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827A -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827A
KR20130093827A KR1020120006589A KR20120006589A KR20130093827A KR 20130093827 A KR20130093827 A KR 20130093827A KR 1020120006589 A KR1020120006589 A KR 1020120006589A KR 20120006589 A KR20120006589 A KR 20120006589A KR 20130093827 A KR20130093827 A KR 2013009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trolling
asymmetric
optical network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섭
이동수
유학
김성창
김근용
이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827A/ko
Priority to US13/745,112 priority patent/US9184844B2/en
Publication of KR2013009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2Star-type networks or tree-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22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sources have different rates o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88Signalling aspects

Abstract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OPTICAL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REFO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분할 다중 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수동형 광네트워크 (Passive Optical Network, PON) 시스템에 있어서, 광 기지국 장치 및 광 가입자단말에 서로 다른 전송 속도가 지원이 가능한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입자단까지 광 전송로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가입자망(FTTH: Fiber to the Home) 기술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수동소자로 구성된 수동형 광 네트워크(PON: Passive Network)이 경제적 측면과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동형 광 네트워크 중 하나인 시분할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가입자단의 데이터를 타임슬롯에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프로토콜 구조에 따라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과 G-PON(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으로 구분될 수 있다.
EPON의 경우 국제 표준화 단체인 IEEE에서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하향 1.25Gbps/상향 1.25G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G-PON의 경우 ITU-T에서 표준을 수행하였으며, 하향 2.5Gbps/상향 1.25G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다.
오늘날에는 고밀도 IPTV, 차세대 가입자단 서비스 등의 대한 요구로 인해 기존 기가 비트급 전송속도를 가지는 EPON과 G-PON의 전송속도를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차세대 10Gb/s PON 의 주요 특징으로는 하향 전송 속도와 상향 전송 속도가 상이한 비대칭 구조를 대칭 구조와 더불어 동시에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대칭형 구조와 비대칭형 구조를 분리한 시스템 시나리오는 현재의 서비스에 대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비대칭형 구조는 가입자가 송신하는 대역보다 가입자가 수신하는 서비스의 대역폭이 많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하향 수신데이터만 10 Gb/s 전송속도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향 광 신호에 대해서 PHY 블록과 MAC 블록간의 인터페이스가 구성이 복잡하고,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렵다.
표준화한 10기가급 XG-PON에 대해서는 비대칭형 구조과 대칭형 구조의 사용 파장이 같으므로, 비대칭형 구조와 대칭형 구조가 같이 공존하는 경우 시스템 전체를 바꿔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비대칭형 단말과 대칭형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 그 구성이 간단한 시스템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칭형 단말과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대칭형 단말이 경제적 이유로 먼저 설치된 광 가입자망에서 점진적으로 대칭형 단말을 적용하여 가입자에게 넓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하는 광 기지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광 기지국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를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의 트랜시버(Tranceiver)로 공통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광 기지국은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비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광 기지국은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각각의 상향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정수배로 디멀티플렉싱(Demulitiplexing) 하는 디멀티플레싱부,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디멀티플레싱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은 상향 전송 속도와 하향 전송 속도가 정수 배의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디멀티플레싱부는 상향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하향 전송 속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광신호의 클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상향 광신호에 대한 신호의 재생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을 유지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을 유지하는 단계 및 광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상향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정수배로 디멀티플렉싱(Demulitiplexing) 하는 단계 및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칭형 단말과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형 단말이 경제적 이유로 먼저 설치된 광 가입자망에서 점진적으로 대칭형 단말을 적용하여 가입자에게 넓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시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인 OLT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비대칭형 단말과 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경우,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의 물리 계층(PHY)단(Tranceiver)를 공통 사용하며,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에서 출력되는 n개의 출력신호 중 비대칭형 구조인 경우 하나 이상의 물리 계층단을 사용하고, 대칭형 구조인 경우 전체 물리 계층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120),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130) 및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120)과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130)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하는 광 기지국(11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광 기지국(130)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를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의 트랜시버(Tranceiver)로 공통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광 기지국(130)은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비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광 기지국(130)은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시분할 다중 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시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위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l)(210), ONT/ONU 단말(Optical Network Terminal/Unit)(220, 230) 및 이를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ODN은 스플리터(Splitter)와 같은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분기국(RN)과, OLT와 분기국(RN: Remote Node)까지의 광 전송로인 공급 파이버(Feeder Fiber), 분기국과 ONT/U사이의 광 전송로인 분배 파이버(Distribution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OLT에 다수의 ONT/U가 RN을 통해서 연결되어있는 연결 구조일 수 있다.
시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 방식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는 연속 모드(Continuous Mode)로 전송되어 분기국으로부터 분기되고, 각각의 ONT/U는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다.
시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는 OLT에서 주어진 시간 슬롯(Time-slot)에 대응되도록 전송되어 분기국에서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ONT1(220)은 XG-PON1 (9.953G/2.488G)이 적용된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이라 가정하고, ONTn(230)은 XG-PON2(9.953G/9.953G)가 적용된 대칭형 단말을 적용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을 유지하며(310),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을 유지한다(3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광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한다(3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410), 상기 각각의 상향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정수배로 디멀티플렉싱(Demulitiplexing) 하는 디멀티플레싱부(420),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430) 및 디멀티플레싱부(420)와 데이터 처리부(430)에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부(4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디멀티플레싱부(420)는 상향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하향 전송 속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광신호의 클럭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인 OLT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데이터 생성부(410)는 ONT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업스트림 PMD(Upstream PMD)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디멀티플레싱부(420)는 상향 데이터에서 클럭을 추출하고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1:N으로 디멀티플레싱(Demulitiplexing) 하는 업스트림 PMA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430)는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MAC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시스템 클럭부(440)는 상기 PMA 블록과 MAC 블록에 클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MD 블록은 상향 광신호가 2.488Gbps 광신호 또는 9.953Gbps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430)는 상기 상향 광신호에 대한 신호의 재생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 광 신호에 대한 신호의 재생은 상기 MAC 블록에 있는 포함되는 데이터 제어부인 PMD controler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PMA 블록은 2.488Gbps 광 신호 또는 9.953Gbps 광 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고, 상기 디멀티플레싱부로 2.488Gbps 광 신호를 대신하여 9.953GHz의 데이터 클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2.488Gbps 데이터를 9.953Gbps의 1/n로 나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은 상향 전송 속도와 하향 전송 속도가 정수 배의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동일한 업스트림 PMA를 사용하여 2.488Gbps 광 신호와 9.953Gbps 광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한다(6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한다(6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각각의 상향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정수배로 디멀티플렉싱(Demulitiplexing) 한다(6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네트워크 장치는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한다(64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광 기지국
120: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130: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하는 광 기지국
    을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기지국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를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의 트랜시버(Tranceiver)로 공통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기지국은,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비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기지국은,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모두 사용하는 광 네트워크 시스템.
  5.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각각의 상향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정수배로 디멀티플렉싱(Demulitiplexing) 하는 디멀티플레싱부;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디멀티플레싱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부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은,
    상향 전송 속도와 하향 전송 속도가 정수 배의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레싱부는,
    상향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하향 전송 속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광신호의 클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상향 광신호에 대한 신호의 재생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
  9.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을 유지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을 유지하는 단계; 및
    광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이 서로 공존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 기지국이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를 상기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의 트랜시버(Tranceiver)로 공통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비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광 기지국이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하나 이상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PMA(Physical Medium Attachment)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대칭형 구조인 경우, 상기 광 기지국이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모두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3. 하나 이상의 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광 가입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상향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상향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정수배로 디멀티플렉싱(Demulitiplexing) 하는 단계; 및
    각각의 비트 레이트(bit-rate)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대칭형 단말은,
    상향 전송 속도와 하향 전송 속도가 정수 배의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는,
    상향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하향 전송 속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광신호의 클럭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 광신호에 대한 신호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20006589A 2012-01-20 2012-01-20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20130093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589A KR20130093827A (ko) 2012-01-20 2012-01-20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US13/745,112 US9184844B2 (en) 2012-01-20 2013-01-18 Optical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589A KR20130093827A (ko) 2012-01-20 2012-01-20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827A true KR20130093827A (ko) 2013-08-23

Family

ID=4879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589A KR20130093827A (ko) 2012-01-20 2012-01-20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84844B2 (ko)
KR (1) KR201300938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89010A (zh) * 2022-10-10 2023-07-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配置信息的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2243B2 (en) * 2004-12-17 2014-04-29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achieving multiple bit rates in passive optical networks
CN101507172B (zh) 2006-09-20 2015-09-1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和信号发送方法
JP5040695B2 (ja) 2008-02-07 2012-10-03 日本電気株式会社 Pon局側装置、pon上り回線通信方法、pon上り回線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009803B1 (ko) * 2008-02-21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176830B2 (ja) * 2008-09-29 2013-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同期符号分割多重通信方法及び同期符号分割多重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8953A1 (en) 2013-07-25
US9184844B2 (en)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bas et al. The next generation of passive optical networks: A review
Song et al. Long-reach optical access networks: A survey of research challenges, demonstrations, and bandwidth assignment mechanisms
US9219566B2 (en) Wavelength management in multiple-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s
US8095004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88976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reach and/or split in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1160239B1 (ko) 이더넷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라만 누화를 경감하는 방법및 시스템
US11652564B2 (en) Data communications system, optical line terminal, and baseband unit
EP238973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equalization delay passive optical networks
US20150373430A1 (en) Frame conversion-based mid-span extender, and method of frame conversion-based mid-span extender for supporting g-pon service in xg-pon link
KR20170003649A (ko) 파장 스위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47900A (ko) 데이터 전송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umari et al. Passive optical network evolution to next generation passive optical network: a review
KR20080063270A (ko) 광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친국 광 통신 장치 및 자국 광통신 장치
US969953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hybrid DWDM aggregation and extension f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s
CN104902353A (zh) 一种基于全光波长转换的超密集波分接入方法及其系统
JP6459588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方法、親局装置及び子局装置
CN101478701A (zh) 上行数据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
JP4680073B2 (ja) Ponシステム
KR20130093827A (ko) 광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20170129049A (ko) 상향 광 신호의 버스트 모드에 따라 상향 파장 대역이 설정된 파장 및 시간 분할 다중화 수동 광 가입자 네트워크
Song et al. Long-reach optical access
JP2013046132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親局装置
Wang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40G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functions for the 40g/10g TDM-PON experimental system
WO2019056371A1 (zh) 数据包处理方法、光线路终端、光网络单元及系统
JP2016005192A (ja) 光アクセスシステム、終端装置、宅内装置及び光アクセ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