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892A -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 Google Patents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892A
KR20080062892A KR1020060139066A KR20060139066A KR20080062892A KR 20080062892 A KR20080062892 A KR 20080062892A KR 1020060139066 A KR1020060139066 A KR 1020060139066A KR 20060139066 A KR20060139066 A KR 20060139066A KR 20080062892 A KR20080062892 A KR 20080062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device
surface light
mold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조용상
김병수
박기원
채경훈
손형민
고성광
Original Assignee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892A/ko
Publication of KR2008006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01J9/248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the vessel being fl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을 제공한다.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의 측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홈의 종단면이 트렌치 형상을 갖는 격벽패턴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리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격벽형성용 몰드 구조를 사용하여 격벽이 형성된 후면판을 제조함으로써, 격벽재의 누출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제조된 격벽의 두께 균일도 및 경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격벽의 부분 무너짐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격벽을 제조하고, 라미네이션시에 발생할 수 있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용 기판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제조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Mold for forming barrier rib of surface light source device, Method for preparing rear plate of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mold and Rear plate of surface light source device prepared therefrom }
도 1은 종래의 격벽형성용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유리기판이 배치된 도 3의 I-I´선 또는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벽재의 누출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제조된 격벽의 두께 균일도 및 경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격벽의 부분 무너짐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격벽을 제조하고, 라미네이션시에 발생할 수 있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용 기판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제조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 FPD)로서 범용되고 있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대체하는 디바이스(device)로서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이하 PDP라고 함.),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이하 LCD라고 함.),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 등 많은 디바이스가 연구, 개발되어 오고 있다. 이 중,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레드, 그린, 블루의 색을 구현하는 자발광방식의 PDP와 간접발광방식인 LCD가 평판표시장치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중에서도 LCD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장치로써,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서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비발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별도의 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 공급장를 필요로 한다. 기존의 광 공급장치로써,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는 전극이 내부에 있으므로 파손이 쉬워서 수명이 짧았고, 유리관 자체를 유전체로 활용하여 수명, 저 전력소모 등을 향상시킨 무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는 다수의 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면 형태로 광을 직접 출사하는 면광원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면광원장치의 후면판에는 면광원 몸체 내부의 방전공간을 다수의 방전공간으로 구획하여 이들 사이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차단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세심한 공정을 필요로 한다.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유리 기판을 연화점까지 가열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방법인 유리성형(glass forming)법을 이용하여 상부 기판 자체를 성형하여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격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면광원장치가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유리성형법은 진공 성형공정에 의하기 때문에 취출공정에서 유리 기판이 뒤틀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리 기판의 뒤틀림 현상은 방전공간의 높이가 높을수록 빈번해지고 특히 유리 기판이 대형화될 수록 더욱 심해진다. 또한, 상기 방전공간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반사율 등을 향상시키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가공하는데 장시간이 소용되며, 상판과 하판의 열처리 온도의 차에 의하여 물성 변화가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낮은 공정수, 다양한 방전공간에의 대응이 가능한 유리 프릿을 이용하는 격벽 형성법인 샌드블라스트법, 화학적 에칭법, UV 몰딩법 등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유리분말과 감광성 고분자 등을 사용하여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를 격벽형성용 홈이 구비되어 있는 몰드에 주입시키고 UV를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켜 격벽을 형성할 수 있는 UV 몰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 단가가 저렴하여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몰딩법에 사용되었던 종래의 격벽형성용 홈이 구비된 몰드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몰드(100)의 상면(101)에는 상기 몰드(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격벽형성용 홈(102a)을 포함하는 격벽패턴 형성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102)에는 복수개의 격벽형성용 홈(102a)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트라이프 상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부 또한 복수개의 격벽형성용 홈(102a)의 높이와 동일한 요홈(102b)이 각인되어 있다.
상기 몰드(100)를 사용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102)에 감광성 페이스트를 채운 후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 위에 유리기판(미도시)을 배치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상면에서 가압용 롤(110)을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10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켜서 가압, 라미네이션시킨 다음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몰드(100)를 이형시킴으로써 격벽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가압용 롤(110)을 이용하여 가압, 라미네이션하는 공정 시 상 기 가압용 롤(110)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102)의 양끝단부 부분에 과량의 여분 페이스트가 흘러나오게 되는데 이때, 몰드(100)와 유리기판 간의 표면장력에 의해 몰드(100) 내에 체류하고 있어야 할 페이스트까지 빠져나오게 되어 형성된 격벽은 두께가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격벽의 무너짐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며, 아울러 상기 가압용 롤(110)을 진행시킬 때 상기 유리기판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격벽재의 누출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제조된 격벽의 두께 균일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고 면광원장치 후면판용 기판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를 이용하여 면광원장치 후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측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홈의 종단면이 트렌 치 형상을 갖는 격벽패턴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리어를 포함한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부의 형상은 요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의 폭은 50㎛~300mm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의 길이방향으로의 측단부와 상기 측단부와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양끝단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대의 폭은 50㎛~30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일끝단부면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10~80°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격벽형상에 대응되어 복수개의 홈이 각인되어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격벽형성용 몰드와 유리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홈 내부에 감광성 페이스트를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의 상면에 상기 유리기판을 배치시키고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상기 유리기판이 라미네이션된 몰드의 상부에서 UV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를 이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상면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의 측 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홈의 종단면이 트렌치 형상을 갖는 격벽패턴 형성부; 및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의 몸체(200)는 저면(210), 상면(220), 전방면(230), 후방면(240) 및 양 측면(250a, 250b)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형상이 양 측면(250a, 250b)간의 거리보다 전방면(230)과 후방면(240) 간의 거리가 긴 플레이트인 구조체이다. 상기 저면(210), 상면(220), 전방면(230), 후방면(240) 및 양 측면(250a, 250b)은 모두 평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저면(210)과 상기 상면(220)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저면(210)과 상면(220)을 연결하고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200)의 길이방향의 양끝단부에 대응되는 전방면(230) 및 후방면(240)은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저면(210)과 상기 상면(220)을 연결하고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양끝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양 측면(250a, 250b)은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형상 을 가진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재질,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소프트 몰드(soft mold), 금속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하드 몰드(hard mold), 폴리머/금속 복합 몰드 등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나, 만족할 만한 경도와 수축력을 가지기 때문에 접합성 및 탈형성이 좋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iyethyleneterephtalate ; PET) 재질의 소프트 몰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의 몸체(200)의 상면(220)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측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221a)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홈의 종단면이 트렌치 형상을 갖는 격벽패턴 형성부(2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몸체(200)의 상기 양 측면(250a, 250b)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복수개의 홈(221a)은 격벽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면광원장치 내에 격벽의 배치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홈(221a)은 상기 몸체(2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면(미도시)과 상기 바닥면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양 측면(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홈(221a)은 서로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홈(221a)은 서로 동일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끝단부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형성되어질 복수개의 격벽이 스트라이프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홈(221a) 또한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221a)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일부가 끊어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인접한 홈(221a) 중에서 하나의 홈(221a)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짧게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홈(221a)은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짧게 형성되어 사행 구조(serpentine shape)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복수개의 홈(221a)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홈(221a)을 포함하는 격벽패턴 형성부(222)는 평평한 면에 일정한 높이의 홈이 복수개가 각인되어 있어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종단면은 트렌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홈(221a)은 그 종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홈의 바닥면(미도시)과 양 측면(미도시)이 연결면(미도시)을 가져서 상기 홈의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외주부는 상기 복수개의 홈(221a)과 동일 높이를 갖는 요홈(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221b)은 복수개의 홈(221a) 전체를 둘러쌀 수 있도록 평면도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는 면광원장치를 밀폐된 방전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구비하는 밀봉재를 형성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형성용 몰드의 몸체(200)는 배리어(260a, 260b)를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260a, 260b)는 상기 몸체(200)의 상면(220)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외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를 사용하여 격벽을 형성시킨 후면판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서 상기 복수개의 홈(221a) 및 상기 요홈(221b) 내부에 감광성 페이스트를 주입하고 면광원장치의 후면판용 기판을 배치시킨 후 상기 후면기판의 상부를 가압하여 라미네이션(lamination)하는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가압하는 방향은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길이 방향으로 설정된다. 라미네이션 공정 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길이방향의 양끝단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홈(221a) 및 요홈(221b) 내부에 있어야할 과량의 페이스트가 누출되므로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에 상기 배리어를 설치한다. 그럼으로써 과량의 페이스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출되는 페이스트의 양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리어(260a, 260b)는 50㎛~300mm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리어의 폭(W)이 50㎛ 미만일 경우 과량의 페이스트 또는 슬러리가 누출되어 패턴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300mm를 초과할 경우 잉여 페이스트가 누출이 되지 않아 유리기판을 파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300)의 상면(301)에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용 기판(310)이 배치되었을 경우, 상기 배리어(260a, 260b)는 상기 기판(310)의 높이보다 50㎛~5mm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리어(260a, 260b)가 상기 기판(310)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H)가 10㎛ 미만일 경우 유리기판이 파손될 수 있고, 10mm를 초과할 경우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의 상면(220)에는 지지대(270a, 270b)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270a, 270b)는 상기 몸체(200)의 상면(220)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의 길이방향으로의 측단부와 상기 측단부와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양끝단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70a, 270b)는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배리어(260a)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221)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된 배리어(260b)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갖는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에 상기 지지대(270a, 270b)가 형성되어짐으로써 라미네이션 공정 시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면광원장치 후면기판용 기판(31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70a, 270b)는 50㎛~300mm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270a, 270b)의 폭(W)이 50㎛ 미만일 경우 압력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리기판을 파손할 수 있고, 제조되는 격벽의 두께가 불일정할 수 있고, 300mm를 초과할 경우 몰드 사이즈의 증대로 생산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의 상면(220)에 면광원장치 후면판용 기판(310)이 배치되었을 경우, 상기 지지대(270a, 270b)는 상기 기판(310)의 높이보다 50㎛ 내지 5mm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270a, 270b)가 상기 기판(310)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H)가 10㎛ 미만일 경우 유리기판이 파손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가 10mm를 초과할 경우 라미네이션이 원활 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270a, 270b)는 상기 지지대(270a, 270b)의 일끝단부가 일정간격 짧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이는 라미네이션 공정 시 초기 라미네이션에 해당하는 부분에 좀 더 높은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이다.
더불어, 도 2의 부분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70a, 270b)의 길이방향의 일끝단부면은 상기 몸체(200)의 상면(220)으로부터 10 내지 80°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초기 라미네이션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대(270a, 270b)의 일끝단부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라미네이션 공정 시 높이가 있는 상기 지지대(270a, 270b) 위를 라미네이터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각이 10°미만일 경우에는 초기 라미네이션 부에 과다한 압력이 인가되어 유리기판을 파손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를 사용하여 유리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410)와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으로 이용되는 유리기판(430)을 준비한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격벽형성용 몰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리기판(430)은 평판 형상의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로실리케이트 유리(borosilicate glass), 소다 라임(soda lime) 유리 등 투명한 유리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유리기판은 후에 UV를 조사할 때 상기 복수개의 홈의 내부로 주입시킨 감광성 페이스트(420)로 UV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유리기판의 재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의 복수개의 홈 내부로 감광성 페이스트(420)를 주입시킨다.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420)는 UV을 받으면 경화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광성 유리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와의 젖음성, 이형성을 좋게 하고, 상기 유리기판(430)과의 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물질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유리 페이스트는 광개시제, 폴리머, 모노머, 분산제, 소포제, 올리고머 등으로 구성되는 감광성 레진과 프릿 글래스, Al2O3, ZnO, TiO2, BaTiO3, SiO2, ZrO2 등의 필러가 함유된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감광성 페이스트의 재료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기판(430)을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의 상면에 배치시킨 다음, 라미네이션 한다. 이때, 라미네이션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라미네이터인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유리기판(430)과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420)가 삽입된 격벽형성용 몰드(410)를 밀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배리어를 통해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420)의 누출량이 조 절되어 상기 복수개의 홈 내부에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420)가 고루 분포하게 되므로 형성되어질 격벽의 두께 균일도 및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를 통하여 유리기판의 파손을 막을 수 있어서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초기 라미네이션 부분에 높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조하는 격벽의 경도를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기판(430)이 라미네이션된 몰드(410)의 상부에서 UV를 조사한다. UV를 조사하면 상기 감광성 페이스트(420)를 경화시켜서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 내의 복수개의 홈의 형상으로 격벽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화공정은 격벽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격벽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격벽의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410)를 이형시켜서 격벽이 형성된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을 제조하게 된다.
실시예 1
가로 600mm × 세로1100mm × 높이40mm의 플레이트형 구조체인 몰드의 상면에는 몰드의 측단부로부터 1.5mm의 폭, 900mm의 길이 2mm의 높이를 갖는 홈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었다. 이때, 인접한 홈 간의 거리는 15mm이다.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구비된 홈을 둘러싸고 있는 요홈은 1mm의 폭, 900mm의 길이, 2mm의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었다. 몰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대응하는 홈의 외측으로 4cm의 간격을 두고, 300mm의 폭, 500mm의 길이 및 6mm의 높이를 갖는 직육면 체 형상의 배리어를 설치하였다. 상기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의 길이방향으로의 측단부와 상기 측단부와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양끝단부 사이에 10㎛의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10mm의 폭, 6mm의 높이, 980mm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일끝단부면은 상기 몰드의 상면으로부터 45°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상기 몰드의 홈에 아크릴화 에폭시 올리고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히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 광개시제로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 및 분산제를 각각 30 : 35 : 20 : 5 : 1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감광성 수지를 제조한 후에 상기 유리분말과 상기 감광성 수지를 82:1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감광성 페이스트를 주입하고 그 상면에 가로 510mm×세로 970mm×높이 1mm의 소다라임 유리기판을 배치하고 테이블 롤을 사용하여 라미네이션 한 후 254nm~420nm 파장범위의 UV 램프를 사용하여 UV를 5분간 조사하였다. 이후 상기 몰드를 이형시켜 폭 1.5mm, 높이 2mm, 피치 15mm인 격벽이 형성된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배리어 및 상기 지지대를 형성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폭 1.5mm, 높이 2mm, 피치 15mm인 격벽이 형성된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의 격벽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무경도계를 사용하여 격벽의 쇼어경도를 측정하였고, 3D 비접촉식 측정기(NEXSTAR 제조)를 이용하여 격벽의 두께의 편차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라미네이션 공정 시에 발생된 유리기판의 파손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두께 편차 쇼어경도 유리기판 파손율
실시예 1 1~10% 90 10%
비교예 1 30~40% 60 50%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면광원장치용 후면판에 비해 격벽 두께의 균일도가 향상되고 격벽의 경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션 시에 유리 기판의 파손율이 격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선된 격벽형성용 몰드 구조를 사용하여 격벽이 형성된 후면판을 제조함으로써, 격벽재의 누출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제조된 격벽의 두께 균일도 및 경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격벽의 부분 무너짐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격벽을 제조하고, 라미네이션시에 발생할 수 있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용 기판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제조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측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홈의 종단면이 트렌치 형상을 갖는 격벽패턴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부의 형상은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폭은 5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의 길이방향으로의 측단부와 상기 측단부와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양끝단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폭은 5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일끝단부면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10~80°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7. 격벽형상에 대응되어 복수개의 홈이 각인되어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격벽형성용 몰드와 유리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홈 내부에 감광성 페이스트를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의 상면에 상기 유리기판을 배치시키고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상기 유리기판이 라미네이션된 몰드의 상부에서 UV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를 이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형성용 몰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의 측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홈의 종단면이 트렌치 형상을 갖는 격벽패턴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끝단부에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외주부의 형상은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폭은 5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의 길이방향으로의 측단부와 상기 측단부와 인접한 상기 격벽패턴 형성부의 양끝단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 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폭은 5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일끝단부면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10~80°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면광원장치 후면판.
KR1020060139066A 2006-12-29 2006-12-29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KR20080062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066A KR20080062892A (ko) 2006-12-29 2006-12-29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066A KR20080062892A (ko) 2006-12-29 2006-12-29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892A true KR20080062892A (ko) 2008-07-03

Family

ID=3981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066A KR20080062892A (ko) 2006-12-29 2006-12-29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96B1 (ko) * 2008-05-08 2010-07-26 김재우 유브이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브이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96B1 (ko) * 2008-05-08 2010-07-26 김재우 유브이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브이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8529A1 (en) Flexible Mold and Methods
US7033534B2 (en) Method for forming microstructures on a substrate using a mold
US20040070342A1 (en) Plasma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same
KR20080062892A (ko) 면광원장치 후면판의 격벽형성용 몰드, 이를 이용한면광원장치 후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면광원장치 후면판.
US20070071948A1 (en) Method of making barrier partitions and articles
KR100537023B1 (ko) 평판 형광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KR20070009219A (ko) 평면 램프용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26445A (ko) 평판형 형광램프
JP2006066148A (ja) 平面表示装置用のパネル
KR100795518B1 (ko) 평판형 형광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58767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297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하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적용되는 제조장치
KR20070017144A (ko) 가요성 금형 및 방법
JP366796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336508B1 (ko) 격벽 성형 장치
KR100295110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격벽제조방법
KR100644752B1 (ko) 평면 램프용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38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하판의제조방법
JPH1022313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8588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평면형광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26446A (ko) 평판형 형광램프
JPH1118563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14119B1 (ko) 평면 램프용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2877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격벽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808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