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100A -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100A
KR20080059100A KR1020070135841A KR20070135841A KR20080059100A KR 20080059100 A KR20080059100 A KR 20080059100A KR 1020070135841 A KR1020070135841 A KR 1020070135841A KR 20070135841 A KR20070135841 A KR 20070135841A KR 20080059100 A KR20080059100 A KR 2008005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rive
elevator equipment
building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코허
스테판 얀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5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2009/006Ganged elev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기 설비는 2 개 이상의 승강기를 갖는 건물 내에 배열되며, 상기 건물은 건물 구역 (G1, G2; G3, G4) 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승강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가지며,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은 관련된 승강실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내의 각각의 구동 장치 (A1, A2, A3) 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승강실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 (U1.1, U1.2, U2.1, U2.2) 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 제 1 승강기는 통로 (15.1) 내에 중첩적으로 배열된 3 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갖는다. 또한, 3 개 이상의 승강실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은 건물 구역 (G1, G2; G3, G4) 내에 할당된다.
승강기 설비.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서두에 의해 한정된다.
30 개 이상의 층에 대한 근대 승강기 개념은 승강기 설비에 의해 운행되는 환승 층을 갖는다. 그러한 승강기 설비는 2 개 이상의 승강기 그룹을 포함한다. 제 1 승강기는 입구 로비로부터 환승 층을 직접 운행하며, 즉 고속 승강기에 의해 입구 로비로부터 서로 다른 환승 층으로 승객들은 비교적 신속히 분포된다. 제 2 승강기는 환승 층으로부터 목적 층으로의 승객의 미세 분포를 수행한다.
승강기는 일반적으로 승강실을 포함하며, 승강실은 통로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고, 승객을 건물 내의 목적 층으로 수송하기 위해 승객을 수용한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승강기는 일반적으로 모터 및 구동 풀리를 갖는 구동 장치, 편향 롤러, 장력 수단, 평형추, 및 승강실 및 평형추의 안내를 위한 각각의 안내 레일 쌍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 모터가 승강실 내의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동력을 생산한다. 일반적으로는 전기 모터가 이러한 기능을 담당한다. 전기 모터는 구동 풀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하며, 그동 풀리는 장력 수단과 마찰 접촉한다. 장력 수단은 벨트 또는 케이블일 수 있다. 장력 수단은 승강실 및 평형추를 매달아 운송하는 역할을 하며, 승강실 및 평형추는 매달려서 장력 수단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구동 장치에 의해 극복되어야 하는 합성 중력은 이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구동 장치를 갖는 장력 수단의 더 큰 접촉력으로 인해, 더 큰 구동 모멘트가 구동 풀리에 의해 장력 수단으로 전달된다. 장력 수단은 편향 롤러에 의해 안내된다.
승강기 구성에 있어서 통로 공간의 최적 활용은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해 왔다. 특히 건물의 활용도가 높은 고층 건물에 있어서, 주어진 통로 공간에 대해 가능한 효율적으로 승객 운송을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은 우선 더 큰 승강실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승강기 요소의 공간 절약적인 배열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다음으로 하나의 통로에 여러 개의 독립적인 승강실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기 개념에 의해 달성된다.
EP 1 526 103 은 여러 개의 구역으로 분할된 건물 내에 2 개 이상의 승강기를 갖는 승강기 설비를 나타낸다. 그러한 경우, 하나의 구역은 승강기에 의해 운행되는 한정된 층수를 포함한다. 각 승강기에 하나의 구역이 할당된다.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가기 위해 환승 층이 구비된다. 하나 이상의 승강기는 2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에서 수직으로 중첩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2 개의 승강실을 갖는다. 두 운반실의 배열은 환승 층에서의 불필요한 대기 시간의 방지를 돕기 위함이다.
동일 통로 내에서 중첩적으로 배치된 2 개 이상의 승강실을 갖는 승강기가 EP 1 489 033 에 공지되어 있다. 각 승강실은 구동 장치 및 평형추를 갖는다. 구동 장치는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 근방에 배열되며, 평형추 또한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근방의 구동 장치 또는 유지 케이블에서 결합된 구동 장치 하부에 각각 매달린다. 구동 장치의 구동 풀리의 축선은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2 개의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실은 높은 운송 성능을 보장한다. 구동 장치를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내에 위치함으로써 별도의 엔진실이 불필요해지며, 통로 헤드 내에 구동 요소들의 공간 절약적이고 간결한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역 분할 및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주어진 통로 단면에 대해 승강기 설비의 운송 성능을 더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정의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는 2 개 이상의 승강기를 갖는 건물 내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은 건물 구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승강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을 갖는다. 각각의 승강실은 관련된 승강실 구역 내의 각각의 구동 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승강실 구역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다. 제 1 승강기는 통로 내에 중첩적으로 배열된 3 개 이상의 승강실을 갖는다. 3 개 이상의 승강실 구역은 건물 구역 내에 할당된다.
중첩되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기의 3 개 이상의 승강실 덕분에, 승강기 설비는 상당히 높은 운송 성능을 갖는다. 그로 인해 환승 층에서의 대기 시간은 더욱 감소하며, 대기 루프의 발생은 대부분 회피된다.
제 2 승강기의 하나 이상의 승강실은 중첩적으로 수직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2 개의 승강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함께로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승강실 구역과 결합된다.
다중 승강실을 갖는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승강실의 가용 승강실 체적을 두 배로 만든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번의 운행으로 두배에 이르는 승객을 운송할 수 있다.
다중 승강실은 중첩적으로 배치된 2 개 이상의 환승층에서 운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환승 층을 두 배로 하는 경우 각각의 환승 층에서의 대기 시간이 더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환승 층은 환승을 위한 환승 또는 대기 공간을 갖는다. 그러한 두 배의 환승 공간의 경우, 환승은 실질적으로 충돌로부터 자유로우며, 증가된 운송 성능에도 불구하고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은 두 배의 대기 공간을 갖게 된다. 따라서, 환승 층 또는 환승 공간 또는 대기 공간에 머무르는 것은 각 경우에 더욱 쾌적하다.
상기 제 1 승강기의 3 개 이상의 승강실은 하나의 중앙 승강실 및 2 개의 인접 승강실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중앙 승강실은 중앙 승강실 구역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2 개의 인접 승강실은 2 개의 인접 승강실 구역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중앙 승강실 구역은 인접 승강실 구역과 겹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그러한 겹치는 승강 구역을 갖는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겹치는 승강 구역 내의 임의의 원하는 층에서 승객이 중앙 승강실 구역에서 인접 승강실 구역으로 환승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는 좀 더 유연한 승객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겹치는 승강실 구역의 층은 2 개의 승강실에 의해 운행되므로 승강기 설비의 운송 성능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승강실은 상기 승강실과 결합된 3 개 이상의 구동 장치를 지나서 이동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승강기 설비는, 승강실과 충돌하지 않는 통로 내에서 구동 장치가 공간 절약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승강실과 결합된 3 개 이상의 구동 장치는 제 1 통로 벽 또는 맞은 편의 제 2 통로 벽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승강실과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 사이의 위치에 있다. 그로 인해, 구동 장치가 일반적으로 배열되는 통로 헤드 또는 통로 피트 내의 공간은 절약된다.
중앙 승강실의 구동 장치는 제 1 통로 벽에 위치하고, 상기 인접 승강실의 2 개의 구동 장치는 맞은 편의 제 2 통로 벽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동일 통로 내에 아무리 많은 구동 장치 및 관련된 승강실이라도 유연하고 간단히 위치시킨다는 점이다. 그에 반해, 종래 기술의 통로 내 구동 장치 배열에서는, 설치될 수 있는 구동 장치의 수는 통로 헤드 내에 가능한 공간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균등하게, 그러한 종래 통로 헤드 내 구동 장치 배열에 있어서, 장력 요소를 충돌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이 한계를 좁히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건물이 구역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승강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을 가지며, 각각의 승강실은 관련된 승강실 구역 내의 각각의 구동 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승강실 구역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가지게 됨 으로써, 승강기 설비의 운송 성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통로 (shaft) 는 6 개의 경계면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며, 하나 이상의 승강실이 통로 내에서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보통은 4 개의 통로 벽, 천장 및 바닥이 6 개의 경계면을 형성한다. 하지만 이와 균등하게, 상부 및 하부 주행 경로 제한이 경계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승강기가 이동할 수 있는 수 개의 주행 경로가 통로 내에서 수평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통로 한정은 확장될 수도 있다.
도 1 은, 구동 장치 (A1, A2, A3) 를 각각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3 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갖는 승강기를 나타낸다. 그러한 경우, 중앙 승강실 (7a) 은, 각각 중앙 승강실 (7a) 의 하부와 상부에 배치된 두 개의 인접한 승강실 (7b, 7c) 사이에 배열된다.
결합된 구동 장치 (A1, A2, A3) 는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에 측면으로 위치한다.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은 통로 문을 갖지 않는 서로 맞은 편에 있는 벽이다. 중앙 승강실 (7a) 의 구동 장치 (A1) 는 제 1 통로 벽에 위치하며, 인접한 승강실 (7b, 7c) 의 두 구동 장치 (A2, A3) 는 맞은 편 제 2 통로 벽에 위치한다. 그러한 경우 구동 장치 (A1, A2, A3) 는 맞은 편 통로 벽 상에 교대로 위치한다. 또 다른 승강실의 추가 구동 장치 (도시 생략) 는 구동 장치의 교대 순서에 대응하여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에 교대로 배열된다.
구동 장치 (A1, A2, A3) 는 도 1 에서 3 개의 서로 다른 통로 높이에 위치하 며, 인접한 승강실 (7b, 7c) 의 구동 장치 (A2, A3) 는 중앙 승강실 (7a) 의 구동장치 (A1) 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중앙 구동 장치 (A1) 와 인접한 구동 장치 (A2, A3) 사이의 수직 방향 간격은 승강실 하나의 높이 이상이다.
하지만, 2 개의 구동 장치를 동일한 통로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중앙 승강실 (7a) 의 구동 장치 (A1) 는 제 1 통로 벽에 배열되고, 인접한 상부 승강실 (7c) 의 구동 장치 (A3) 는 맞은 편의 동일한 통로 높이로 제 2 통로 벽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두 구동 장치 (A1, A3) 의 보수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는 특히, 공통 플랫폼으로부터 보수될 수 있다.
구동 장치 (A1, A2, A3) 는 각각 모터 (M1, M2, M3) 및 구동 풀리 (1a, 1b, 1c) 를 갖는다. 모터 (M1, M2, M3) 는 구동 풀리 (1a, 1b, 1c) 와 운동식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며, 이 구동 풀리 (1a, 1b, 1c) 에 의해 장력 수단 (Z1, Z2, Z3) 을 구동한다. 구동 풀리 (1a, 1b, 1c) 는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의 수용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일 측에 리브 (rib) 를 갖는 쐐기 홈이 난 벨트로서 구동 풀리 측에서 하나 이상의 함몰부에 맞물리는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하는 구동 풀리 (1a, 1b, 1c) 를 갖는 매끈한 벨트, 및 일 측 또는 양측에 톱니가 난 벨트와 같은 벨트의 변형예가 균등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단일 케이블, 이중 케이블 또는 다중 케이블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 또한 사용 가능하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강선, 아라미드 또는 벡트란 (Vectran) 가닥을 포함한다.
3 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및 3 개의 평형추 (12a, 12b, 12c) 는 도르래 방식으로 장력 수단 (Z1, Z2, Z3) 에 매달려 있다. 그 경우, 승강실 (7a, 7b, 7c) 은 승강실 (7a, 7b, 7c) 의 하부 영역 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및 하나 이상의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를 갖는다. 이러한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외주에서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다. 따라서,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장력 수단 (Z1, Z2, Z3) 의 안내에 적합하며 장력 수단 (Z1, Z2, Z3) 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실 (7a, 7b, 7c) 은 하부 도르래로서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승강실 (7a, 7b, 7c) 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에 대응하여, 승강실 (7a, 7b, 7c) 은 그 후 상부 도르래로서 매달려 있게 된다.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는 평형추 (12a, 12b, 12c) 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와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유사하게, 평형추 (12a, 12b, 12c) 는 결합된 구동 장치 (A1, A2, A3) 하부의 상부 도르래로서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및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에 의해 제 1 고정점 (5a, 5b, 5c) 으로부터 제 2 고정점 (6a, 6b, 6c) 으로 안내되고, 구동 풀리 (1a, 1b, 1c) 는 제 1 통로 벽으로부터 제 2 통로벽으로 안내된다. 그 경우에 제 1 고정점 (5a, 5b, 5c) 은 결합된 구동 장치 (A1, A2, A3) 와 맞은편으로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의 근방에 대략 동일한 통로 높이로 배치된다. 제 2 고정점 (6a, 6b, 6c) 은 맞은 편의 제 2 통로 벽 또는 제 1 통로 벽 상에서 결합된 구동 장치 (A1, A2, A3) 근방에 배치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제 1 고정점 (5a, 5b, 5c) 으로부터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을 따라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로 하부로 움직이고,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를 외부에서 내부로 대략 90°각도로 고리를 만들고,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에 이르게 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이러한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를 내부에서 외부로 대략 90°각도로 다시 고리를 만들고, 그 후에 승강실 (7a, 7b, 7c) 을 따라 구동 풀리 (1a, 1b, 1c) 로 상부로 안내되며, 이 구동 풀리 (1a, 1b, 1c) 주위로 내부에서 외부로 대략 150°로 고리를 만들게 된다. 선택적인 설정 풀리 (13a, 13b, 13c) 의 설정에 따라, 고리각은 90 ∼ 180°범위 내로 설정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그 후 제 2 통로 벽 도는 제 1 통로 벽을 따라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쪽으로 하부로 안내되고, 이러한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주위로 외부에서 내부로 대략 180°각으로 고리를 만들고, 다시 제 2 통로 벽 또는 제 1 통로 벽을 따라 제 2 고정점 (6a, 6b, 6c) 으로 상부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 풀리 (13a, 13b, 13c) 는 구동 장치 (A1, A2, A3) 의 선택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설정 풀리 (13a, 13b, 13c) 로, 구동 풀리 (1a, 1b, 1c) 에서의 장력 수단 (Z1, Z2, Z3) 의 고리각은, 구동 풀리 (1a, 1b, 1c) 로부터 장력 수단 (Z1, Z2, Z3) 으로 원하는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동 풀리 (1a, 1b, 1c) 로부터의 장력 수단 (Z1, Z2, Z3) 의 각각의 간격에 따라, 구동 장치 (A1, A2, A3), 평형추 (12a, 12b, 12c), 또는 승강실 (7a, 7b, 7c) 로부터의 간격이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통로 내에서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사이에서 장력 수단 (Z1, Z2, Z3) 을 충돌 없이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승강실 (7a, 7b, 7c)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결합된 구동 장치 (A1, A2, A3), 구동 풀리 (1a, 1b, 1c),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선택적인 설정 풀리 (13a, 13b, 13c), 평형추 (12a, 12b, 12c), 장력 수단 (Z1, Z2, Z3) 및 고정점 (5a, 5b, 5c, 6a, 6b, 6c) 이 하나의 승강 유닛을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1 은 3 개의 승강 유닛을 갖고, 삼중 그룹 (14) 을 형성하게 되는 승강기를 나타낸다.
승강실 (7a) 을 갖는 중앙 승강 유닛으로부터, 승강실 (7b) 을 갖는 인접 하부 승강 유닛 및 승강실 (7c) 을 갖는 인접 상부 승강 유닛은 각각 중앙 승강 유닛에 대해 거울 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승강 유닛의 구동 장치 (A1, A2, A3) 는 서로 맞은 편의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상에 놓이고, 결합된 구동 풀리 (1a, 1b, 1c),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설정 풀리 (13a, 13b, 13c), 평형추 (12a, 12b, 12c), 장력 수단 (Z1, Z2, Z3) 및 인접 승강실 (7a, 7b, 7c) 의 고정점 (5a, 5b, 5c, 6a, 6b, 6c) 또한 거울 상으로 배열된다. 중앙 및 인접 승강 유닛의 이러한 거울상 배열 법칙은 통로 내에 설치되는 모든 승강 유닛 수에 적용된다.
승강 유닛 배열의 또 다른 특성은 결합된 구동 장치 (A1, A2, A3) 와 제 1 고정점 (5a, 5b, 5c) 이 맞은 편에 있는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에서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의 장력 수단은 승강실 (7a, 7b, 7c) 의 매달린 지점을 구동 풀리 (1a, 1b, 1c) 의 높이 이상으로 올릴 수는 없기 때문에, 고정점 (5a, 5b, 5c) 및 구동 장치 (A1, A2, A3) 에 의해 미리 정해진 통로 높이는 동시에 관련된 승강실 (7a, 7b, 7c) 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점이기도 하다. 중앙 승강실 및 인접 승강실 (7a, 7b, 7c) 의 구동 장치 (A1, A2, A3) 및 제 1 고정점 (5a, 5b, 5c) 의 위치 선정은 보통 서로 다른 통로 높이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승강실 (7a, 7b, 7c) 은 서로 다른 최대 통로 높이에만 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중앙 승강실 및 인접 승강실 (7a, 7b, 7c) 은 승강실 (7a, 7b, 7c) 이 이동 가능한 서로 다른 승강실 구역 내에 할당된다.
승강실 (7a, 7b, 7c) 에 할당된 승강실 구역 (K1, K2, K3) 은 도 1 에서 명백히 나타나 있다. 그로부터, 상기 구성에서의 구동 장치 (A1, A2, A3) 의 통로 높이는 그러한 승강실 구역 (K1, K2, K3) 의 최대 통로 높이를 미리 결정하는 것이 명백하다. 그에 반해, 승강실 구역 (K1, K2, K3) 의 최소 통로 높이는 그 아래에 배치된 바로 다음 승강 유닛의 구동 장치 (A1, A2, A3) 에 의해 한정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의 실시예에서, 인접 상부 승강실 (7c) 의 평형추 (12c) 및 그 아래에 배치된 바로 다음 인접 하부 승강실 (7b) 의 구동 장치 (A2) 는, 중앙 승강 유닛 및 인접 승강 유닛의 거울상 구조로 인해, 동일한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평형추 (12c) 에 의해 도달 가능한 가장 깊은 통로 높이는 동일 통로 벽 상에서 그 아래에 배치된 구동 장치 (A2) 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구동 장치 (A2) 와 구동 장치 (A3) 사이의 평형추 (12c) 의 주행 범위는, 관련된 승강실 (7c) 및 평형추 (12c) 에 대해, 승강실 (7c) 의 승강실 구역 (K3) 을 한정한다.
삼중 그룹 (14) 에 대한 이러한 설명에 의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부분적으로 겹치는 승강실 구역 (K1, K2, K3) 이 발생하며, 중앙 승강실 구역 및 인접 승강실 구역 (K1, K2, K3) 만이 겹치게 된다. 수 개의 삼중 그룹 (14) 이 배열된 고층 건물에서는, 2 개의 승강실에 의해 중앙 승강실 구역 (K1) 내에 배치된 다른 모든 층 상부의 층이 제공된다.
도 2 에 따르면, 승강실 (7a, 7b, 7c) 은 2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에 의해 안내된다. 2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은, 각 경우에 대략 두 승강실 (7a, 7b, 7c) 의 무게 중심 (S) 을 통하여 연장하는 연결면 (V) 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승강실 (7a, 7b, 7c) 은 편심으로 매달려 있다. 여기서는 중첩적으로 배열되는 2 개의 승강 유닛의 배열만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중첩적으로 배열되는 또 다른 승강실 쌍의 배열이 유사하게 일어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장력 수단 (Z1, Z2, Z3), 및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와 구동 풀리 (1a, 1b, 1c) 와 같은 결합된 안내 수단은, 이러한 매달림 배열 내에서 연결면 (V) 의 일 측상에 놓이며 (편향 롤러 (4a, 4b, 4c) 는 명확성을 위해 도 2 에 도시 생략), 즉 승강실 (7a, 7b, 7c) 과 결합된 상기 모든 요소는 제 3 통료 벽과 연결면 (V) 사이 또는 제 4 통로 벽과 연결면 (V) 사이에 놓인다. 제 3 통로 벽 또는 제 4 통로 벽은 하나 이상의 통로 문 (9) 및 맞은편 통로 벽을 갖는 통로 벽을 나타낸다. 장력 수단 (Z1, Z2, Z3) 및 연결면 (V) 의 간격 (y) 은 대략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승강실 (7a, 7b, 7c) 의 장력 수단 (Z1, Z2, Z3) 은 연결면 (V) 의 일 측 또는 반대 측에 교대로 놓인다. 따라서, 승강실 (7a, 7b, 7c) 의 편심 매달림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는 반대 효과를 갖는다. 승강실 (7a, 7b, 7c) 의 정격 부하가 동일한 경우, 및 승강실 (7a, 7b, 7c) 이 짝수개인 경우, 안내 레일 (10.1, 10.2) 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상당히 증가한다.
평형추 (12a, 12b, 12c) 는 2 개의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11b.1, 11b.2) 에 의해 안내된다. 평형추 (12a, 12b, 12c)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과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사이의 마주보는 통로 벽에 위치한다. 평형추 (12a, 12b, 12c) 는 그 무게 중심에서 장력 수단 (Z1, Z2, Z3) 에 매달려 있게 된다. 승강실 (7a, 7b, 7c) 은 편심으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평형추 (12a, 12b, 12c) 는 제 3 및 제 4 통로 벽 근방에서 측면으로 오프셋 된다.
구동 풀리 (1a, 1b, 1c) 의 회전 축선 및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의 회전 축선은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요소는 4 개의 평행하게 연장된 장력 수단 (Z1, Z2, Z3) 을 수용하며, 이를 안내하고, 또는 구동 풀리 (1a, 1b, 1c) 의 경우 에는 이들을 구동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을 수용할 수 있기 위해,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및 구동 풀리 (1a, 1b, 1c) 는 4 개의 특별히 제작된 접촉면을 가지며, 이 경우 예를 들면 케이블이 홈으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벨트가 움푹한 면 또는 톱니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이 경우 평면 구성의 접촉면에는 안내 숄더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4 개의 접촉면은 통상의 롤러 형상의 기초 몸체상에서 또는 통상의 회전 축선을 갖는 4 개의 개별 롤러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 형태의 정보를 통해, 각각의 목적에 따른 수많은 변형예가 당업자에게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는 하나의 회전축 상에서 서로에 대해 간격을 갖거나 갖지 않는 하나 내지 4 개 또는 그 이상의 롤러를 배열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각 롤러는 각각의 설계에 따라, 1 내지 4 개 또는 필요한 경우 그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을 수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승강기 작동에 있어서, 승강실 (7a, 7b, 7c) 은 층과 동일 높이로 정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층으로부터 승강실 (7a, 7b, 7c) 로, 또한 승강실로부터 층으로 승객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강실 문 (8) 은 통로 문 (9) 과 함께 개방된다.
도 3 은 중앙으로 매달린 승강실 (7a, 7b, 7c) 을 갖는 선택적인 매달림 배열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중첩적으로 배열된 두 승강 유닛의 배열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중첩적으로 배열된 또 다른 승강 유닛 쌍에 대한 배열이 그와 유사하게 발생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한 경우, 장력 수단 (Z1, Z2, Z3) 은 편향 롤러 및 구동 풀리 (1a, 1b, 1c) 로부터 연결면 (V) 의 양 측상에 안내된다. 그 후 매달림은 연결면 (V) 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매달림 무게 중심은 승강실 (7a, 7b, 7c) 의 무게 중심 (S) 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상에 어떠한 추가 모멘트도 작용하지 않게 된다.
승강실 (7a, 7b, 7c) 의 중앙 매달림에 있어서, 결합된 편향 롤러 (2a.1, 2a.2, 2b.1, 2b.2, 3a.1, 3a.2, 3b.1, 3b.2) 및 구동 풀리 (1a.1, 1a.2, 1b.1, 1b.2) 는 연결면 (V) 의 좌측 및 우측에 배열된 2 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된다. 평형추 (12a, 12b, 12c) 의 편향 롤러 (4a, 4b, 4c) 도 유사하게 연결면 (V) 의 좌측 및 우측 상에 배열된 2 개의 롤러로 구성되지만, 명확성을 위해 도 3 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앙 승강실 (7a) 과 결합된 편향 롤러 (2a.1, 2a.2, 3a.1, 3a.2) 및 구동 풀리 (1a.1, 1a.2) 는 연결면 (V) 으로부터 제 1 간격 (x) 을 갖도록 놓이고, 하부 승강실 (7b) 과 결합된 편향 롤러 (2b.1, 2b.2, 3b.1, 3b.2) 및 구동 풀리 (1b) 는 연결면 (V) 으로부터 제 2 간격 (X) 을 갖도록 놓이며, 제 1 간격 (x) 은 제 2 간격 (X) 보다 작다. 그로 인해, 승강실 (7a, 7b, 7c) 의 중앙 매달림의 경우에서 장력 수단 (Z1, Z2, Z3) 의 충돌 없는 안내가 보장된다.
또한, 여기서 평형추 (12a, 12b, 12c)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과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 사이의 장력 수단 (Z1, Z2, Z3) 에서 그 무게 중심 (S) 에 매달려 있는 것이 유리하다. 승강실 (7a, 7b, 7c) 은 이제 중앙에 매달 려 있기 때문에, 평형추 (12a, 12b, 12c) 또한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의 중앙 영역 상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평형추 (12a, 12b, 12c) 의 중앙 위치 덕분에, 평형추 (12a, 12b, 12c) 의 측면 단부와 제 3 및 제 4 통로 벽 사이의 자유 공간이 증가한다. 그로 인해 평형추 (12a, 12b, 12c) 의 설계의 자유를 얻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그 공간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해 폭이 더 좁고 더 넓은 평형추 (12a, 12b, 12c) 가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축 단면에 대해서, 승강실 (7a, 7b, 7c) 은 폭을 얻게 되거나, 또는 주어진 승강실 크기에 대해, 축 단면이 감소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중심 및 편심 매달림 변형예는 이하 도 5 및 도 6 의 실시예와 함께 요구에 따라 조합될 수도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 (A1) 는 모터 (M1), 바람직하게는 편심 모터, 구동 풀리 (1a) 및 선택적으로는 설정 풀리 (13a) 를 갖고, 이에 의해 구동 풀리 (1a) 에 대한 장력 수단 (Z1) 의 고리각, 및 구동 장치 (A1) 로부터 승강실 (7a) 또는 평형추 (12a) 로의 수평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모터 (M1) 은 구동 풀리 (1a) 상부에 수직으로 놓인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구동 장치는 승강실 (7a) 과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 사이의 평형추 (12a) 의 분명한 돌출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실은 구동 장치 (A1) 를 지나쳐갈 수 있고, 그에 의해 통로의 불필요한 공간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엔진실이 없는 종래 기술의 승강기와 비교할 때 통로 헤드 및/또는 통로 피트 (pit) 내에 공간을 얻게 된다.
도 4 에 따르면, 구동 장치 (A1) 는 크로스 부재 (19) 상에 고정되며, 크로스 부재 (19)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및/또는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에 고정된다. 도 4 에서 및 승강실 (7a) 의 배경에서는, 평형추 (12a) 가 매달려 있는 제 3 편향 롤러 (4a) 가 더 도시되어 있다. 여기 도시된 실시예는 도 2 의 배열과 비교하면, 연결면 (V) 에 대해 거울상이다.
구동 장치 (A1) 는 또한 선택적으로는 통로 벽 상에서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크로스 부재 (19) 는 절약된다.
도 5 는 분리 격벽을 갖는 건물에 대한 승강기 설비를 나타낸다. 건물 구역 (G1, G2) 은 중첩적으로 수직 배치되는 여러 개 건물 층으로 구성된다. 그 경우, 건물 구역 (G1, G2) 의 하나 이상의 건물 층은 소위 환승 층 (U1, U2) 이다. 환승 층에서만 정지하는 이송 승강기에 의해 하나의 건물 구역 (G1) 으로부터 다른 건물 구역 (G2) 으로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이러한 이송 승강기는 고속 승강기로서 설계된다. 건물 구역 (G1, G2) 에 할당된 잔여 층 수는 운반식 (take-away) 승강기 (14.1, 14.2) 가 운행되는 층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운반식 승강기 (14.1, 14.2) 는 환승 층 (U1, U2) 으로부터 목적 층까지 승객의 미세 분포를 맡는다.
여기서 건물은 2 개의 건물 구역 (G1, G2) 으로 분할된다. 이 건물 구역 (G1, G2) 각각에는 할당된 건물 구역 (G1, G2) 의 층으로의 역할만을 하는 삼중 그룹 (14.1, 14.2) 이 할당된다. 승강기 설비는 2 개의 통로 (15.1, 15.2) 내에 배열된 3 개의 승강기를 갖는다. 제 1 통로 (15.1) 내에는, 중첩적으로 배열된 2 개의 삼중 그룹 (14.1, 14.2) 이 6 개의 승강 유닛, 6 개의 승강실 및 관련된 승강실 구역 (K1.1, K1.2, K1.3, K2.1, K2.2, K2.3) 과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건물 구역 (G1) 으로부터 제 2 건물 구역 (G2) 으로의 변경은 필연적으로 제 2 통로 (15.2) 의 승강기에 의해 일어나며, 이는 건물 구역 (G1) 의 환승 층 (U1.1, U1.2) 으로부터 건물 구역 (G2) 의 환승 층 (U2.1, U2.2) 으로의 변경에 한한다. 2 개의 삼중 그룹 (14.1, 14.2) 으로 인해 환승 층 (U2.1, U2.2) 으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건물 구역 (G1, G2) 으로, 또한 건물 구역 (G1, G2) 사이의 임의의 두 층 사이에서 승객을 수송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 내의 보다 효과적인 승객 수송 통로를 얻게 된다.
제 1 통로 (15.1) 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승강기를 갖는 2 개의 분리된 개별 통로로 분할된다. 이러한 개별 통로의 통로 높이는 대응하는 건물 구역 (G1, G2) 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적응된다. 그러한 분리된 개별 통로의 이점은, 높은 통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굴뚝 효과를 제거하고, 또한 원치 않는 강한 통로 바람을 제거한다는 점이다.
환승 층 (U1.1, U1.2, U2.1, U2.2) 으로서만 작용하는 고속 승강기는 제 2 승강기 통로 (15.2) 내로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속 승강기는, 중첩적으로 수직 배열되고 통로 (15.2) 내에서 보통 이동 가능한 2 개의 고정되도록 관련된 승강실을 갖는 2층 승강실이다. 이러한 2층 승강실은 중첩적으로 배열된 2 개의 환승 층 (U1.2, U1.1, U2.1, U2.2) 역할을 한다.
각 건물 구역 (G1, G2) 내의 각 승강실 구역 (K1.1, K1.2, K1.3, K2.1, K2.2 K2.3) 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 (U1.2, U1.1, U2.1, U2.2) 을 갖는다. 실시예에 의해, 이하의 배열은 건물 구역 (G2) 을 만들고, 2층 승강실의 환승 층 (U2.1, U2.2) 은 건물 구역 (G2) 의 중앙 영역 내에 놓이며, 하부 환승 층 (U2.2) 은 2층 승강실의 하부 승강실 및 삼중 그룹 (14.1) 의 중앙 및 하부 인접 승강실에 의해 운행되고, 상부 환승 층 (U2.1) 은 2층 승강실의 상부 승강실 및 삼중 그룹 (14.2) 의 중앙 및 상부 인접 승강실에 의해 운행된다. 따라서, 목적 층이 중앙 승강실 구역 (K1.2) 내에 있는 승객은 이동을 위해 항상 삼중 그룹의 2 개의 승강실을 이용할 수 있다.
인접 승강실 구역 (K2.2, K3.2) 은 건물 구역의 층의 각 절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중앙 승강실 구역 (K1.2) 은 건물 구역 (G2 에 할당된 층 수보다는 작은 2 개의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앙 승강실은 두 경계층으로부터 떨어진 건물 구역 (G2) 의 모든 중앙 층에 운행 가능하다. 중앙 승강실은 삼중 그룹 (14.2) 의 승강실의 수직 적층으로 인해, 인접한 승강실의 상부 또는 하부 인접 승강실을 지나서 주행할 수는 없고, 각각은 건물 구역 (G2) 의 하나 이상의 경계층에 점유 상태를 유지한다.
중앙 승강실 (K1.2) 크기가 최소인 경우, 이는 2 개의 환승 층 (U2.1, U2.2) 을 포함한다. 삼중 그룹 (14.2) 의 중앙 승강실이 건물 구역 (G2) 에 대해 에스컬레이터 (16) 의 기능을 맡는 경우에는, 상부 환승 층 (U2.1) 으로부터 하부 환승 층 (U2.2) 으로 및 그 역으로 승객을 수송한다. 2 개의 환승 층 (U2.1, U2.2) 은 그 후 삼중 그룹 (14.2) 의 2 개의 승강실에 의해 각각 운행되는 건물 구 역 (G2) 의 유일한 층이기도 하다.
그에 반해, 중앙 승강실 구역 (K1.2) 의 최대 크기에서는, 건물 구역 (G2) 의 두 경계층이 삼중 그룹 (14.2) 의 인접한 하부 또는 상부 승강실에 의해 운행되는 유일한 층이 된다. 중앙 승강실 구역 (K1.2) 의 최대 크기에서, 다른 모든 층은, 두 개의 승강실에 의해 운행된다.
승강실 구역 (K1.1, K2.1, K3.1), 결합된 승강 유닛 및 건물 구역 (G1) 의 환승 층 (U1.1, U1.2) 의 배열은 건물 구역 (G2) 의 상기 요소의 배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더 중요한 추가적인 태양은 하부 건물 구역 (G1) 의 환승 층 (U1.1, U1.2) 과 결합된다.
하부 건물 구역 (G1) 의 2 개의 환승 층 (U1.1, U1.2) 은 에스컬레이터 (16) 와 연결된다. 에스컬레이터는 건물 로비에서 종종 사용된다. 건물 로비는 승객이 건물에 출입하는 층이며, 따라서 다수의 승객이 출입하게 된다. 예컨대, 만약 하부 환승 층 (U1.2) 이 건물 로비인 경우, 필요한 경우 롤러 에스컬레이터 (16) 의 높은 운송 성능 덕분에 유입 승객이 상부 환승 층 (U1.1) 으로 신속히 지나가게 되고, 또는 건물을 나가는 경우 환승 층으로부터 건물 로비로 신속히 돌아오게 된다. 각각의 건물 종류 및 위치에 따라, 건물 로비는 원칙적으로 건물의 임의의 층이 될 수 있다. 건물 로비는 그 경우 제 2 통로 (15.2) 의 하나 이상의 고속 승강기에 의해 운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6 은 2 개의 추가 건물 구역 (G3, G4) 을 갖는 건물 및 결합된 삼중 그룹 (14.3, 14.4) 과 함께 승강실 구역 (K1.3, K2.3, K3.3, K1.4, K2.4, K3.4) 및 결합 된 환승 층 (U3.1, U3.2, U4.1, U4.2) 을 나타낸다. 원하는 수만큼의 삼중 그룹 (14) 이 중첩적으로 수직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지식으로 특정 건물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수를 최적화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2층 승강실 대신에 수 개 또는 개별 단일 승강실 또는 2 개 이상의 승강실이 함께 연결된 다중 승강실이 제 2 통로 (15.2) 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건물 구역 (G) 에 할당된 건물 층수는 자유로이 선택 가능하다. 건물 구역 (G) 또한 층수와 동일할 필요는 없고, 그 수는 건물 구역에서 건물 구역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삼중 그룹 (14) 만이 건물 구역 (G) 에 할당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4중, 5중 또는 6중 그룹 등도 건물 구역 (G) 에 할당될 수 있다. 승강실 구역은 예컨대 삼중 그룹 내에서 대칭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구동 장치 및 환승 층의 위치에 따라, 이러한 승강실 구역 (K) 은 특정 건물 조건에 대해 자유로이 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승 층 (U) 또한 승강실 구역 (K) 또는 다중 승강실의 승강실 개수에 따른 건물 구역 (G) 내의 개수 및 위치에 대해 자유로이 배열될 수 있다.
이하의 단순한 계산은 본 발명에 의해 운송 성능의 상당한 증가가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예컨대, 10 개 층을 가진 건물 구역 (G2) 에 대해, 최신 기술에 따르면, 2 개의 승강실은 각각 9 개 층을 운행하며, 즉 각 승강실은 운행 층수에 의해 가중치가 더해진 1.9 의 층별 수송 계수를 가지며, 이 계수는 특정 층에서의 승강실의 수송 성능에 대한 척도를 나타낸다. 이는 하나의 승강실에 의해서만 각각 운행되는 두 경계층에 대해 수송 계수는 각각 1/9 이며, 2 개의 승강실 구역이 겹치는 8 개 층의 중앙 영역에 대해, 수송 계수는 2/9 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승강실 구역 (K2.2, K3.2) 각각은 5 개의 상부 층 및 5 개의 하부 층을 운행하며, 중앙 승강실 구역 (K1.2) 은 8 개의 층을 운행한다. 그로부터, 겹치는 승강실 구역의 영역에 대해 수송 계수는 1/5 에 1/8 을 더한 13/40 이 되며, 경계층에 대한 수송 계수는 1/5 이 된다.
이러한 간단한 계산 예는 건물 구역 (G2) 의 모든 층에 대해 상당한 수송 성능의 증가가 일어남을 나타낸다. 두 경계층에 대한 운송 성능의 증가는 비율 크기를 훨씬 넘어선다. 또한, 이러한 운송 성능의 증가는 건물 구역에서, 10 개 층이 아닌, 다수의 층에서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1 은 세 개의 승강실, 세 개의 구동 장치, 세 개의 구동 풀리, 세 개의 장력 수단 및 수 개의 편향 롤러를 갖는 승강기 설비의 승강기 배열의 측면 개략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승강기 배열의 정면 개략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승강기의 선택적인 배열의 정면 개략도.
도 4 는 크로스 부재 상의 구동 장치 배열의 측면도.
도 5 는 2 개의 건물 구역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의 측면 개략도.
도 6 은 4 개의 건물 구역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의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1c 구동 풀리
2a, 2b, 2c, 3a, 3b, 3c, 4a, 4b, 4c 편향 롤러
7a, 7b, 7c 승강실
10.1, 10.2 승강실 안내 레일
11a.1, 11a.2 평형추 안내 레일
12a, 12b, 12c 평형추
15.1, 15.2 통로
19 크로스 부재
A1, A2, A3 구동 장치
G1, G2, G3, G4 건물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승강실 구역
M1, M2, M3 모터
U1.1, U1.2, U2.1, U2.2 환승층
Z1, Z2, Z3 장력 수단

Claims (39)

  1. 2 개 이상의 승강기를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로서,
    상기 건물은 건물 구역 (G1, G2; G3, G4) 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승강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가지며,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은 관련된 승강실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내의 각각의 구동 장치 (A1, A2, A3) 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승강실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 (U1.1, U1.2, U2.1, U2.2) 을 가지며,
    제 1 승강기는 통로 내에 중첩적으로 배열된 3 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갖고, 3 개 이상의 승강실 구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이 건물 구역 (G1, G2; G3, G4) 내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승강기의 하나 이상의 승강실은 중첩적으로 배열되고, 동일한 승강실 구역과 결합되는 2 개 이상의 승강실을 갖는 다중 승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승강실은 중첩적으로 배치된 2 개 이상의 환승층 (U1.1, U1.2, U2.1, U2.2) 에서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기의 3 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은 하나의 중앙 승강실 및 2 개의 인접 승강실을 갖고,
    상기 중앙 승강실 (7a) 은 중앙 승강실 구역 (K1)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2 개의 인접 승강실 (7b, 7c) 은 2 개의 인접 승강실 구역 (K2, K3)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승강실 구역 (K1) 은 인접 승강실 구역 (K2, K3) 과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7a, 7b, 7c) 은 상기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되는 3 개 이상의 구동 장치 (A1, A2, A3) 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되는 3 개 이상의 구동 장치 (A1, A2, A3) 는 제 1 통로 벽 또는 맞은 편의 제 2 통로 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승강실 (7a) 의 구동 장치 (A1) 는 제 1 통로 벽에 위치하고, 상기 인접 승강실 (7b, 7c) 의 2 개의 구동 장치 (A2, A3) 는 맞은 편의 제 2 통로 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 개 이상의 구동 장치 (A1, A2, A3) 는 마주보는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상에 교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 개 이상의 구동 장치 (A1, A2, A3) 는 서로 다른 통로 높이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승강실 (7b, 7c) 의 구동 장치 (A2, A3) 는 상기 중앙 승강실 (7a) 의 구동 장치 (A1) 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승강실의 구동 장치 (A1) 및 인접 승강실의 구동 장치 (A2, A3) 둘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승강실 하나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3.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구동 장치 (A1, A3) 는 동일한 통로 높이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 (A1, A2, A3) 는 하나 이상의 모터 (M1, M2, M3) 및 구동 풀리 (1a, 1b, 1c)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M1, M2, M3) 는 관련되는 구동 풀리 (1a, 1b, 1c) 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의 축선은 제 1 통로 벽 및 제 2 통로 벽에 평행하게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형추 (12a, 12b, 12c) 가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평형추 (12a, 12b, 12c) 는 2 개의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11b.1, 11b.2) 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은 2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평형추 (12a, 12b, 12c) 는 상기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과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통로 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이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7a, 7b, 7c) 및 상기 관련된 평형추 (12a, 12b, 12c) 는 통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와 운동식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7a, 7b, 7c) 은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에 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7a, 7b, 7c) 각각은 승강실 (7a, 7b, 7c) 의 하부 영역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및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및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및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에 의해 제 1 고정점 (5a, 5b, 5c) 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12a, 12b, 12c) 는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에 도르래 방식으로 관련된 구동 장치 (A1, A2, A3) 하부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12a, 12b, 12c) 는 상기 평형추 (12a, 12b, 12c) 의 상부 영역에 고정되는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에 의해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를 거쳐 제 2 고정점 (6a, 6b, 6c) 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0.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이중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1.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하나 이상의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의 지지 구조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벡트란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일 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4. 제 31 항 또는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톱니를 갖는 벨트 또는 쐐기 홈이 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5. 제 25 항 및 제 28 항과 병합된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하나 이상의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및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벨트의 일 측만이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및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와 상기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사이에서 각각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180°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6. 제 25 항과 병합된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은 연결면 (V) 을 형성하고,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구동 풀리 (1a, 1b, 1c) 및 관련된 승강실 (7a, 7b, 7c) 의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및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가 연결면 (V) 의 일 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7. 제 25 항과 병합된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7a, 7b, 7c) 은 2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에 의해 안내되고, 이러한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은 연결면 (V) 을 형성하며,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구동 풀리 (1a, 1b, 1c) 및 상기 관련된 승강실 (7a, 7b, 7c) 의 제 1 결합 편향 롤러 (2a, 2b, 2c) 및 제 2 결합 편향 롤러 (3a, 3b, 3c) 가 상기 연결면 (V) 의 양 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동 장치 (A1, A2, A3) 는 크로스 부재 (19)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9. 제 18 항 및 제 19 항과 병합된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 (19) 는 상기 승강실 안내 레일 (10.1) 및/또는 상기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KR1020070135841A 2006-12-22 2007-12-21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 KR20080059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7132 2006-12-22
EP06127132.6 2006-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100A true KR20080059100A (ko) 2008-06-26

Family

ID=3824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841A KR20080059100A (ko) 2006-12-22 2007-12-21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JP (1) JP2008156119A (ko)
KR (1) KR20080059100A (ko)
CN (1) CN101219747A (ko)
AU (1) AU2007254654A1 (ko)
BR (1) BRPI0705006A (ko)
CA (1) CA2638140A1 (ko)
MX (1) MX2007015398A (ko)
NZ (1) NZ564075A (ko)
PE (1) PE20081645A1 (ko)
RU (1) RU2007147958A (ko)
SG (1) SG144108A1 (ko)
TW (1) TW200835644A (ko)
ZA (1) ZA200710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8054B (zh) * 2011-08-21 2013-09-25 冯静 多层住宅楼的多幢楼共用电梯的建筑结构及使用方法
CN106081758A (zh) * 2016-08-25 2016-11-09 张凡 一种电梯系统
JP6925235B2 (ja) * 2017-10-30 2021-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ル内交通推定方法およビル内交通推定システム
CN109665413A (zh) * 2018-12-03 2019-04-23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具有换乘层的建筑物内的电梯及其运行控制方法
CN111942998B (zh) * 2020-08-24 2024-05-03 贵阳普天物流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层建筑的接力式提升方法及提升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2255460A (ja) * 2000-12-28 2002-09-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運行制御装置
ES2364969T3 (es) * 2001-11-23 2011-09-19 Inventio Ag Ascensor con medios de transmisión en forma de correa, en particular con una correa trapezoidal de dentado interior como medio portante y/o agente motor.
IL180964A (en) * 2002-09-05 2010-11-30 Inventio Ag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JP2005008414A (ja) * 2003-06-18 2005-01-13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設備、このエレベーター設備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設備を最新化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8140A1 (en) 2008-06-22
NZ564075A (en) 2009-07-31
AU2007254654A1 (en) 2008-07-10
MX2007015398A (es) 2009-02-13
RU2007147958A (ru) 2009-06-27
BRPI0705006A (pt) 2008-08-12
ZA200710589B (en) 2008-11-26
SG144108A1 (en) 2008-07-29
JP2008156119A (ja) 2008-07-10
CN101219747A (zh) 2008-07-16
TW200835644A (en) 2008-09-01
PE20081645A1 (es)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934B2 (en)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JP2008156116A (ja) 昇降路内で相互に上下に配置された2台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有するエレベータ
JP2016040205A (ja) エレベータ通路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システム
US20070102245A1 (en) Elevator device
UA78240C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TW200900343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which are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KR20080059100A (ko)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갖는 건물 내의 승강기 설비
TWI396658B (zh) 在具有至少一層傳送樓層之建築物內之升降機設備
US7913818B2 (en)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US5107962A (en) Vertical transport system in a building
WO200512100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69175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KR1009110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FI118125B (fi) Hissijärjestelmä
WO20060188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0022320A (ko) 로프식 멀티 엘리베이터
JP200617628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516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WO20070399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6191760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