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565A -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565A
KR20140029565A KR1020120094265A KR20120094265A KR20140029565A KR 20140029565 A KR20140029565 A KR 20140029565A KR 1020120094265 A KR1020120094265 A KR 1020120094265A KR 20120094265 A KR20120094265 A KR 20120094265A KR 20140029565 A KR20140029565 A KR 20140029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ower
terminal
supply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565A/ko
Priority to US14/012,034 priority patent/US20140062453A1/en
Priority to CN201310381320.1A priority patent/CN103677194A/zh
Publication of KR2014002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5/00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detecting deviations in the electric input to the system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obtain a regulate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OWER CONTROL}
본 발명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 전력을 송출하는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렇지 않을 경우 평평한 바닥에 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공하는 스탠드 장치에 거치하여 세운 후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스탠드 장치가 사용될 경우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것보다 화면을 시선에 맞게 세워서 열람하면서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탠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시키는데 국한되지 않고 충전 기능을 제공한다. 스탠드 장치는 전력 공급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탠드 장치는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을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저전압용과 고전압용으로 분류되어 출시되고 있고, 이와 부합하게 스탠드 장치와 전력 공급 기기 또한 저전압용과 고전압용으로 분류되어 출시되고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가 저전압용인가 또는 고전압용인가에 따라 스탠드 장치 및 전력 공급 기기 또한 결정된다. 결국, 스탠드 장치 및 전력 공급 기기는 서로 다른 구동 전압을 요구하는 여러 휴대용 단말기들에 공용화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자원을 낭비시키고 사용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저전압용 휴대용 단말기와 고전압용 휴대용 단말기에 공용으로 이용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가 저전압용인가 또는 고전압용인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하는 충전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압 전력 공급 기기와 고전압 전력 공급 기기에 공용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전압에 상응하게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전력과 전력 값과 공급 기기의 공급 전력 값을 비교하여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압용 휴대용 단말기와 고전압용 휴대용 단말기를 공용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로 전력을 송출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전력 공급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고,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받은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을 상기 제2값에서 상기 제1값으로 낮추어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조절부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조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획득하는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견지로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고,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전력에 부합하게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휴대용 단말기고 송출하므로, 여러 휴대용 단말기들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사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 및 이에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의 블럭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절차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 및 이에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탠드 장치(10)는 저전압용 휴대용 단말기(21)를 비스듬히 세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장치(10)는 고전압용 휴대용 단말기(22)를 비스듬히 세워 안착시킬 수 있다. 저전압용 휴대용 단말기(21)와 고전압용 휴대용 단말기(22)의 외관 형상은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장치(10)는 외형을 변형시켜 저전압용 휴대용 단말기(21) 또는 고전압용 휴대용 단말기(22)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21,22)는 공지된 스피커, 디스플레이와, 마이크로폰 및 여러 버튼들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들 중 하나가 된다.
또한, 스탠드 장치(10)는 저전압용 전력 공급 기기(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전압용 전력 공급 기기(3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장치(10)는 저전압용 전력 공급 기기(31)와 고전압용 전력 공급 기기(3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공용화된 암 커넥터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탠드 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부의 회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11)의 상부에서 돌출된 수 커넥터(12)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21,22)는 공용화된 암 커넥터(미도시)를 갖추고 있고, 휴대용 단말기(21,22)가 스탠드 장치(10)에 거치되는 경우, 수 커넥터(12)와 암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결속된다.
스탠드 장치(10)의 하우징(11)은 변형 가능한데, 휴대용 단말기(21,22)의 외형에 따라 변형되고, 변형된 형상(13,14)은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21,22)가 세워지도록 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탠드 장치(10)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 검출부(130), 비교부(140), 조절부(150), 스위치부(160) 및 제어부(170)을 포함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로 전력을 송출한다.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전력 공급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검출부(130)는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구동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130)는 전력 공급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공급받는 전력(공급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한다. 검출부(130)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와 정보를 소통하는 핀을 구성하고, 이 핀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검출부(130)로부터 획득하는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한다.
조절부(150)는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을 제2값에서 제1값으로 낮추어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한다.
스위치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와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조절부(150)와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어부(170)는 비교부(140)으로부터 획득하는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치부(160)를 제어한다.
첫째, 제1값보다 제2값이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스위치부(160)를 제어하여 조절부(150)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송출되는 제2값의 전력을 송출한다.
둘째, 제1값과 제2값이 같거나 또는 제1값이 제2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스위치부(160)를 제어하여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와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제2값의 전력은 조절부(150)를 거쳐 제1값의 전력으로 조절되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제1값의 전력을 송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한다.
다음, 40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한다.
그 다음, 4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검출한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한다.
405 단계에서 제1값이 제2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407 단계를 진행한다. 407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제2값에서 제1값으로 낮춘다.
또한, 제1값과 제2값이 같거나 제1값이 제2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409 단계를 진행한다. 409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제2값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는 과정;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의 제1값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전력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제1값보다 제2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상기 제2값에서 상기 제1값으로 낮추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제1값과 제2값이 같거나 또는 상기 제1값이 제2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상기 제2값으로 조절하는 전력 제어 방법.
  5.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로 전력을 송출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전력 공급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고,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받은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을 상기 제2값에서 상기 제1값으로 낮추어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조절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조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획득하는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의 제1값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전력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값보다 제2값이 작은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절부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 제어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값과 제2값이 같거나 또는 상기 제1값이 제2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력 공급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 제어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변형 가능한 전력 제어 장치.
  10.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의 제1값을 검출하고,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제2값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값보다 제2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상기 제2값에서 제1값으로 조절하는 전력 제어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값과 제2값이 같거나 또는 상기 제1값이 제2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전력 공급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전력을 제2값으로 조절하는 전력 제어 장치.
KR1020120094265A 2012-08-28 2012-08-28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29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65A KR20140029565A (ko) 2012-08-28 2012-08-28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012,034 US20140062453A1 (en) 2012-08-28 2013-08-28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201310381320.1A CN103677194A (zh) 2012-08-28 2013-08-28 功率控制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65A KR20140029565A (ko) 2012-08-28 2012-08-28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565A true KR20140029565A (ko) 2014-03-11

Family

ID=5018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265A KR20140029565A (ko) 2012-08-28 2012-08-28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062453A1 (ko)
KR (1) KR20140029565A (ko)
CN (1) CN1036771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8269A (zh) * 2016-05-30 2016-08-10 河南昊方通信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工程的节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769U (ko) * 1998-02-09 1999-09-15 윤종용 역률 보정 회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GB2402819B (en) * 2003-06-11 2005-08-03 Research In Motion Ltd Universal serial bus charger for a mobile device
DE602004026108D1 (de) * 2003-11-07 2010-04-29 Mpathx Llc Automatische mess-leistungssysteme und verfahren
CN2662320Y (zh) * 2003-11-27 2004-12-08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移动设备充电电路的笔记型电脑
US7581122B2 (en) * 2004-06-29 2009-08-25 Broadcom Corporation Power supply integrated circuit with feedback control
KR100653065B1 (ko) * 2005-07-21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200803107A (en) * 2006-06-22 2008-01-01 Golden-City Kao Smart-typ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CA2615071A1 (en) * 2006-12-27 2008-06-27 Vicente Garcia Case holder and battery charger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09451B2 (en) * 2007-01-08 2011-08-30 Modern Sense Limited Universal power adapter/converter
US7667431B2 (en) * 2007-03-16 2010-02-23 Motorola, Inc. Mechanically featureless inductive charging using an alignment marking feature
US8115451B2 (en) * 2008-05-28 2012-02-14 Griffin Technology, Inc. Multiple device charging station with user friendly configurable mount
US8731595B2 (en) * 2009-05-14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for a moblie device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n multiple air interfaces
US8612060B2 (en) * 2010-09-24 2013-12-17 Intel Corporation Power allocation controller
GB2492323B (en) * 2011-06-22 2014-03-12 Sandal Plc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2453A1 (en) 2014-03-06
CN103677194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63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ging box and wireless earpiece
US99979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ssociated charging system
US20160226266A1 (en) Fast charging power bank
EP3413426B1 (en) Hub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4275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voltage divider adaptively changing voltage division ratio
KR202100149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KR20140126491A (ko)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13446A1 (en) Powe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34430A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750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210043351A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US20170366016A1 (en) Charging detection and control apparatus for apple device
EP397945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20060078318A (ko) 이동 통신기기의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9565A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70222453A1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battery quick charge
KR2020004237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US202002203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KR20200099416A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KR20190101817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55588A (ko)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001837A1 (en) Dual Core DC/DC Module for Electrical Vehicle
KR20230036900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89906A (ko) 무선 전력 공유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