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422A - 보안장치 - Google Patents

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422A
KR20080061422A KR1020060135850A KR20060135850A KR20080061422A KR 20080061422 A KR20080061422 A KR 20080061422A KR 1020060135850 A KR1020060135850 A KR 1020060135850A KR 20060135850 A KR20060135850 A KR 20060135850A KR 20080061422 A KR20080061422 A KR 2008006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camera
sensor
security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110B1 (ko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시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큐원 filed Critical (주)시큐원
Priority to KR102006013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고정대와, 상기 카메라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전환방향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카메라의 전환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각도를 전환하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장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안전요원의 불필요한 출동을 방지하고 증거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는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장치, 피사체, 추적, 카메라, 인체감지센서, 열선감지기

Description

보안장치{Securit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감지영역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인체감지센서
25: 반사판 30: 카메라 고정대
31: 볼 40: 카메라
41: 렌즈부 42: 삽입홈
43: 볼거치대 45: 자성체
50: 극변환 자석부 60: 조명수단
본 발명은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사 용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안전요원의 불필요한 출동을 방지하고 증거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는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도둑과 같은 침입자가 접근하였을 경우에, 그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보안장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실내 공간의 여러 곳에 설치되어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다수개의 카메라가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보안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침입자를 감시한다. 이때, 보안장치는 보안라인을 통해 침입하는 인체를 감지하였을 경우에 관리실이나 보안 경비업체 또는, 가까운 관할 경찰서 등에 자동으로 침입 여부를 알리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안장치는 다수개의 카메라가 실내 공간의 여러 곳에 고정 설치되어 일정 영역만을 촬영하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 및 설치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인체감지센서와 카메라 등이 각각 따로 구비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장치는 날씨나 작은 동물의 움직임, 사용자의 부주의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해 센서가 작동된 경우에도 관리자나 안전요원이 출동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보안장치는 단순히 물체의 움직임이나 온도의 변화만을 감지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보안장치의 오작동인 경우라 할지라도 관리자 나 안전요원이 출동하여 감시해야만 했다. 이는 다른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급상황에 관리자나 안전요원이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시급히 해결해야 될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보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감지센서와 카메라 등을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보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에 노이즈 필터부를 설치하여 벌레의 움직임이나 노이즈에 대한 감지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관리자나 안전요원이 보안장치의 노이즈의 입력에 의해 출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안장치는 소정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고정대와, 상기 카메라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전환방향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카메라의 전환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각도를 전환하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고정대의 하부에는 볼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상부에는 상기 볼에 결합되는 볼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외주연에는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둘레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자성을 띠는 복수의 극변환 자석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카메라의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극변환 자석부에 선택된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인체감지센서의 후방에는 각 인체감지센서에서 방사되는 인체 검출용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카메라의 둘레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될 때 점등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수단은 IR센서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는 인체감지센서의 출력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부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감지영역을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또한, 도 3은 카메라가 설치된 일부 영역을 확대한 일부단면도이며, 도 4는 카메라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100)는 소정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고정대(30)와, 상기 카메라 고정대(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4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20)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40)의 전환방향을 산출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카메라(40)의 전환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40)의 각도를 전환하는 카메라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천장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베이스(11)와, 돔 형상의 커버(미도시)로 구성되어 실내 공간에 설치된다.
인체감지센서(20)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시한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20)는 하우징(10)의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실내 공간을 분할하여 감시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서와 같이, 보안장치(100)는 하우징(10)의 양 측방에 제1인체감지센서(21)와 제2인체감지센서(22)를 구비하여 각각의 센서(21,22)가 실내공간(R)의 제1섹터영역(S1) 및 제2섹터영역(S2)을 감시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와 같이 보안장치(100)는 제1,2,3,4인체감지센서(21,22,23,24)를 하우징(10)에 십자가 형태로 구비하여 실내 공간(R)의 제1,2,3,4섹터영역(S1,S2,S3,S4)을 각각 감시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20)로는 열선감지기, 광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20)의 후방에는 각 인체감지센서(20)에서 방사되는 인체 검출용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25)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25)은 거울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양단이 내측으로 휜 아치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반사판(25)은 인체감지센서(20)로부터 실내 공간의 반대측으로 방사되는 인체 검출용 빔을 실내 공간으로 반사시켜 감시 영역을 더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의 카메라가 설치된 일부 영역을 확대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카메라 고정대(30)는 일측이 하우징(10)에 고정되 도록 설치되며 타측에 볼(31)을 구비한다. 이러한 카메라 고정대(30)의 하부에는 카메라(40)가 설치된다.
카메라(40)는 카메라 고정대(3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40)의 일측에는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렌즈부(4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카메라 고정대(30)의 볼(31)이 삽입되는 삽입홈(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카메라(40)는 상기 삽입홈(42)의 내측에 볼거치대(43)가 구비되어 상기 볼(31)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카메라(40)의 외주연에는 자성체(45)가 구비된다. 자성체(45)는 자석에 달라붙는 강자성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체감지센서(20)와 마주하는 영역에 각각 설치되거나, 링 형상으로 카메라(40)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40)의 둘레에는 인체감지센서(20)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인체 방향으로 카메라(40)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카메라 구동부가 설치된다.
카메라 구동부는 카메라(40)의 둘레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자성을 띠는 복수의 극변환 자석부(5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카메라(40)의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극변환 자석부(50)에 선택된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미도시)로 구성된다.
극변환 자석부(50)는 폴대 형상으로 제조되며, 카메라(40)의 둘레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극변환 자석부(50)는 상기 자성체(45)와 상기 인체감지센서(20)의 선상에 하나씩 설치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카메라(40)가 회동하였을 때 상기 자성체(45)와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다.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20)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40)의 전환방향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도 4a에서와 같이, 제1,2인체감지센서(21,22)로부터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제1,2극변환 자석부(50a,50b)에 자성체(45)와 같은 극(N)의 자력을 인가하도록 자력 인가부를 제어한다. 이때, 도 4b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제1인체감지센서(2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제1극변환 자석부(50a)에 자성체(45)와 상호 다른 극(S)의 자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도 4c에서와 같이 제2인체감지센서(2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제2극변환 자석부(50b)에는 자성체(45)와 상호 다른 극(S)의 자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카메라(40)는 제1인체감지센서(21)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경우에 제1극변환 자석부(50a)와 자성체(45)에 인력이 발생하고 제2극변환자석부(50b)와 자성체(45)에 척력이 발생되므로, 제1극변환 자석부(50a)와 자성체(45)가 접촉되어 제1인체감지센서(21) 방향으로 전환되며, 제2인체감지센서(22)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제2극변환 자석부(50b)와 자성체(45)에 인력이 발생하고 제1극변환 자석부(50a)와 자성체(45)에 척력이 발생되므로, 제2극변환 자석부(50b)와 자성체(45)가 접촉되어 제2인체감지센서(22) 방향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100)에는 인체감지센서(20)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 공간을 조명하는 조명수단(60) 및 경보수단(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수단(60)은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의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센서(I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보수단은 경광등이나 사이렌 등으로 구성되어, 인체감지센서(20)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경고신호 또는 사이렌 등으로 침입자에게 경고를 하여 도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조명수단(60) 및 경보수단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100)에는 노이즈 필터부(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20)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인체감지센서(20)의 출력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인체감지센서(20) 후방에 설치되어 벌레의 움직임 또는 노이즈의 입력을 필터링한다. 예컨대, 인체감지센서(20)로 열선감지기가 사용될 경우에 열선감지기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 폭이 소정 레벨이 이르지 못할 경우는 벌레의 움직임과 같은 노이즈의 입력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와 같이 노이즈의 입력으로 간주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며, 열선감지기의 감지신호 중 인체의 접근 및 움직임의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안장치(100)에 설치된 제1,2인체감지센서(21,22)는 각각 실내 공간의 제1,2섹터영역(S1,S2)을 감시한다. 만일, 침입자가 정문을 통해 실내 공간에 침입하 게 되면, 정문 방향의 제2섹터영역(S2)을 감시하던 제2인체감지센서(22)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2인체감지센서(2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자력 인가부를 통해 제2인체감지센서(22)와 마주하는 제2극변환 자석부(50b)에 자성체(45)와 다른 극의 자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카메라(40)는 도 4에 보인 것과 같이, 제2인체감지센서(22)와 마주하는 제2극변환 자석부(50b)와 자성체(45)가 달라붙음으로 인해 제2섹터영역(S2)으로 전환되어 상기 영역을 촬영한다. 위와 같이, 침입을 감지한 보안장치는 제어부를 통해 관리시스템으로 침입자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 및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4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로부터 처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외부의 관리시스템(미도시)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감지신호는 실내 공간에 침입한 침입자의 감지여부 및 감지된 날짜, 시간 등을 포함한다. 관리시스템은 아파트의 관리소나 보안 경비업체, 경찰서 등과 같이 관리자나 안전요원이 상시로 감시하는 장소에 구비된 메인 보안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안시스템에는 상기 보안장치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컴퓨터를 통해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는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컴퓨터 내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통해 자동 저장된다. 따라서, 관리시스템에서 대기하던 출동대원이나 상주직원은 경고신호 및 영상을 통해 침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에 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장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없이 감시영역에 인체의 침입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카메라가 전환되므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한 장치 내에 인체감지센서 및 카메라 등이 구비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안장치는 종래의 보안장치에 대비하여 노이즈 필터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벌레의 움직임이나 오작동 등과 같은 노이즈 입력에 의한 안전요원의 출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안장치는 송신된 영상신호를 보안시스템 내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에 따른 증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보안장치는 조명수단 및 경보수단을 더 구비함으로 써, 침입자에게 경고를 하여 도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정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고정대와, 상기 카메라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접근한 인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의 전환방향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카메라의 전환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각도를 전환하는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고정대의 하부에는 볼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상부에는 상기 볼에 결합되는 볼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외주연에는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둘레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자성을 띠는 복수의 극변환 자석부와, 상기 제 어부에 의해 산출된 카메라의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극변환 자석부에 선택된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인체감지센서의 후방에는 각 인체감지센서에서 방사되는 인체 검출용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둘레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될 때 점등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IR센서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는 인체감지센서의 출력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부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장치.
KR1020060135850A 2006-12-28 2006-12-28 보안장치 KR10085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50A KR100858110B1 (ko) 2006-12-28 2006-12-28 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50A KR100858110B1 (ko) 2006-12-28 2006-12-28 보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422A true KR20080061422A (ko) 2008-07-03
KR100858110B1 KR100858110B1 (ko) 2008-09-10

Family

ID=3981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850A KR100858110B1 (ko) 2006-12-28 2006-12-28 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42B1 (ko) * 2009-07-24 2009-12-17 이화랑 방범 경계용 감시 램프장치
KR101270901B1 (ko) * 2011-07-07 2013-06-07 황광진 유괴 및 범죄방지용 영상촬영장치
KR20140116744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20230132884A (ko) * 2021-02-18 2023-09-18 구글 엘엘씨 모듈식 투광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32B1 (ko) * 2003-09-05 2006-03-16 (주)테크노비전 무인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42B1 (ko) * 2009-07-24 2009-12-17 이화랑 방범 경계용 감시 램프장치
KR101270901B1 (ko) * 2011-07-07 2013-06-07 황광진 유괴 및 범죄방지용 영상촬영장치
KR20140116744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20230132884A (ko) * 2021-02-18 2023-09-18 구글 엘엘씨 모듈식 투광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110B1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77B1 (ko)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US8786765B1 (en) Moveable LED array flaps in IR LED camera
JP2013109440A (ja) 防犯カメラ装置
KR20110012017A (ko) 가로등
EP3381021B1 (en) Thermal motion detector and thermal camera
KR101291932B1 (ko) 가변식 보조광원이 설치된 cctv 카메라
KR100858110B1 (ko) 보안장치
JP2009282954A (ja) 屋外用防犯装置
KR100696608B1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JP5033398B2 (ja) 監視カメラ装置
US20080031607A1 (en) Burglar alarm monitoring apparatus
KR101615824B1 (ko)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93810B1 (ko) 무인기계 경비시스템용 오경보 방지 카메라
JP2010108461A (ja) 警告灯付き防犯玄関子機
KR20160095901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3286444B2 (ja) 火災感知器
KR20070034385A (ko) 무인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9048B1 (ko)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JP2009123149A (ja) 防犯装置
KR101804309B1 (ko) 위치 추적 감시 카메라
KR20010111970A (ko) 적외선엘이디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KR102026405B1 (ko) 방범용 스마트 램프
CN111050142A (zh) 一种多功能安防监控摄像机
KR102276837B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JPH0981868A (ja) 侵入体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