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498A -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498A
KR20080061498A KR1020060136302A KR20060136302A KR20080061498A KR 20080061498 A KR20080061498 A KR 20080061498A KR 1020060136302 A KR1020060136302 A KR 1020060136302A KR 20060136302 A KR20060136302 A KR 20060136302A KR 20080061498 A KR20080061498 A KR 20080061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formation
audio data
reproduction
ta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진
이석필
임태범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1498A/ko
Publication of KR2008006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플레이어에서의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으로서, (a)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b)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c) 상기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중에서 상기 태그 정보에 적합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추출하고 장르 정보에 따라서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최적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각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개별적인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오디오 데이터 재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MP3, 태그 정보, 이퀄라이저 설정, 장르

Description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OF PLAYING AUDIO DATA USING TA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MP3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 형식과 태그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그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추출하고 장르 정보에 따라서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최적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각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개별적인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오디오 데이터 재생 환경을 제공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규격 또는 매체로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은 CD-DA(CD-Digital Audio)이다. 이러한 CD-DA는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효율이 낮아서 데이터 크기가 큰 단점이 있다. 예컨대 직경 12㎝의 일반적인 CD 디스크인 경우, 74분 정도의 오디오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등장한 MP3(MPEG-1 Audio Layer-Ⅲ), WMA(Windows Media Audio) 등의 오디오 데이터 압축 기술은, CD-DA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용량을 예컨대 10분의 1 정도로 압축할 수 있고, 또한 음질이 그다지 열화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음악 수록 시간은, CD-DA에 의한 비압축 오디오 데이터이면 1장의 CD 디스크에 74분 정도가 한계인 데 비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이면 1장의 CD 디스크에 700분 이상의 수록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MP3 등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 및 재생이 용이하므로, 종래의 CD 플레이어 등에서 뿐만이 아니라 전용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 MP3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P3 재생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 다수의 복합형 전자 제품에서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특히 MP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가 대중화되었고, 현재 인터넷 상에서의 대부분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MP3 형태로 배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플레이어"라는 용어는 MP3 등의 압축 오디오 데 이터의 재생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지칭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된다. 예컨대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또는 자동차용 PC, 또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개인용 컴퓨터 모두가 오디오 플레이어로 본 발명에서 지칭될 수 있다.
최근 들어 반도체 기술 및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등의 데이터 저장 장치의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서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오디오 플레이어가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많은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들을 오디오 플레이어 내의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오디오 플레이어 내의 대용량의 저장 공간에 많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게 됨에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장르 또는 가수 또는 작곡가 등의 분류 기준으로 저장하기 보다는 임의적으로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저장을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오디오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경우 서로 다른 장르의 음악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팝송을 재생하다가 이후 발라드 가요가 재생되고, 이후 클래식 음악이 재생되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처음에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자신의 취향대로 일단 수행한 이후에는 거의 신경을 쓰지 않는다. 예컨대 이퀄라이저(equalizer) 환경 설정이 그 예이다. 따라서 단일하게 설정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기초로 이러한 다수 의 장르의 음악 데이터 파일이 재생되게 된다.
예컨대 이퀄라이저 패턴을 록(rock) 음악을 위주로 설정한 상태라면, 이후 사용자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클래식 음악을 효과적으로 듣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퀄라이저 패턴 설정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또 다른 장르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라면 다시 해당 장르에 맞추어서 이퀄라이저 패턴을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각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재생시 마다 별도의 오디오 환경 정보를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그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추출하고 장르 정보에 따라서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최적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각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개별적인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오디오 데이터 재생 환경을 제공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플레이어에서의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으로서, (a)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b)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c) 상기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중에서 상기 태그 정보에 적합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은 상기 오디오 플레이어의 이퀄라이저(equalizer)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MP3 규격에 적합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장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태그 정보 내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오디오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2)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와 동일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와 유사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상기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3)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와 동일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서 가장 최근에 사용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상기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2) 미리 설정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3)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다수의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을 설정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e)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f)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f-1)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다수의 오디오 재 생 환경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을 상기 재생 환경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은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적용되며, 오디오 플레이어는 전술하였듯이 예컨대 MP3 재생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을 지칭한다.
우선 오디오 플레이어에서는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한다(S110).
오디오 재생 환경은 상기 오디오 플레이어의 이퀄라이저(equalizer)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량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디오 재생 환경은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를 기초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장르가 디스코 음악인 경우의 이퀄라이저 패턴 정보를 제1 오디오 재생 환경으로 저장하고, 재즈 음악인 경우의 이퀄라이저 패턴 정보를 제2 오디오 재생 환경으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각 장르를 기초로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을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로서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또는 예컨대 가수 정보 등의 다른 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을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로서 미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는 예컨대 MP3 플레이어 또는 MP3 재생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의 오디오 플레이어 제조 업체에서 각 장르에 따라서 설정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오디오 플레이어 내에 미리 저장하여 판매 또는 배포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제조 업체 측에서 설정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이러한 기설정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가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을 다수 개 설정하여 이를 기초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최적화된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의 저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후 재생할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판독한다(S130).
오디오 데이터는 예컨대 MP3 또는 WMA 등의 압축 오디오 포맷을 따르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오디오 데이터 내에는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판독하는 단계이다.
태그 정보는 예컨대 MP3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경우 파일 뒷부분에 위치한 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MP3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 형식과 태그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MP3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MPEG 헤더(header) 부분과, MPEG 오디오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며, 파일 끝부분에 MPEG 오디오 태그(MPEG Audio Tag ID)가 태그 정보로서 포함된다.
예컨대 MPEG Audio Tag ID3V1 포맷의 태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태그 정보는 도 2에 도시되듯이 128 바이트로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각 태그 정보 내의 필드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Byte 정보
3 Tag ID
30 Title
30 Artist)
30 Album
4 Year
30 Comment
1 Genre
여기서 Tag ID는 1 바이트로서 태그 정보의 아이디를 나타낸다. Title은 30 바이트로서 예컨대 곡명을 나타낸다. Artist는 30 바이트로서 가수 또는 연주자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Album은 30 바이트로서 해당 곡의 앨범 명을 나타낸다. Year는 4 바이트로서 제작 년도를 나타낸다. Comment는 30 바이트로서 비평을 나타낸다. Genre는 1 바이트로서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나타낸다.
단계 S110에서 장르를 기초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가 저장되는 경우라면, 특히 태그 정보 중에서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중에서 적합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MPEG Audio Tag ID3V1 포맷에서 Genre 필드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0 'Blues' 20 'Alternative' 40 'AlternRock' 60 'Top 40'
1 'Classic Rock' 21 'Ska' 41 'Bass' 61 'Christian Rap'
2 'Country' 22 'Death Metal' 42 'Soul' 62 'Pop/Funk'
3 'Dance' 23 'Pranks' 43 'Punk' 63 'Jungle'
4 'Disco' 24 'Soundtrack' 44 'Space' 64 'Native American'
5 'Funk' 25 'Euro-Techno' 45 'Meditative' 65 'Cabaret'
6 'Grunge' 26 'Ambient' 46 'Instrumental Pop' 66 'New Wave'
7 'Hip-Hop' 27 'Trip-Hop' 47 'Instrumental Rock' 67 'Psychadelic'
8 'Jazz' 28 'Vocal' 48 'Ethnic' 68 'Rave'
9 'Metal' 29 'Jazz+Funk' 49 'Gothic' 69 'Showtunes'
10 'New Age' 30 'Fusion' 50 'Darkwave' 70 'Trailer'
11 'Oldies' 31 'Trance' 51 'Techno-Industrial' 71 'Lo-Fi'
12 'Other' 32 'Classical' 52 'Electronic' 72 'Tribal'
13 'Pop' 33 'Instrumental' 53 'Pop-Folk' 73 'Acid Punk'
14 'R&B' 34 'Acid' 54 'Eurodance' 74 'Acid Jazz'
15 'Rap' 35 'House' 55 'Dream' 75 'Polka'
16 'Reggae' 36 'Game' 56 'Southern Rock' 76 'Retro'
17 'Rock' 37 'Sound Clip' 57 'Comedy' 77 'Musical'
18 'Techno' 38 'Gospel' 58 'Cult' 78 'Rock &Roll'
19 'Industrial' 39 'Noise' 59 'Gangsta' 79 'Hard Rock'
따라서 태그 정보 내의 이러한 Genre 필드의 판독을 통하여 용이하게 장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ID3V1 포맷이 아니라 ID3V2 등의 포맷을 가지는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ID3V1 포맷은 예컨대 Title 이나 Artist 등의 부가 정보 길이가 제한적이고 태그로 기록할 수 있는 정보 역시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ID3V2 규격이 도입되었다. ID3V2는 MP3 파일의 부가 정보를 프레임 단위로 무한히 기록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ID3V2의 Title 프레임에 제목 정보를 기입하고 Albun 프레임에 앨범명을 기록하게 되는 방식으로서, ID3V2는 이론상 무한대의 프레임을 가질 수 있고, 새로운 프레임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정의해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ID3V2는 앨범 재킷이나 가수의 이미지 등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가사 정보 역시 포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다른 포맷의 태그 정보에서도 마찬가지로 장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0에서 장르 정보가 아니라 다른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가 저장되는 경우라면 태그 정보 중에서 해당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서 이후 적합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단계 S130에서 판독한 태그 정보를 기초로 단계 S110에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중에서 태그 정보에 적합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추출하여 이를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한다(S150).
예컨대 단계 S110에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가 장르 정보를 기초로 저장되어 있다면, 단계 S150에서는 단계 S130에서 판독한 태그 정보 중의 장르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오디오 재생 환경 중에서 해당 장르에 대응하는 것을 재생 환경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표 2에 도시되듯이 Genre 필드 내에는 80개의 장르에 대해서 구분되어 있다.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통하여 추출한 장르 정보가 "Dance"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오디오 재생 환경 중에서 "Dance"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다면 재생 환경 정보의 선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통하여 판독한 장르 정보와 동일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라면, 판독된 장르 정보와 유사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Dance"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다면 다음으로 "Disco"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을 검색하여 이러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있으면 이를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한다. 또는 이마저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다음으로 "Grunge"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을 검색하여 이러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있으면 이를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통하여 판독한 장르 정보와 동일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라면,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서 가장 최근에 사용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태그 정보에서 판독한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에도 원활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다.
이후 단계 S150에서 선택한 재생 환경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한다(S170).
한편 단계 S150을 통하여 재생 환경 정보를 선택하여 재생을 수행하더라도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재생 환경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예컨대 버튼 입력 또는 마우스 클릭 등을 통하여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오디오 플레이어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플레이어에서는 이에 대응하여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 환경 정보의 변경은 예컨대 사용자가 직접 단계 S110에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 중에 원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을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현재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하여 이를 새로운 재생 환경 정보로 갱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재생 환경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재생이 수행되므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시 마다 환경 설정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재생 환경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이를 자신에 맞게 수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데이터, 즉 코드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지칭한다.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컨대 ROM, RAM 등의 메모리와, CD-ROM, DVD-ROM 등의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저장 매체,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며,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추출하고 장르 정보에 따라서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최적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각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개별적인 오디오 재생 환경 설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오디오 데이터 재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오디오 플레이어에서의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으로서,
    (a)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b) 오디오 데이터의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c) 상기 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중에서 상기 태그 정보에 적합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은 상기 오디오 플레이어의 이퀄라이저(equalizer)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MP3 규격에 적합한 오디오 데이터인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장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태그 정보 내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장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오디오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2)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와 동일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와 유사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상기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3)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 상기 판독된 장르 정보와 동일한 장르를 기초로 저장된 오디오 재생 환경이 없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에서 가장 최근에 사용된 오디오 재생 환경을 상기 재생 환경 정보로서 선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2) 미리 설정된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3)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다수의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을 설정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f)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환경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f-1) 상기 오디오 재생 환경 리스트 내의 다수의 오디오 재생 환경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환경을 상기 재생 환경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136302A 2006-12-28 2006-12-28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20080061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302A KR20080061498A (ko) 2006-12-28 2006-12-28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302A KR20080061498A (ko) 2006-12-28 2006-12-28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498A true KR20080061498A (ko) 2008-07-03

Family

ID=3981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302A KR20080061498A (ko) 2006-12-28 2006-12-28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1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83B1 (ko) * 2009-04-10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파일의 이미지 재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83B1 (ko) * 2009-04-10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파일의 이미지 재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295B2 (en) Automated playlist generation
JP4015599B2 (ja) プレイリストの管理装置及び方法
JP4349313B2 (ja) 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248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llection in a media player
KR20060101854A (ko) 매체 아이템의 라이브러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매체아이템의 서브그룹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70078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lay-list
US76204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tadata management
KR20100127268A (ko) 복수의 항목들 중 한 항목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200400586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リスト作成方法および、リスト作成処理プログラム
KR20080061498A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JPH11317061A (ja) テレビジョン画面を利用したデジタル記録媒体の文字情報制御システム
JP4587014B2 (ja) 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JP2009080934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1262377B1 (ko)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JP2006228318A (ja) 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編集方法
JP2009004047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4171684A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621123B1 (ko) 플레이리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252525B2 (ja) 音楽再生装置
JP437204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8097638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7026462A (ja) 音楽データの検索方法
JP2005129143A (ja) データ再生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電子装置におけるコンテンツ情報の管理方法
JP2002287774A (ja) 音楽再生装置
JP2004013924A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