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841A -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841A
KR20080062841A KR1020060138988A KR20060138988A KR20080062841A KR 20080062841 A KR20080062841 A KR 20080062841A KR 1020060138988 A KR1020060138988 A KR 1020060138988A KR 20060138988 A KR20060138988 A KR 20060138988A KR 20080062841 A KR20080062841 A KR 20080062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temperature
mcu
air circu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618B1 (ko
Inventor
엄재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618B1/ko
Priority to RU2007146834/09A priority patent/RU2374737C2/ru
Priority to MYPI20072307A priority patent/MY154463A/en
Priority to EP07150426.0A priority patent/EP1939998A3/en
Priority to CNA2007103083699A priority patent/CN101211722A/zh
Publication of KR2008006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62Testing or measuring non-electrical properties of switches, e.g. contact velocity
    • H01H2011/0068Testing or measuring non-electrical properties of switches, e.g. contact velocit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witch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additionally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Breakers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가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접점을 비롯한 각종 열 발생원과, 온도에 의해 오동작을 할 가능성이 있는 각종 부품들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온도를 검출한다. 검출한 온도는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검출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을 경우에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트립코일을 구동시켜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고, 부하로 공급되던 전력을 차단하거나 또는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음을 경보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기중차단기, 온도검출, 트립, MCU, 트립코일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Air Circuit Breaker}
도 1은 종래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및
도 2는 본 고안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전압검출부 210 : 정류기
220, 24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30 : 복수의 온도 검출부
250 : MCU(Micro Controller Unit) 260 : 트립코일
270 : 경보부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중차단기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에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스위치의 접촉단자 및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비롯한 각종 열 발생원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에 따라 기중차단기가 안정하게 동 작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자연 공기 내에서 개방할 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자연 소호되는 방식을 가진 차단기로서 저압의 교류차단기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안정하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중차단기를 구성하는 내부 부품들이 열에 의해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또한 기중차단기를 통해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바로 전력의 공급을 차단시켜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중차단기는 사고의 발생 여부만을 판단하여 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뿐이고, 내부 부품들이 열에 의해 오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도 1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전류 검출부이다. 상기 전압 검출부(100)는 예를 들면, 전류 트랜스 및 로고스키 코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전류 트랜스가 검출하고, 전류 트랜스가 검출한 전류를 로고스키 코일이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부호 110은 정류기이다. 상기 정류기(110)는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100)의 출력전압을 다이오드가 정류하여 맥류전압으로 변환한다.
부호 12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는 상기 정류기(110)에서 출력되는 맥류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부호 130은 MCU(Micro Controller Unit)이다. 상기 MCU(13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가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맥류전압의 레벨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트립신호를 발생한다.
부호 140은 트립코일이다. 상기 트립코일(140)은 상기 MCU(130)가 트립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동작하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트립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호장치는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발생하는 상태에서 전압 검출부(100)는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정류기(110)로 출력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100)가 출력하는 검출전압은 교류전압으로서 이를 정류기(110)가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맥류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CU(130)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MCU(13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입력되는 맥류 전압의 레벨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MCU(130)는 RMS(Root Mean Square) 연산 등과 같은 수학적인 연산과정을 통해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MCU(130)는 트립신호를 발생 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트립코일(140)이 구동되지 않아 기중차단기는 계속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MCU(130)는 트립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한 트립신호에 따라 트립코일(14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므로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공급하던 전력을 차단하여 사고전류로 기중차단기 및 부하 등이 손상되지 않고, 또한 발생한 사고가 파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보호장치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하여 부하로 사고 전류가 공급됨이 검출될 경우에 기중차단기를 트립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할 뿐이고,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전력선이나 접점 등의 열 발생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기중차단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MCU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열 발생원의 온도 또는 기중차단기의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 이를 경보하거나 기중차단기를 트립시켜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에 따르면,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및 접점 등으로 포함한 각종 열 발생원과, 온도가 높을 경우에 오동작을 할 가능성이 있는 MCU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온도를 미리 설정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중차단기의 오동작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경보를 발생하거나 또는 트립코일을 구동시켜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고,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에 따르면, 온도센서로 기중차단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검출부와, 상기 온도 검출부가 검출한 온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중차단기의 오동작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 상기 MCU의 판단 결과에 따라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트립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열 발생원 또는 상기 MCU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검출부와 상기 MCU의 사이에;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온도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CU로 입력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를 통해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전압 검출부의 검출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MCU로 입력시키는 정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기와 상기 MCU의 사이에는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CU로 입력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장치는 전압 검출부(200), 정류기(2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0),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1, 230-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 MCU(Micro Controller Unit, 250), 트립코일(260) 및 경보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200)는 예를 들면, 전류 트랜스 및 로고스키 코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전류 트랜스가 검출하고, 전류 트랜스가 검출한 전류를 로고스키 코일이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정류기(210)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100)의 검출전압을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맥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R, S, T 및 N상의 검출전압을 정류하여 맥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0)는 상기 정류기(210)에서 출력되는 맥류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1, 230-2, …)들 각각은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R, S, T 및 N상의 전력선과, 접점 등을 비롯한 각종 열 발생원과, MCU(250)를 비롯하여 온도가 높을 경우에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각종 부품들과,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들에 온도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부착하고, 그 온도센서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는 상기 MCU(2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온도검출부(230-1, 230-2, …)의 온도 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CU(250)로 출력한다.
상기 MCU(25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0)의 출력신호로 부하의 전력 공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260)을 동작시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게 트 립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MCU(25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의 출력신호로 기중차단기의 오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260)을 동작시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게 트립시키고, 상기 경보부(270)가 경보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장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전압 검출부(100)는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검출전압을 정류기(110)가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CU(130)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MCU(13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로부터 입력되는 맥류 전압의 레벨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MCU(130)는 트립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한 트립신호에 따라 트립코일(140)이 기중차단기를 트립시켜 부하로 공급하던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온도검출부(230-1, 230-2, …)들 각각이 R, S, T 및 N상의 전력선과, 접점 등을 비롯한 각종 열 발생원과,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각종 부품들과,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들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로 입력시킨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는 상기 복수의 온도검출부(230-1, 230-2, …)들이 출력하는 검출신호를 MCU(250)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디지털 신호의 온도 검출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온도 검출신호는 MCU(250)로 입력된다.
그러면, MCU(25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온도 검출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온도 값과 각기 비교하여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MCU(25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온도 검출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보다 높을 경우에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온도 검출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보다 낮아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없음이 판단될 경우에 MCU(250)는 트립코일(260)을 동작시키지 않고, 이로 인하여 기중차단기는 계속 부하에 정상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온도 검출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보다 높아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음이 판단될 경우에 MCU(250)는 트립코일(260)을 구동시켜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고,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MCU(250)는 경보부(270)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면서 경보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을 반복하여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음을 경보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 트립코일(260)을 구동시켜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고,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에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검출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 트립코일(260)을 구동시켜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고, 경보를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지 않고, 경보부(270)가 경보만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정류기(210) 및 MCU(250)의 사이와,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1, 230-2, …) 및 MCU(250)의 사이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0)(240)를 구비하여 정류기(210) 및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1, 230-2, …)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MCU(250)로 입력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MCU(250)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 정류기(210) 및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1, 230-2, …)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MCU(250)로 직접 입력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 및 온도를 모두 검출하여 기준차단기를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온도만을 검출하여 기중차단기를 보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열 발생원과, 온도가 높을 경우에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부품들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로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중차단기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이를 경보하거나 또는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킨다.
또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로 사고발생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할 경우에 기중차단기를 트립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의 발생 및 온도의 상승 등으로 기중차단기 및 부하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기중차단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부하로 안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6)

  1. 온도센서로 기중차단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가 검출한 온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중차단기의 오동작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상기 MCU의 판단 결과에 따라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트립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부는;
    상기 기중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열 발생원 또는 상기 MCU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와 상기 MCU의 사이에;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온도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CU로 입력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중차단기를 통해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검출부의 검출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MCU로 입력시키는 정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와 상기 MCU의 사이에;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CU로 입력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KR1020060138988A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KR100870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988A KR100870618B1 (ko)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RU2007146834/09A RU2374737C2 (ru) 2006-12-29 2007-12-19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для воздуш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MYPI20072307A MY154463A (en) 2006-12-29 2007-12-21 Protection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EP07150426.0A EP1939998A3 (en) 2006-12-29 2007-12-27 Protection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CNA2007103083699A CN101211722A (zh) 2006-12-29 2007-12-29 空气断路器的保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988A KR100870618B1 (ko)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841A true KR20080062841A (ko) 2008-07-03
KR100870618B1 KR100870618B1 (ko) 2008-11-25

Family

ID=3934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988A KR100870618B1 (ko)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39998A3 (ko)
KR (1) KR100870618B1 (ko)
CN (1) CN101211722A (ko)
MY (1) MY154463A (ko)
RU (1) RU237473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5325B2 (en) * 2010-10-20 2014-03-18 Schneider Electric USA, Inc. Electronic circuit breaker with alternate mode of operation using auxiliary power source
US8503148B2 (en) * 2010-10-20 2013-08-06 Schneider Electric USA, Inc. Circuit breaker with fault indication and secondary power supply
CN102436981B (zh) * 2011-10-11 2014-11-26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一种断路器
US8885313B2 (en) * 2012-09-20 2014-11-11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including an electronic trip circuit, a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and an over-temperature trip routine
WO2015081576A1 (zh) * 2013-12-07 2015-06-11 湖南省凯盈科技有限公司 可带电手动复位的超温过流保护模块
CN103811232B (zh) * 2014-02-18 2015-09-16 华威博奥电力设备有限公司 具有电控逻辑电路的微型断路器
US9520254B2 (en) 2014-06-24 2016-12-13 Eaton Corporation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thermal trip assembly and printed circuit board Rogowski coil
US9520710B2 (en) * 2014-06-24 2016-12-13 Eaton Corporation Thermal trip assembly and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the same
CN106026381A (zh) * 2016-06-26 2016-10-12 潘炳松 市电和发电装置配电系统
KR102513475B1 (ko) * 2018-03-12 2023-03-22 엘에스일렉트릭(주) 차단기 개폐 보조 장치
CN108716755B (zh) * 2018-05-17 2020-11-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防断电控制方法、控制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08870676B (zh) * 2018-05-17 2021-06-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防脱扣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227B1 (en) * 1998-12-28 2001-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determining contact wear in a trip unit
KR20010111431A (ko) * 2000-06-09 2001-12-19 이구택 차단기 이상 검출장치
DE10120640A1 (de) * 2001-04-27 2002-10-31 Delphi Tech Inc Schutzvorrichtung sowie Schutzverfahren für ein Stromversorgungssystem
CN2585242Y (zh) * 2002-05-24 2003-11-05 丰叶电器制造厂有限公司 一种负载过流报警装置和接插件超温报警装置
AT412693B (de) * 2002-09-20 2005-05-25 Siemens Ag Oesterreich Verfahren zum steuern des abschaltens bei überlastzuständen eines schaltnetzteils
US7177125B2 (en) * 2003-02-12 2007-0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rc fault detection for SSPC base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7342763B2 (en) * 2003-06-13 2008-03-11 Tdg Aerospace, Inc. Fuel system safety device for run-dry cond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9998A3 (en) 2016-11-09
KR100870618B1 (ko) 2008-11-25
MY154463A (en) 2015-06-30
CN101211722A (zh) 2008-07-02
RU2374737C2 (ru) 2009-11-27
RU2007146834A (ru) 2009-06-27
EP1939998A2 (en)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618B1 (ko)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JP6159259B2 (ja) 光起電力システムのための保護デバイス
US20080112100A1 (en) Digital electric leakage detecting and monitoring device
US20050243491A1 (en) Multi-function power monitor and circuit protector
US8072716B2 (en) AFCI device
US20060227472A1 (en) Inverter ground fault circuit
JP6076499B2 (ja) 電子式回路遮断器
EP2608341A1 (en) Grounding device
EP3074780B1 (en) Electrical supply system
KR101463044B1 (ko) 보호 계전기용 자체 전원 공급회로
CN102916415A (zh) 具有过电压保护的故障电弧保护开关
RU2011108297A (ru) Реле перегрузки
JP2007129871A (ja) 避雷器の切離し制御装置
KR20120086558A (ko) 감시 및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70220B1 (ko) 태양광발전 접속반에서 직렬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검출장치
KR101863028B1 (ko) 지락전류 차단이 가능한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장치
JP2009290999A (ja) 過電流警告装置と過電流警告方法
KR101030925B1 (ko) 감시 및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0441685Y1 (ko)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US20180190444A1 (en) 3 Phase Undervoltage Trip Device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Therewith
KR100709329B1 (ko) 자동 복귀 장치를 갖는 선박용 파워 서플라이
KR101198281B1 (ko)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KR101328622B1 (ko) 전원부 및 부하부 보호시스템
KR101864068B1 (ko) 지연 회로를 이용한 무전원 변류기 2차 단자 보호 장치
JP4716412B2 (ja) 直流電源装置の過電流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