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925A -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925A
KR20210014925A KR1020190092994A KR20190092994A KR20210014925A KR 20210014925 A KR20210014925 A KR 20210014925A KR 1020190092994 A KR1020190092994 A KR 1020190092994A KR 20190092994 A KR20190092994 A KR 20190092994A KR 20210014925 A KR20210014925 A KR 2021001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onic device
wireless
voltage
wireless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965B1 (ko
Inventor
하영미
최한솔
김동조
김병욱
송재호
신동익
이우람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65B1/ko
Priority to US16/916,787 priority patent/US11218016B2/en
Priority to EP20846328.1A priority patent/EP3991269B1/en
Priority to PCT/KR2020/009660 priority patent/WO2021020803A1/en
Priority to CN202080050823.9A priority patent/CN114128084B/zh
Publication of KR2021001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5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frequency dom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용 코일, 무선 전력 수신 회로,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기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FREQUENCY INTERFERENCE THEREOF}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무선 충전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가 별도의 충전 커넥터와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올려 놓는 근접 접촉을 통해서, 배터리의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를 무선 충전기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하는 경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와 전자 장치의 특정 컴포넌트(예: 디스플레이, 펜)의 동작 주파수가 중첩되어 주파수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주파수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특정 컴포넌트의 오동작을 야기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와 무선 충전기 사이의 주파수 간섭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기의 전압을 급격히 변동시키는 경우, 무선 충전 재인식 또는 무선 충전 끊어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 회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 상기 충전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기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은, 무선 충전기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동작,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와 전자 장치의 특정 컴포넌트(예: 디스플레이, 펜)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 또는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기와의 주파수 간섭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파수 간섭 현상 발생 방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면서, 무선 충전 동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 및 배터리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 및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188) 및 배터리(189)에 대한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충전 회로(210), 전력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회로(210)는 외부 전원의 종류(예: 전원 어댑터, USB 또는 무선충전),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의 크기(예: 약 20와트 이상), 또는 배터리(189)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충전 방식(예: 일반 충전 또는 급속 충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전자 장치(101)와, 예를 들면, 연결 단자(178)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안테나 모듈(197)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예를 들면,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레벨 또는 전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전압 또는 다른 전류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력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상기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의 전력을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에게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조정기(220)는 LDO(low drop out) regulator 또는 switching regulat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게이지(230)는 배터리(189)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예: 배터리(189)의 용량, 충방전 횟수, 전압,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충전 회로(210), 전압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사용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충전과 관련된 충전 상태 정보(예: 수명,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과충전, 과방전(over discharge), 과열, 단락, 또는 팽창(swelling))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상기 결정된 충전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189)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관리 모듈(188)은 배터리(189)에 대한 충전을 조정(예: 충전 전류 또는 전압 감소, 또는 충전 중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외부 제어 장치(예: 프로세서(1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회로(protection circuit module(PCM))(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배터리(189)의 성능 저하 또는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예: 사전 차단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셀 밸런싱, 배터리의 용량 측정, 충방전 횟수 측정, 온도 측정, 또는 전압 측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의 상기 사용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충전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모듈(176) 중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 전원 게이지(2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176) 중 상기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는 배터리 보호 회로(240)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이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배터리(189)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무선 충전기(400)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자 장치(101)를 무선 전력 수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Rx device)로 무선 충전기(400)를 무선 전력 송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Tx device)로 표현하였으나, 전자 장치(101)는 무선 전력 송신 및 무선 전력 수신이 모두 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충전 회로(330)(charger IC 또는 wireless charging IC)(예: 도 2의 충전 회로(210)),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Rx IC) 또는 디스플레이(34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 장치(101)는 배터리(미도시)(예: 도 1의 배터리(189)) 또는 입력 장치(미도시)(예: 도 1의 입력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치환되더라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함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1)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full bridge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무선 전력 수신 동작에서 full bridge 회로를 정류기(rectifier)(AC -> DC)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저 전압 강하 레귤레이터(low-dropout regulator, LDO)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정류된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충전 회로(330)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또는 충전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프로세서(310) 제어 하에, 특정 값으로 설정된 충전 전압을 충전 회로(330)로 전송(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또는 비표준)에 따라 무선 충전기(400)와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수신에 필요한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밴드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1))의 무선 충전용 코일(325)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예: 도 3의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충전용 코일(425) 간의 무선 전력 전송 상황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신호의 frequency 나 amplitude 변조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충전기(400)들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ID(예를 들어, 모델명 또는 식별 정보) 또는 무선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송/수신 되는 전력, 전압, 정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인 전자 장치(10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인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거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1)가 현재 무선 충전기(400) 위에 세로로 거치되어 있는지 가로로 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들 간의 통신은 아웃-밴드(out-band)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웃-밴드 통신을 무선 전력 신호와는 다른 것으로, NFC, 블루투스, 또는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325)은 인쇄 회로 기판(예: FPCB) 상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도전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33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기능 및/또는 유선/무선 입력 전원을 배터리(미도시)로 충전하는 charg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330)는, 프로세서(310) 제어 하에,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33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충전 회로(330)는 설정된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의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충전 회로(33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상기 설정한 임계 값을 넘지 않는 특정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4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기반하여,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400)는, 컨트롤러(410),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Tx IC) 또는 코일(42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410)는, 무선 충전기(400)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컨트롤러(4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구성 요소들(예: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는, full bridge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는 무선 전력 송신 동작에서 상기 full bridge 회로를 inverter(DC -> AC)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파워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충전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 코일에서 전기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초한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 예를 들어,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무선 충전용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특정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 단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기 공진 방식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F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충전기(400)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1)와 무선 충전기(400)를 서로 근접시켜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을 위하여 전자 장치(101)와 무선 충전기(400)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란, 무선 충전기(400)가 코일(425)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전자 장치(101)가 코일(325)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수행 중 지정된 표준(예: WPC 표준)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무선 충전기(400))와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PC 표준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관련 동작 단계는 핑 단계(ping detection phase 또는 ping phase),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phase), 또는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핑 단계는 핑 신호(ping signal)을 전송(transmit)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예: 전자 장치(1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예: 무선 충전기(400))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가 핑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핑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101)의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는 핑 신호 전송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 상에 전자 장치(101)가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및 구성 단계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전력 전송량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예를 들면, 무선 충전기(400)가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지정된 무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전송 단계는 상기 지정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이고, 예를 들면, 무선 충전기(400)가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지정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전자 장치(101)의 특정 컴포넌트(예: 디스플레이(340),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 주파수 간의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방법 또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직접 조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상태란,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코일(325)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 수행 중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는, 예를 들어, 기기가 동작하는 일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는, 무선 충전기(400)가 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가 동작 상태(ON 상태)에서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가 LCD인 경우,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는 LCD 스캐닝(scanning) 주파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 수행 중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충전 동작에 따른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가 동작 중에 발생하는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수행 중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가 중첩되는 경우, 주파수 간섭 현상(예를 들어, 화면 깜빡거림 현상(flicker))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340)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무선 충전 중 발생하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다양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가 중첩되어 주파수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전자 장치(101)의 디지털 펜의 동작 주파수가 중첩되는 경우, 주파수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디지털 펜의 동작 주파수 사이에 주파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디지털 펜의 터치 감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340)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양 동작 주파수의 차이가 특정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고정 주파수로써 128kHz이고, 확인한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가 138kHz인 경우,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임계 값은 실험적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의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충전 회로(33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상기 설정한 임계 값을 넘지 않는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충전 회로(330)를 제어할 수 있다. 초기 전류 값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수행을 위해 디폴트(default)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충전 전류 값일 수 있다. 사용자 설정에 의한 충전 전류 설정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가 무선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무선 충전에 적합한 충전 전류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제1 전류 값은, 예를 들어, 전류 로드(load)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류 값(예: 500mA)일 수 있다. 전류 로드에 따른 영향이란, 예를 들어, 전류 로드에 따라서 무선 충전의 품질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로부터 충전 회로(330)로 전송(출력)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으로 설정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을 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충전 회로(330)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로부터 전달받은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초기 전압 값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수행을 위해 디폴트(default)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충전 전압 값일 수 있다. 제1 전압 값은, 예를 들어, 주파수 간섭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표로 하는 목표 전압 값(예: 제2 전압 값)과 초기 전압 값 사이의 특정 전압 값일 수 있다. 제1 전압 값은, 예를 들어, 초기 전압 값과 목표 전압 값의 중간 전압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전압 값이 10V이고, 목표 전압 값(예: 제2 전압 값)이 5V인 경우, 제1 전압 값은 7V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전압 값이 10V이고, 제1 전압 값이 7V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을 1V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하여, 충전 전압이 10V -> 9V -> 8V -> 7V로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재인식 또는 무선 충전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어서, 무선 충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의 전압 안정화를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예: 1초)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이용하여 코일(325)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와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FSK(frequency-shift keying) 모듈레이션을 이용하여 생성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낮추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전자 장치(101)의 목표 전압(예: 제2 전압 값)과 동기화될 수 있는 특정 전압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1회 이상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400)의 컨트롤러(410)는, 코일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무선 충전기(400)의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패킷에 설정된 전압 값으로 변경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 회로(4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상기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한 직후,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에서 제2 전압 값으로 변경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압 값이 7V이고, 제2 전압 값이 5V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을 1V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하여, 충전 전압이 7V -> 6V -> 5V로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충전 전압이 목표 전압 값인 제2 전압 값으로 변경된 경우, 충전 전류를 제1 전류 값에서 초기 전류 값으로 다시 변경되도록 충전 회로(3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의 변경을 완료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변경된 제2 전압 값을 갖는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충전 전압 변경 및 무선 충전기(400)와의 충전 전압 동기화를 통하여 주파수 간섭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주파수 간섭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특정 값으로 고정되지 않은 가변 주파수인 경우,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낮추도록 변경함으로써, 무선 충전의 파워를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 상에 위치한 전자 장치(101)의 위치에 따라 무선 충전의 파워가 달라지는 경우, 동작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의 파워가 작아지는 경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는 높아질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낮추도록 변경함으로써,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높아지도록 하여 주파수 간섭 현상의 발생을 방지 또는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가 138kHz이고,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로써 110 ~ 120k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상기의 경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낮추도록 변경하는 경우, 무선 충전의 파워가 낮아져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148kHz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와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 간의 주파수 간섭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특정 값으로 고정된 고정 주파수인 경우,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무선 충전의 파워를 작아지게 할 수 있고, 무선 충전의 파워가 작아지는 경우 주파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세기가 작아지게 되어,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직접 조정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코일(325)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고정 주파수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코일(325)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 인 것에 응답하여, 코일(325)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가 138kHz이고,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128kHz인 경우, 상기 패킷은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인 120kHz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1회 이상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40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40)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off 상태), 충전 회로(33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를 초기 설정 값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충전 회로(330)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으로, 충전 회로(330)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이 초기 설정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는, 상기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초기 설정 값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 및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 및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g41은 시간에 따른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그래프 g42는 시간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그래프 g43은 시간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전자 장치(101)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은 초기 전압 값
Figure pat00001
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무선 충전기(400)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은
Figure pat00002
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은 무선 충전을 위해 기 설정된 값으로써,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서로 동기화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전자 장치(101)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는 초기 전류 값
Figure pat00005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목표 전압
Figure pat00006
로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목표 전압
Figure pat00007
로 변경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시간
Figure pat00008
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
Figure pat00009
에서 제1 전류 값
Figure pat00010
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전류 값
Figure pat00011
은 예를 들어, 전류 로드(load)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류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
Figure pat00012
에서 제1 전압 값
Figure pat00013
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전압 값
Figure pat00014
가 10V이고, 제1 전압 값
Figure pat00015
이 7V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을 1V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하여, 충전 전압이 10V -> 9V -> 8V -> 7V로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
Figure pat00016
)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Figure pat00017
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의 전압 안정화를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Figure pat00018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Figure pat00019
가 경과(
Figure pat00020
)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Figure pat00021
에서
Figure pat00022
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잇다.
Figure pat00023
은, 전자 장치(101)의 목표 전압인 제2 전압 값
Figure pat00024
와 동기화될 수 있는 전압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1회 이상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
Figure pat00025
에서 제2 전압 값
Figure pat00026
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상기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한 직후,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
Figure pat00027
에서 제2 전압 값
Figure pat00028
로 변경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압 값
Figure pat00029
이 7V이고, 제2 전압 값
Figure pat00030
가 5V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충전 전압을 1V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제어하여, 충전 전압이 7V -> 6V -> 5V로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시간
Figure pat00031
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제1 전류 값
Figure pat00032
에서 초기 전류 값
Figure pat00033
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충전 전압이 목표 전압 값인 제2 전압 값
Figure pat00034
으로 변경된 이후, 충전 전류를 제1 전류 값
Figure pat00035
에서 초기 전류 값
Figure pat00036
으로 다시 변경되도록 충전 회로(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회로(33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충전 전류는
Figure pat00037
으로 및 충전 전압은
Figure pat00038
로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상기 알고리즘 적용 중 디스플레이(340)가 OFF 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값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초기 값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흐름도 50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501에서,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초기 전류 값 및 초기 전압 값은, 무선 충전을 위해 디폴트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503에서,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진 상태(ON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지지 않은 경우, 동작 501로 분기하여,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와의 무선 충전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충전 전압이 초기 전압 값, 충전 전류가 초기 전류 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진 경우, 동작 505로 분기하여, 프로세서(310)는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507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에서 충전 회로(330)로 출력하는 충전 전압(또는 출력 전압)을 제1 전압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 값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에서 충전 회로(330)로 출력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충전 회로(330)에서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충전에 사용하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509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대기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와의 전압 안정화를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예: 1초)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프로세서(310)는, 동작 511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는, 예를 들어, 상기 패킷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513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에서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에서 충전 회로(330)로 출력하는 충전 전압(또는 출력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 값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515에서,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제1 전류 값에서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목표 전압인 제2 전압 값으로 변경이 완료되고,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과의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으로 복원하도록 충전 회로(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2 전압 값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직접 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흐름도 60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01에서,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03에서, 디스플레이(340)가 ON 상태(동작 상태)인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지지 않은 경우(디스플레이(340)가 OFF 상태인 경우), 동작 606으로 분기하여(603-NO),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 및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설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 및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초기 설정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중 디스플레이가 켜진 경우(디스플레이(340)가 ON 상태인 경우), 동작 605로 분기하여(603-YES),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07로 분기하여,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603으로 분기하여(607-NO),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40)가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중첩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전자 장치(101) 및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동기화하면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609로 분기하여(607-YES),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 수행하는 무선 충전 모드가 고속 무선 충전인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09는 생략될 수 있다.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하도록 충전 회로(330)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와 수행하는 무선 충전 모드가 고속 무선 충전이 아닌 일반 무선 충전인 경우, 동작 623으로 분기하여,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와 수행하는 무선 충전 모드가 고속 무선 충전인 경우, 동작 611로 분기하여(609-YES), 프로세서(310)는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13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15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을 대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17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19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에서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21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제1 전류 값에서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23에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고정 주파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 경우, 동작 625로 분기하여(623-YES),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27에서,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이 제2 전압 값으로 변경되고,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이 상기 제2 전압 값과 동기화될 수 있는 값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기(400)와의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629에서,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의 무선 충전이 종료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고정 주파수 인 경우에도, 동작 629로 분기하여(623-NO),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의 무선 충전이 종료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와의 무선 충전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동작 601로 분기하여(629-NO),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직접 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한다.
동작 흐름도 70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710에서,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720에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0)는, 동작 730에서,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740으로 분기하여(730-YES), 프로세서(310)는 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400)는, 예를 들어, 상기 패킷을 수신한 경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400)는 상기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710으로 분기하여(730-NO),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무선 충전용 코일(325), 상기 코일(3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회로(330), 디스플레이(34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 상기 충전 회로(330) 및 상기 디스플레이(34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340)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회로(33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325)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하고,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340)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충전 회로(33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여부 확인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 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325)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1회 이상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2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보다 작은 전압 값이며,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 사이의 특정 전압 값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기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상기 제2 전압 값과 동기화될 수 있는 전압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1 전류 값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류 값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은, 무선 충전기(400)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동작;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40)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충전 회로(33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코일(325)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340)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한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340)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충전 회로(3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여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 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325)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400)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1회 이상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보다 작은 전압 값이며,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 사이의 특정 전압 값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에서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32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기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400)의 충전 전압을 상기 제2 전압 값과 동기화될 수 있는 전압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값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류 값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은,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 회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 상기 충전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기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여부 확인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 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인,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1회 이상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보다 작은 전압 값이며,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 사이의 특정 전압 값인,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상기 제2 전압 값과 동기화될 수 있는 전압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인,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값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류 값인, 전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기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동작;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상기 충전 전압이 제1 전압 값으로 변경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패킷을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초기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무선 충전 수행 중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한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 및 디스플레이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인지 여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가 가변 주파수 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인,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충전기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킷을 1회 이상 전송하는 동작인,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보다 작은 전압 값이며,
    상기 제1 전압 값은, 상기 초기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 사이의 특정 전압 값인,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초기 전압 값에서 제1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압을 제1 전압 값에서 제2 전압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충전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 간격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동작인,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패킷은,
    상기 무선 충전기의 충전 전압을 상기 제2 전압 값과 동기화될 수 있는 전압 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킷인,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값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류 값인,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구간에 해당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충전이 고속 무선 충전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전류를 초기 전류 값에서 제1 전류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90092994A 2019-07-31 2019-07-31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KR10265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94A KR102659965B1 (ko) 2019-07-31 2019-07-31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US16/916,787 US11218016B2 (en) 2019-07-31 2020-06-30 Electronic device and frequency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thereof
EP20846328.1A EP3991269B1 (en) 2019-07-31 2020-07-22 Electronic device and frequency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thereof
PCT/KR2020/009660 WO2021020803A1 (en) 2019-07-31 2020-07-22 Electronic device and frequency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thereof
CN202080050823.9A CN114128084B (zh) 2019-07-31 2020-07-22 电子装置及其频率干扰消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94A KR102659965B1 (ko) 2019-07-31 2019-07-31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25A true KR20210014925A (ko) 2021-02-10
KR102659965B1 KR102659965B1 (ko) 2024-04-24

Family

ID=7423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994A KR102659965B1 (ko) 2019-07-31 2019-07-31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18016B2 (ko)
EP (1) EP3991269B1 (ko)
KR (1) KR102659965B1 (ko)
CN (1) CN114128084B (ko)
WO (1) WO20210208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548A1 (ko) * 2021-07-05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mpp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6850B (zh) * 2017-04-28 2023-11-1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管理装置、蓄电装置以及蓄电系统
CN114664237B (zh) * 2022-03-22 2023-07-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4604111A (zh) * 2022-03-31 2022-06-10 重庆华创智能科技研究院有限公司 基于无人机抗通信干扰的无线充电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151A (ko) * 2012-11-02 2014-05-12 오투 마이크로, 인코포레이티드 전력의 무선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49710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1507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90068003A1 (en) * 2017-08-29 2019-02-28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Interference Avoidan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3474B2 (en) 2009-03-25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of wireless power devices
JP2013126301A (ja) * 2011-12-14 2013-06-24 Tokai Rika Co Ltd 非接触充電装置
US9455596B2 (en) * 2012-10-16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charging and amplitude modulation reception
JP6208503B2 (ja) 2013-09-11 2017-10-04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そ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WO2015122611A1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장치
US10283995B2 (en) * 2014-02-28 2019-05-07 L'oreal Charge current monitoring or control in a resonance-tuned inductive charger
CN104158269B (zh) * 2014-08-11 2016-03-16 长城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发射器、接收器、充电装置及无线充电方法
CN104283293B (zh) * 2014-09-29 2016-06-29 深圳市泰金田科技有限公司 谐振-移频实现汽车无线充电的方法及系统
JP6612350B2 (ja) * 2014-12-23 2019-11-27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選択可能な充電電圧を供給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487756B1 (ko) * 2016-02-25 2023-01-12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102602243B1 (ko) * 2016-07-2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4238A (ko) * 2016-12-05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8163177A1 (en) 2017-03-07 2018-09-13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for wireless power charging
CN108282030A (zh) * 2018-01-29 2018-07-13 重庆理工大学 一种自适应无线充电方法及装置
CN118100464A (zh) * 2018-08-29 2024-05-28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无线电池充电期间的带内通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151A (ko) * 2012-11-02 2014-05-12 오투 마이크로, 인코포레이티드 전력의 무선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49710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1507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90068003A1 (en) * 2017-08-29 2019-02-28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Interference Avoid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548A1 (ko) * 2021-07-05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mpp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6539A1 (en) 2021-02-04
CN114128084A (zh) 2022-03-01
EP3991269A1 (en) 2022-05-04
EP3991269A4 (en) 2022-10-12
EP3991269B1 (en) 2023-08-30
KR102659965B1 (ko) 2024-04-24
CN114128084B (zh) 2024-05-03
US11218016B2 (en) 2022-01-04
WO2021020803A1 (en)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52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 and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10265996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US2019022207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US2019025883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113229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wireless power-sharing
KR20200101228A (ko) 외부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4715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102648609B1 (ko)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34405B1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32421A (ko) 무선 전력 전송과 관련된 송신 효율을 확인하기 위한 전력량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62990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10103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객체 검출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200047061A (ko)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P397945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US202101436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reless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based on states of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KR20210089529A (ko) 무선 충전 중에 이물질을 검출하는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5467A (ko)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방법
KR2020004237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20200101175A (ko) 외부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53440B1 (ko)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및 그 전력 조정 방법
KR20210128607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210042496A (ko) 전자 장치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246761A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ressing heating
KR20210119777A (ko)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 공급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의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2012020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발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