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817A -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817A
KR20190101817A KR1020180022228A KR20180022228A KR20190101817A KR 20190101817 A KR20190101817 A KR 20190101817A KR 1020180022228 A KR1020180022228 A KR 1020180022228A KR 20180022228 A KR20180022228 A KR 20180022228A KR 20190101817 A KR20190101817 A KR 20190101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acket
processor
communication module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327B1 (ko
Inventor
정구필
최성준
김기범
나두수
오현아
유형승
강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327B1/ko
Priority to EP19757502.0A priority patent/EP3758407B1/en
Priority to US16/969,749 priority patent/US11330651B2/en
Priority to PCT/KR2019/001699 priority patent/WO2019164168A1/ko
Publication of KR2019010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양한 통신 기술들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기술은, 전자 장치들이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전자 장치들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상호 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예컨대, 호스트)와 통신 모듈(예컨대,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와 접속된 다른 전자 장치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연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통신 모듈로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커맨드를 전송함으로써, 통신 모듈이 획득한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컨대, 호스트)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가 지정된 커맨드(예컨대, 수신 신호 강도의 확인을 요청하는 커맨드)를 통신 모듈(예컨대, 컨트롤러)로 전송하여야 한다. 예컨대, 프로세서가, 통신 모듈로 별도의 커맨드를 전송하면, 통신 모듈이 프로세서로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지정된 커맨드를 통신 모듈(예컨대, 호스트 컨트롤러)로 전달하여야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원하는 기간 동안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통신 모듈로 지정된 커맨드를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지정된 커맨드의 전송 없이, 실시간으로 블루투스 통신의 연결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별도의 커맨드를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통신 모듈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프로세서(예컨대,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통신 모듈이,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이,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별도의 커맨드를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a와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통신 모듈이 제1패킷을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통신 모듈이 제1패킷을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a부터 도 11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부터 도 12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도면이다.
도 13a부터 도 1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프로세서(210)와 제1통신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2)는 제2프로세서(230)와 제2통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2)는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프로세서(210)와 제2프로세서(230) 각각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호스트(hos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 모듈(220)과 제2통신 모듈(240) 각각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02)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지그비 통신, 및/또는 NFC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가정하고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용어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용어의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2)와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2)와 커넥션(또는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202)와 접속하는 동작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커넥션(또는 페이링)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0)(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2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01)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호스트(host)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0)는 제1통신 모듈(220)(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로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링크 매니저(link manag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프로세서(210)와 호스트-컨트롤러 인터페이스(host-controller interface(HCI))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30)(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2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02)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호스트(host)로 구현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240)(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2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링크 매니저(link manag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240)은 제2프로세서(240)와 호스트-컨트롤러 인터페이스(HCI)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51에서, 제1프로세서(210)는 제1통신 모듈(220)로 비동기 무선 접속 링크(asynchronous connectionless link, ACL)의 데이터 패킷(ACL DATA PACKET)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210)는 외부 전자 장치(202)로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전송하기 위해, 비동기 무선 접속 링크의 데이터 패킷(ACL DATA PACKET)을 제1통신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51에서,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프로세서(210)로부터 비동기 무선 접속 링크의 데이터 패킷(ACL DATA PACKET)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53에서, 제1통신 모듈(220)은 비동기 무선 접속 링크의 데이터 패킷(ACL DATA PACKET)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전자 장치(201)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202)의 제2통신 모듈(2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제2통신 모듈(2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240)은 제1통신 모듈(220)로부터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55에서, 제2통신 모듈(240)은,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수신하면, 데이터 패킷(DATA PACKET)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ACK PACKET)을 제1통신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제2통신 모듈(240)로부터 응답 패킷(ACK PACKET)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응답 패킷(ACK PACKET)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acknowledgment response packet" 일 수 있다.
동작 257에서, 제2통신 모듈(240)은 데이터 패킷(DATA)에 대응하는 비동기 무선 접속 링크의 데이터 패킷(ACL DATA PACKET)을 제2프로세서(23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59에서,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자체적으로 연산하고,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261에서,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ACK PACKET)을 수신하면,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패킷에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제1패킷을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ACK PACKET)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및/또는 안테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통신 모듈(220)은, 상기 통신 연결 상태 및/또는 안테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예컨대, bit error rate(BER), packet error rate(PER), used channel map, 및/또는 nack count에 대한 정보들)을 제1패킷에 추가하여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패킷은, 전자 장치(2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예컨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Number of Completed Packets')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패킷은, 전자 장치(2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과 다른 별도의 패킷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의 포맷에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바이트를 추가한 포맷의 패킷일 수 있다.
제1패킷이,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예컨대, Number of Completed Packets)이면, 제1통신 모듈(220)은, 해당 버퍼에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는 동안, 펜딩된 모든 ACL 데이터 패킷이 전송(또는 플러시)되었음을 마지막으로 보고할 때까지 전송(또는 플러시)이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제1패킷을 주기적으로 제1프로세서(210)(또는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통신 모듈(220)은, 모든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패킷을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되면, 제1패킷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응답 패킷(ACK PACKET)이 3회 수신되면,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패킷을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횟수를 리셋할 수 있다. 즉,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ACK PACKET)이 기설정된 수신 횟수만큼 수신될 때마다, 1개의 제1패킷을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프로세서(210)는 제1패킷을 이용하여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확인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0)는 상기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촉각적, 및/또는 청각적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프로세서(210)는, 별도의 지정된 커맨드를 전송할 필요 없이, 제1패킷을 이용하여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로세서(210)는, 별도의 지정된 커맨드를 제1통신 모듈(220)로 전송할 필요 없이,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프로세서(210)는, 제1통신 모듈(220)이 수신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통해,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210)는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가 골든 수신 파워 범위(golden receive power range)의 인사이드(inside), 이상(above), 또는 이하(below)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통신 모듈(220), 및 프로세서(210)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220)은, 상기 프로세서(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201)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210)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상기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드된(reserved) 비트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블투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전송이 완료된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되지 않은 비트일 수 있다.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패킷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220)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파워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220)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대역폭을 사용하는 코덱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 210)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과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들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통신 모듈(도 2의 제1통신 모듈(220))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전자 장치(201)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2통신 모듈(240)은,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22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응답 패킷을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의 세기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대한 정보를 제1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동작 307에서,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220)은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도 2의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패킷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예컨대, number of completed packets)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과 다른 패킷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의 포맷에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바이트(byte)를 추가한 포맷의 패킷일 수 있다.
동작 309에서,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210)는 제1패킷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확인된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판단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 장치(예컨대, 도 1의 출력 장치(155)) 및/또는 표시 장치(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통신 모듈이 제1패킷을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제1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패킷에 응답 패킷(ACK PACKET)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패킷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가 커넥션 핸들들 각각에 대하여 전송이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number of completed packets") 일 수 있다. 상기 전송이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또는 이벤트)은 이전에 완료된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이 제1프로세서(또는 호스트)(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로 전송된 후에 해당 커넥션 핸들에 대해 전송(또는 플러시(flush)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또는 HCI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제1프로세서(또는 호스트)(210)로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패킷이 프로세서로 전송되면, 제1통신 모듈(또는 컨트롤러)(220)에 의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지정된 해당 버퍼 공간이 비워질(freed) 수 있다.
제1패킷은,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와 커넥션 핸들에 대하여 전송이 완료된 패킷들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에 대한 표(410)를 나타낸다.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패킷에 포함된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는 2바이트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중 하위 12비트만 커넥션 핸들로 사용되고, 상위 4비트는 리저브드되어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드된(reserved) 상위 4비트(420)에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커넥션 핸들에 대하여 전송이 완료된 패킷들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에 대한 표(460)를 나타낸다.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패킷에 포함된 커넥션 핸들에 대하여 전송이 완료된 패킷들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커넥션 핸들로 전송이 완료된 패킷들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는 2바이트로 구현되어 있으며, 제1프로세서(또는 호스트)(210)와 제1통신 모듈(또는 컨트롤러)(220)가 통신할 수 있는 크레딧 값이 제한적이므로, 2바이트를 모두 사용할 수 없다. 제1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커넥션 핸들에 대하여 전송이 완료된 패킷들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드되지 않은 상위 1바이트(470)에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통신 모듈이 제1패킷을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51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통신 모듈(도 2의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패킷에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통신 모듈(220)은, 메모리(예컨대,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테이블(510)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비트값을 제1패킷에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통신 모듈(220)은, 제1통신 모듈(22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510)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비트값을 제1패킷에 추가할 수도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비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설정된 비트 값을 제1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가 -48dBm보다 높으면, 비트 값을 0x0(0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가 -91dBm보다 낮으면, 비트 값을 0xF(111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220)은 그 외 각 단계 별로 3dBm의 차이를 두어 비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 모듈(220)은,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가 -70dBm이면, 비트 값을 0x8(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프로세서(2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테이블(510)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210)는 제1패킷에 포함된 수신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비트 값을 확인하고, 테이블(510)에서 확인된 비트 값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 강도를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가 -67dBm보다 높은 범위(520)이면,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양호(good)'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가 -84dBm보다 낮은 범위(540)이면,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나쁨(bad)'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가 -84dBm~-67dBm 사이의 범위(530)이면,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보통(normal)'이라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테이블(510)을 도시하고 있으나, 테이블(510)에 포함된 비트 값이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값은 예시적인 값이며, 본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제1패킷을 이용하여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210)는 확인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 장치(예컨대, 도 1의 출력 장치(155)) 또는 표시 장치(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예컨대, 표시 장치(160))를 통해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광, 진동, 및/또는 소리를 통해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상태바, 및/또는 상태창을 표시 장치(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나쁘면, 출력 장치(155)를 통해 진동이나 소리, 및/또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제1패킷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220)의 전송 파워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 값과 지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값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으면(동작 703의 예), 동작 705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의 전송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의 전송 파워를 증가시키기 위해, 통신 모듈(220)로 지정된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또는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의 전송 파워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지 않으면(동작 703의 아니오),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의 전송 파워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동작 707에서, 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따라 조절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전송 세기가 증가된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연결 상태(또는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지 않더라도, 외부 전자 장치(202)와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제1패킷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 값과 지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값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으면(동작 803의 예),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제1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블루투스 표준(bluetooth 5.0)에 제언된 로우 에너지(low energy) 1Mbps에 대응하는 제1속도로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의 물리층(physical layer)을 1M PHY에 대응하는 레이어로 변경할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지 않으면(동작 803의 아니오),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제2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블루투스 표준에 제언된 로우 에너지 2Mbps에 대응하는 제2속도로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의 물리층을 2M PHY에 대응하는 레이어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따라 조절된 전송 속도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201)(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제1패킷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데이터 패킷이 오디오 데이터(또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패킷인 경우,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대응하는 대역폭(또는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코덱(예컨대, 오디오 코덱 또는 비디오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 값과 지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값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으면(동작 903의 예),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210)는 연결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적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제1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의 연결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코덱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02)에서 재생되는 음원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RSSI) 값이 지정된 값보다 낮지 않으면(동작 903의 아니오),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210)는 연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코덱보다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제2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202)의 연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코덱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음원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프로세서(210)는 수신 신호 강도(RSSI)에 따라 선택된 코덱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패킷 또는 비디오 데이터 패킷)을 통신 모듈(22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코덱을 변경하는 트리거 포인트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들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메시(mesh)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RSSI)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패킷을 통해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대한 수신 신호 강도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예컨대, 전자 장치(201)에 의해 처리가 요청되는 신호들)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가진 외부 전자 장치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프로세서(210)는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미디어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210)는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가진 전자 장치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1a부터 도 11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부터 도 11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확인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1101, 1102, 1103, 또는 1105)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1101, 1102, 1103, 또는 1105)는 전자 장치(201)와, 현재,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들의 갯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디케이터(1110)는 현재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이 '4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1)는 현재 연결된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내는 상태창(1120, 1130, 1140, 또는 1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a부터 도 11d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상태창들(1120, 1130, 1140, 및 115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1101, 1102, 1103, 또는 1105)는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들을, 속성(예컨대, 오디오 장치, 가전 장치, 및 컴퓨터 주변 장치 등)에 따라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가 무선 통신을 통해 헤드폰, 노트북, 마우스, 및 센서와 연결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헤드폰을 제1그룹으로, 노트북 및 마우스를 제2그룹으로, 센서를 제3그룹으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1101, 1102, 1103, 또는 1105)는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예컨대, 아이콘,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가 마우스와 연결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우스와 연관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101)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101)는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창(1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상태창(1120)은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상태창(1120)은, 외부 전자 장치들의 수신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외부 전자 장치들의 이름과 함께(또는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상태창(1120)은 외부 전자 장치들의 수신 신호의 세기 정도(예컨대, '신호 강함', '신호 보통', 또는 '신호 약함')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예컨대, 아이콘,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을 외부 전자 장치들의 이름과 함께(또는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상태창(1120)은,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연결 상태가 양호하면 파란색으로, 연결 상태가 보통이면, 노란색으로, 연결 상태가 나쁘면,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상태창(112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헤드폰'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의 수치 값(예컨대, -17dBm)과, 수신 신호의 세기 정도(예컨대, 신호 강함)를 표시하고, '헤드폰'의 텍스트 색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상태창(112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노트북'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의 수치 값(예컨대, -90dBm)과, 수신 신호의 세기 정도(예컨대, 신호 약함)를 표시하고, '노트북'의 텍스트 색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상태창(1120)은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또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상태창(1120)은,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 상태가 좋은(또는 신호의 세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상태창(1120)은,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 상태가 나쁜(또는 신호의 세기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킬 수도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1102)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1101)는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창(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상태창(1130)은 현재 연결된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상태창(1130)은, 전자 장치들의 수신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상태바(1132)를 전자 장치들의 이름과 함께(또는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상태창(1130)은 전자 장치들의 수신 신호의 세기 정도(예컨대, '신호 강함', '신호 보통', 또는 '신호 약함')를 전자 장치들의 이름과 함께(또는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상태창(1130)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연결 상태가 양호하면 파란색으로, 연결 상태가 보통이면, 노란색으로, 연결 상태가 나쁘면,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상태창(113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상태바들(1131, 1133, 1135, 및 1137)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상태창(113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헤드폰'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상태바(1131)와, 수신 신호의 세기 정도(예컨대, 신호 강함)를 표시하고, '헤드폰'의 텍스트 색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2상태창(113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노트북'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상태바(1137)와, 수신 신호의 세기 정도(예컨대, 신호 약함)를 표시하고, '노트북'의 텍스트 색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2상태바(1130)는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연결 안정성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상태바(1130)는 신호 세기가 '신호 강함' 및 '신호 보통'인 전자 장치는, 연결 안정성이 높다고 표시(예컨대, '연결 안정성 높음')할 수 있고, 신호 세기가 '신호 약함'인 전자 장치는, 연결 안정성이 낮다고 표시(예컨대, '연결 안정성 낮음')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1103)를 표시할 수 있다.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1103)는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3상태창(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3상태창(1140)은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상태창(1140)은,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또는 연결 상태)에 따라,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가상의 영역(1141 및 1142) 내에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145, 1146, 1147, 및 1148)을 표시할 수 있다. 제3상태창(1140)은, 수신 신호 강도가 강할수록 가상의 영역(1141 및 1142)의 안쪽에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145, 1146, 1147, 또는 1148)를 표시할 수 있다.
제3상태창(1140)은 '신호 강함'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는 제1영역(1141)에 표시할 수 있고, '신호 약함'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는 제2영역(114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상태창(1140)은 '신호 보통'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는 제1영역(1141)과 제2영역(1142)의 경계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상태창(114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헤드폰'의 오브젝트(1147)를 제1영역(1141)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3상태창(114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노트북'의 오브젝트(1145)를 제2영역(114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상태창(1140)은 전자 장치(210)에 연결된 '센서'의 오브젝트(1146)를 제1영역(1141)과 제2영역(1142)의 경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105)를 표시할 수 있다.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105)는 현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4상태창(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4상태창(1150)은 현재 연결된 전자 장치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4상태창(1150)은, 전자 장치(201)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151)와, 외부 전자 장치들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152, 1153, 1154, 및 115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4상태창(1150)은 상기 오브젝트들(1152, 1153, 1154, 및 1155)을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제4상태창(1150)은, 수신 신호 강도가 강할수록 오브젝트의 크기를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4상태창(1150)은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의 오브젝트(115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선을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4상태창(1150)은 '신호 강함'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오브젝트를 크게 표시할 수 있고, '신호 약함'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오브젝트를 작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4상태창(115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헤드폰'의 아이콘(1154)을 다른 오브젝트들(1152, 1153, 및 1155)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제4상태창(1150)은, 전자 장치(201)에 연결된 '노트북'의 오브젝트(1122)를 다른 오브젝트들(1153, 1154, 및 1155)보다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의 오브젝트(1154)와 전자 장치(201)의 오브젝트(1151) 사이의 선을 굵은 선 또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노트북'의 오브젝트(1152)와 전자 장치(201)의 오브젝트(1151) 사이의 선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부터 도 12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도면이다.
도 12a부터 도 12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제1통신 모듈(220))의 전송 파워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바(예컨대, 1211, 1213, 1215, 및 1217)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는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노트북'에 대한 조절바(1215)를 표시할 수 있다. 조절바(1215)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바(1215)가 오른쪽으로 드래그되면,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조절바(1215)가 왼쪽으로 드래그되면, 프로세서(210)는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는 조절바(1215)를 특정 색으로 표시하거나, 조절바(1215)를 진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진동을 출력하거나, 팝업 메시지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1202)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앙한 실시 예에 따라,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2)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바(예컨대, 1221, 1223, 1225, 및 1227)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는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노트북'에 대한 상태바(1227)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바(122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세기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세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는 상태바(1227)를 특정 색으로 표시하거나, 상태바(1227)를 진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진동을 출력하거나, 팝업 메시지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태바(122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로 증가(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태바(1227)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예컨대, 음원 데이터 패킷)에 대한 코덱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코덱을,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코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1203)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1203)는 적어도 외부 하나의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제1영역(1231)과 제2영역(1232)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235, 1236, 1237, 및 1238)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1203)는 수신 신호 강도가 높은 외부 전자 장치의 오브젝트를 제1영역(1231)에 표시하고, 수신 신호 강도가 낮은 외부 전자 장치의 오브젝트를 제2영역(1232)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에 따라, 통신 모듈(220)을 통해 해당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롱-클릭이나 단순 터치와 같은 방식으로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35)를 선택하고,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35)를 제1영역(1231) 안으로 드래그하면,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1203)는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35)를 제1영역(123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헤드폰'에 대한 오브젝트(1237)가 제1영역(1231) 밖으로(또는, 제2영역(1232)으로) 드래그되면, 프로세서(210)는 '헤드폰'에 대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태바(1225)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앤 드래그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로 증가(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태바(1225)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앤 드래그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예컨대, 음원 데이터 패킷)에 대한 코덱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코덱을,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코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204)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204)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크기가 동일 또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55, 1256, 1257, 또는 1258)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204)는 수신 신호 강도가 높은 외부 전자 장치의 오브젝트(1255, 1256, 1257, 또는 1258)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고, 수신 신호 강도가 낮은 외부 전자 장치의 오브젝트(1255, 1256, 1257, 또는 1258)를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55, 1256, 1257, 또는 1258)에 대한 터치 입력(예컨대, 롱-클릭, 더블 클릭, 또는 탭 입력)에 따라, 통신 모듈(220)을 통해 해당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롱-클릭이나 더블 클릭과 같은 방식으로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55)를 선택하면,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204)는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55)를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20)을 통해 '노트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롱-클릭이나 더블 클릭과 같은 방식으로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55)를 선택하면,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1204)는 '노트북'에 대한 오브젝트(1255)를 일시적으로 깜박거리면서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a부터 도 1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a부터 도 13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301)(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301)와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301)는 수신 신호 강도가 순간적으로 크게 감소되거나, 수신 신호 강도가 지정된 값(예컨대, -91dBm)보다 낮아지거나, 연결의 끊김이 예측되는 경우, 연결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301)는, 광 소자(13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2)와의 연결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01)는 광 소자(1310)를 통해, 빛의 변화, 빛의 출력, 빛의 깜박거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301)는 출력 장치(예컨대, 도 1의 출력 장치(155))를 통해 특정한 진동이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3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푸쉬 메시지(13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301)는 푸쉬 메시지(1320)를 통해, 현재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의 끊어짐이 예측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301)는 출력 장치(예컨대, 도 1의 출력 장치(155))를 통해 푸쉬 메시지(1320)와 함께 특정한 진동이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301)는, 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always on display(AOD))를 통해, 푸쉬 메시지(1320)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3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팝업 메시지(1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01)는, 팝업 메시지(1330)를 통해, 현재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의 끊어짐이 예측됨을 알릴 수 있다. 전자 장치(1301)는, 팝업 메시지(1330)에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외부 전자 장치(202))에 대한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바(1335)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301)는 출력 장치(예컨대, 도 1의 출력 장치)를 통해 팝업 메시지(1330)와 함께 특정한 진동이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1)(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4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4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과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2의 제1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들(RSSI1, RSSI2, 및 RSSI3)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도 2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제1패킷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의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들(RSSI1, RSSI2, 및 RSSI3)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신호들(예컨대, 전자 장치(1401)에 의해 처리가 요청되는 신호들)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410, 1420, 및 1430) 중 연결 상태가 가장 좋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확인된 수신 신호 강도들(RSSI1, RSSI2, 및 RSSI3) 중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외부 전자 장치(1410)의 수신 신호 강도(RSSI1)가 -16dBm이고, 제2외부 전자 장치(1420)의 수신 신호 강도(RSSI2)가 -90dBm이고, 제3외부 전자 장치(1430)의 수신 신호 강도(RSSI3)가 -35dBm이면, 프로세서(210)는 제1외부 전자 장치(14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가장 먼저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제2외부 전자 장치(14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가장 나중에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220)과 프로세서(2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통신 모듈(220)이,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201)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210)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210)가,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상기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드된(reserved) 비트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210)가,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2)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컨트롤러로 구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호스트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전자 장치(201)의 통신 모듈(220)이,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201)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202)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220)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210)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210)가,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1: 전자 장치
202: 외부 전자 장치
210: 제1프로세서
220: 제1통신 모듈
230: 제2프로세서
240: 제2통신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상기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드된(reserved) 비트인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블투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전송이 완료된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되지 않은 비트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패킷인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전송 파워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속도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대역폭을 사용하는 코덱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들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통신 모듈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킷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를 나타내는 패킷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상기 커넥션 핸들에 대한 파라미터의 필드 중 리저브드된(reserved) 비트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제1패킷에 포함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갯수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적어도 일부의 비트에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컨트롤러로 구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루투스 표준에서 제언된 호스트로 구현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이,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와 접속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응답 패킷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패킷을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패킷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022228A 2018-02-23 2018-02-23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48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28A KR102480327B1 (ko) 2018-02-23 2018-02-23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EP19757502.0A EP3758407B1 (en) 2018-02-23 2019-02-12 Electronic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6/969,749 US11330651B2 (en) 2018-02-23 2019-02-12 Electronic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19/001699 WO2019164168A1 (ko) 2018-02-23 2019-02-12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28A KR102480327B1 (ko) 2018-02-23 2018-02-23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17A true KR20190101817A (ko) 2019-09-02
KR102480327B1 KR102480327B1 (ko) 2022-12-23

Family

ID=6768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28A KR102480327B1 (ko) 2018-02-23 2018-02-23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0651B2 (ko)
EP (1) EP3758407B1 (ko)
KR (1) KR102480327B1 (ko)
WO (1) WO2019164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31A (ko) * 2021-01-2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6760895B (zh) * 2023-08-11 2023-11-21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生成dbc文件的系统和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676A (ko) * 2002-03-21 2004-12-24 노키아 코포레이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서비스 및 장치 표시
KR100542101B1 (ko) * 2003-06-02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KR20150019892A (ko) * 2013-08-16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5076737A (ja) *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機器
US20150373749A1 (en) * 2014-06-24 2015-12-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160017029A (ko) * 2013-06-05 2016-02-15 노르딕 세미컨덕터 에이에스에이 디지털 무선 통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3704B2 (en) * 2005-07-25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fingerprint for a wireless network
US8477731B2 (en) * 2005-07-25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a wide area network
KR100744297B1 (ko) * 2006-02-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2379B1 (ko) * 2008-08-28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사용자별 시청 환경 설정 방법
KR101523590B1 (ko) 2009-01-09 2015-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망의 코덱 모드 제어방법 및 단말기
KR101182153B1 (ko) * 2010-10-21 2012-09-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복호 순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9264123B2 (en) * 2011-12-13 2016-02-16 St-Ericsson Sa Antenna activity detection in multi-antenna communication
US10141768B2 (en) * 2013-06-03 2018-11-27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ximizing wireless power transfer efficiency by instructing a user to change a receiver device's position
US9787103B1 (en) * 2013-08-06 2017-10-10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deliver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that are unable to communicate with a transmitter
US9736639B2 (en) * 2013-02-15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Signal handling
KR20160095144A (ko) * 2014-02-10 2016-08-10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개선된 비행시간법 성능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KR20150128346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전자장치에서 자동 링크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2274730B1 (ko) * 2014-11-26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CN107409274B (zh) * 2015-03-06 2020-09-15 苹果公司 确定何时建立移动客户端和代理设备之间的连接
US9913223B2 (en) * 2015-06-22 2018-03-06 Apple Inc. Power adaptation based on error rate
US20170059687A1 (en) 2015-08-25 2017-03-0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evice-location estimation based on rssi measurements over wifi and bluetooth
US10573144B2 (en) * 2016-10-10 2020-02-25 Netgear, Inc. Changing topology in a wireless network
KR102523826B1 (ko) * 2018-10-22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00141702A (ko) * 2019-06-11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676A (ko) * 2002-03-21 2004-12-24 노키아 코포레이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서비스 및 장치 표시
KR100542101B1 (ko) * 2003-06-02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KR20160017029A (ko) * 2013-06-05 2016-02-15 노르딕 세미컨덕터 에이에스에이 디지털 무선 통신
KR20150019892A (ko) * 2013-08-16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5076737A (ja) *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機器
US20150373749A1 (en) * 2014-06-24 2015-12-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8407A4 (en) 2021-03-31
US20200413462A1 (en) 2020-12-31
EP3758407B1 (en) 2023-05-24
KR102480327B1 (ko) 2022-12-23
WO2019164168A1 (ko) 2019-08-29
EP3758407A1 (en) 2020-12-30
US11330651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837B1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7426177B2 (ja) 携帯用通信装置による実行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384519B1 (ko)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70968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08476247B (zh) 标识媒体访问控制地址的方法和相应的支持无线的设备
US111963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reless charging
KR102480875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45367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98602A (ko) 전자파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14692B1 (ko) 다중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07350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mmunication rights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20210034200A (ko)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통신 링크 관리 방법
KR102632536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388641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01496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053094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44759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13405B1 (ko) 블루투스 통신 정보 공유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480327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02492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41994A (ko)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240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in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same
KR20230050862A (ko) 위치 확인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91662A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01866A (ko) 잡음 환경에 따라서 통신 연결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