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720A -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720A
KR20080059720A KR1020060133366A KR20060133366A KR20080059720A KR 20080059720 A KR20080059720 A KR 20080059720A KR 1020060133366 A KR1020060133366 A KR 1020060133366A KR 20060133366 A KR20060133366 A KR 20060133366A KR 20080059720 A KR20080059720 A KR 2008005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hone
elevator
line
dvr
cc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9720A/ko
Publication of KR2008005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웹카메라나 CCTV 등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호출 시스템에서 인터폰의 호출과 동시에 방재실 등에 설치된 4분할, 8분할, 16분할 등으로 분할된 영상감시화면을 인터폰 호출이 발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체감시화면으로 자동 확대 및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신속한 상황 파악 및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는, CCTV 카메라 및 인터폰 자기가 구비되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와, 다수 대의 CCTV 카메라가 동축케이블을 매개로 각각 연결된 상태로 방재실 등에 설치되어 해당 영상을 재생/녹화하는 DVR과, 각각의 CCTV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DVR의 제어에 따라 분할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다수 대의 인터폰 자기가 인터폰 케이블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방재실 등에 설치되는 인터폰 모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터폰 자기 및 인터폰 모기를 연결하는 인터폰 케이블에는 그 회선상태를 감시하는 회선감지기가 설치되고, 상기 회선감지기는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를 DVR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소정 통신방식을 통해 DVR과 연결되며, 상기 DVR에는 다수 대의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분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 키는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회선감지기로부터 특정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인터폰 회선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CCTV 카메라 영상만을 모니터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MONITOR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FOR ELEVATOR EMERGENCY CALL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회선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엘리베이터 카, 110: 인터폰 자기,
112: 인터폰 케이블, 120: CCTV 카메라,
122: 동축케이블, 130: 비디오서버,
140: UTP 케이블, 200: 방재실,
210: 인터폰 모기, 220: DVR,
230: 모니터, 240: 디지털 키폰 교환기,
250: 디지털 키폰, 260: PC,
300: 회선감지기, 310: 인터폰 호출 감지회로,
320: 데이터 통신 처리부, 330: CPU.
본 발명은 웹카메라나 CCTV 등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호출 시스템에서 인터폰의 호출과 동시에 방재실 등에 설치된 4분할, 8분할, 16분할 등으로 분할된 영상감시화면을 인터폰 호출이 발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체감시화면으로 자동 확대 및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 내부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비상호출버튼이 구비되어 현재 운행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나 또는 긴급히 해당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호출을 요하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승객이 상기 비상호출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비상호출버튼과 연결된 엘리베이터 방재실이나 경비실 등의 인터폰을 통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해당 건물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CCTV 방식이나 웹카메라 등의 감시카메라가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감시카메라는 엘리베이터 방재실이나 경비실 등에 구비되는 모니터와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방재실이나 경비실 등에 구비되는 모니터는 그 영상을 4분할, 9분할, 16분할 등으로 분할하여 다수 대의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다수 대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한 개의 모니터를 통하여 분할한 후 감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특정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그 상황을 관리자가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10586호에서는 경비실에서 영상을 분할 감시하다가 비상호출 동작시에 해당 호기를 전체화면으로 클로즈업(CLOSE UP)하여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영상감시 연동 비상호출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영상감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인터폰의 호출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UL2919 통신 케이블을 추가로 사용해야 하고, 또한 웹서버와 웹카메라 및 주장치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케이블의 포설 및 특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비용 증대 및 추가 시공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 과 더불어, 통상의 CCTV 방식(아날로그 카메라, DVR 및 동축케이블 등)으로 구성된 영상감시 시스템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웹카메라나 CCTV 등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호출 시스템에서 인터폰의 호출과 동시에 방재실 등에 설치된 4분할, 8분할, 16분할 등으로 분할된 영상감시화면을 인터폰 호출이 발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체감시화면으로 자동 확대 및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신속한 상황 파악 및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는, CCTV 카메라 및 인터폰 자기가 구비되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와, 다수 대의 CCTV 카메라가 동축케이블을 매개로 각각 연결된 상태로 방재실 등에 설치되어 해당 영상을 재생/녹화하는 DVR과, 각각의 CCTV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DVR의 제어에 따라 분할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다수 대의 인터폰 자기가 인터폰 케이블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방재실 등에 설치되는 인터폰 모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터폰 자기 및 인터폰 모기를 연결하는 인터폰 케이블에는 그 회선상태를 감시하는 회선감지기가 설치되고, 상기 회선감지기는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를 DVR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소정 통신방식을 통해 DVR과 연결되며, 상기 DVR에는 다수 대의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분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회선감지기로부터 특정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인터폰 회선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CCTV 카메라 영상만을 모니터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선감지기는, 각각의 인터폰 자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그와 대응되는 개수의 포토트랜지스터를 내장한 상태로 각각의 인터폰 회선과 병렬로 연결되는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와,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로부터 감지된 인터폰 호출 정보를 소정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DVR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처리부 및, 상기 회선감지기의 동작에 대해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CP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선감지기는 TCP/IP, RS-485 또는 RS-232C 통신방식을 매개로 상기 DV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방법은,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에 각각 구비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축케이블을 매개로 DVR 측으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와;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된 인터폰 자기와 인터폰 모기를 연결하는 인터폰 케이블에 병렬로 연결되어 인터폰 회선을 감지하는 회선감지기로부터의 회선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가 DVR 측으로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 및;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에 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DVR은 응용프로그램을 매개로 상기 다수 대의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분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한편,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DVR은 제어프로그램을 매개로 평상시의 분할화면을 모두 닫고 해당 인터폰 회선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CCTV 카메라 영상만을 모니터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분할 또는 확대 디스플레이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회선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건물의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그 내부에는 CCTV 카메라(120) 및 인터폰 자기(110)가 구비되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100)와, 상기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각각 구비되는 CCTV 카메라(120)가 동축케이블(122)을 매개로 각각 연결된 상태로 방재실(200) 등에 설치되어 해당 CCTV 카메라(1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재생 및 녹화하는 DVR(220)과, 각각의 CCTV 카메라(12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상기 DVR(220)의 제어에 따라 4분할, 9분할, 16분할 등으로 적절하게 분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230)와, 상기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각각 구비되는 인터폰 자기(110)가 인터폰 케이블(112)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방재실(200) 등에 설치되는 인터폰 모기(2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에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각의 인터폰 케이블(112)에는 회선감지기(300)가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인터폰 회선을 감지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인터폰 케이블(112)이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인터폰 회선을 감지하는 회선감지기(300)는 TCP/IP, RS-485 또는 RS-232C 등의 통신방신을 통해 상기 DVR(22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선감지기(300)로부터의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를 상기 DVR(22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DVR(220)에는 상기 다수 대의 CCTV 카메라(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2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및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DVR(220)은 상기 회선감지기(300)로부터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않을 시에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다수 대의 CCTV 카메라(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4분할, 8분할, 16분할 등으로 분할된 상태로 모니터(23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한편, 상기 회선감지기(300)로부터 특정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가 입력될 시에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분할된 화면을 모두 닫고 해당 인터폰 회선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카(100)의 CCTV 카메라(120) 영상만을 모니터(230)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VR(220) 장치에 소정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회선감지기(300)는, 엘리베이터 카(100) 내부에 구비되는 인터폰 자기(110)가 동작되어 방재실(200) 등에 구비된 인터폰 장치를 호출할 경우에 인터폰의 +12V 라인과 Rx 라인 사이에 DC 12V 전원이 유기되는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10은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로서,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310)는 각각의 인터폰 자기(110)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그와 대응되는 개수의 포토트랜지스터를 내장한 상태로 각각의 인터폰 회선과 병렬로 연결된다.
참조부호 320은 데이터 통신 처리부로서,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310)로부터 감지된 인터폰 호출 정보를 TCP/IP, RS-485, RS-232C 등의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DVR(22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330은 상기 회선감지기(300)의 동작에 대한 일련의 제어과정을 수행하는 CPU이다.
이때, 상기 회선감지기(300)의 회선감지 방식은 DC 12V(또는 6V, 24V)의 동작 전원을 갖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인터폰 장치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키폰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 방식의 엘리베이터 인터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전화방식의 엘리베이터 인터폰 장치는 별도의 전원선 없이 전화회 선(TIP, RING)에 실리는 전압(DC 24V 또는 48V)을 이용하여 동작 및 통화를 하게 되는데, 상기 전화회선(TIP, RING)에 실리는 전압은 평상 시에는 DC 24V 또는 48V의 전압이 유지되다가 통화를 위해 훅(HOOK) 스위치가 동작되는 순간에는 약 DC 6V로 변동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압변동을 매개로 상기 회선감지기(30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키폰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 방식의 엘리베이터 인터폰 장치의 동작상태도 감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회선감지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엘리베이터 인터폰 호출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각각 구비된 CCTV 카메라(1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분할, 재생 녹화하는 DVR(220) 장치에 내장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의 설정 화면이다.
즉,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호기체크(222) 및 채널선택(224) 부분은 상기 모니터(230)의 분할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각 엘리베이터 카(100)의 CCTV 카메라(120)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이다.
예컨대, 1호기 엘리베이터의 영상이 16분할의 화면 중 첫 번째 분할에 표시된다면,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체크에 "v" 표시를 하고, 채널선택을 "1"로 설정하는 방식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를 웹카메라(네트워크 카메라, 비디오 서버, 웹서버) 및 키폰을 이용한 전화방식의 인터폰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10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 대의 CCTV 카메라(120)는 UTP 케이블(140)을 매개로 방재실(200) 등에 설치된 영상 재생/녹화 장치인 PC(260)와 연결되고, 상기 PC(260)는 상기 다수 대의 CCTV 카메라(120)로부터 비디오서버(130)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을 CCTV 모니터(230)를 통해 그 화면을 4분할, 9분할, 16분할 등으로 적절하게 분할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구비되는 인터폰 자기(110)는 인터폰 케이블(112)을 매개로 방재실(200)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키폰 교환기(240)와 연결되고, 상기 방재실(200) 등의 디지털 키폰(250)도 상기 디지털 키폰 교환기(2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회선감지기(300)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00)로부터 방재실(200) 등의 디지털 키폰 교환기(240)로 연결되는 각각의 인터폰 회선이 병렬로 연결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회선감지기(300)는 상기 PC(260)와 TCP/IP, RS-485 또는 RS-232C 통신방식 등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터폰 회선의 감지상태에 따른 정보를 상기 PC(26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PC(260)에는 상기 다수 대의 CCTV 카메라(120)로부터의 영상을 녹화 및 적절하게 분할하여 재생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회선감지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엘리베이터 카(100)로부터의 인터폰 호출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방법은, 영상전송단계,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 분할 또는 확대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영상전송단계에서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각각 구비된 CCTV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동축케이블(122)을 매개로 전송되어 방재실(200) 등에 설치된 DVR(220) 측으로 입력되며(단계 400, 단계 410),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에서는 회선감지기(300)를 통해 상기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각각 구비되는 인터폰 자기(110)와 인터폰 모기(210)를 연결하는 인터폰 케이블(112)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게 된다(단계 420).
즉, 임의의 엘리베이터 카(100)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인터폰 자기(110)의 호출입력버튼이 조작되게 되면, 상기 방재실(200) 등에 설치된 인터폰 모기(210)에서는 특정 호출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상기 회선감지기(300)에서는 해당 인터폰의 호출에 따른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폰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카(100)의 호기 정보를 TCP/IP, RS-485, RS-232C 등의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DVR(220)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 측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 또는 확대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DVR(220)은 응용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상기 다수 대의 CCTV 카메라(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4분할, 9분할, 16분할 등으로 적절하게 분할하여 모니터(230)에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지만(단계 430),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DVR(220)의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회선감지기(300)를 통해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호기 체크 및 채널 선택에 의해 설정된 정보와 비교를 수행하여 인터폰 호출이 발생된 엘리베이터 카(100)의 분할화면 위치를 파악한 후 평상시의 분할화면을 모두 닫고 인터폰 호출이 발생한 해당 엘리베이터 카(100)의 영상만이 모니터(230) 전체화면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 440).
따라서, 방재실(200) 등에 위치한 관리자는 해당 엘리베이터 호기의 확대된 영상을 보면서 인터폰 통화가 가능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비상사태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엘리베이터 카로부터의 인터폰 호출과 동시에 방재실 등에 설치된 4분할, 8분할, 16분할 등으로 분할된 영상감시화면을 인터폰 호출이 발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체감시화면으로 자동 확대 및 전환시키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상황을 관리자가 신속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제어프로그램 및 회선감지기만을 추가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구성상의 제약을 해소하고 추가설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4)

  1. CCTV 카메라 및 인터폰 자기가 구비되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와, 다수 대의 CCTV 카메라가 동축케이블을 매개로 각각 연결된 상태로 방재실 등에 설치되어 해당 영상을 재생/녹화하는 DVR과, 각각의 CCTV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DVR의 제어에 따라 분할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다수 대의 인터폰 자기가 인터폰 케이블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방재실 등에 설치되는 인터폰 모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터폰 자기 및 인터폰 모기를 연결하는 인터폰 케이블에는 그 회선상태를 감시하는 회선감지기가 설치되고,
    상기 회선감지기는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를 DVR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소정 통신방식을 통해 DVR과 연결되며,
    상기 DVR에는 다수 대의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분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회선감지기로부터 특정 인터폰 회선의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인터폰 회선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CCTV 카메라 영상만을 모니터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감지기는,
    각각의 인터폰 자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그와 대응되는 개수의 포토트랜지스터를 내장한 상태로 각각의 인터폰 회선과 병렬로 연결되는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와,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회로로부터 감지된 인터폰 호출 정보를 소정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DVR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처리부 및,
    상기 회선감지기의 동작에 대해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CP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감지기는 TCP/IP, RS-485 또는 RS-232C 통신방식을 매개로 상기 DV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4.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에 각각 구비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축케이블을 매개로 DVR 측으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와;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된 인터폰 자기와 인터폰 모기를 연결하는 인터폰 케이블에 병렬로 연결되어 인터폰 회선을 감지하는 회선감지기로부터의 회선 감지 상태에 따른 정보가 DVR 측으로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 및;
    상기 인터폰 회선 감지단계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DVR은 응용프로그램을 매개로 상기 다수 대의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녹화하고 분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한편,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DVR은 제어프로그램을 매개로 평상시의 분할화면을 모두 닫고 해당 인터폰 회선에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CCTV 카메라 영상만을 모니터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분할 또는 확대 디스플레이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방법.
KR1020060133366A 2006-12-26 2006-12-26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80059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366A KR20080059720A (ko) 2006-12-26 2006-12-26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366A KR20080059720A (ko) 2006-12-26 2006-12-26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720A true KR20080059720A (ko) 2008-07-01

Family

ID=3981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366A KR20080059720A (ko) 2006-12-26 2006-12-26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9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60B1 (ko) * 2012-09-24 2014-06-09 예사전자(주)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 및 영상 패턴인식에 따른 영상 팝업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60B1 (ko) * 2012-09-24 2014-06-09 예사전자(주)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 및 영상 패턴인식에 따른 영상 팝업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1808A1 (en) Image monitoring device for elevator
WO2012046899A1 (ko)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이벤트 감지 방법
GB2378339A (en) Predictive control of multiple image capture devices.
EP2636823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7180647A (ja) 境界監視システム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2212406A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133540A (ja) 防犯監視装置
KR20080059720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에 따른 영상감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JP4987757B2 (ja) 映像表示装置
JP2013238922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KR20120050546A (ko) 팬 틸트 줌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설비 제어 시스템
JP2004252763A (ja) 監視システム
KR20040032191A (ko)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KR2004005426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06243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벨 호출에 따른 경비실 및 방제실의 제어시스템
KR200301760Y1 (ko)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
KR200385302Y1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 시스템
JPH09198577A (ja) マルチメディア防犯システム
JP4684424B2 (ja) 金融店舗監視システム
JP2005052388A (ja) 遊技店の遊技台監視方法および装置
JP4952357B2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録画装置
JP5550361B2 (ja)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および警備方法
JP201116010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の親機、及びオンターホン装置
JP3141925U (ja) ハイビジョントータラ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