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301A - 휴대형 침구 - Google Patents

휴대형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301A
KR20080060301A KR1020060134246A KR20060134246A KR20080060301A KR 20080060301 A KR20080060301 A KR 20080060301A KR 1020060134246 A KR1020060134246 A KR 1020060134246A KR 20060134246 A KR20060134246 A KR 20060134246A KR 20080060301 A KR20080060301 A KR 2008006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endothelial
storage space
mat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철
Original Assignee
박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철 filed Critical 박주철
Priority to KR102006013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0301A/ko
Publication of KR2008006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6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여행중 야영을 하거나, 장례식장 등 특정한 장소에서 수면을 취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 침구는 외피와, 외피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튜브형 내피를 결합하여 사용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받고, 사용 후 보관 또는 이동시 상기 내피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켜 침구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요 또는 매트와, 수면시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 일체형의 휴대형 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깔판, 요, 매트, 베개,튜브,공기주입구,외피,내피,수납공간.

Description

휴대형 침구{Handy Type Bedding}
도1, 제1 실시 예의 휴대형 침구 구조 개략도.
도2, 제1 실시 예의 휴대형침구 내피용 튜브의 구조개략도.
도3, 제2 실시 예의 휴대형 침구 구조개략도.
도4, 변형 실시예의 휴대형 침구 구조개략도.
도5, 변형 실시예의 휴대형 침구 내피용 튜브의 구조개략도.
도6, 변형 실시예의 상단면 구조개략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외피(또는 매트,깔판).
2 내피(또는 내피용 튜브,튜브).
10 베개의 외피(분리된 베개의 외피).
20 베개의 내피(베개의 내피용 튜브,튜브).
50 공기 주입구(내피용 튜브의 공기주입구)
70 지퍼(또는 잠금장치)
A,B,C,D 내,외피의 칸막이(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된 내,외피의 칸막이)
본 발명은 이동된 장소나 캠핑 등의 야영 또는 침구를 구비 보관해두기 어려운 장소에서 잠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베개와 매트(요) 일체형의 잠자리 제공용 휴대형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인간이 가정에서 수면을 취할 때에는 인체를 받쳐주는 푹신한 매트리스나 요(매트)를 깔고, 체온을 보온해주는 이불 또는 담요를 덮으며,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를 베고 안락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가정을 벋어나 이동된 특정의 장소인 야외의 야영장 또는 사후 장례식을 치르는 장례식장 등 불특정 이동 장소에서 수면을 취할 때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베개와 푹신한 담요를 제공 또는 준비하거나 이동하기 어려웠고, 특히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거나 밤샘 조문을 하는 장례식장 등에서는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기 어려워 3~5일 동안 딱딱한 맨바닥에서 두루마리 휴지 등을 베개로 하여 불편한 수면을 취할 수밖에 없었으며, 특히 지면이 울퉁불퉁한 야외의 야영장 등에서는 푹신한 요(매트)와, 머리를 받치는 베개를 별도로 준비하기에는 거추장스럽거나 거북하여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받기 어려웠다.
본원발명의 휴대형 침구는 이동과 보관이 편하면서 잠자리 침구 본래의 기능 과 안락함이 있는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실내온도가 따듯한 가정이나 장례식장 등에서는 인체를 받쳐주는 푹신한 요 또는 매트와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만 제공되면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동된 장소 또는 바닥이 평평하지 못하는 야영장 등에서, 인체의 등과 허리 부분을 받쳐주는 푹신한 요 또는 매트와 머리를 받치는 베개를 준비하고 다니기에는 부피가 크거나, 다소 무거운 중량이 부담스러웠다.
본원에서는 상술한 불편사항을 개선하는 휴대형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상,하 깔판과 옆면이 적층 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매트의 외피(1)와, 상기 외피의 수납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사방이 밀폐되고 밀폐된 일 측면에 공기주입구(50)가 구비된 튜브형 내피(2)가,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튜브형 내피(2)가, 상기 외피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휴대형 침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침구는 사용할 때 외피(1)의 내부에 결합 된 튜브(2)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함으로서 일정 두께가 형성되어 폭신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하게 되고, 사용 후 보관 또는 이동시 상기 내피(2)의 공기를 배출하여 부피를 축소함으로서 이동과 보관 사용이 편리한 휴대형 침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실시 예를 기재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성 내용을 서술한다.
먼저 도1은 제1 실시 예의 휴대형 침구의 완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 도이고, 도2는 제1 실시 예의 휴대형 침구의 튜브형 내피(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침구는 매트를 형성하는 상,하 깔판과 옆면이 적층 된 다음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외피(1)를 구성하고, 상기 외피의 일단부가 도면 상측으로 연장되어 원기둥형 베개부의 외피로 형성된다.
상술한 외피(1)는 사용자의 신장과 수에 따라 일인용 또는 다수인용으로 외형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외피(1)의 두께가 형성될 수 있게 되는데, 가령 인체의 구부려진 허리와 엉덩이의 굴곡 선을 받쳐 줄 수 있는 3~15cm 전후가 바람직하며, 그와 비례하여 상기 외피(1)의 수납공간에 결합 될 내피용 튜브(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외피(1)는 지면과 밀착되는 하부 깔판과, 인체와 밀착되는 상부깔판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인체와 접촉되는 상부깔판은 보온성과 탄력성 및 흡수성 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천연고무를 발포시켜 형성하는 폼(Foam)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품의 단가와 이동시 전체의 무게를 감안하여야 함으로 합성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하는 폼(Foam)이 바람직할 수도 있고 촉감이 좋은 면직물로 표면을 처리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상,하 깔판과 연계되는 상,하 좌,우 측면의 커버로 이루어져 외피(1)가 구성되는데, 상,하 깔판과, 좌,우 4 측면의 옆 판(커버)은 바느질로 상호 결합하거나 저온으로 용융 접합할 수 있고 접착재로 접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1)의 일 측면에는 내피용 튜브(2)를 탈착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 를 개폐할 수 있는 지퍼(도6,7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피(1)의 내부에 투입되어 결합되는 튜브형 내피(2)는, 외피(1)의 형상에 비례하며, 사방이 밀폐화 된 밀폐용기로 구성 되데, 무게가 가볍고 신축성이 양호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의 비닐 튜브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50)가 구비되어 튜브형 내피(2)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외피(1)를 형성할 때, 내,외피(1,2)가 일체화로 구성된 매트(1)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작상 밀폐화 되어야 하는 내부의 수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가 빠질 수 있는 단점이 많고, 날카로운 송곳 등으로 매트의 어느 일부가 파손되었을 때를 감안하여 내,외피(1,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내피(1)와 내피(2)를 분리하여 구성한 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구성된 외피(1)에 튜브형 내피(2)를 상호 결합하여 휴대형 침구(도1)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형 침구(도1)는 튜브형 내피(2)에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는 부피가 작아 둘둘 말아서 보관하기에 간편하고 무게가 가벼워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시에는 상기 침구를 펼치거나, 둘둘 말린 상태에서 공기주입구(50)에 공기만 주입하면 휴대형침구(50)가 펼쳐지면서 베개까지 한번에 구비됨으로 폭신한 요 또는 매트에서 제공하는 안락감을 느끼면서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3는 제1 실시 예의 휴대형 침구의 변형 예를 도시한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 예의 침구는, 베개(10,20)와, 매트(1,2)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베개(10,20)와, 매트(1,2)의 튜브형 내피(2,20)에 공기주입구(50)가 별도로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의 침구는 전항의 제1 실시 예의 침구 구조와 동일 유사하고, 다만 베개(10,20)부와 요(1,2) 부분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각부에 공기주입구(50)만 더 구비되는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상기 3도 실시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외피(1,2)가 일정 두께로 구비된 휴대형침구(도1,도3)의 내피(2)에 공기를 주입하면 전체 면적이 넓은 상기 침구는, 사용자의 체중 무게로 공기의 압력변화에 따라 좌,우측이 출렁이게 되는데, 상기 출렁임을 개선하는 한 방편으로 외피(1)의 일정 간격에 다수의 칸막이(도5,도6의 A,B,C,D)를 더 형성한 다음, 칸막이로 분리된 외피(도4의 A,B)의 수납공간에 투입되는 튜브형 내피(도5,A,B) 또한 좌(A)우(B)로 분리하여 구성하면 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중에도 출렁임이 적은 휴대형 침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의 휴대형 침구(도4,도5)와,
도 6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휴대형 침구의 상단면 구조 개략도와 같이 휴대형 침구를 형성하는 매트(1)의 두께와, 면적에 비례하여 상기 칸막이(A,B,C,D)와 튜브형 내피(2) 또한 비례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 다른 변형 예로서, 수납공간과 공기주입구가 구비되지않은 매트(1)와, 튜브가 구비된 베개(10,20)만으로 휴대형 침구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외피(1)의 내부에 투입되어 결합 된 튜브형 내피(2)가 상기 외피에서 탈출되지 못하게 하거나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외피(1)의 일단부를 지퍼(70)로 구성하여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퍼(70)는 일단의 벨트 또는 노끈과 밴드 또는 클립 단추 등으로 형성하여 마감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다수의 실시 및 변형 예들은 바람직한 실시 예만을 도시한 것임으로 본원발명의 사상과 청구범위 내의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원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상으로 구성되는 본원발명의 휴대형 침구는 야영 또는 특정 장소에서 부득이 수면을 취할 수밖에 없을 때, 내피의 튜브(2)에 공기만 주입하면 훌륭한 침구가 마련됨으로 큰 불편 없이 피로를 풀 수 있는 휴대형 침구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야외 나들이시 야영 또는 특정 장소의 방문시 귀가 시간이 늦어 방문장소에서 수면을 취할 때, 미쳐 준비되지 않는 잠자리용 침구인 매트나 요 및 베개 때문에 불편함이 많았으나, 본원 발명의 휴대형 침구를 제공함으로 서, 이동과 보관 사용이 편리함으로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준비할 수 있어 수면이 편안한 잠자리제공용 휴대형 침구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잠자리를 제공하는 매트나, 깔판용 침구에 있어서,
    상,하 깔판과 옆면이 적층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베개를 포함한 외피(1)부와,
    상기 외피(1)부의 수납공간에 수용되면서 사방이 밀폐되고 밀폐된 튜브 내부에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50)가 구비된 튜브형 내피(2)와,
    상기 외피(1)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상기 튜브형 내피(2)가 결합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침구
  2.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잠자리를 제공하는 매트나 깔판용 침구에 있어서,
    상,하 깔판과 옆면이 적층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베게(10), 또는 매트의 외피(1)와,
    상기 베게(10) 또는 매트의 수납공간에 수용되면서 사방이 밀폐되고 밀폐된 튜브 내부에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50)가 구비된 내피용 튜브(2,20)와,
    상기 베게(10) 또는 매트(1)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상기 내피용 튜브(2,20)가 결합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침구.
  3.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잠자리를 제공하는 매트나 깔판용 침구에 있어서,
    상,하 깔판과, 옆면이 다수의 칸막이(도6,A,B,C,D)로 적층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다수로 형성되는 외피(도6의 원호 1)와,
    상기 외피(1)의 다수 수납공간에 수용되면서 사방이 밀폐되고 밀폐된 튜브 내부에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50)가 구비된 내피용 튜브(2 예;도5,도6의,A,B,C,D)와, 상기 외피(1)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수납공간에 상기 내피용 튜브(2,A,B,C,D)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침구.
  4. 수면을 취할 때 잠자리를 제공하는 매트 또는 깔판용 침구에 있어서,
    원통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10)와, 상기 외피(10)의 수납공간에 수용되면서 사방이 밀폐되고 밀폐된 튜브 내부에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50)가 구비되는 내피용 튜브(20)로 형성되는 베개(10,20)와,
    인체를 받치는 깔판용 매트 또는 요(1)와
    상기 베개(10,20)와 매트(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침구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침구는, 사용시 내피용 튜브(2)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피를 확대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침구의 보관 또는 이동시 내피용 튜브(2)의 공기를 빼내어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침구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침구의 외피(1)는, 상하 깔판과 옆면이 적층되는 일 측면(도6 하단참조)에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튜브형 내피(2)를 착,탈 할 수 있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를 개폐하는 수단(70, 예:지퍼)으로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침구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침구는, 외피(1)와, 내피(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50)가 매트(1,2)의 일 측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침구.
KR1020060134246A 2006-12-27 2006-12-27 휴대형 침구 KR2008006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246A KR20080060301A (ko) 2006-12-27 2006-12-27 휴대형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246A KR20080060301A (ko) 2006-12-27 2006-12-27 휴대형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301A true KR20080060301A (ko) 2008-07-02

Family

ID=3981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246A KR20080060301A (ko) 2006-12-27 2006-12-27 휴대형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03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357B1 (ko) * 2009-10-01 2009-12-11 함명식 휴대용 침구시트
KR20160111808A (ko) * 2015-03-17 2016-09-27 신동인 액체가 주입되는 목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357B1 (ko) * 2009-10-01 2009-12-11 함명식 휴대용 침구시트
KR20160111808A (ko) * 2015-03-17 2016-09-27 신동인 액체가 주입되는 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5199A (en) Hot and cold therapeutic pillow
US6189168B1 (en) Air cell pillow
US6347421B1 (en) Portable head pillow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EP3389448A1 (en) Backrest pillow
US11324335B2 (en) Inflatable product with breathable user interface
US20210392851A1 (en) Multi-Layer Modular Pet Bed
WO2007074867A1 (ja)
US20210161297A1 (en) Self-inflating travel meditation mat and pillow
KR101376133B1 (ko) 아기용 침대
KR102158943B1 (ko) 사용자 맞춤 베개
KR20080060301A (ko) 휴대형 침구
JP3100276U (ja) ビーズクッションソファ
JP3246194U (ja) 携帯用寝具
CN218852322U (zh) 一种便携式高填充褥子
CN210842518U (zh) 羽绒包覆枕头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CN208851092U (zh) 一种双材质夹芯复核枕
JP3238913U (ja) 硬さと高さをそれぞれ調整できるチップ枕
KR101808156B1 (ko) 여행용 베개 및 그 보관방법
KR200461927Y1 (ko) 침대용 접이식 매트리스
JP3173504U (ja)
JP3240921U (ja) ハンモック用ベッドクッション
CN202908373U (zh) 充气式健康枕
CN219396861U (zh) 360度可调节随心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