국가의 전원 출구에 사용하기 위해 호환 가능한 플러그 베이스(interchangeable plug base)을 연결하기 위한 회전 연결부(rotary connection featur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용 전원 어댑터는 전원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변환기는, 교류 전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입력단 및 상기 전압 변환기에 입력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입력단과 연결 가능한 출력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용 전원 어댑터는 또한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상이한 전압들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기 위한 둘 이상의 호환 가능한 커넥터 팁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를 갖는 어댑터 본체, 상기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입력단 및 상기 출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전원 변환기 회로,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전압을 가지며 상기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출력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입력 커넥터 또는 상기 출력 커넥터와 연결 가능하여 상기 전원 변환기 회로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어댑터 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들은 오직 예로서 제공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해 상이한 국가에서 그리고 여러 타입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범용 충전기 및 전원 어댑터에 실시된 바와 같이 설명한다. 전원 어댑터는 상이한 국가의 전원 출구(power outlet)에 사용하기 위한 호환 가능한 플러그 베이스를 가진다. 이 전원 어댑터는 상이한 타입의 전자 기기에 맞는 호환 가능한 어댑터 팁을 연결하기 위해 세 개의 출력 코드의 원격단(remote end)에 세 개의 전원 출력단을 가진다. 두 개의 출력단은 이동전화,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및 오디오(MP3) 플레이어와 같은, 컴퓨터 USB 포트로부터 정상적으로 충전/전원공급이 가능한 충전기 또는 전원 공급기를 위한 미니 USB 커넥터를 구비한 고정된 5.5V 출력을 갖는다. 제3 출구는 랩톱 컴퓨터 등의 충전/전원공급을 위한 가변 전압 출력을 가진다. 어댑터는 제3 출력단의 전압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 가능한 전압 설정을 가진다. 제3 출력 코드의 단부에는 랩톱 컴퓨터 등의 고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에 사용하기 위해 호환 가능한 어댑터 팁이 연결되는 메이팅 소켓(mating socket)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원 변환기(1)는 어댑터의 제3 출력단의 메이팅 소켓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변환기(1)는 어댑터의 출력 메이팅 소켓과 결합하는 입력 커넥터를 구비한 DC 전원 입력측(2)과, 접지 및 전압 단자(V1) 및 네 개의 전압 설정 단자(P11, P12, P13, P14)를 갖는 출력 커넥터를 구비한 출력측(3)을 가진다. 전기 어댑터와 같이, 상이한 타입의 전기 기기에 전원 변환기(1)를 연결하기 위해, 상이한 어댑터 팁(4, 5, 6)들이 전원 변환기(1)의 출력 커넥터(3)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변환기(1) 내에는 전원 변환기 회로(7)의 전력 스위치(Q1, Q1)를 조작하는 피드백 및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가 있다. 인덕터(L1) 및 커패시터(C1)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출력 전압 및 전류를 평활화(smoothing)하기 위해 제공된다. PWM 제어기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전압을 가지고 입력단(VFB)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전력 스위치(Q1, Q2)의 타이밍 및 듀티 사이클을 제어한다. 피드백 회로(8)는 분압기 저항기(R1, R2, R11, R12, R13 , R14)를 포함하고, 출력 커넥터 단자(P11, P12, P13 또는 P14)를 가지며, PWM 제어기의 단자(VFB)에 피드백 신호를 제공한다. 분압기 회로의 출력 커넥터 단자(P11, P12, P13 또는 P14)는 정상적으로 플로팅 상태(floating)이다. 피드백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의 비율은 분압기 회로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출력 커넥터 단자(P11, P12, P13 또는 P14) 중 하나 이상을 접지시킴으로써 제어된다. 피드백 신호의 비율이 변화되면, PWM 제어기는 이를 출력 전압의 변화로 보고, 그에 따라 출력 전압을 상승 또는 저하시킨다.
전원 변환기(1)는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전압을 갖는 전원 장치(power supply)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자(P11-P14)의 접지는 어댑터 팁(4, 5, 6)의 내부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4개의 세터 단자(setter terminal)을 가지면, 16개의 상이한 출력 전압의 구성의 가능하다. 사용자가 어댑터 팁 중 하나를 연결하면, 각각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전압이 어댑터 팁에 나타난 다. 각각의 어댑터 팁(4, 5, 6)은 특정한 전자 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구성되며, 어댑터 팁 내에서 접지된 적절한 핀(P1, P2, P3, P4)를 가져서, 어댑터 팁을 출력 커넥터에 연결할 때, 정확한 출력 전압이 어댑터 팁 구성 및 그것을 사용하는 전기 기기에 맞게 자동으로 설정된다.
전원 변환기(1)는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을 갖는 전원 장치이고, 출력 전압(V1)을 변경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가능한 출력 전원 장치는 아니다, 요컨대, 출력 전압은 외부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원하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없다. 전원 변환기(1)는 분압기 저항기(R1, R2, R11, R12, R13, R14)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한 세트의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전원 변환기는 과부하에 대해 매우 우수한 보호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변환기 전압이 외부 수단에 의해 임의의 전압으로 프로그램 가능하면, 전원 변환기가 원하는 범위 밖에서 동작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외부 수단의 고장이나 불안정한 상태가 변환기 출력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고 연결된 기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외부 구성요소 또는 값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팁만이 저항기를 접지단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팁이 고장나거나 없으면, 단지 원하는 출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출력될 뿐이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원 변환기의 입력 전압을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으로 자동 설정하기 위해 입력 전원 장치로부터의 커넥터도 역시 커넥터 내에서 접지된 설정 단자들을 가질 수 있도록, 세터 단자(setter terminal)들을 입력 커넥터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종래 애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에서, 커넥터는 어댑터 팁을 전원 코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칼라(locking collar)(41)를 포함하였다. 본 발명의 일정한 실시예들에서는, 고정 칼라를 전원 어댑터 커넥터에 통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호환 가능한 어댑터 팁의 부품수를 줄여,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원 어댑터 커넥터 상의 하나의 고정 칼라가 다수의 어댑터 팁을 전원 어댑터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변환기 출력단(3)과 어댑터 팁(4, 5, 6)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 팁 설정 핀(P1, P2, P3, P4)에 대한 접지 또는 전기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전원 변환기의 출력 커넥터(3)는 대응하는 어댑터 팁 핀(P1, P2, P3, P4)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커넥터 잭(S11, S12, S13, S14)을 가져서, 전원 변환기 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분압기 저항기(divider resistor)(R11, R12, R13, R14)의 플로팅 레그는 대응하는 커넥터 잭(S11, S12, S13, S14)과 연결된다. 만약 커넥터 잭(S11, S12, S13, S14)이 어댑터 팁의 핀(P1, P2, P3, P4)을 수용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저항기 레그는 접지된다. 어댑터 팁에 대해 상이한 조합의 핀(P1, P2, P3, P4)을 제공함으로써, 저항기 중 다른 것들은 어댑터 팁(4, 5, 6)을 출력 커넥터(3)에 연결함으로써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출력 전압 중 하나를 어댑터 팁에 연결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명백히 본 발명의 변형예 및 변경예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어댑터/변환기의 개략 전기 회로도이다.
도 2는 전원 어댑터/변환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전원 어댑터/변환기의 출력 커넥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전원 어댑터/변환기의 어댑터 팁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어댑터 팁 및 컨버터 출력단의 개략도이다.

Claims (10)

  1. 입력 전압과 둘 이상의 출력 전압 사이를 변환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universal power adapter)로서,
    전원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에서 선택된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출력단,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사이를 변환하는 전압 변환기 회로, 및
    전원을 사용하는 디바이스(power consuming device)의 상기 출력단에 대한 연결을 편리하게 하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 가능한 커넥터 팁(connector tip)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팁은 또한 상기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기는 복수의 플로팅 분압기 레그(floating divider leg)를 갖는 분압기 회로(voltage divider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팁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분압기 레그 중 하나 이상을 접지시키는, 범용 전원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각각의 상기 플로팅 분압기 레그와 연결된 복수의 단자(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팁은, 상기 커넥터 팁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될 때 각각의 상기 단자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전원 어댑터는 직류 변환기이고,
    상기 입력단은 직류 전원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범용 전원 어댑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은 상이한 국가의 전원 출구(power outlet)에 사용하기 위해 호환 가능한 플러그 베이스(interchangeable plug base)를 연결하기 위한 회전 연결부(rotary connection feature)를 포함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전원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변환기는, 교류 전원 장치(alternate current power supply)와 연결 가능한 입력단 및 상기 전압 변환기에 입력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입력단 과 연결 가능한 출력단을 갖는, 범용 전원 어댑터.
  7. 제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상이한 전압들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기 위한 둘 이상의 호환 가능한 커넥터 팁을 더 포함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
  8.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를 갖는 어댑터 본체,
    상기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입력단 및 상기 출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전원 변환기 회로,
    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출력 전압을 가지며, 상기 입력 커넥터 및 상기 출력 커넥터에 연결된 제어 회로, 및
    상기 입력 커넥터 또는 상기 출력 커넥터와 연결 가능하여, 상기 전원 변환기 회로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어댑터 팁
    을 포함하는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복수의 플로팅 분압기 레그를 갖는 분압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팁은 상기 전원 변환기 회로의 미리 설정된 전압 중 하나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분압기 레그 중 하나 이상을 접지시키는, 범용 전원 어댑 터/변환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는 직류 변환기이고,
    상기 입력 커넥터는 직류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KR1020080002351A 2007-01-08 2008-01-08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KR101027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K07100258.0 2007-01-08
HK07100258 2007-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248A true KR20080065248A (ko) 2008-07-11
KR101027997B1 KR101027997B1 (ko) 2011-04-13

Family

ID=3922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351A KR101027997B1 (ko) 2007-01-08 2008-01-08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09451B2 (ko)
EP (1) EP1942562A3 (ko)
JP (1) JP2008237008A (ko)
KR (1) KR101027997B1 (ko)
CN (1) CN101237188B (ko)
AU (1) AU2008200080A1 (ko)
IN (1) IN2008CH00059A (ko)
RU (1) RU2008101937A (ko)
TW (1) TW200841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49A1 (ko) * 2012-11-09 2014-05-15 Choi Kyu Taek 이동 단말기 충전을 위한 범용 젠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3960B2 (en) 2004-01-15 2015-10-06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equipment utilizing interchangeable tips to provide power and a data signal to electronic devices
US7642671B2 (en) * 2006-04-28 2010-01-05 Acco Brands Usa Llc Power supply system providing two output voltages
TW201025392A (en) 2008-12-31 2010-07-01 Kerio Technologies Inc Switch with conductive driving device for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the power supplying apparatus
US8354760B2 (en) * 2009-10-28 2013-01-15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equipment to simultaneously power multiple electronic device
US20120068535A1 (en) * 2010-09-20 2012-03-22 Radioshack Corporation Energy converter,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converted energy to a set of electronic devices
US9088090B2 (en) 2011-03-10 2015-07-21 Kien Hoe Daniel Chin Universal purpose power adapter
BR112014024949B1 (pt) * 2012-04-06 2021-07-13 Labinal, Llc Adaptador, conjunto de disjuntor de circuito de encaixe, e, painel de disjuntor de encaixe
US8550827B1 (en) 2012-07-25 2013-10-08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Multi-sleeve power tips
US8821199B2 (en) 2012-07-25 2014-09-02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Multi-prong power tip adaptor
KR20140029565A (ko) * 2012-08-28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891593A (zh) * 2012-11-01 2013-01-23 山东大学 一种微型通用电源
WO2014137331A1 (en) 2013-03-06 2014-09-1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upply voltage and load consumption control
US10162399B2 (en) 2013-03-06 2018-1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upply voltage and load consumption control
US9257893B2 (en) 2013-07-29 2016-02-09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USB power supply
US20150126070A1 (en) * 2013-11-05 2015-05-0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power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secure manner
CN105739660A (zh) * 2014-12-10 2016-07-06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电子设备电压调节装置
US9972955B1 (en) * 2016-11-16 2018-05-15 Conair Corporation Travel voltage converter and adapter
US10123461B2 (en) 2017-04-05 2018-11-06 Google Llc Cool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with cooling units mounted in bays of a server rack frame assembly
GB202007547D0 (en) 2020-05-20 2020-07-01 Tallinn Univ Of Technology An universal DC-DC/AC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064A (ja) * 1991-12-27 1993-07-23 Smk Corp コンバータから電気機器への給電方法
JPH07200080A (ja) * 1993-12-27 1995-08-04 Tamura Seisakusho Co Ltd 出力電圧変更プラグ
US5547399A (en) * 1995-02-27 1996-08-20 Naghi; Herschel Universal AC adaptor for consumer electronics
JP2978840B2 (ja) * 1997-06-05 1999-11-15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電圧調整回路
JPH11353041A (ja) * 1998-06-09 1999-12-24 Alinco Inc 直流電源装置
JP2002262451A (ja) * 2001-03-01 200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該電源装置に用いる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並びに該電源装置に接続される従属装置
US6650560B2 (en) * 2001-12-03 2003-11-18 Mobility Electronics, Inc. Dual input AC and DC power supply having a programmable DC output utilizing single-loop optical feedback
US6700808B2 (en) * 2002-02-08 2004-03-02 Mobility Electronics, Inc. Dual input AC and DC power supply having a programmable DC output utilizing a secondary buck converter
US6628535B1 (en) * 2002-03-20 2003-09-30 Formosa Electronic Industries Inc. Voltage converter with selectable DC output voltage level
US6664758B2 (en) * 2002-03-29 2003-12-16 Fu-I Yang Universal power adapter
GB0300098D0 (en) 2003-01-03 2003-02-05 Modern Sense Ltd Electrical adaptor
JP4500505B2 (ja) * 2003-04-18 2010-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型電源装置
US6972975B2 (en) * 2003-06-23 2005-12-06 Carl Su Voltage converter with selectable output voltage levels
GB2411780B (en) * 2004-03-04 2006-01-11 Well Shin Technology Co Ltd Power adaptor
KR100582772B1 (ko) * 2004-03-18 2006-05-22 (주)에스피에스 유니버셜 전원공급장치
WO2005104327A1 (fr) * 2004-04-23 2005-11-03 Golden Bridge Electech Inc. Adaptateur d'alimentation capable d'afficher un niveau de tension de sortie c.c.
US7140921B2 (en) * 2004-07-07 2006-11-28 Yau-Tzung Liu Conversion plug structure having a variable resistor
JP4191153B2 (ja) 2005-02-25 2008-12-03 Necソフト株式会社 データ交換システム、データ交換方法、サーバ、管理サーバ及びデータ交換プログラム
EP1845590B1 (en) 2006-04-11 2013-03-27 Modern Sense Ltd Universal battery charger and/or power adaptor
US7273384B1 (en) 2006-04-11 2007-09-25 Modern Sense Limited Universal battery charger and/or power adap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49A1 (ko) * 2012-11-09 2014-05-15 Choi Kyu Taek 이동 단말기 충전을 위한 범용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1146A (en) 2008-10-16
IN2008CH00059A (ko) 2015-09-25
JP2008237008A (ja) 2008-10-02
CN101237188A (zh) 2008-08-06
US8009451B2 (en) 2011-08-30
US20080164764A1 (en) 2008-07-10
AU2008200080A1 (en) 2008-07-24
CN101237188B (zh) 2010-06-02
EP1942562A2 (en) 2008-07-09
EP1942562A3 (en) 2009-11-18
KR101027997B1 (ko) 2011-04-13
RU2008101937A (ru)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997B1 (ko) 범용 전원 어댑터/변환기
JP2008237008A6 (ja) 汎用電力アダプタ/コンバータ
US8212386B2 (en) Power supply system
US9235223B2 (en) Modular travel power adapter and converter system
WO2013006753A1 (en) Current selectable usb charger
US20100231185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ssembly thereof
US6972975B2 (en) Voltage converter with selectable output voltage levels
TW200539551A (en) Power converter that supplies multiple output voltages via adaptor
WO2007000560A1 (en) Power converter with dc-bus and multiple programmable dc outputs
US20050151506A1 (en) Battery charger with multiple functions
EP1742324A1 (en) A power supply adapter capable of displaying dc output voltage level
US11239685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US20170069884A1 (en) Battery Pack Replacement System
WO2015191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output power supply
US20060279139A1 (en) Universal power converter having integral AC converter
CN209748426U (zh) 多路直流输出装置
KR101197456B1 (ko) Usb 포트를 갖춘 멀티콘센트
GB2416252A (en) Voltage supply having plurality of output voltages
GB2404292A (en) Voltage adaptor with removable voltage setting element
KR20070109552A (ko) 휴대용 충전장치
US20220102997A1 (en) Adapter and combination of a battery pack and an adapter
CN209748428U (zh) 多路直流输出装置
CN208656109U (zh) 一种混合式无线充电插排
CN105470742A (zh) 多功能插线板
TWI310625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