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270A -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270A
KR20080063270A KR1020087004891A KR20087004891A KR20080063270A KR 20080063270 A KR20080063270 A KR 20080063270A KR 1020087004891 A KR1020087004891 A KR 1020087004891A KR 20087004891 A KR20087004891 A KR 20087004891A KR 20080063270 A KR20080063270 A KR 2008006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communication
station
opt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이치 나카가와
게이지 다나카
마사토 구와즈루
노보루 에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6Fixed carrier allocation, e.g. according to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6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7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2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4Star or tre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9Network aspects using dedicated optic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9Topolog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친국과 복수의 자국이 광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되어, 친국과 복수의 자국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자국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하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개별의 하나의 하향 채널용 파장이 할당되고, 상기 친국이 동일 그룹의 자국에 대해서는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하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상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모든 자국이 친국에 대하여 단일의 상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상기 친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하향 채널용 파장마다 상기 그룹에 분배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자국으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합파하여 상기 친국에 송신한다.

Description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 통신 장치{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ARENT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CHILD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지국 장치와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가 광 전송로를 거쳐서 1 대 N의 통신을 행하는 고속 데이터 통신용의 수동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 이후 「PON」으로 부른다)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각 가정까지, 전송하는 액세스계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PDS(Passive Double Star) 시스템, 또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으로 불리는 포인트·멀티포인트 광 전송 시스템(광 버스트(burst) 송수신망)이 이용되고 있다.
이 포인트·멀티포인트 광 전송 시스템에서는, 친국(OLT : Optical Line Terminal, 기지국측 장치)을 광 전송로로서의 광 파이버 및 다중 분기기를 거쳐서 복수의 자국(ONU : Optional Network Unit, 가입자측 장치)에 접속하고, OLT가 발생하는 하향 신호로서의 송신 허가 신호에 따라 복수의 ONU가 발생하는 상향 신호를 다중 분기기(스타 커플러)에서 시분할 다중화하여 OLT에 전달하고, OLT이 발생한 하향 신호를 다중 분기기에서 분기하여 각 ONU에 전달하고, OLT과 복수의 ONU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복수의 ONU가 단일의 OLT을 공유하기 때문에, 광 전송 장치와 광 파이버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IEEE의 802.3ah에서 규정된 GE-PON을 예로 들면, 기지국 측에는 하나의 기지국내 장치 OLT(Optical Line Term : 광 가입자선 기지국 장치)가 마련되고, 사용자의 가정측에는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 ONU(Optional Network Unit: 광 가입자선 종단 장치)가 마련되고, 이들이 스타 커플러 등의 파장 합분파기를 거쳐서 스타 형상으로 접속된다.
OLT은, 네트워크의 IP 망측의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각각의 데이터의 목적지로 되는 복수의 ONU에 나눠 송신하는 기능과, 복수의 ONU로부터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네트워크 IP 망측의 네트워크 장치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광 파이버 상에서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시분할에서의 액세스 제어를 행한다. IEEE에서는, MPCP(Multi-Point Control Protocol)라는 액세스 프로토콜이 규정되어 있다.
ONU는, OLT로부터의 신호를 종단하고, 또한, 필요하면 상기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취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출력하 는 기능과, 반대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광 파이버 상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OLT에서 지정된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향 채널과 하향 채널에는, 각각 다른 파장이 할당되고 있지만, 각 ONU에는, 동일한 파장이 할당되어 있다.
한편, ITU-T(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Sector)의 G.983.3에서는, 하향 채널에 대하여, 또 하나의 파장을 정하고, 여기에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ONU는, 2개의 광 수신기를 구비하지만, 데이터 통신에 더하여,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IEEE의 802.3ah나 ITU-T의 G.983.3에서는, 상향 채널 및 하향 채널에서는 각각 정해진 하나의 파장이 이용되고 있지만, 하향 채널에서, ONU 대응에 독립의 파장이 할당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하나의 기지국측 장치와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를 스타 형상으로 접속한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저렴한 설비 비용으로 대용량화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기지국측 장치와 가입자측 장치 사이에 스타 커플러가 아니라, 광 회로를 배치하여, 하향의 신호에 대해서는 파장 분파기로서 작용시키고, 상향의 단일 파장의 신호광에 대해서는 광 합파기로서 작용시킨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광 액세스 서비스는, 각 가정이나 사업소와, 통신 사업자의 기지국을 맺는 광 파이버라는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기술의 진보에 동반하여 서비스 메뉴나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는, 이 기존의 인 프라스트럭쳐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 관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이미 도입된 가입자측 장치를 개변하는 일 없이, 또한, 기존의 사용자가 그대로 기존의 가입자측 장치를 쓸 수 있는 형태로, 동일 광 파이버 상에, 새로운 서비스를 부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2-217837 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 방식과 같이 IEEE의 802.3ah에서는, 한번 도입한 가입자측 장치를 활용하면서, 새로운 액세스 속도의 방식을 부가시키는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비해, 새로운 서비스나 액세스 속도를 제공하는 방식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파장을 할당하는 안도 있지만, 예를 들면 ITU-T에서 고안되어 있는 것은, 비디오 서비스용이며, 하나의 가입자측 장치는, 데이터 통신용과 비디오 서비스용의 2개의 파장에 대응한 광 수신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데이터 통신 방식 자체를 새롭게 할 수 없다.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각 가입자측 장치에 다른 하향 파장을 사용하지만, 이미, IEEE의 802.3ah 방식을 도입하고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가 동일한 하향 파장을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나 방식 확장을 위해 개시된 방식을 적용할 수가 없다. 또한, 단순한 스타 커플러를 사용할 수 없고, 하향 채널의 광 신호를 그 파장마다 분배하는 고가의 광 회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부터, 이미, 상향 채널과 하향 채널 각각에 단일 파장을 이용하는 광 액세스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방식을 동일 광 파이버 상에 부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서비스나 액세스 속도를 제공하는 업그레이드 방식이 존재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새로운 방식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고, 업그레이드 방식을 수시로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 통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친국과 복수의 자국이 광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되고, 친국과 복수의 자국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자국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하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각 그룹에 대하여 개별의 하나의 하향 채널용 파장이 할당되고, 친국이 동일 그룹의 자국에 대해서는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하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상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모든 자국이 친국에 대하여 단일의 상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친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하향 채널용 파장마다 상기 그룹에 분배하고, 또한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상향 신호를 합파하여 상기 친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가,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하향 채널 통신에는 상기 그룹에 대하여 하나의 파장이 할당되고, 또한 그 그룹내에서는 동일한 통신 방식이 채용된다. 또한, 상향 채널 통신에는 단일의 파장이 할당되고, 시분할로 송신이 제어된다. 새로운 방식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향 채널 통신에 대한 기지국측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및 가입자측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고, 저비용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갱신(업그레이드)이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방식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고, 업그레이방식을 수시로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측 장치 OLT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입자측 장치 ONU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입자측 장치 ONU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갱신(업그레이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갱신(업그레이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부호의 설명
1 : 기지국측 장치 OLT 2 : 스타 커플러
3 : 가입자측 장치 ONU 4 : 간선 광 파이버
11 : 기지국측 장치 OLT 31, 31-1∼31-m : 가입자측 장치 ONU
32, 32-1∼32-n : 가입자측 장치 ONU
51 : 지선 광 파이버 52 : 지선 광 파이버
101 : OLT 측 PON 처리부 102 : OLT 측 광 수신부
104 :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 113 : λ1용 OLT 측 광 송신부
123 : λ2용 OLT 측 광 송신부 311 : ONU측 파장 분파부
312 : ONU측 광 송신부 313 : 블로킹 필터
314 : ONU측 광 수신부 315 : ONU측 PON 처리부
321 : ONU측 파장 분파부 322 : ONU측 광 송신부
323 : 블로킹 필터 324 : ONU측 광 수신부
325 : ONU측 PON 처리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 통신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 가정이나 사무소로부터의 인터넷에의 액세스 서비스나, 기업간의 가상적인 폐역 통신망을 형성하는 서비스 등을 실현하는 것이고, 통신 사업자의 기지국과, 각 가정이나 사무소를 광 파이버로 접속하고, 1개의 광 파이버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측 장치(친국, 이하 OLT라고 부른다)(1)와, 2 종류의 가입자측 장치(자국, 이하 ONU라고 부른다)(31-1∼31-m, ONU32-1∼ONU32-n)(이하, 가입자측 장 치를 총칭하여 가입자측 장치(ONU3)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입자측 장치(ONU31-1∼31-m)를 총칭하여 가입자측 장치(ONU31)로, 가입자측 장치(ONU32-1∼31-n)를 총칭하여 가입자측 장치(ONU32)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가 광 분기기(스타 커플러)(2)를 거쳐서 광 전송로인 1개의 간선 광 파이버(4), 복수의 지선 광 파이버(51-1, 51-2,...51-m, 52-1, 52-2,...52-n)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이하, 지선 광 파이버(51-1∼51-m)를 총칭하여 지선 광 파이버(51)로, 지선 광 파이버(52-1∼52-n)를 총칭하여 지선 광 파이버(52)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지국측 장치(OLT1)에는, 도시하지 않는 IP 망측의 상위 장치, 즉 스위치 장치나 라우터 장치나 서버 장치 등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가입자측 장치(ONU3)에는 도시하지 않는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우선, 기지국측 장치(OLT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측 장치(OLT1)는, IP 망측의 스위치 장치나 라우터 장치나 서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지정된 가입자측 장치(ONU31-1∼ONU31-m, ONU32-1∼ONU32-n)로 나눠 송신하는 기능과, 가입자측 장치(ONU31-1∼ONU31-m, ONU32-1∼ONU32-n)로부터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IP 망측의 스위치 장치나 라우터 장치나 서버 장치 등의 상위 장치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에 기지국측 장치(OLT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측 장치(OLT1)는, OLT 측 PON 처리부(101)와, OLT 측 광 수신부(102)와,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와, λ2용 OLT 측 광 송신부(123)와,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OLT 측 PON 처리부(101)는, 기지국측 장치(OLT1)에 IP 망측의 상위 장치로부터 하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하향 데이터 신호의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목적지에 따라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 또는 λ2용 OLT 측 광 송신부(123)에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OLT 측 광 수신부(102)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의 출력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IP 망측의 스위치 장치나 라우터 장치나 서버 장치 등의 상위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OLT 측 PON 처리부(101)는, 가입자측 장치(ONU3)끼리의 데이터의 송수신의 제어도 실행하고, 가입자측 장치(3)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신호를 되돌려 하향 데이터 신호로서 광 전송로에 송신하는 신호 반환부로서도 기능한다.
OLT 측 광 수신부(102)는, 광 수신 수단이며,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의해 송신된 파장 λup의 상향 데이터 신호를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O/E 회로부이다. 그리고, OLT 측 광 수신부(102)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 파장 λup의 상향 데이터 신호를 OLT 측 PON 처리부(101)에 송신한다.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는, 광 송신 수단이며, OLT 측 PON 처리부(101)로부터 송신된 하향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부터 파장 λ1의 광 신호로 변환하는 E/O 회로부이다. 그리고,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는, 파장 λ1의 광 신호로 변환한 하향 데이터 신호를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송신한다.
λ2용 OLT 측 광 송신부(123)는, 광 송신 수단이며, OLT 측 PON 처리부(101)로부터 송신된 하향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부터 파장 λ2의 광 신호로 변환하는 E/O 회로부이다. 그리고, λ2용 OLT 측 광 송신부(123)는, 파장 λ2의 광 신호로 변환한 하향 데이터 신호를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송신한다.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는, 간선 광 파이버(4)에 접속하여 마련되고, 간선 광 파이버(4)로부터 파장 λup의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분파하여 OLT 측 광 수신부(102)에 송신한다. 또한,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 및 λ2용 OLT 측 광 송신부(123)로부터 송신된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의 다중화를 행하고,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의 합파를 행하여, 간선 광 파이버(4)를 거쳐서 가입자측 장치(ONU3)에 송신한다.
다음에, 가입자측 장치(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입자측 장치(ONU31-1∼ONU31-m, ONU32-1∼ONU32-n)는, 기지국측 장치(OLT1)로부터 송신된, 미리 정해진 소정의 파장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종단함과 동시에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하향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에, 자신을 향하는 신호만을 취득하고, 상기 신호를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는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가입자측 장치(ONU31-1∼ONU3l-m, ONU32-1∼ONU32-n)는, 필요에 따라서 수신한 하향 데이터 신호의 포맷 변환이나 라우팅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가입자측 장치(ONU3)는, 기지국측 장치(OLT1)와 가입자측 장치(ONU3) 사이의 관리 정보는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는 출력하지 않고, 가입자측 장 치(ONU3)의 내부에서만 처리한다. 한편, 가입자측 장치(ONU3)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또한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측 장치(OLT1)에 대하여, 적절한 타이밍 및 미리 정해진 소정의 상향 파장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와,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는, 각각 방식이 다른 가입자측 장치이다. 예를 들면,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전송 속도나 신호 포맷이 다르다. 여기서는,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에는 파장 λ1이 할당되어 있고,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에는 파장 λ2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에 대하여 동일한 파장 λup이 할당되고 있고, 상향 채널 통신은,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가 이 같은 파장 λup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한편,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가입자측 장치(ONU31)와 가입자측 장치(ONU32)에는, 각각 상향 채널 통신용의 파장 λup과 다른 파장이, 하향 파장으로서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즉, 가입자측 장치(ONU31)에는 이들 전용의 파장 λ1이 하향 파장으로서 할당되어 있고, 가입자측 장치(ONU32)에는 전용의 파장 λ2이 하향 파장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입자측 장치(ONU3)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파장만을 수신하도록 설계된 단일의 광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 를 들면 가입자측 장치(ONU31-1)는, 파장 λ1의 신호만을 수신하고,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에 할당된 파장 λ2의 신호를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가입자측 장치(ONU32-1)는, 파장 λ2의 신호만을 수신하고,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에 할당된 파장 λ1의 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이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른 방식을 채용한 가입자측 장치(0NU) 사이의 하향 신호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a)에 가입자측 장치(ONU31)의 구성을, 도 3(b)에 가입자측 장치(ONU3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입자측 장치(ONU31)는, ONU측 파장 분파부(311)와, ONU측 광 송신부(312)와, 블로킹 필터(313)와, ONU측 광 수신부(314)와, ONU측 PON 처리부(3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ONU측 파장 분파부(311)는, 지선 광 파이버(51)에 접속하여 마련되고, 상기 지선 광 파이버(51)를 거쳐서 파장 λ1 또는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분파하여 블로킹 필터(313)에 송신한다. 여기서, ONU측 파장 분파부(311)는,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 및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 중 어느 쪽의 하향 데이터 신호도 블로킹 필터(313)에 송신한다.
또한, ONU측 파장 분파부(311)는, ONU측 광 송신부(312)로부터 파장 λup의 광 신호로 변환된 상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분파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지선 광 파이버(51)를 거쳐서 기지국측 장치(OLT1)에 송신한다.
ONU측 광 송신부(312)는, 광 송신 수단이며, ONU측 PON 처리부(315)로부터 송신된 상향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부터 파장 λup의 광 신호로 변환하는 E/O 회로부이다. 그리고, ONU측 광 송신부(312)는, 파장 λup의 광 신호로 변환한 상향 데이터 신호를 ONU측 파장 분파부(311)에 송신한다.
블로킹 필터(313)는, 파장 필터로서 기능하고, 특정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블로킹 필터(313)는, ONU측 파장 분파부(311)로부터 송신된 하향 데이터 신호의 파장을 인식하고,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만을 ONU측 광 수신부(314)에 송신한다. 또한, 블로킹 필터(313)는,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를 폐기한다.
또, 일반적으로는, PON 시스템에서는, 하향 신호에 1490 nm의 파장이 할당되고, 장래의 1550 nm의 파장을 사용하여 동화상 배신이 행하여지는 것이 계획되어 있다. 동화상 배신에 대응하지 않는 가입자측 장치(ONU)는, 1490 nm의 파장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1550 nm의 파장을 투과하지 않는 블로킹 필터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많다.
ONU측 광 수신부(314)는, 광 수신 수단이며, 블로킹 필터(313)에 있어서 필터링되어 송신된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O/E 회로부이다. 그리고, ONU측 광 수신부(314)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ONU측 PON 처리부(315)에 송신한다.
ONU측 PON 처리부(315)는, ONU측 광 수신부(314)로부터 송신된 전기 신호로 변환된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하향 데이터 신호의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신을 향하는 신호 만을 취득하고, 상기 신호를 자신에 접속된 단말 장치에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출력한다. 또한, ONU측 PON 처리부(315)는, 자신에 접속된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여,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ONU측 광 송신부(312)에 송신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입자측 장치(ONU32)는, ONU측 파장 분파부(321)와, ONU측 광 송신부(322)와, 블로킹 필터(323)와, ONU측 광 수신부(324)와, ONU측 PON 처리부(3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ONU측 파장 분파부(321)는, 지선 광 파이버(52)에 접속하여 마련되고, 상기 지선 광 파이버(52)를 거쳐서 파장 λ1 또는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분파하여 블로킹 필터(323)에 송신한다. 여기서, ONU측 파장 분파부(321)는,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 및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 중 어느 쪽의 하향 데이터 신호도 블로킹 필터(323)에 송신한다.
ONU측 광 송신부(322)는, 광 송신 수단이며, ONU측 PON 처리부(325)로부터 송신된 상향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부터 파장 λup의 광 신호로 변환하는 E/O 회로부이다. 그리고, ONU측 광 송신부(322)는, 파장 λup의 광 신호로 변환한 상향 데이터 신호를 ONU측 파장 분파부(321)에 송신한다.
블로킹 필터(323)는, 파장 필터로서 기능하고, 특정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블로킹 필터(323)는, ONU측 파장 분파부(321)로부터 송신된 하향 데이터 신호의 파장을 인식하여,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만을 ONU측 광 수신부(324)에 송신한다. 또한, 블로킹 필터(323)는,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를 폐기한다.
또, 일반적으로는, PON 시스템에서는, 하향 신호에 1490 nm의 파장이 할당되고, 장래의 1550 nm의 파장을 사용하여 동화상 배신이 행하여지는 것이 계획되어 있다. 동화상 배신에 대응한 가입자측 장치(ONU)는, 1490 nm의 파장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1550 nm의 파장을 투과하지 않는 블로킹 필터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많다.
ONU측 광 수신부(324)는, 광 수신 수단이며, 블로킹 필터(323)에 있어서 필터링되어 송신된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O/E 회로부이다. 그리고, ONU측 광 수신부(324)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ONU측 PON 처리부(325)에 송신한다.
ONU측 PON 처리부(325)는, ONU측 광 수신부(324)로부터 송신된 전기 신호로 변환된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하향 데이터 신호의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신을 향하는 신호만을 취득하고, 상기 신호를 자신에 접속된 단말 장치에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출력한다. 또한, ONU측 PON 처리부(325)는, 자신에 접속된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ONU측 광 송신부(322)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가입자측 장치(ONU31)와 가입자측 장치(ONU32)는, 다른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측 장치(ONU31)는, ITU-T에서 규정된 B-PON, 가입자측 장치(ONU32)는 IEEE에서 규정된 GE-PON의 예가 생각된다. 또한, 가입자측 장치(ONU31)가, IEEE에서 규정된 1 Gb/s를 베이스로 한 GE-PON이며, 가입자측 장치(ONU32)는, 전송 속도를 10배 고속으로 한 10 GE-PON, 또는, 하향 채널만큼의 전송로 속도를 증가한 신 방식의 PON으로 하는 예가 생각된다. 또, 이들은, 일예이며,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타 커플러(2)는, 광 데이터 신호의 파장 분파 분배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기지국측 장치(OLT1)로부터 송신된 하향의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 및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에 분배한다.
또한, 스타 커플러(2)는, 데이터 신호의 합파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ONU31-1∼31-m), 가입자측 장치(ONU32-1∼32-n)로부터 송신된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합파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향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측 장치(OLT1)에, IP 망측의 상위 장치, 즉 스위치 장치나 라우터 장치나 서버 장치 등으로부터 하향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 OLT측 PON 처리부(101)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식별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 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목적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하향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목적지가 가입자측 장치(ONU31-2)인 하향 데이터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OLT 측 PON 처리부(101)에 있어서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목적지가 가입자측 장치(ONU31-2)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OLT 측 PON 처리부(101)는,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에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λ1용 OLT 측 광 송신부(113)는,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를 파장 λ1의 광 신호에 하향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송신한다. 또,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는, 다른 가입자측 장치(ONU31) 및 가입자측 장치(ONU32)를 향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도 송신되어 있다.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는, 파장 λ1의 광 신호로 변환된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입력된 하향 데이터 신호와 상향 데이터 신호를 분파하고, 파장 λ1의 광 신호로 변환된 하향 데이터 신호를 다른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와의 다중화, 합파를 행하여, 간선 광 파이버(4)를 거쳐서 스타 커플러(2)에 송신한다.
간선 광 파이버(4)를 거쳐서 스타 커플러(2)에 입력되고, 합파된 광 신호는, 상기 스타 커플러(2)에 있어서 파장마다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 및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에 분배되고, 지선 광 파이버(51, 52)를 통해서 가입자측 장치(ONU3)에 송신된다.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n)는, 하향 광 신호 중, 파장 λ1의 하향 광 신호만을 취입, 수신할 수 있다. 각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n)에서는, 기지국측 장치(OLT1)로부터 송신된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가 입력되면, ONU측 파장 분파부(311)에 있어서 이것을 분파하여, 블로킹 필터(313)에 송신한다. 여기서, 각 가입자측 장치(ONU31)의 ONU측 파장 분파부(311)는,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 및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를 블로킹 필터(313)에 송신한다.
각 가입자측 장치(ONU31)의 블로킹 필터(313)에서는,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면 파장 λ1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만을 선택하여, 각 가입자측 장치(ONU31)의 ONU측 광 수신부(314)에 송신한다. 또한, 블로킹 필터(313)는, 파장 λ1 이외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 즉 파장 λ2의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폐기한다.
각 가입자측 장치(ONU31)의 ONU측 광 수신부(314)에서는, 블로킹 필터(313)로부터 송신된 하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ONU측 PON 처리부(315)에 송신한다. 각 가입자측 장치(ONU31)의 ONU측 PON 처리부(315)는, ONU측 광 수신부(314)로부터 송신된 전기 신호로 변환된 하향 데이터 신호에 근거하여 목적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의 목적지인 가입자측 장치(ONU31-2)의 ONU측 PON 처리부(315)만이 하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를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단말 장치에 출력된다.
또한, 다른 가입자측 장치(ONU31)인 가입자측 장치(ONU31-1)와 가입자측 장 치(ONU31-3)∼가입자측 장치(ONU31-m)에서는,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를 각 ONU측 PON 처리부(315)에 있어서 폐기한다. 한편,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에서는, 파장 λ1의 광 신호는, 각 블로킹 필터(323)로 차단되기 때문에, 이들의 가입자측 장치(ONU32)의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하향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처리에 의해, IP 망측의 상위 장치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가입자측 장치(ONU31-2)의 단말 장치에만 송신된다. 또한, 하향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가 가입자측 장치(ONU32) 중 어느 장치인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져, 소망의 가입자측 장치(ONU32)의 단말 장치에만 상위 장치로부터의 하향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에, 상향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가입자측 장치(ONU31-2)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가입자측 장치(ONU31-2)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가 가입자측 장치(ONU31-2)에 입력된 경우, ONU측 PON 처리부(315)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목적지를 판별한다.
ONU측 PON 처리부(315)는, 상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의 송신 목적지가 기지국측 장치(OLT1)의 상위 장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를 ONU측 광 송신부(312)에 송신한다. ONU측 광 송신부(312)에서는, 상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이것을 파장 λup의 광 신호로 변환하여 ONU측 파장 분파부(311)에 송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향 데이터 신호의 통신에 관해서는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가 동일 파장 λup을 이용한다.
ONU측 파장 분파부(311)는,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ONU측 파장 분파부(311)에 입력된 다른 하향 데이터 신호와 분파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지선 광 파이버(51)를 거쳐서 스타 커플러(2)에 송신한다. 스타 커플러(2)에서는,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다른 가입자측 장치(ONU31) 및 가입자측 장치(ONU32)로부터 송신된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와 시분할 다중화하여 합파하고, 간선 광 파이버(4)를 통해서 기지국측 장치(OLT1)에 송신한다.
기지국측 장치(OLT1)에서는, 파장 λup의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가 입력되면,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있어서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자신의 OLT 측 파장 분파 합파부(104)에 입력된 다른 하향 데이터 신호와 분파하여 OLT 측 광 수신부(102)에 송신한다.
OLT 측 광 수신부(102)는, 상향 데이터 신호(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를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OLT 측 PON 처리부(101)에 송신한다. OLT 측 PON 처리부(1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그 중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신호에 근거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의 출력 목적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 데이터 신호(전기 신호)를 IP 망측의 소정의 상위 장치에 송신한다.
상기의 처리에 의해, 가입자측 장치(ONU31)로부터 송신된 상향 데이터 신호를 IP 망측의 소정의 상위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향 데이터 신호의 통신에 있어서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가 동일 파장 λup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기지국측 장치(OLT1)가 통신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제어는, 예를 들면, IEEE에서는 MPCP이라는 프로토콜을 정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종류의 가입자측 장치(ONU3)를 접속한 상태에서, 상향 채널에서는 동일 파장 λup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지국측 장치(OLT1)에 있어서, 시분할에 의한 통신 제어, 또는 시분할을 주체로 한 통신 제어를 행한다. 또한, 동적 대역 할당이라고 불리는 대역 제어 기능을 기지국측 장치(OLT1)에 구비하고, 가입자측 장치(ONU3) 간의 공평성이나 계약 내용에 따른 대역의 할당을 보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의 다른 PON 통신 방식을 채용한 가입자측 장치(ONU)를 파장으로 나눔으로써, 복수의 다른 PON 통신 방식을 채용한 가입자측 장치(ONU)를 동일 광 파이버 상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새로운 가입자측 장치(ONU)를 증설할 때에, 이미 도입된 상태의 가입자측 장치(ONU)를 폐기하는 일 없이, 기존의 사용자에게는 그대로 기존 서비스를 계속하면서, 신 서비스를 지향한 새로운 PON 통신 방식을 채용한 가입자측 장치(ONU)의 그룹을 파장으로 나눠, OLT의 기능을 갱신하는 것으로, 동일 광 파이버 상에 새로운 가입자측 장치(ONU)를 증설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설을 활용하면서, 복수의 다른 PON 통신 방식을 채용한 가입자측 장치(ONU)를 증설하고,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갱신(업그레이드)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가,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하향 채널 통신에는 상기 그룹에 대하여 하나의 파장이 할당되고, 또한 그 그룹 내에서는 동일한 통신 방식이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하향 채널 통신에 대한 기지국측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인프라스트럭쳐로서, 파장에 의해 분배를 행하도록 한 광 회로가 아니라, 종래와 마찬가지의 단순한 스타 커플러가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간략한 구성으로 실현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PON 통신 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상향 채널 통신에는 단일의 파장이 할당되고, 시분할 다중 통신 방식으로 송신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각 가입자측 장치(ONU)에 다른 파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수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광원을 구비한 ONU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각각 발생 파장이 다른 ONU를 복수 종류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저비용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갱신(업그레이드)가 실현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새로운 방식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고, 업그레이드 방식을 수시로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미 구축된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도입할 때에, 이미 각 가정이나 사업소에 도입된 가입자측 장치(ONU)를 활용하면서 새로운 PON 통신 방식을 채용한 PON 시스템을 도입하여,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갱신(업그레이드)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축 완료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축 완료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측 장치(OLT11)와, 가입자측 장치(31-1∼31-m)가, 스타 커플러(2)를 거쳐서 1개의 간선 광 파이버(4), 복수의 지선 광 파이버(51-1, 51-2,...51-m)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측 장치(OLT11)에는, 도시하지 않는 IP 망측의 상위 장치, 즉 스위치 장치나 라우터 장치나 서버 장치 등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가입자측 장치(ONU31)에는 도시하지 않는 단말 장치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에 대하여 동일 파장 λup이 할당되어 있고, 상향 채널 통신은,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에 있어서 동일 파장 λup에 의해 행하여진다.
한편,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는,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1)에 대하여 동일 파장 λ1이 할당되어 있고, 하향 채널 통신은, 모든 가입자측 장치(ONU3)에 있어서 동일 파장 λ1에 의해 행하여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를 상정한 신 방식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이미 각 가정이나 사업소에 도입된 가입자측 장치(0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를 폐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하고, 또한 광 파이버라는 인프라스트럭쳐도 변경하지 않고, 신 방식의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32-n)를 새롭게 도입한다.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OLT의 비용보다, 가입자측 장치(ONU)의 합계 비용의 쪽이 훨씬 커지기 때문에, 신 서비스를 도입하는 경우에, 가입자측 장치(ONU)를 안일하게 갱신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큰 부담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미 각 가정이나 사업소에 도입된 가입자측 장치(ONU31-1)∼가입자측 장치(ONU31-m)를 사용하면서, 신 방식의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때, 기지국측 장치(OLTl1)는, 구 방식에만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양쪽에 대응한 기지국측 장치(OLT1)로 갱신할 필요가 있지만, 적은 비용으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측 장치(OLT11)를 기지국측 장치(OLT1)로 갱신하고, 신 방식의 가입자측 장치(ONU32-1)∼가입자측 장치(ONU32-n)를 지선 광 파이버(52-1, 52-2,...52-m)를 거쳐서 스타 커플러(2)에 접속한 상태로 새롭게 도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 1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이미 각 가정이나 사업소에 도입된 가입자측 장치를 폐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하고, 또한 광 파이버는 인프라스트럭쳐도 변경하지 않고서, 저비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상정 한 신 방식의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OLT은, 복수 사용자로 공유되어 있기 때문에, 가입자측 장치(ONU) 당의 비용 증가는, 충분히 허용되는 정도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향 파장의 할당 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생각된다. 일예로서, 예를 들면 신규 방식의 파장을 수시로 증설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기지국측 장치 및 스타 커플러에 미리 많은 파장을 설정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가입자측 장치만을 도입하면 새로운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우선 ONU의 제 1 방식으로서 1,490 nm의 하향 파장을 할당하여 사용하고, 또한 신방식에는 제 2 방식으로서 1,550 nm의 하향 파장을 할당하여 사용하고, 또한 제 1 방식의 ONU가 없어진 것을 조건으로 재차 다음의 방식으로서, 제 3 방식으로서 재차 1,490 nm의 하향은 길이를 할당하는 방법도 있다. 또, 이들은 일례이며, 다른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당연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와 복수의 가입자측 장치가 광 전송로를 거쳐서 1 대 N의 통신을 행하는 고속 데이터 통신용의 수동 광 네트워크에 유용하며, 특히, 장래에 새로운 업그레이드 방식이 요구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하다.

Claims (15)

  1. 친국(親局 : central office)과 복수의 자국(子局 : user node)이 광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친국과 상기 복수의 자국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자국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하향 채널 통신(downstream channel communication)에 있어서는, 하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개별의 하나의 하향 채널용 파장(downstream channel wavelength)이 할당되고, 상기 친국이 동일 그룹의 자국에 대해서는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하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상향 채널 통신(upstream channel communication)에 있어서는, 상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모든 자국이 친국에 대하여 단일의 상향 채널용 파장(upstream channel wavelength)을 이용하여 상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상기 친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하향 채널용 파장마다 상기 그룹에 분배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자국으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합파(合波)하여 상기 친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 모든 자국이 친국에 대하여 상기 상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동일의 통신 방식인 시분할 다중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 상기 친국은, 자국에 입력된 하향 신호로부터 상기 하향 신호의 목적지인 자국을 판별하여 상기 자국이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고, 상기 그룹에 대응한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은, 특정 파장의 상기 하향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파장 필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은, 상기 파장 필터 수단을 통과한 하향 신호 중, 자신을 향하는 신호만을 취득하고, 자신을 향하지 않는 신호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으로서 새로운 그룹의 자국을 증설하고, 상기 친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그룹에 대응한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자국과의 통신 외에 상기 새로운 그룹의 자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존의 상기 그룹을 사용하지 않게 된 경우에, 상기 기존의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상기 기존의 그룹과 다른 새로운 그룹에 대하여 재차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8. 친국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자국이 광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친국과 상기 복수의 자국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광 통신 네트워 크 시스템에 이용되는 친국 광 통신 장치로서,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 하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개별의 하나의 하향 채널용 파장을 할당하고, 동일 그룹의 자국에 대해서는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동일한 통신 방식에 의해 하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국 광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 자신에 입력된 하향 신호로부터 상기 하향 신호의 목적지인 자국을 판별하여 그 자국이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고, 상기 그룹에 대응한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국 광 통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으로서 새로운 그룹의 자국을 증설하고, 자신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그룹에 대응한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자국과의 통신 외에 상기 새로운 그룹의 자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국 광 통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기존의 상기 그룹을 사용하지 않게 된 경우에, 상기 기존의 그룹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하향 채널용 파장을, 상기 기존의 그룹과 다른 새로운 그룹에 대하여 재차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국 광 통신 장치.
  12. 친국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자국이 광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친국과 상기 복수의 자국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국 광 통신 장치로서,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 상향 채널 통신용 파장으로서 친국에 대하여 다른 자국과 공통의 단일의 상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향 신호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 광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채널 통신에 있어서, 친국에 대하여 상기 상향 채널용 파장을 이용하여 다른 자국과 동일의 통신 방식인 시분할 다중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 광 통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특정 파장의 상기 하향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파장 필터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 광 통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필터 수단을 통과한 하향 신호 중, 자신을 향하는 신호만을 취득하고, 자신을 향하지 않는 신호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 광 통신 장치.
KR1020087004891A 2005-08-31 2006-08-30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통신 장치 KR20080063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2196 2005-08-31
JP2005252196 2005-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270A true KR20080063270A (ko) 2008-07-03

Family

ID=3780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891A KR20080063270A (ko) 2005-08-31 2006-08-30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63133A1 (ko)
EP (1) EP1921802A4 (ko)
JP (1) JPWO2007026749A1 (ko)
KR (1) KR20080063270A (ko)
CN (1) CN101253736A (ko)
WO (1) WO2007026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487B2 (ja) * 2007-03-14 2012-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終端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epon仮想化方法
CN101145880B (zh) * 2007-06-19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对称波分复用光传输系统
US8254783B2 (en) * 2007-07-18 201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int-to-multipoin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P2109242A1 (en) * 2008-04-07 2009-10-14 Nokia Siemens Networks Oy Upgradeable passive optical Network
US20100061729A1 (en) * 2008-09-02 2010-03-11 Weeber William B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transmission
CN101741712B (zh) * 2008-11-18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支持基站数据交换的装置、系统及方法
US20110026930A1 (en) * 2009-07-29 2011-02-03 Zhi Cui Methods and apparatus to upgrade communication services in subscriber distribution areas
US8451864B2 (en) 2010-06-23 2013-05-28 Broadcom Corporation Passive optical network processor with a programmable data path
JP6298782B2 (ja) * 2015-02-25 2018-03-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局側装置、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645A (en) * 1994-07-07 1999-02-16 Gpt Limi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GB9704587D0 (en) * 1997-03-05 1997-04-23 Fujitsu Ltd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in passive optical networks
GB2347570B (en) * 1999-03-03 2004-01-14 Fujitsu Ltd Optical networks
US6970653B1 (en) * 2001-01-15 2005-11-29 Coretek, Inc. Fiberoptic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central office and a downstream station
JP2002217837A (ja) * 2001-01-16 2002-08-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411980B2 (en) * 2001-12-14 2008-08-12 Broadcom Corporation Filtering and forwarding frames within an optical network
KR100473520B1 (ko) * 2002-12-24 2005-03-10 한국과학기술원 외부 비간섭성 광원을 주입하여 파장 고정된 페브리-페롯레이저를 이용한 광 가입자 망
US20050175343A1 (en) * 2004-02-03 2005-08-11 Utstarcom,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a carrier class WDM PON for increased split number and bandwidth
US7499651B2 (en) * 2005-10-20 2009-03-03 Fujitsu Limited Upgradeable passive optic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63133A1 (en) 2009-10-22
EP1921802A4 (en) 2009-10-21
JPWO2007026749A1 (ja) 2009-03-12
EP1921802A1 (en) 2008-05-14
WO2007026749A1 (ja) 2007-03-08
CN101253736A (zh)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899B1 (ko) 비트 레이트 혼재 광통신 방법, 광가입자 장치 및 광국측장치
US7684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distribution in an optical network
Cale et al.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GPON
KR101239300B1 (ko) 기가 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US76030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components in a hybrid passive optical network
EP2564531B2 (en) Optical access network
US79702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fferent transmission architectures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8948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upstream capacity in an optical network
US8059962B2 (en) Interleaving for 10G GPON
KR20080063270A (ko)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통신 장치
US20080138072A1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optical line terminal, and optical network unit
JP2008295039A (ja) ハイブリッドパッシブオプティカ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165953A (ja) 光通信システム
JP4818815B2 (ja) 光通信方法、光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親局光通信装置、子局光通信装置
KR20190097268A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광회선 단말기 및 기저대역 유닛
KR101727779B1 (ko) 파장 가변 광 모듈 기반 수동형 광 망 거리 확장장치 및 그 방법
KR100754602B1 (ko) 시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네트웍 및 그 동적 대역폭할당 방법
US969953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hybrid DWDM aggregation and extension f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s
JP6459588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方法、親局装置及び子局装置
KR101069977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0889912B1 (ko) 광 가입자 망 구조
Kim et al. Coordination of wavelength and time-window assignment in WDM-based TDM hybrid-PONs
KR20130093827A (ko)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