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972A -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972A
KR20080059972A KR1020060133958A KR20060133958A KR20080059972A KR 20080059972 A KR20080059972 A KR 20080059972A KR 1020060133958 A KR1020060133958 A KR 1020060133958A KR 20060133958 A KR20060133958 A KR 20060133958A KR 20080059972 A KR20080059972 A KR 2008005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ail
washing
counter
dish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958B1 (ko
Inventor
이연숙
이재성
이재연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3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95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정찬(dinning)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문 음식물이 레일을 따라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각 고객 플랫폼(platform)으로 자동 공급되고 다수의 고객 플랫폼으로부터 자동 퇴식 처리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에서 레일을 따라 다수의 고객플랫폼로부터 퇴식처리된 식기들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건조하며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별로 식기들을 관리하는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문된 요리 또는 요리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플랫폼들로 전송하기 위한 레일인 제1 레일, 각 플랫폼에서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인 제2 레일을 구비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반입된 퇴식 트레이들을 세척 또는 세척건조를 하며, 그 세척실이 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층 마다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식기세척 장치; 상기 제2 레일의 일단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 이송하며, 상기 식기세척 장치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난 트레이들을 제1 레일로 전달하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일 하부에 위치된 리니어 액튜레이터; 트레이의 거치대로, 상기 리니어 액튜레이터의 위에 위치되어, 그 상면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각 층에 트 레이를 싣거나,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각 층으로부터 트레이를 내리기 위한 트레이 지지대;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 지지대는 트레이의 이송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트레이 지지대는 상기 제2 레일에서 트레이를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층에 놓여지게 하기 위한 역방향 트레이 레일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부터 트레이 지지대로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정방향 트레이 레일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부터 트레이 지지대로 이송된 트레이를 제1 레일로 이송하기 위한 횡방향 트레이 레일을 더 구비한다.
음식물, 식기, 트레이, 세척, 랙, 레일, 세척 장치

Description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Auto dishwash system of auto dinning servi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자동 세척 시스템으로 식기가 반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자동 세척 시스템으로부터 식기가 반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자동 세척 시스템으로 식기가 반입되 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의 자동세척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흐름도의 일예이다.
도 16는 도 12의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흐름도의 일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인 주방 101,102,103,104:고객 서비스 시스템
125: 히터 150: 트레이
170: 식기세척 랙 171: 제1층
172: 제2층 173:제3층
100p: 메인 플랫폼 101p,102p,103p,104p: 고객 플랫폼
200: 제1 레일 300: 제2 레일
340: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350: 트레이 제어 시스템
351: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 352: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
355: 리니어 액튜레이터 360: 다단 지지봉
365: 랙 지지대 370: 제3 레일
400: 식기세척 장치 402: 세척실
403: 퇴수 유도부 405: 도어
406: 세척노즐 407: 헹굼 노즐
410: 세척모터 420: 헹굼수탱크
421: 린스모터 426: 배수구
427: 콕 440: 컨트롤부
490: 제4 레일 600: 트레이 지지대
601: 제1 트레이 지지대 602: 제2 트레이 지지대
610: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 611: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
612: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 620:역방향 트레이 레일
630: 정방향 트레이 레일 640: 횡방향 트레이 레일
650: 센싱부 652: 제2 센싱부
660: 메모리 662: 제2 메모리
701: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 702: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
본 발명은 자동 정찬(dinning)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문 음식물이 레일을 따라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각 고객 플랫폼(platform)으로 자동 공급되고 다수의 고객 플랫폼으로부터 자동 퇴식 처리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에서 레일을 따라 다수의 고객플랫폼로부터 퇴식처리된 식기들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건조하며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별로 식기들을 관리하는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정찬 시스템은 음식점에서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제공에서부터 퇴식,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반환까지의 전반적인 과정을 자동화하여, 음식물의 공급이나 퇴식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손님에게 신속, 정확하게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는 주문 음식물의 자동 공급 및 퇴식 처리시스템을 말하며, 자동 정찬 시스템에는 손님이 주문한 음식을 만드는 메인주방과, 고객의 테이블이 놓인 고객 서비스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주방과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들을 연결하는 레일이 놓여 있으며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들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들어오는 음식물등이 정차할 수 있는 고객 플랫폼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특히 노인 인구가 점차적으로 많아지고 있는데, 젊은 층의 인구뿐만 아니라 이러한 노인들도 안락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심화되어 가는 고인력난 등에 발맞추어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자동 정찬 시스템이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이나 한식당 혹은 일식집 등과 같은 대중 음식점에 손님이 방문한 경우에는, 종업원이 손님을 테이블로 안내한 후, 주문서에 손님이 선 택한 음식을 표기한 다음, 그 주문서를 카운터에 전달함으로써 주문이 행해진다. 이와 동시에, 카운터에 접수된 주문서의 사본이 주방에 전달되어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조리가 행해진 후, 종업원에 의해 손님이 착석한 테이블로 배달되는 것에 의해 주문한 음식물의 공급이 완료된다. 이후, 손님은 식사가 종료된 후 테이블에 놓여진 주문서 사본을 갖고 카운터로 가서 식대를 정산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음식점의 규모가 큰 경우 홀이 넓거나 혹은 다수의 테이블 혹은 복수의 방을 갖고 있으므로,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제공(공급)시 종업원은 주방에서 나온 음식물을 들고 각각의 테이블이나 방으로 운반해야 할 뿐만 아니라, 퇴식시 각각의 테이블이나 방에서 음식물인 남겨진 식기를 들고 주방으로 다시 운반해야하므로, 별도의 인력이 보충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님에 대한 음식물의 제공시 종업원의 실수로 인해 손님에게 주문서와 다른 음식물이 제공되거나 혹은 음식물의 운반 도중 음식물이 엎질러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 정찬 시스템에서 다수의 고객플랫폼로부터 퇴식된 식기가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식기세척기에 넣어지고 자동으로 세척처리되며 각 고객 플랫폼별로 식기들을 관리하는 자동 정찬 시스템의 자동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로써 자동 정찬 시스템을 구비하는 음식점 등에서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제공에서 퇴식,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반환까지 일련의 과정에 필요한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 정찬 시스템에서 다수의 고객플랫폼으로 부터 퇴식된 식기가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식기세척기에 넣어지고 자동으로 세척처리되어 자동건조되며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별로 식기들을 식별하여 자동으로 식기가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으로 전달되는 자동 정찬 시스템의 자동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음식점 등에서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제공후 퇴식,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반환까지 일련의 과정에 필요한 시간,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정찬 시스템의 자동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메인 주방(100),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들, 제1 레일(200), 제2 레일(300),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3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레일(200)은 메인 주방(100)에서 주문된 요리 또는 요리재료가 담겨진 메인주방 트레이를 주문한 고객 플랫폼으로 전송하기 위한 주문 레일이다. 또한 제 1 레일(200)은 세척된 식기가 담긴 트레이들을 각 고객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이하에서 제1 레일(200)과 같은 방향을 정방향이라 한다.
제2 레일(300)은 각 고객 플랫폼에서 식사 등이 끝나고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를 식기세척 장치(400)로 전송하기 위한 퇴식 레일이다. 이하에서 제2 레일(300)과 같은 방향을 역방향이라 한다.
제1 레일(200)과 제2 레일(300)은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레일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주방(100)은 요리사들에 의해 고객에 의해 주문된 요리가 만들어지는 곳이다. 메인주방(100)의 식기들에는 메인주방의 식기임을 나타내는 식별번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식기들은 요리를 담거나 할때 항상 메인주방의 식별번호가 들어 있는 메인주방 트레이에 담아서 전달된다. 또한 메인주방 트레이의 일측 소정의 위치에는 행선지와 내용물 등을 알리는 태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주방 트레이는 망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메인주방 트레이에 식기를 넣은 채로 식기를 세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메인주방(100)은 메인 플랫폼(100P)을 구비하여 메인주방(100)에서 생성된 요리를 제1 레일(200)을 통해 각 고객 플랫폼(101P, 102P, 103P 등)으로 전송하고, 메인주방(100)에서 발생된 퇴식 식기를 담은 트레이들을 제2 레일(300)에 놓아 식기세척 장치(400)로 전송하게 한다.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 103, 104 등)은 서브 주방, 식탁, 고객 플랫폼(101P, 102P, 103P, 104P 등)을 구비하여, 고객은 주문한 요리를 메인주방(100)으로 부터 제1 레일(200)을 통해 전달받기도 하며, 고객이 식재료를 주문하여 메인 주방(100)으로 부터 제1 레일(200)을 통해 전달받아 서브 주방에서 요리할 수 있다.
고객 플랫폼(101P, 102P, 103P, 104P 등)은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 등)에 제1 레일(200)에서 요리가 담긴 트레이를 하차시키며 퇴식 식기를 담은 트레이들을 제2 레일(300)에 놓는 플랫폼이다. 즉, 고객 플랫폼은 제1 레일(200)에서 다가오는 메인주방 트레이의 행선지를 읽어들여, 그 행선지가 현재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면 그 트레이를 하차시키고 그렇치 않으면 통과시킨다. 또한 고객 플랫폼위에 놓여 있는 퇴식 트레이를 제2 레일(300)위에 승차시킨다. 즉, 고객 플랫폼에는 RF 리더기가 장착되어 있어, 각 트레이에 장착된 전자태그(RFID)를 읽고 식별한다.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의 식기들은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의 식기임을 나타내는 식별번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식기들은 퇴식하거나 할때 항상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의 식별번호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에 담아서 전달한다.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 등)은 잔반처리시스템(미도시)을 각기 구비하며, 고객은 식사후 잔반을 처리하고 메인주방 식기는 메인주방 트레이에 담고,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 등)의 식기는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퇴식 트레이에 담아서 고객 플랫폼을 통해 제2 레일(300)위에 놓는다. 상기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트레이는 망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340)은 제2 레일(300)을 따라 들어온 퇴식 트레이들 을 세척 또는 세척건조한 후, 제1 레일(370)에 실어 각 플랫폼(100P, 101P, 102P 등)으로 전송된다.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340)의 세척실은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102,103, 104)마다 컴퓨터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컴퓨터를 통해 메인주방(100) 및 카운터(미도시)와 화상대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만들고자하는 요리의 레시피 등을 인터넷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주문한 음식물의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340)은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과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루어진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2 레일(300)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다층으로 이루어진 식기세척 장치(400)에 자동 정렬한다. 또한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및 건조가 끝난 각층의 트레이들을 제1 레일(200)위로 전달한다. 이렇게 제1 레일(200)로 전달된 트레이들은 그 식별번호에 따라 각 플렛폼으로 전송된다.
식기세척 장치(400)는, 제2 레일(300)와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통해 입력된 퇴식 트레이들이 세척과정 또는 세척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며, 그후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통해 제1 레일(20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은 식기세척 장치(400) 자체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트레이 제어 시스 템(350)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식기세척 장치(400)는 종래의 공지된 어느 식기세척 장치라도 좋으며, 단지 본 발명의 식기세척 장치는 그 세척실에서 퇴식식기가 놓이는 부분에 레일이 놓여져 있는 것만이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식기세척 장치의 그 상세 구성은 생략하도록 한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도 3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자동 세척 시스템으로 식기가 반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도 3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자동 세척 시스템으로부터 식기가 반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6은 도 3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이 위치되어 있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리니어 액튜레이터(355),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루어진다.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여 트레이 지지대(355)가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는 유압식 액튜레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단 지지봉(360)은 리니어 액튜레이터(355)와 트레이 지지대(600) 사이에 위치하여 리니어 액튜레이터(355)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된다. 본 발명에서 리니어 액튜레이터(355) 및 다단 지지봉(360)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트레이 지지대(600)는 리니어 액튜레이터(355) 위에 위치하여, 리니어 액튜레이터(355)에 의해 트레이 지지대(600)가 높은 위치에 놓이거나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는 트레이 지지대(60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식기세척 장치(400)의 각 층에 트레이(150)를 싣거나, 식기세척 장치(400)의 각 층으로부터 트레이(150)를 내리기위한 것이다. 트레이 지지대(600)의 상측면에는 센싱부(650)를 구비하며, 또한 트레이 지지대(600)에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센싱부는 광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트레이 지지대(600)는 제2 레일(300)에서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에 놓여지게 하기위한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과,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트레이 지지대(600)로 트레이(150)를 이송시키는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을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정방향 트레이 레일과 상기 역방향 트레이 레일은 하나의 레일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송된 트레이(150)를 제1 레일(100)로 이송하기 위한 횡방향 트레이 레일(640)을 구비한다.
즉,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에서 제2 레일(300) 및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이 동작하여, 트레이(150)를 제2 레일(300)에서 트레이 지지대(600)를 거쳐 식기세척 장치(400)의 각층에 놓여지게 한다. 또한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된 트레이(150)들을 식기세척 장치(400)의 레일과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을 이용하여 트레이 지지대(600)로 올려지게 하며, 횡방향 트레이 레일(640) 및 제1 레일(200)을 이용하여 트레이 지지대(600) 상의 트레이(150)가 제1 레일(200)로 이송된다.
제2 레일(300)에서 식기세척 장치(400)로 트레이(150)를 이송하는 경우, 제2 레일(300) 및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150)가 제2 레일(300)에서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송되며, 이때 센싱부(650)는 트레이 지지대(600)에 트레이(150)가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로 알린다. 그 후,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는 트레이 지지대(600)에 이송된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되어 메모리(660)에 저장되어 있는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의 층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는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 등을 일시 정지하게 하여 더 이상 트레이(150)가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송되지 않게 하며,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를 제어하여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의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상기 층으로 이송한다. 이때 센싱 부(650)는 트레이 지지대(600)에서 트레이(150)가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로 알린다.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는 트레이 지지대(600)에 이송된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되어 메모리(660)에 저장되어 있는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세척실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를 제어하여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다음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상기 층으로 이송한다.
이렇게 하여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각층에 트레이(150)이 다 채워지면,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나길 기다린다.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가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로 전달되면, 세척된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트레이 지지대(600)를 거쳐 제1 레일(200)로 이동하게 한다.
세척된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제1 레일(200)로 이동하는 경우, 우선 식기세척 장치(400)의 레일(미도시) 및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150)가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 층에서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송되며, 이때 센싱부(650)는 트레이 지지대(600)로 트레이(150)가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로 알린다. 그 후,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는 트레이 지지대(600)에 이송된 트레 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되어 메모리(660)에 저장되어 있는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150)들을 제1 레일(200)로 이송한다.
즉,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는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 등을 일시 정지하게 하여 더 이상 트레이(150)가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송되지 않게 하며,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를 제어하여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제1 레일(200)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트레이 지지대(600)의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이송한다. 이때 센싱부(650)는 트레이 지지대(600)에서 트레이(150)가 제1 레일(200)로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로 알린다.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0)는 제1 레일(200)로 이송되는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비교한다.
상기 카운트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비교하여 다르면 아직 식기세척 장치(400)의 트레이(150)가 모두 제1 레일(200)로 이송된 것이 아니므로,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를 제어하여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다음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상기 층의 트레이(150)를 트레이 지지대(600)로 이송하고, 이를 다시 제1 레일(200)로 이송하는 것을 상기 카운트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같을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카운트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비교하여 같으면, 식기세척 장치(400)의 트레이(150)가 모두 제1 레일(200)로 이송된 것이므로, 다시 제2 레일(300)로 부터 퇴식기가 담긴 트레이(150)를 트레이 지지대(600)을 거쳐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송하게 한다.
이렇게 하여 식기세척 장치(400)내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과정이 끝난 트레이가 다시 제1 레일(200)위에 놓여져 각 플랫폼으로 전달되어지게 진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다층으로 구성된 식기세척 랙을 구비하여, 제2 레일(300)으로부터 퇴식 트레이들을 상기 식기세척 랙에 채운후, 상기 식기세척 랙 자체가 식기세척 장치로 이동되어 세척된다. 세척후 상기 식기세척 랙이 식기세척 장치(400)로 부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으로 이동되어, 상기 식기세척 랙의 각층의 트레이들을 제1 레일(200)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식기세척 장치(400)와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 사이의 레일을 편의상 제3 레일(370)이라 한다.
다시말해,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위치되며, 그 상단에 식기세척 랙을 구비하여, 제2 레일(300)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다층으로 이루어진 식기세척 랙에 자동 정렬하여 채운다. 식기세척 랙에 트레이들이 다 채워지면 상기 식기세척 랙은 제3 레일(370)을 따라 식기세척 장치(400)로 전송된다. 또한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난 식기세척 랙이 제3 레일(370)을 따라 들어오면, 식기세척 랙의 각층의 트레이들을 제1 레일(200)위로 전달한다. 이렇게 제1 레일(200)로 전달된 트레이들은 그 식별번호에 따라 각 플렛폼으로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자동 세척 시스템으로 식기가 반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는 식기세척 랙에 퇴식 트레이를 채우기 위한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이 위치되어 있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리니어 액튜레이터(355), 다단 지지봉(360), 랙 지지대(365)로 이루어진다.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여 랙 지지대(365)가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는 유압식 액튜레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다단 지지봉(360)은 리니어 액튜레이터(355)와 랙 지지대(365) 사이에 위치하여 리니어 액튜레이터(355)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된다. 본 발명에서 리니어 액튜레이터(355) 및 다단 지지봉(360)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랙 지지대(365)는 식기세척 랙(170)을 지지하는 지지대로서 다단 지지봉(360)위에 위치하며, 랙 지지대(365)의 상측면에는 센싱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랙 지지대(365)에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센싱부 및 트레이제어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상기 센싱부 및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의 동작과 같다. 상기 센싱부는 상측면에 있을 수도 있으며, 식기세척 랙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식기세척 랙의 각층은 정방향 트레이 레일(미도시), 역방향 트레이 레일(미도시), 횡방향 트레이 레일(미도시)를 구비하여, 상술한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트레이 지지대(600)과 같은 동작을 한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제2 레일(300)이 동작하여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랙(170)의 층에 놓여지게 하며, 상기 센싱부에서 트레이가 식기세척 랙(170)의 그 층에 다 채워졌는지를 센싱하여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 알리며, 만약 다 채워 졌다면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리니어 액튜레이터(355)를 제어하여 랙 지지대(365)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식기세척 랙(170)의 다음 층이 제2 레일(300)과 같은 위치가 되도록한다. 상기 센싱부는 광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말해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상단에 식기세척 랙(170)이 놓여있으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리니어 액튜레이터(355)가 작동하여 식기세척 랙(170)의 제1층(171)이 제2 레일(300)과 같은 높이를 이루어 제2 레일(300)로부터 밀려오는 트레이(150)를 제1층(171)에 채우고, 이렇게 제1층(171)이 다 채워졌으면 리니어 액튜레이터(355)가 작동하여 제2층(172)이 제2 레일(300)과 같은 높이를 이루어 제2 레일(300)로부터 밀려오는 트레이(150)를 제2층(172)에 채우고, 이렇게 제2층(172)이 다 채워졌으면, 같은 방법으로 제3층(173)을 채우게 된다. 이렇게 하여 식기세척 랙의 각층에 트레이(150)가 채워지게 되면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상 단, 즉 랙 지지대(365)의 상단이 제3 레일(370) 및 제2 레일(300)과 같은 위치가 되며, 식기세척 랙(170)이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상단에서 식기세척 장치(400)내로 연결된 제3 레일(370)을 따라 식기세척 장치(400)내로 이동하게 되며, 식기세척 장치(400)의 도어가 닫치면서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친다.
식기세척 장치(400)내에서 건조과정이 끝나면 식기세척 장치(400)의 도어(405)가 열리고 식기세척 장치(400) 내의 트레이가 다시 제3 레일(370)을 따라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으로 오게 되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이 작동하여 식기세척 랙(170)의 각층에 있는 트레이(150)들이 제1 레일(200)위에 순차적으로 놓여지게되어 각 플랫폼으로 전달되어지게 한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이 작동하여 식기세척 랙(170)의 각층에 있는 트레이(150)들이 제1 레일(200)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리니어 액튜레이터(355)가 작동하여 식기세척 랙(170)의 제1층(171)이 제1 레일(200)과 같은 높이를 이루어 제1층(171)의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이렇게 제1층(171)의 트레이(150)가 다 이송되어 졌으면 리니어 액튜레이터(355)가 작동하여 제2층(172)이 제1 레일(200)과 같은 높이를 이루어, 제2층(172)의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같은 방법으로 제3층(173)의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식기세척 랙의 각층의 트레이(150)가 모두 제1 레일(200)로 이송하게 된다.
도 9는 도 7의 자동세척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9는 제2 레일(300)에 위에 놓여 있는 퇴식 트레이(150)들이 식기세척 랙(170) 위에 정렬되어 식기세척 장치(400)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9에서 식기세척 장치(400)로 자동 입력되고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자동 출력되는 식기세척 랙(170)을 구비하며, 상기 식기세척 랙(170)의 각층에 식기들을 담고 있는 트레이(150)들이 실려있으며, 상기 식기세척 랙(170)의 밑에 제4 레일(490)을 구비하며, 그외의 식기세척 장치(400)의 구성은 공지된 종래 기술과 같다.
세척실(402)에는 다층의 식기세척 랙(170)이 제4 레일(490)위에 놓여 있으며, 각 층(171, 172, 173)에 있는 트레이(150)의 하부와 상부에는 회전식 세척노즐(406)과 헹굼노즐(407)을 각각 한쌍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세척실(402) 바닥 일측에는 상단의 걸름망 덮개(미도시)가 세척실(402) 바닥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세척수탱크(미도시)를 본체 내부에 설치하여 세척수탱크의 세척수가 세척노즐(406)로 분사되어 세척실(402)에 안착된 트레이(150)들의 그릇들을 세척한 후 상기 걸름망 덮개를 통해 세척수탱크로 복귀되게 한다. 그 바닥에 히터(125)가 설치된 별도의 헹굼수탱크(420)를 세척수탱크와 같이 본체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세척수탱크와 헹굼수탱크(420)에는 온수유입구(미도시)와 온수배출구(미도시) 및 수위조절용센서(미도시)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세척수탱크의 세제가 섞인 세척수는 세척노즐(406)로만 공급되게 하고, 헹굼수탱크(420)의 헹굼수는 헹굼노즐(407)로만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헹굼수탱크(420)의 상단에는 뚜껑(130)으로 개폐되는 개구부 (120a)를 형성하되 그 뚜껑(130)과 나머지 다른 바닥부위가 걸름망 덮개를 향해 경 사지게 형성하여 세척실(402) 바닥에 떨어진 세척수가 걸름망 덮개를 통해 세척수탱크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식기세척 랙(170)의 각층의 트레이(150)하단에 있는 한쌍의 세척노즐(406)과 헹굼노즐(407) 밑에 퇴수 유도부(403)이 위치되어 세척수가 걸름망 덮개를 통해 세척수탱크로 유입되게 돕는다.
상기 헹굼수탱크 (420)의 바닥에는 콕(427)으로 개폐되는 배수구(426)를 형성하여 헹굼수탱크(420)에 채워진 물을 상기 배수구(426)로 배수할 수 있다. 그외에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세제 투입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척모터(410)는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노즐(406)로 공급하며, 세제모터(411)은 세제를 공급하게 하며, 헹굼모터(420)은 헹굼수를 펌핑하여 헹굼노즐(407)로 공급하며, 린스모터(421)은 린스를 공급하게 하며, 컨트롤부(440)는 세척기의 전체 동작을 컨트롤하는 회로가 장착된 부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식기세척 랙(170)의 층마다 하나의 트레이(150)를 재치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식기세척 랙(170)의 층마다 다수의 트레이(150)를 재치할 수 있으며, 식기세척 랙(170)의 층도 다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식 세척노즐(406)과 헹굼노즐(407), 퇴수 유도부(403)등도 늘어나게 된다.
도 10은 도 2의 랙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랙 제어시스템의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의 구동 흐름도이다.
랙 제어시스템(350)이 식기세척 랙(170)에 트레이를 인입하기위한 인입모드 플레그와, 랙 제어시스템(350)이 식기세척 랙(170)에 트레이를 제1 레일(200)으로 인출하기위한 인출모드 플레그가 있다. 초기모드 설정단계로, 즉 초기에는 인입모드 플레그가 세트(set)되고 인출모드 플레그가 리셋(reset)되어, 인입모드로 설정된다(S500).
층 및 열카운터 설정단계로, 랙 제어시스템(350)은 식기세척 랙(170)의 층을 세는 층카운터와 식기세척 랙(170)의 한층에 놓이는 트레이의 수를 세는 열카운터를 구비하는데, 예를들어 식기세척 랙(170)의 층이 3층이고, 한 층당 2개의 트레이(150)를 놓도록 되어 있다면, 층카운터는 3을 세트되며, 열카운터는 2로 세트된다(S510).
인입모드 판별단계에서 인입모드 플레그가 세트되어 있다면(S520), 층카운터 판별단계로서, 층카운터가 0인지를 판별한다(S530).
만약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S530)에서 층카운터가 0가 아니라면, 트레이 인입단계로서 트레이(150)를 하나 식기세척 랙(170)에 인입하고, 열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한다(S540).
그리고 열카운터 판별단계로, 열카운터값이 0인지를 판별한다(S550). 만약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S550)에서 열카운터 값이 0가 아니라면 트레이 인입단계(S540)으로 되돌아 간다.
만약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S550)에서 열카운터 값이 0 라면, 층카운터 감산단계로서, 층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하고 층카운터 판별단계(S530)로 되돌아 간다(S560).
만약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S530)에서 층카운터의 값이 0라면, 식기세척 랙(170)의 각 층 전부에 트레이(150)가 채워진 것이므로, 다음번에는 인출모드가 설정되도록 인출모드 설정단계에서, 인출모드 플레그를 세트하고 인입모드 플레그를 리셋한다(S570).
그 다음은 세척단계로, 퇴식 트레이(150)들이 인입되어 있는 식기세척 랙(170)을 식기세척 시스템으로 이송하여 세척하고 건조한다(S580). 그후 초기모드 설정단계의 다음인, 층 및 열카운터 설정단계(S510)으로 되돌아 가서 층 카운터 및 열카운터의 값을 설정한다.
인입모드 판별단계에서 인입모드 플레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S520), 층카운터 판별단계로서, 층카운터가 0인지를 판별한다(S600).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S600)에서 층카운터가 0가 아니라면, 트레이 인출단계로서 트레이(150)를 하나 식기세척 랙(170)에서 제1 레일(200)으로 인출하고, 열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한다(S610).
그리고 열카운터 판별단계로, 열카운터값이 0인지를 판별한다(S620). 만약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S620)에서 열카운터 값이 0가 아니라면 트레이 인출단계(S610)으로 되돌아 간다.
만약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S620)에서 열카운터 값이 0 라면, 층카운터 감산단계로서, 층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하고 층카운터 판별단계(S600)로 되돌아 간다(S630).
만약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S600)에서 층카운터의 값이 0라면, 식기세척 랙(170)의 각 층 전부에서 트레이(150)가 제1 레일(200)에 실려진 것이므로, 상기 트레이(150)들은 각 플랫폼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다음번에는 인입모드가 설정되도록 초기모드 설정단계(S500)로 가서, 인입모드 플레그를 세트하고 인출모드 플레그를 리셋한다(S50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340)은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1),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1)은 제1 레일(2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위치되며,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난, 식기세척 장치(400)의 각층에 있는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이송한다. 이렇게 제1 레일(200)로 전달된 트레이들은 그 식별번호에 따라 각 플렛폼으로 전송된다.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은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위치되며, 제2 레일(300)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다층으로 이루어진 식기세척 장치(400)에 자동 정렬한다.
식기세척 장치(400)는, 제2 레일(300)와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을 통해 입력된 퇴식 트레이들이 세척과정 또는 세척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며, 그후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통해 제1 레일(200)로 전송된다. 상기 식기세척 장치는 그 세척실에서 퇴식식기가 놓이는 부분에 레일이 놓여져 있으며, 양측에 도어(405)가 장착되어 있다. 식기세척 장치(400)는 세척부만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 며, 세척부와 건조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세척부와 건조부가 하나로 통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은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위치되며,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 제2 트레이 지지대(602)로 이루어진다.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는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여 제2 트레이 지지대(602)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는 유압식 액튜레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는 복수 개의 리니어 액튜레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트레이 지지대(602)는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 위에 위치하여,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에 의해 제2 트레이 지지대(602)가 높은 위치에 놓이거나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는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식기세척 장치(400)의 각 층에 트레이(150)를 싣기 위한 것이다.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상측면에는 제2 센싱부(652)를 구비하며, 또한 제2 트레이 지지대(602)에는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2 트레이제어 마이크 로콘트롤러(612)를 내장하고 있다. 제2 센싱부(652)는 광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트레이 지지대(602)는 제2 레일(300)에서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에 놓여지게 하기위한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을 구비한다.
즉,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에서, 제2 레일(300) 및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150)가 제2 레일(300)에서 제2 트레이 지지대(602)로 이송되며, 이때 제2 센싱부(652)는 제2 트레이 지지대(602)에 트레이(150)가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로 알린다. 그 후,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는 제2 트레이 지지대(602)에 이송된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되어 제2 메모리(662)에 저장되어 있는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같으면,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의 층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제2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는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 등을 일시 정지하게 하여 더 이상 트레이(150)가 제2 트레이 지지대(602)로 이송되지 않게 하며,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를 제어하여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의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상기 층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2 센싱부(652)는 제2 트레이 지지대(602)에서 트레이(150)가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로 알린다.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는 제2 트레이 지지대(602)에 이송된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되어 제2 메모리(662)에 저장되어 있는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세척실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를 제어하여 제2 트레이 지지대(602)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다음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상기 층으로 이송한다.
이렇게 하여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각층에 트레이(150)가 다 채워지면,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는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를 제어하여 제2 트레이 지지대(602)를 제2 레일(300)의 위치와 같게 하여, 제2 레일(300)에서 제2 트레이 지지대(602)로 트레이(150)를 이송할 준비를 한다.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나서,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트레이(150)가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1)을 통해 제1 레일(100)로 전부 이송되어, 식기세척 장치(400)가 비어 있다는 신호가 제2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로 입력되면, 다시 제2 레일(300)의 트레이를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352)을 통해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송하게 한다.
도 14는 도 12의 트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1)은 제1 레일(2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 의 사이에 위치되며,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 제1 트레이 지지대(601)로 이루어진다.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는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1)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여 제1 트레이 지지대(601)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는 유압식 액튜레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는 복수 개의 리니어 액튜레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트레이 지지대(601)는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 위에 위치하여,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에 의해 제1 트레이 지지대(601)가 높은 위치에 놓이거나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는 제1 트레이 지지대(601)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식기세척 장치(400)의 각 층으로부터 트레이(150)를 내리기 위한 것이다. 제1 트레이 지지대(601)의 상측면에는 제1 센싱부(651)를 구비하며, 또한 제1 트레이 지지대(601)에는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351)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1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를 내장하고 있다. 제1 센싱부(651)는 광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트레이 지지대(601)는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에서 제1 레일(200)로 트레이(150)를 이송하기 위한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을 구비한다.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가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로 전달되면, 세척된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제1 트레이 지지대(601)를 거쳐 제1 레일(200)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식기세척 장치(400)의 레일(미도시) 및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150)가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 층에서 제1 트레이 지지대(601)로 이송되며, 이때 제1 센싱부(651)는 제1 트레이 지지대(601)로 트레이(150)가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로 알린다.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는 제1 트레이 지지대(601)에 이송된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되어 제1 메모리(661)에 저장되어 있는 제1트레이 지지대(601)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같으면, 제1 트레이 지지대(601)의 트레이(150)들을 제1 레일(200)로 이송한다.
즉,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제1 트레이지지대 트레이 최대수와 같으면,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는 정방향 트레이 레일(630) 등을 일시 정지하게 하여 더 이상 트레이(150)가 제1 트레이 지지대(601)로 이송되지 않게 하며,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를 제어하여 제1 트레이 지지대(601) 상면의 위치를 제1 레일(200)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제1 트레이 지지대(601)의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이송한다. 이때 제1 센싱부(651)는 제1 트레이 지지대(601)에서 트레이(150)가 제1 레일(200)로 이송될때 마다 이를 센싱하여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로 알린다.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는 제1 레일(200)로 이송되는 트레이(150)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값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비교한다.
상기 카운트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비교하여 다르면 아직 식기세척 장치(400)의 트레이(150)가 모두 제1 레일(200)로 이송된 것이 아니므로,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를 제어하여 제1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다음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 후, 식기 세척 장치(400)의 상기 층의 트레이(150)를 제1 트레이 지지대(601)로 이송하고, 이를 다시 제1 레일(200)로 이송하는 것을 상기 카운트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같을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카운트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전 트레이수와 비교하여 같으면, 식기세척 장치(400)의 트레이(150)가 모두 제1 레일(200)로 이송된 것이므로, 다시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가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로 전달될때 까지 기다린다.
도 15는 도 12의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흐름도 일예이다. 여기서는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한 층에 실을 수 있는 트레이수가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같다.
초기화 단계로, 모든 플레그 및 모든 카운터를 초기화 한다(S100). 인입플레그, 엠프티(empty) 플레그, 트레이 카운터, 세척층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다.
엠프티 플레그 검사단계로,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되었는 지를 검사한다(S105). 즉,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이 비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식기세척 장치(400)로 부터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2)로 입력되면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된다.
만약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되지 않았다면,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될때 까지 기다린다.
인입플레그 세트단계로 만약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되었다면, 인입플레그를 세트한다(S110).
제2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로, 제2 레일(300)의 한 트레이(150)를 제2 트레이 지지대(602)로 이송하고(S115),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S120).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을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한다(S125).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작다면 상기 제2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S115)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 등을 일시 정지하게 하여 더 이상 트레이(150)가 제2 트레이 지지대(602)로 이송되지 않게 하며,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702)를 제어하여 제2 트레이 지지대(602)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의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다(S130).
인입플레그를 리셋하며, 트레이 카운터를 0로 클리어 한다(S140).
식기세척 장치로의 이송단계로, 제2 트레이 지지대(602)의 트레이(150)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소정 층으로 이송하고(S145),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S150).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한다(S155).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작다면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의 이송단계(S145)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크거 나 같다면, 역방향 트레이 레일(620) 등을 일시 정지하게 하여 더 이상 트레이(150)가 제2 트레이 지지대(602)에서 식기세척 장치(400)로 이송되지 않게 하며, 트레이 카운터를 클리어하며(S160), 세척층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S165).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을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수와 비교한다(S170).
만약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수보다 작다면 상기 인입플레그 세트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엠프티 플레그를 리셋하며, 세척층 카운터를 클리어한다(S175).
도 16는 도 12의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흐름도의 일예이다. 여기서는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한 층에 실을 수 있는 트레이수가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같다.
초기화 단계로, 모든 플레그 및 모든 카운터를 초기화 한다(S200). 인출플레그, 세척 종료 플레그, 트레이 카운터, 세척층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다.
세척종료 플레그 검사단계로, 세척종료 플레그가 세트되었는 지를 검사한다(S205). 즉,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났음을 알리는 인터럽트 신호가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로 전달되면,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611)의 세척 종료 플레그가 세트된다.
만약 세척종료 플레그가 세트되지 않았다면, 세척종료 플레그가 세트될때 까지 기다린다.
인출플레그 세트단계로, 만약 세척종료 플레그가 세트되었다면, 인출플레그 를 세트한다(S210). 그리고 제1 트레이 지지대(601)의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소정의 층의 위치와 같이 되도록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를 제어한다.
제1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로, 식기세척 장치(400)의 트레이(150)를 제1 트레이 지지대(601)로 이송하고(S215),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S220).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을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한다(S225).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작다면 상기 제1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S215)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를 제어하여 제1 트레이 지지대(601) 상면의 위치를 제1 레일(200)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다(S230).
인출플레그를 리셋하며, 트레이 카운터를 0로 클리어 한다(S240).
제1 레일로의 이송단계로, 제1 트레이 지지대(601)의 트레이(150)를 제1 레일(200)로 이송하고(S245),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S250).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한다(S255).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작다면 상기 제1 레일로의 이송단계(S245)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보다 크거 나 같다면,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701)를 제어하여 제1 트레이 지지대(600) 상면의 위치를 식기세척 장치(400)의 세척실의 다음 층의 상면의 위치와 같게 조절한다(S260).
트레이 카운터를 클리어하며, 세척층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킨다(S265).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을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수와 비교한다(S270).
만약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수보다 작다면 상기 인출플레그 세트단계(S210)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이 식기세척 장치(400)의 층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세척종료 플레그를 리셋하며, 세척층 카운터를 클리어한다(S275).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정찬 시스템에서 다수의 고객플랫폼으로 부터 퇴식된 식기가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식기세척기에 넣어지고 자동으로 세척처리되어 자동건조되며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별로 식기들을 식별하여 자동으로 식기가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으로 전달되는 자동 정찬 시스템의 자동세척기를 제공하여, 음식점 등에서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제공후 퇴식,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반환까지 일련의 과정에 필요한 시간,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점에서 음식물의 제공에서 퇴식,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반환까지의 자동화에 따라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을 신속, 정확하게 운반하 여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태그와 RF 리더기를 이용하여 트레이들을 각 플랫폼에 승하차 시킨다. 또한 다층의 식기세척 랙(170)을 이용하여 한번에 다층으로 구성된 퇴식 트레이들을 세척, 건조할 수 있으며, 제2 레일(300)로부터의 퇴식 트레이를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기세척 장치(400)으로 보내지며,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건조된 트레이를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이용하여 제1 레일(200)위에 놓여지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세척 및 이송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젊은 층의 인구뿐만 아니라 노인들도 안락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심화되어 가는 고인력난 등에 발맞추어 시간도 절약할 수 있게 하여 준다.

Claims (30)

  1. 주문된 요리 또는 요리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플랫폼들로 전송하기 위한 레일인 제1 레일, 각 플랫폼에서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인 제2 레일을 구비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반입된 퇴식 트레이들을 세척 또는 세척건조를 하며, 그 세척실이 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층 마다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식기세척 장치;
    상기 제2 레일의 일단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 이송하며, 상기 식기세척 장치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난 트레이들을 제1 레일로 전달하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
    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일 하부에 위치된 리니어 액튜레이터;
    트레이의 거치대로, 상기 리니어 액튜레이터의 위에 위치되어, 그 상면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각 층에 트레이를 싣거 나,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각 층으로부터 트레이를 내리기 위한 트레이 지지대;
    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지지대는
    트레이의 이송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지지대는
    상기 제2 레일에서 트레이를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층에 놓여지게 하기 위한 역방향 트레이 레일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부터 트레이 지지대로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정방향 트레이 레일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부터 트레이 지지대로 이송된 트레이를 제1 레일로 이송하기 위한 횡방향 트레이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5. 주문된 요리 또는 요리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플랫폼들로 전송하기 위한 레일인 제1 레일, 각 플랫폼에서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인 제2 레일을 구비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에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세척실의 트레이들이 놓이는 부분에 레일이 놓여져 있으며, 상기 제2 레일를 거쳐 입력된 퇴식 트레이들을 세척 또는 세척건조하는 식기세척 장치;
    상기 제1 레일의 일단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되며,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난, 상기 식기세척 장치에 있는 트레이를 상기 제1 레일로 이송하는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
    상기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상기 식기세척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상기 식기세척 장치의 세척실로 이송하는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 장치는 세척부만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 장치는 세척부와 건조부가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 장치는 세척부와 건조부가 하나로 통합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일 하부에 위치된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
    트레이의 거치대로서, 상기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의 위에 위치되어, 그 상면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레일로부터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제2 트레이 지지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레이 지지대는
    트레이의 이송을 센싱하는 제2 센싱부;
    상기 제2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2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
    상기 제2 레일에서 트레이를 상기 식기세척 장치에 놓여지게 하기 위한 역방향 트레이 레일;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의 제일 하부에 위치된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
    트레이의 거치대로서, 상기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의 위에 위치되어, 그 상면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레일로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제1 트레이 지지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지지대는
    트레이의 이송을 센싱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제1 트레이 제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1 트레이 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
    상기 식기세척 장치로부터 제1 트레이 지지대로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정방향 트레이 레일;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는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4.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니어 액튜레이터 또는 제2 리니어 액튜레이터는 유압식 액튜레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5. 식기세척 장치의 세척실이 비어 있음을 나타내는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되었는 지를 검사하는 엠프티 플레그 검사단계;
    상기 엠프티 플레그 검사단계에서 엠프티 플레그가 세트되었다면, 제2 레일 상의 트레이를 제2 트레이 지지대로 이송하고,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키는 제2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을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크거나 같다면 트레이 카운터를 0로 클리어 하는 트레이 카운터 제1비교단계;
    상기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를 식기세척 장치의 세척실로 이송하고,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키는 식기세척 장치로의 이송단계;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2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크거나 같다면, 트레이 카운터를 클리어하며, 세척층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키는 트레이 카운터 제2비교단계;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을 식기세척 장치의 층수와 비교하여 만약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이 식기세척 장치의 층수보다 작다면 상기 제2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로 되돌아가는 세척층 카운터 비교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의 구동방법.
  16. 식기세척 장치에서 세척 또는 세척건조가 끝났음을 나타내는 세척종료 플레그가 세트되었는 지를 검사하는 세척종료 플레그 검사단계;
    세척종료 플레그 검사단계에서 세척종료 플레그가 세트되었다면, 식기세척 장치의 트레이를 제1 트레이 지지대로 이송하고,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키는 제1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을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크거나 같다면, 트레이 카운터를 0로 클리어 하는 트레이 카운터 제1비교단계;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를 제1 레일로 이송하고, 트레이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키는 제1 레일로의 이송단계;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제1 트레이 지지대의 트레이 최대수와 비교하여 상기 트레이 카운터 값이 크거나 같다면, 트레이 카운터를 클리어하며, 세척층 카운터를 하나 증가시키는 트레이 카운터 제2비교단계;
    상기 세척층 카운터 값이 식기세척 장치의 층수와 비교하여 작다면 상기 제1 트레이 지지대로의 이송단계로 되돌아가는 세척층 카운터 비교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의 구동방법.
  17. 메인주방에서 주문된 요리 또는 요리재료가 담겨진 메인주방 트레이를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플랫폼으로 전송하기 위한 레일인 제1 레일(200), 각 플랫폼에서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를 식기세척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레일인 제2 레일(200)을 구비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퇴식 트레이들을 각 층에 정렬하는 식기세척 랙(170);
    상기 제2 레일(300)의 일단에 위치되며, 그 상단에 상기 식기세척 랙을 구비 하며, 상기 제2 레일(300)을 따라 들어오는 퇴식 트레이들을 식기세척 랙의 각 층에 자동 정렬하게 하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에 의해 트레이들로 채워진 상기 식기세척 랙이 인입되면 세척하고 건조하는 식기세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상기 식기세척 장치(400)에서 세척 및 건조가 끝난 식기세척 랙을 인입하여, 상기 식기세척 랙의 각층의 트레이들을 제1 레일(200)위로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200)위에 놓여진 트레이들에는 전자태그(RFID)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플랫폼들에는 RF리더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200)로 전달된 트레이들은 그 트레이에 있는 식별번호에 맞는 플렛폼에서 하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그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제3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2. 식기세척 장치(400)로 부터 세척된 식기가 담긴 트레이들을 각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레일인 제1 레일(200), 각 플랫폼에서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트레이를 식기세척 장치(400)로 전송하기 위한 레일인 제2 레일(200)을 구비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300)의 일단과 식기세척 장치(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레일(300)로부터의 상기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트레이들을 식기세척 랙의 각층에 채워 상기 식기세척 장치(400)로 전달하며, 상기 식기세척 장치(400)로부터 인출된 식기세척 랙에 들어 있는 상기 세척된 식기가 담긴 트레이들을 제1 레일(200)위로 인출하게 하는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제일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식기세척 랙의 바로 밑에 위치하여 상기 식기세척 랙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랙 지지대(365);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여 랙 지지대(365)가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액튜레이터(355);
    상기 액튜레이터(355)와 랙 지지대(365) 사이에 위치하며, 리니어 액튜레이터(355)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다단 지지봉(3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레이터(355)는 유압식 리니어 액튜레이터 또는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랙 지지대(365)는 그 상측면에 식기세척 랙(170)의 층에 트레이가 다 채워졌는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은 트레이 제어 시스템(350)을 전반적으로 제 어하는 트레이제어 마이크로콘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8. 세척실(402)의 하부에 놓여 있는 레일;
    상기 레일위에 놓여진 다층의 식기세척 랙;
    상기 식기세척 랙의 각 층마다 놓여 있는 식기를 담은 트레이;
    상기 각 층의 트레이의 위 아래에 한쌍으로 위치되는 세척노즐(406) 및 헹굼노즐(407);
    각층의 트레이(150)의 하단에 있는 한쌍의 세척노즐(406)과 헹굼노즐(407) 밑에 위치되어 세척수가 세척수탱크로 유입되게 돕도록 경사를 이룬 퇴수 유도부(40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
  29. 식기세척 랙(170)에 트레이를 인입하기위한 인입모드 플레그와, 랙 제어시스템(350)이 식기세척 랙(170)에 트레이를 제1 레일(200)으로 인출하기위한 인출모드 플레그를 구비한 랙 제어시스템(350)에서 인입모드 플레그가 세트(set)되고 인출모 드 플레그가 리셋(reset)되는 초기 설정모드 단계;
    층카운터를 식기세척 랙(170)의 층수로 세트하고, 세척랙의 한층에 놓이는 트레이의 수로 열카운터를 세트하는 층 및 열카운터 설정단계;
    층카운터가 0인지를 판별하는 층카운터 판별단계;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층카운터가 0가 아니라면, 트레이(150)를 하나 식기세척 랙(170)에 인입하고, 열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하는 트레이 인입단계;
    열카운터값이 0인지를 판별하는 열카운터 판별단계;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열카운터 값이 0가 아니라면 상기 트레이 인입단계로 되돌아 가며,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열카운터 값이 0 라면 층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하고 층카운터 판별단계(S530)로 되돌아 가는 층카운터 감산단계;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S530)에서 층카운터의 값이 0라면, 인출모드 플레그를 세트하고 인입모드 플레그를 리셋하며, 식기세척 랙(170)을 식기세척 시스템으로 이송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세척딘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의 구동방법.
  30. 층카운터를 식기세척 랙(170)의 층수로 세트하고, 세척랙의 한층에 놓이는 트레이의 수로 열카운터를 세트하는 층 및 열카운터 설정단계;
    식기세척 랙(170)에 트레이를 인입하기위한 인입모드 플레그와, 랙 제어시스템(350)이 식기세척 랙(170)에 트레이를 제1 레일(200)으로 인출하기위한 인출모드 플레그를 구비한 랙 제어시스템(350)에서 인출모드 플레그가 세트(set)되어 있다면, 층카운터가 0인지를 판별하는 층카운터 판별단계;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층카운터가 0가 아니라면, 트레이(150)를 하나 식기세척 랙(170)에서 제1 레일(200)으로 인출하고, 열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하는 트레이 인출단계;
    열카운터값이 0인지를 판별하는 열카운터 판별단계;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열카운터 값이 0가 아니라면 상기 트레이 인출단계로 되돌아 가며, 상기 열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열카운터 값이 0 라면 층카운터의 값에서 1을 제하고 층카운터 판별단계로 되돌아 가는 층카운터 감산단계;
    상기 층카운터 판별단계에서 층카운터의 값이 0라면, 식기세척 랙(170)의 각 층 전부에서 트레이(150)가 제1 레일(200)에 실려진 것이므로, 상기 트레이(150)들은 각 플랫폼으로 전달되며, 인입모드 플레그를 세트하고 인출모드 플레그를 리셋하는 인입모드 설정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세척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060133958A 2006-12-26 2006-12-26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KR101010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58A KR101010958B1 (ko) 2006-12-26 2006-12-26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58A KR101010958B1 (ko) 2006-12-26 2006-12-26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807A Division KR20100088657A (ko) 2010-06-29 2010-06-29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72A true KR20080059972A (ko) 2008-07-01
KR101010958B1 KR101010958B1 (ko) 2011-01-26

Family

ID=3981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958A KR101010958B1 (ko) 2006-12-26 2006-12-26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351A2 (ko)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소냐테크 세척 바구니 및 이것을 이용한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7928A1 (en) * 1990-07-27 1992-01-28 Munehiro Nogi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dishes, sticking inhibitor and rinsing assistant
JP2894545B2 (ja) * 1994-08-23 1999-05-24 東和工機株式会社 自動食器洗浄装置
JPH08256965A (ja) * 1995-03-27 1996-10-08 Nikko Chiyouriki Kk 全自動食器洗浄システム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351A2 (ko)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소냐테크 세척 바구니 및 이것을 이용한 세척기
WO2012033351A3 (ko) * 2010-09-07 2012-06-07 주식회사 소냐테크 세척 바구니 및 이것을 이용한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958B1 (ko)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3608B (zh) 被设计为批量洗碗机的商用用具清洗机或洗碗机的形式的洗碗机
EP2346619B1 (en) System for washing washwar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ystem of this type
KR101833765B1 (ko) 식기세척시스템
AU2018336871B2 (en) Dishwasher
JP2004154576A (ja) 物品洗浄器の洗浄サイクルを制御して水位を検出して物品洗浄器の化学薬品送りラインを装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7194808B2 (ja) 被洗浄物を洗浄するための洗浄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941326A1 (en)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095880A1 (en) System for loading a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a system of this kind
KR101010958B1 (ko)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CN116437845A (zh) 用于清洗呈饮用器皿的形状的物品的餐具清洗机和具有这种餐具清洗机的柜台模块
KR20100088657A (ko)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식기 세척 시스템
CA3113891C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rticles to be cleaned
US11608233B2 (en) System for loading different conveying tracks of at least one dishwasher, and dishwasher arrangement having such a system
CN113692323A (zh) 用于卸载尤其布置在托盘或托盘状物体上的多件清洗器具的卸载组件
US20210369079A1 (en) System for loading at least one transport dishwasher with items to be washed, arrangement of at least one transport dishwasher and a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t least one transport dishwasher with items
JPWO2020038893A5 (ko)
JP2023127194A (ja) 洗浄システム
JPH08256965A (ja) 全自動食器洗浄システム及び装置
EA040785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мытья посуды
JP2018042684A (ja) コンベア型洗浄機
MXPA06014814A (en) Conveyor-type dishwasher and method for operat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